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HILS의 구성
Hardware In the Loop Simulation System 즉 HILS 시스템은 구성품의 실험을 위해 대상 컴포넌트를 하드웨어로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ESS의 계통연계 운전과 비상 운전 시나리오를 MATLAB/Simulink 모델을 이용하여 구현하고 실험에 사용된
5kWh급 배터리(SP44-29E-114)는
그림. 6과 같이 학교에 설치된 500kWh급 배터리(SPS744-29E-684)에서 한 개의 Tray에 해당하는 배터리를 HILS 실험의 하드웨어로 사용하였다.
그림. 6. ESS의 배터리와 HILS 실험에 사용된 배터리 구성
Fig. 6. The battery installed in ESS of our school and the battery used in the HILS
experiment
실험 장치 구성은
그림. 7과 같다. 배터리 충전과 방전을 수행하는 Programmable DC Power Supply(이하 P.S), Programmable DC Electric
Load(이하 E.L), ESS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Target PC(NI PXIe-1078)와 검증 대상 하드웨어인 배터리(5kWh) 로 구성된다.
태양광 발전 및 그리드 전력의 모사는 P.S를 사용하고 건물의 일반부하 및 비상부하의 모사는 E.L를 사용한다. ESS의 운영 시나리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Target PC를 통해 진행되며 시뮬레이션에 따라 충전 혹은 방전 지령치를 P.S 혹은 E.L로 전송하고 그에 따른 배터리의 결과 값을
받아서 실험을 진행한다. 실험의 결과 값은 Host PC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된다. 통신은 모두 실 시간으로 빠른 통신을 하기 위해 Analog통신을
사용하였으며, AO와 AI는 아날로그 입력과 출력을 의미한다.
그림. 7. HILS의 구성도
Fig. 7. Configuration diagram of HILS
3.2 HILS에 적용한 ESS 운영시나리오 모델
그림. 8은 ESS 운영알고리즘에 대한 MATLAB/Simulink 모델이다. 블록 ①는 운영 시나리오 함수 블록이다. 블록 ②를 통해 계통 연계 운전 모드와
비상 운전 모드를 정해주게 되고, 블록 ③을 통해
그림. 5에 해당하는 시간, 태양광 발전량, 비상부하량을 전달받는다. 실제 배터리의 전압, 전류, 초기 SoC 값은 HILS를 통해 블록 ④로 입력되며, 블록
⑤는 하드웨어로 들어갈 출력으로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전체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출력,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시키기 위한 P.S에 인가될 출력, 배터리의
방전을 수행시키기 위한 E.L에 인가될 출력, 배터리의 실제 SoC를 측정하기 위한 출력에 해당한다. Matlab/Simulink에서 구성된 출력전압,
전류 출력치를 Target PC에서 사양에 맞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그림. 9와 같이 P.S는 스펙에 해당하는 60V/250A(10V 제어)를 이용하여
식(2)와 같이 하였다. E.L 또한 스펙 60V/1000A(10V 제어)를 이용하여
식(3)과 같이 변환 후 다운로드 가능한 DLL파일로 컴파일한다.
그림. 8. HILS 실험에 사용된 ESS 운영 시뮬링크 모델
Fig. 8. Simulink model used in development of ESS operation scenarios
그림. 9. Target PC에서의 파워 서플라이(P.S) 입력 설정
Fig. 9. P.S input setting on Target PC
이 아날로그 신호들이 P.S 혹은 E.L 장비를 지령하여 배터리의 충·방전시킨다. 또한 실시간으로 배터리의 전압과 SoC를 읽어 Target PC로
전달해 시뮬레이션으로 피드백 되는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그림. 10은 앞에서 설명한 HILS의 사진이다. 배터리 충·방전지령은
식(4)와 같다. 이는
표 4의 배터리 사양을 이용해 1C-rate인 114Ah를 배터리의 정격 충·방전량으로 설정한 경우이며,
식(1)에 따른 ESS 충·방전 요구량과 ESS용량을 이용하여 구했다.
그림. 10. HILS의 구성 사진
Fig. 10. HILS used in the experiment
표 4. 실험에 사용된 배터리 사양
Table 4. Specification of the battery used in the HILS experiments
항목
|
내용
|
항목
|
내용
|
공칭전압
|
43.8V
|
공칭용량
|
114Ah
|
운전전압
|
36~48.6V
|
충전전압
|
48.6V
|
충전전류
|
28.5A
(0.25C-rate)
|
방전전류
|
57.0A
(0.5C-rate)
|
한편, SoC의 검출 방법은 coulomb counting method, open circuit voltage method, Kalman Filter
estimation 등 여러 가지로 제안되고 있다
(12-14). 본 논문에서는 배터리의 충·방전 상황을 실시간을 제어해야하는 시간적인 제약 등을 고려하여
식(5)로 표시된 coulomb counting methods를 이용하여 SoC를 계산하였다. 여기서, C
N은 배터리 정격 용량이며, 실험에 사용된 정격 용량 114Ah를 대입하면
식(6)와 같다. SoC
0는 배터리 SoC의 초기치이다.
실험은 시나리오 상 시간인 24시간을 기준으로 1/3로 축소한 8시간으로 스케일링했으며
식(7)과 같이 28,800초가 24시간에 해당한다. 그에 따라 전류지령치는
식(4)에 3배를 취한
식(8)을 사용하였다.
3.3 HILS 실험 결과
그림. 11,
그림. 12는 여름(6~8월) 기준 계통 연계 시나리오 실험 결과이다.
그림. 11은 HILS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한 배터리의 전압, 배터리에 유입된 전류, state, SoC의 파형이다.
그림. 12는 Host PC에서 측정되는 값들을 엑셀 데이터로 저장 후 MATLAB을 이용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그림. 12을 통해 배터리 전압, 배터리 전류, state, SoC 등이 운영 시나리오와 일치하는 값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1. Host PC에 표시된 HILS 실험 결과
Fig. 11. HILS results displayed on the host PC
그림. 12. 실험 결과(계통 연계모드): (a) state, (b) 배터리 전류, (c) 배터리 전압 (d) 배터리 SoC
Fig. 12. Experimental result of grid-connected mode: (a) state, (b) battery current,
(c) battery voltage, and (d) SoC
그림. 13은 시나리오에서 정해준 state가 변함에 따라 변하는 배터리 전류, 배터리 전압, SoC를 보여주기 위해 전체 시간 중 0:00~09:00시에 해당하는
0~10,800초 구간을 확대한 그림이다. 이 시간은 경부하에 해당하기 때문에 배터리는
식(8)에 따라 102.6A 충전을 진행하는 state 1의 상태를 400초까지 진행한 후 SoC 90%가 되어 state 2가 되었고 충전을 멈추는 state
2의 상태를 10,800초까지 유지하게 되며, 10,800초 이후는 중간부하 중 동작을 멈추는 state 9의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그림. 13(a)). 그에 따른 배터리 전류, 전압과 SoC는
그림. 13(b)~
그림. 13(d)에서 보여주고 있으며
그림. 13(c)를 통해 배터리는 운전전압 내에서 운전 중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3. 0~10,800초 구간 실험 결과(계통연계모드): (a) state, (b) 배터리 전류, (c) 배터리 전압, (d) 배터리 SoC
Fig. 13. Experimental result(during 0~10,800 seconds, grid- connected mode): (a) state,
(b) battery current, (c) battery voltage, and (d) SoC
그림. 14는 비상 운전 시나리오 실험 결과이다. 평상 시에는 계통연계운전을 하다가 15시부터 19시까지 4시간에 해당하는 18,000초에서 22,800초 동안은
비상운전을 하고 22,800초에 계통이 정상으로 돌아와 계통연계운전을 하도록 하였다. 비상 운전 시나리오 실험 시 계통 고장 상태 이외 부분은 계통
연계 시나리오 실험과 동일하므로
그림. 15에서 비상 운전시인 18,000초~22,800초 부분만 확대해서 나타냈다. 18,000초 때 state 5에서 state –2로 변함은 계통 연계
모드에서 비상 운전 모드로 바뀌었음을 나타내고 이 때 state –2가 나타나는 것은 PV 발전량이 비상 부하량보다 많아 배터리는 비상 부하에 전달하고
남은 발전량으로 충전을 진행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18,700초에 state –1로 전환되어 있는데 이는 PV 발전량이 비상 부하량보다 적은 경우로
필요로 하는 비상 부하량 만큼 방전하고 있음을 뜻한다.
그림. 14. 실험 결과(비상 운전 모드): (a) state, (b) 배터리 전류, (c) 배터리 전압, (d) 배터리 SoC
Fig. 14. Experimental result of emergency mode: (a) state, (b) battery current, (c)
battery voltage, and (d) SoC
그림. 15. 18,000~22,800초 구간 실험 결과(비상 운전 모드): (a) state, (b) 배터리 전류, (c) 배터리 전압, (d)
배터리 SoC
Fig. 15. Experimental result of emergency mode during 18,000~22,800 seconds: (a) state,
(b) battery current, (c) battery voltage, and (d) SoC
22,800초 때 state –1에서 state 9로 변함은 비상 운전 모드에서 계통 연계 모드로 바뀌었음을 나타낸다. 현재 본교에서 운영되는 시나리오는
본 논문에서와 같은 시나리오로 계통 연계 모드로 운전 중이며 모니터링 결과는 아래 그림과 같다.
그림. 16는 UI 화면이다. SoC 및 PCS의 충·방전 동작 상태 등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 HILS 실험에서와 차이는 SoC의 상한값을 90%가 아닌 100%로
운영되고 있으며 나머지 동작은 동일하게 경부하시간 23:00~09:00과 중간부하 시간 중 최대부하 시간 사이에 있는 12:00~13:00에는 충전을
진행하며 최대부하시간 10:00~12:00, 13:00~17:00에는 방전을 수행하고 있음을
그림. 17에서 볼 수 있다.
그림. 17에서 붉은색 막대는 시간당 방전전력량, 파란색 막대는 시간당 충전전력량을 나타낸다.
그림. 16. 본교에서 운영 중인 ESS의 모니터링 화면
Fig. 16. The ESS monitoring screen
그림. 17. ESS의 충전량(청색)과 방전량(적색) 데이타
Fig. 17. Amount of charging(blue colored bar) and discharging (red colored bar) power
of the ESS operated in our school
그림. 18은 ESS 배터리의 SoC의 그래프이다. HILS 실험결과와 동일함을 볼 수 있다. 실험에 적용한 시나리오인 여름(6월~8월)을 기준으로 실험결과를
ESS에 적용 시 예상 되는 요금 절감액은 1달(30일) 기준으로
표 1,
표 2를 통해 계산하면 아래와 같다. 아래 값에 태양광 발전량을 포함시킨 경우 절감액은 더 커진다. 또한 2시간 이상의 비상 운전이 가능함을 확인함에 따라
디젤 비상 발전기를 대체할 방안으로 ESS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경부하 충전량 : ESS 용량의 31.4%(155.7 kWh)
중간부하 충전량: ESS 용량의 30%(150 kWh)
최대부하 방전량: ESS 용량의 58.9%(294.7 kWh)
요금 절감액 : 761,715원/월(30일)
그림. 18. 본교에서 운영 중인 ESS의 SoC 상태 파형
Fig. 18. SoC waveform of the ESS operated in our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