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정보량 최대화 피동 호밍궤적 설계
본 절에서는 앞서 구한 상대 운동방정식 (14)에 대해 표적 정보량을 최대화하면서 표적 요격을 위해 요구되는 에너지 최소화를 동시에 만족하는 호밍궤적을 설계 한다. 전통적인 호밍유도 기법 설계의
주요 목표는 호밍유도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는데 있다. 그러나 재밍 등의 이유로 유도탄이 피동 호밍을 수행하는 상황에서 표적 요격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표적 추적필터로부터 획득되는 표적 정보량을 최대화해야 한다. 피동 호밍 상황에서의 표적 추적성능은 궁극적으로 상대거리 추정 정확도에 좌우되는
경향이 있다. 2절에 소개된 상대거리 추정필터의 형태로부터 표적 정보량 $J _ {i}$은 시선변화율의 제곱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식(1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유도탄이 의도적인 횡방향 기동을 수행하면 표적 정보량 확보에 더욱 유리한 조건이 만들어지지만 이 경우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가
불가피하다. 즉, 피동 표적추적 필터의 성능개선 정도와 호밍유도 시 소요되는 에너지는 서로 상충되는 관계에 놓여있다. 서로 상반된 설계목적을 절충하는
최적 호밍궤적을 찾기 위해, 표적정보량 $J _ {i}$과 소모되는 에너지 $J _ { e } = \frac { 1 } { 2 } \int _ {
t _ { 0 } } ^ { t _ { f } } u ^ { 2 } d t$가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부정이차 목적함수 식(16)을 고려한다.
여기서 $w ^ { 2 }$은 표적정보량에 대한 가중계수를 의미한다.
상대운동 방정식 (14)에 대해 부정이차 목적함수 (16)를 최소화하는 유도명령은 Pontryagin의 최소원리를 적용함으로써 산출 가능하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Hamiltonian이 정의된다(3).
여기서 $\eta$는 부 상태변수(costate)를 의미하며, 종말시점에서 그 값은 $\eta \left( t _ { f } \right) = 0$이다.
정점 조건(stationary condition)으로부터 다음 관계식이 얻어진다.
편의상 $\tau \equiv t _ { g 0 }$라 하면, 식(17)과 식(18)로부터 상태방정식(state equation)과 부 상태방정식(costate equation)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위의 식에서 $\chi ^ { \prime } = d \chi / d \tau$는 $\chi$의 $\tau$에 대한 미분을 의미한다.
시변 Hamiltonian 시스템의 해석 해를 산출하기 위해 식(19)의 양변을 $\tau$에 대해 한 번 더 미분하면 상호결합되어 있는 두 개의 Euler-Cauchy 방정식을 얻는다.
잘 알려져 있듯이 Euler-Caucy 방정식의 일반해는 상수 $p$와 미정계수 $k$에 대해 $k \cdot \tau ^ { p }$ 꼴을 갖는다.
이 경우, 상태변수에 대한 식(20)의 특성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표 1에 정리한 바와 같이 $\alpha = - \frac { 1 } { 2 }$, $\beta = \frac { 1 } { 2 } \sqrt { 9 -
4 \omega ^ { 2 } }$로 정의하면 미분방정식 (20)의 해 $x ( \tau )$는 기저함수 $\phi _ { 1 } ( \tau )$ 및 $\phi _ { 2 } ( \tau )$의 선형조합으로 표현된다.
표 1. 시변 Hamiltonian 시스템의 해석 해
Table 1. Analytic solution of Hamiltonian system
경우
|
$\omega ^ { 2 }$
|
$p _ { 1 }$
|
$p _ { 2 }$
|
$\phi _ { 1 } ( \tau )$
|
$\phi _ { 2 } ( \tau )$
|
1
|
$\omega ^ { 2 } < \frac { 9 } { 4 }$
|
$\alpha + \beta$
|
$\alpha - \beta$
|
$\tau ^ { p _ { 1 } }$
|
$\tau ^ { p _ { 2 } }$
|
2
|
$\omega ^ { 2 } = \frac { 9 } { 4 }$
|
$\alpha$
|
$\alpha$
|
$\tau ^ { p _ { 1 } } \ln ( \tau )$
|
$\tau ^ { p _ { 2 } }$
|
3
|
$\omega ^ { 2 } > \frac { 9 } { 4 }$
|
$\alpha + j | \beta |$
|
$\alpha - j | \beta |$
|
$\tau ^ { p _ { 1 } }$
|
$\tau ^ { p _ { 2 } }$
|
위 식에서 $c _ { 1 }$, $c _ { 2 }$는 경계조건으로 결정되는 미정계수이다. 참고로 유의미한 해가 도출되려면 $c _ { 1 }$과
$c _ { 2 }$가 동시에 0이 되는 경우는 배제시켜야 한다.
유사한 방법을 적용하면 부 상태변수 $\eta ( \tau )$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식(22)와 식(23)을 식(19)에 대입하면 계수 $c _ { k }, d _ { k } ( k = 1,2 )$의 상관관계가 유도된다.
위 식에서 사용된 계수 $\Lambda _ { i , j } , ( i , j = 1,2 )$의 값은 표 2와 같다.
표 2. 계수 $c _ {k}$, $d _ {k}$간의 관계
Table 2. Relationship between the coefficients $c _ {k}$ and $d _ {k}$
$\omega ^ { 2 }$
|
$\Lambda _ { 11 }$
|
$\Lambda _ { 12 }$
|
$\Lambda _ { 21 }$
|
$\Lambda _ { 22 }$
|
$\omega ^ { 2 } \neq \frac { 9 } { 4 }$
|
$\frac { 1 - p _ { 1 } } { \omega ^ { 2 } }$
|
0
|
0
|
$\frac { 1 - p _ { 2 } } { \omega ^ { 2 } }$
|
$\omega ^ { 2 } = \frac { 9 } { 4 }$
|
$\frac { 1 - p _ { 1 } } { \omega ^ { 2 } }$
|
0
|
-1
|
$\frac { 1 - p _ { 2 } } { \omega ^ { 2 } }$
|
표적 정보량을 최대화하는 에너지 최적 호밍궤적의 닫힌 해를 산출하기에 앞서 물리적으로 유의미한 해가 갖는 특성을 살펴보자. 잘 알려져 있듯이 유도탄이
표적을 요격하기 위해서는 조우시점($t = t _ { f }$ 혹은 $\tau = 0$) 부근에서 충돌삼각형(collision triangle) 위에
위치해야 한다. 즉, $\dot { \lambda } \left( t = t _ { f } \right) = x ( \tau = 0 ) = 0$이
만족되어야 한다. 이 조건을 식(22)에 적용하여 가중계수 $w ^ { 2 }$의 범위를 결정해보자.
이를 위해 우선 $\alpha < 0$이고, $\beta$는 $w ^ { 2 }$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진다는 점에 주목하자. 표 1을 참고하면 식(22)의 상태변수를 $x ( \tau ) = \tau ^ { \alpha } f ( \tau )$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으며, $w ^ { 2 }$의 범위에
따른 $f (\tau)$는 표 3에 정리하였다. 이때 $\lim _ { \tau \rightarrow 0 ^ { + } } \tau ^ { \alpha } = \infty$이므로
표적요격 조건 $x ( \tau = 0 ) = 0$이 성립하려면 다음 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표 3. 표적 요격조건 충족을 위한 고려사항
Table 3. Consideration for meeting the intercept condition
경우
|
$\omega ^ { 2 }$
|
$f ( \tau )$
|
$\lim _ { \tau \rightarrow 0 ^ { + } } f ( \tau ) = 0$ 만족 조건
|
1
|
$\omega ^ { 2 } < \frac { 9 } { 4 }$
|
$c _ { 1 } \tau ^ { \beta } + c _ { 2 } \tau ^ { - \beta }$
|
$c _ { 2 } = 0$
|
2
|
$\omega ^ { 2 } = \frac { 9 } { 4 }$
|
$c _ { 1 } \ln ( \tau ) + c _ { 2 }$
|
$c _ { 1,2 } = 0$ (trivial)
|
3
|
$\omega ^ { 2 } > \frac { 9 } { 4 }$
|
$c _ { 1 } \tau ^ { j | \beta | } + c _ { 2 } \tau ^ { - j | \beta | }$
|
$c _ { 1,2 } = 0$ (trivial)
|
경우 1. ($\omega ^ { 2 } < 9 / 4$)
$\omega ^ { 2 } < 9 / 4$일 때 항상 $\beta > 0$이 되어 $\lim _ { \tau \rightarrow 0 ^
{ + } } \tau ^ { - \beta } = \infty$ 이므로, $c _ { 2 } = 0$ 이어야 조건 (25)를 만족한다. 즉, 상태변수는 $x ( \tau ) = c _ { 1 } \tau ^ { \alpha + \beta }$ 이다. 0이 아닌 상수 $c
_ { 1 }$에 대해 $x ( \tau = 0 ) = 0$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alpha + \beta > 0 \quad ( \beta
> 1 / 2 )$이 충족되어야 한다. 따라서 가중계수의 범위는 $\omega ^ { 2 } < 2$로 제한되어야 한다.
경우 2. ($\omega ^ { 2 } = 9 / 4$)
$\lim _ { \tau \rightarrow 0 ^ { + } } \ln ( \tau ) = - \infty$이므로 조건 (25)를 만족하려면 $c _ { 1 } = c _ { 2 } = 0$ 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omega ^ { 2 } = 9 / 4$인 경우에는
표적 요격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
경우 3. ($\omega ^ { 2 } > 9 / 4$)
만일 식(25)가 만족된다면 계수 $c _ { k }$에 대해 다음 관계식이 만족되어야 한다.
위 식의 우변은 시변인 반면 좌변은 시불변이므로 식(26)은 모순이다. 따라서, $\omega ^ { 2 } > 9 / 4$일 때도 표적 요격조건 (25)가 충족되지 않는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유도탄이 표적을 요격하기 위해서는 표적 정보량에 대한 가중계수를 $\omega ^ { 2 } < 2$로 설정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이제 식(14) 및 식(17)에서 고려된 경계조건을 이용하여 미지계수 $d _ { 1,2 }$를 결정해보자. $\tau _ { 0 } = 0$, $\tau _ { f } = t
_ { f }$라면 미지계수 결정을 위한 구속조건은 다음과 같이 재정리된다.
계수 $c _ { k }$와 $d _ { k }$간의 상관관계 (24)를 식(22)에 대입하면 상태변수 $$x (\tau)를 다시 쓸 수 있다.
경계조건 (27)을 각각 식(23)과 (28)에 대입하면 식(29)를 얻는다.
위의 결과와 표 2의 정의로부터, $\omega ^ { 2 } < 2$일 때 계수 $d _ { k }$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Delta _ { 1 } = \Lambda _ { 11 } \phi _ { 1 } \left( \tau _ { f } \right) - \Lambda
_ { 22 } \left( \frac { \phi _ { 1 } \left( \tau _ { 0 } \right) } { \phi _ { 2 }
\left( \tau _ { 0 } \right) } \right) \phi _ { 2 } \left( \tau _ { f } \right)$, $\Delta
_ { 2 } = \Lambda _ { 11 } \left( \frac { \phi _ { 2 } \left( \tau _ { 0 } \right)
} { \phi _ { 1 } \left( \tau _ { 0 } \right) } \right) \phi _ { 1 } \left( \tau _
{ f } \right) - \Lambda _ { 22 } \phi _ { 2 } \left( \tau _ { f } \right)$
한편, $\lim _ { \tau \rightarrow 0 } \left| \frac { \phi _ { 1 } ( \tau ) } { \phi _
{ 2 } ( \tau ) } \right| = \lim _ { \tau \rightarrow 0 } | \tau ^ { \sqrt { 9 - 4
\omega ^ { 2 } } } | = 0$임을 이용하여 식(30)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식(31)을 식(23) 및 식(28)에 대입하면 상태변수 및 부 상태변수의 닫힌 해를 산출할 수 있다.
매 시점에 대해 부 상태변수 $\eta$를 갱신한다면 식(32)에서 $\tau _ { f } \mapsto \tau = t _ { g 0 }$, $\dot { \lambda } _ { 0 } \mapsto \dot
{ \lambda } ( t )$로 치환되어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앞서 $u \equiv a _ { m } / V _ { c }$라 정의했으므로 위의 결과를 식(18)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유도명령을 얻게 된다.
식(34)의 비례항법상수 $N$은 표적 정보량에 대한 가중계수 $\omega ^ { 2 }$로 결정되며, 표적 정보량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omega \rightarrow
0$) $N=3$ 즉, 에너지 최적 호밍유도기법인 PNG 기법의 비례항법상수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유도오차 $y$에 대해 $y \approx r \lambda$, $\dot { y } \approx \dot { r } \lambda + r \dot
{ \lambda }$으로 근사 가능하므로, 유도명령 (34)로부터 손쉽게 호밍궤적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T _ { f } \equiv t _ { f } - t _ { 0 }$ , $\dot { y } _ { 0 } = \dot { y } \left(
t _ { 0 } \right)$ , $y _ { 0 } = y \left( t _ { 0 } \right)$이다.
식(3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호밍궤적은 $t _ { g 0 }$와 $t _ { g 0 } ^ { N }$에 비례하는 항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의
호밍유도 기법은 표적 정보량 확보를 위해 의도적으로 유도탄 궤적을 진동시키는 방식을 채택했으나, 이는 수학적으로 볼 때 정보량을 최대화하는 최적 호밍유도
기법이 아닐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