3.1 시험차량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의 실험 및 검증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 개발한 차세대 고속열차인 HEMU-430X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HEMU-430X는
동력분산식 고속열차로 6량(제어객차 1량, 제어동력차 1량, 동력객차 4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방향 운행이 가능하고, 시험주행 최고속도는
421.4km/h이다.
시험에 사용된 타코미터는 동력객차 M2에 있는 6번 대차 후위 우측 차축의 타코미터로서 바퀴 1회전당 88펄스를 발생시키며 해당 바퀴의 반지름은 r
w=0.426m로 측정되었다. 주어진 샘플링 주기 동안 발생한 타코미터의 펄스 수를 세는 펄스 카운터 값을 이용하여 기존 알고리즘인
식(1)에 의해 T
s=5ms와 100ms일 때 속도를 계산하였고, 또한 BEAD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속도를 계산하였다. 각각의 계산된 속도 값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GPS 속도 정보를 이용하였다. GPS 속도 정보는 GPS 신호가 음영지역 이거나 불안정할 때를 제외하면 열차가 고속으로 개활지에서 이동시 안정적이면서도
연속적으로 제공 받을 수 있다. 타코미터가 설치된 동력객차 M2의 상부에 설치된 GPS 안테나와 객차 내부에 설치된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GPS
속도 정보를 100ms의 주기로 획득하였다. 타코미터를 이용한 속도 계산과 GPS 속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센서정보 융합처리장치를
그림. 2와 같이 구현하였고, 두 정보를 GPS 절대시각에 동기화하기 위해 GPS 수신기의 PPS(pulse per second) 신호를 이용하여 타코미터
펄스 카운터를 구현하였다.
그림. 2. 시험열차 M2에 설치된 센서 및 센서정보 융합 처리장치
Fig. 2. Sensors and sensor information fusion processor installed in M2 car
3.2 시험결과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호남고속선 정읍역부터 익산역까지 약 42.3km 거리를 시험 열차가
표 1과 같이 운행을 하였다. 실험 중인 구간은 400km/h급 고속철도 인프라 테스트-베드 구간으로 고속운행을 위한 인프라가 설치된 구간이며 실험 운행중
최고속도 345.6km/h를 기록하였다. 대부분의 구간이 개활지이며 GPS 신호가 음영지역인 터널은 3개소가 있으며 길이는 합하여 1.1km로 전체구간의
2%를 차지하고 상부 구조물이 있는 교량 2개소와 고가다리가 7개소가 있으나 구간 거리에 비해 매우 짧은 구간을 차지하고 있다.
표 1. 실험운행 경로 요약
Table 1. Summary of experimental travel routes
|
운행경로 1
|
운행경로 2
|
운행경로 3
|
운행경로
|
정읍
익산
|
익산
정읍
|
정읍
익산
|
운행시간
|
720초
|
800초
|
790초
|
운행최고속도
|
323.4km/h
|
298.5km/h
|
345.6km/h
|
표 1과 같이 각각의 실험운행 경로에 따라 T
s=5ms와 100ms일 때 기존 알고리즘으로 계산한 열차속도와 BEADS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한 열차의 속도, GPS 속도 정보는 아래 그림에서 나타내었다.
운행경로 1은 정읍역 통과시점을 기준(t=0)으로 열차의 속도를 시간에 따라 운행이 종료되는 익산역 도착할 때까지
그림. 3과 같이 표시하였고 정읍역 통과 시에는 285.7km/h, 120초 근처에서 최고속도는 323.4 km/h를 기록하였다. 600초 이후부터는 익산시내로
진입하게 되어 주변 건물에 의해 GPS 속도 정보를 지속적으로 기준 정보로 활용하지 못하였으나 그 외 그간에서는 기준 속도로 충분히 활용하였다.
그림. 3. 운행경로 1의 열차속도 비교
Fig. 3. Comparison of train speed in travel route 1
그림. 4는
그림. 3의 t=440초와 t=540초 사이를 확대한 것으로 기존 알고리즘인
식(2)를 이용하여 계산한 열차속도는 GPS 속도와 비교할 경우 480초와 530초 근처에서 첨두치를 볼 수 있다. 그러나 BEADS를 이용한 알고리즘은
GPS 속도 정보와 거의 동일한 결과를 보이며, T
s=100ms일 때의 기존 알고리즘 보다 정확한 결과를 나타낸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4. 운행경로 1의 열차속도 비교(440초와 540초 사이)
Fig. 4. Comparison of train speed in travel route 1 (between 440 and 540seconds)
운행경로 2는 운행경로 1의 운행종료 지점에서 주행방향을 반대로 변경하였다. 익산역 출발시점을 t=0으로 하여 정읍역을 지날 때까지 시간에 따라 타코미터를
이용하여 제안한 알고리즘과 기존 알고리즘으로 계산한 속도와 GPS 속도 정보를
그림. 5와 같이 표시하였다.
그림. 5. 운행경로 2의 열차속도 비교
Fig. 5. Comparison of train speed in travel route 2
100초 근처에서 열차에 동력을 공급하는 가선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절연구간을 통과하면서 속도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그 후 열차에 동력이
공급되면서 가속하여 690초 근처에서 최고속도는 298.5km/h를 기록하였고 정읍역 통과 시에는 253.1km/h를 기록하였다. 240초와 590초
근처에서 GPS 속도와 비교시 기존 알고리즘의 첨두치를 발견할 수 있다.
운행경로 3은 정읍역에서 24km 떨어진 모암 연동기계실 근처를 출발하여 운행경로 1과 동일하게 정읍역 통과시점을 t=0으로 하여 익산역을 통과할
때까지 시간에 따라 타코미터를 이용하여 계산한 두 알고리즘의 열차 속도와 GPS 속도 정보를
그림. 6과 같이 표시하였다. 운행중 최고속도는 300초 근처에서 345.6 km/h를 기록하였고 정읍역 통과시 288.2km/h, 익산역 통과시 118.9km/h를
기록하였다. 기존 알고리즘으로 속도를 계산할 경우 165초, 460초, 510초 그리고 755초 근처에서 GPS 속도와 비교시 첨두치를 발견할 수
있다.
그림. 6. 운행경로 3의 열차속도 비교
Fig. 6. Comparison of train speed in travel route 3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상세히 비교하기 위해
표 1의 경로에 대하여 기준 속도인 GPS 속도 정보대비 T
s = 100ms일 경우 기존 알고리즘에 의한 열차 속도와 BEADS 알고리즘을 이용한 열차 속도의 RMSE(root mean squared error)와
최대 에러 값은
표 2와 같다. 또한 각 경로에 대하여 기준 속도 (GPS 속도) 대비 기존 알고리즘(T
s=100ms)과 BEADS 알고리즘을 이용한 속도 오차에 대하여 히스토그램을
그림. 7∼
그림. 9와 같이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속도 정보의 정확성을 위해 사용된 위성의 개수가 6개 이상 이며 동시에 GPS 수평 위치오차가 3.5m이하 일 때 GPS
속도 정보를 성능평가의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표 2와
그림. 7∼
그림.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BEADS를 이용한 속도 추정 알고리즘이 기존 알고리즘 보다 정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 실험운행 경로 요약
Table 2. RMSE value and maximum speed error for existing algorithm(Ts=0.1) & BEADS algorithms
|
BEADS 알고리즘
|
기존 알고리즘
|
RMSE (km/h)
|
Max. error (km/h)
|
RMSE (km/h)
|
Max. error (km/h)
|
운행경로
|
0.248
|
2.03
|
0.611
|
12.22
|
운행시간
|
0.242
|
2.12
|
0.614
|
14.21
|
운행최고속도
|
0.267
|
4.71
|
0.688
|
16.71
|
그림. 7. 운행경로 1의 오차 히스토그램
Fig. 7. Error histogram of travel route 1
그림. 8. 운행경로 2의 오차 히스토그램
Fig. 8. Error histogram of travel route 2
그림. 9. 운행경로 3의 오차 히스토그램
Fig. 9. Error histogram of travel route 3
또한 열차가 절연구간 통과시 주차단기를 차단 취급하거나, 통과 후 투입 취급하게 될 때 고전력 전자기 간섭이 전장장치에 발생할 수 있다. 타코미터의
불완전성으로 인해 위와 같은 전자기 간섭은 타코미터의 전원 또는 출력 신호 라인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방법으로 열차의 속도를 계산할
경우
그림. 10과 같은 매우 높은 첨두치가 발생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열차속도의 비정상적인 첨두치는 열차운행에 장애가 될 수 있다.
그림. 10은 운행경로 3에서 익산역을 통과하여 오송역으로 운행을 계속 진행하는 일부 시간에 대하여 타코미터를 이용하여 계산한 두 알고리즘의 열차 속도와 GPS
속도 정보를 표시한 것이다. 1,380초, 1,580초, 1,830초 그리고 2,100초 근처에서 절연구간을 통과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타코미터의 불완전성에도 불구하고 GPS 속도정보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10. 전자기 간섭에 의한 기존 및 제안 알고리즘 열차 속도
Fig. 10. Train speed for existing and proposed algorithm due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