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다중센서를 이용한 위치 검출 정확도 향상
건물 내부의 구조적인 자기장 왜곡을 이용해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의 경우 왜곡 형태가 상이하여 측정치 간의 상관도가 적은 두 지점의 자기장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 더 많은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 정합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욱 정확한 위치 검출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그림. 2와 같이 건물 내부 철제 구조의 영향을 잘 받을 수 있는 발에 3축 자기 센서를 부착하고 추가적인 3축 자기 센서를 허리에 부착해 보다 정확하게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림. 2. 다중센서의 부착위치
Fig. 2. Mounting position of sensors
신발에 장착한 센서가 바닥의 철골 구조에 크게 영향을 받는데 비해 허리에 장착한 센서의 경우 건물 바닥 구조보다 문, 벽면, 창 등의 영향을 더 많이
받게 되므로, 두 센서가 제공하는 정보는 서로 상관성이 적다. 따라서 위치 비교를 위해 더 많은 데이터를 사용하게 되므로, 위치 검출 정확도가 향상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 경우 지도 데이터와 센서 측정치는 모두 6개의 원소를 갖는 벡터로 바뀌게 된다.
3.2 보폭 기반 경계 가중치 알고리즘
실내 구조적인 자기장 왜곡 특성을 이용한 지도 정합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내부 구조물이 반복적으로 있는 경우 자기장 왜곡 형태가 매우 유사한 특이점이
존재할 수 있다. 즉 구조물의 특징에 의해 RSE 값이 작은 지점이 여러 곳 나타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치 검출 오차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오차는 많은 경우 매우 큰 오차를 발생시킨다.
오검출에 의한 위치 오차를 제거하기 위해서 보행자의 이동특성을 기반으로 일정한 경계를 형성해 경계 이상의 큰 오차가 발생할 때 제거 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경계를 형성해 오차를 제거하는 방법은 경계의 범위 설정에 따라 효과적으로 동작할 수 있지만, 경계를 너무 작게 잡을 경우 경계 내부의 RSE 최솟값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고, 경계를 너무 크게 잡을 경우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의 이동보폭을
고려해 효율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방법과 경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해 경계 내부의 RSE 최솟값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단점을 해결하였다.
보행자의 보폭을 이용해 적절한 경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보행자의 다음 이동위치를 현재위치에서 식 (9)과 같이 평균이 0, 분산이 $\sigma^{2}$인 정규분포라고 가정한다.
식 (10)의 $d_{k}$는 이전 위치 $\mathbf{P}_{k-1}$과 현재 위치 $\mathbf{P}_{k}$ 기반으로 계산된 거리이며 처음 분포를 형성하기
위해 초기 몇 걸음을 걷는 동안 표준 편차를 1로 정의하고 경계를 형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섯 걸음을 분포를 잡는 기준으로 설정하여 5번째 걸음에서
표준편차가 정해진다.
정해진 표준편차를 이용해서 6번째 걸음부터 보폭에 의해서 정해진 정규분포를 기반으로 경계를 형성하게 된다. 6번째 걸음 이후부터는 마지막 걸음을 기준으로
가중 합 방식을 이용해서 표준 편차를 정의하였다. 가중 합 방식을 이용하면 보행자의 마지막 이동 거리에 따라 빠르게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식 (11)은 6번째 걸음 이후 표준편차를 정의하는 식이며, 이때 $\alpha$는 가중치를 결정하는 설계 상수로서 본 연구에서는 0.3을 사용하였다.
가정한 정규분포와 새로 정의 한 분산에 의해 다음위치가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3 \sigma$ 이내에 들어올 확률은 약99.7%이며 이를 경계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정의된 분포를 기반으로 경계를 형성해 위치를 검출 하는 경우, 0.3%의 낮은 확률로 경계 밖의 위치가 검출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만약 확률 모델에만 기반을 두어 경계 범위를 정할 경우 비록 낮은 확률이지만 계속해서 실제위치와 다른 위치를 검출 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경계 범위를 특정 영역으로만 제한하거나 확률 모델에만 기반하여 가중치를 구성하는 것은 위치 오차를 크게 유발할 수 있어, 본 연구에서는 자기 지도
전체를 활용할 수 있게 경계의 범위를 확장하고 경계에 따라 가중치를 주어 위치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식 (12)는 현재 위치에서 자기 지도상의 분할 점의 좌표사이의 거리 $L$을 계산한 식으로,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경계 영역 가중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이후 각각의 걸음마다 정해진 표준편차에 의해서 $\alpha$의 가중치를 부여하며 이는 식 (13)와 같다. 보폭으로 형성된 경계의 가중치는 건물이 건설될 때 사용되는 철골구조의 배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실험에 의해 결정되는 값으로
건물 내부의 철골구조의 변화나 자기장의 영향을 미칠 만한 변화가 없다면 결정된 후 바뀌지 않는다. 건물 내부의 철골 구조가 일반적인 사람의 보폭에
비해 넓게 분포되어 있다면, 이는 곧 보폭보다 큰 위치오차를 발생시킬 것이고 이때는 가중치의 차이를 크게 하여 평균 보폭보다 큰 위치가 검출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계에 따른 가중치 $a_{1}$, $a_{2}$, $a_{3}$를 실험에 의해 결정하여 각각 2, 4, 8로
설정하였다.
가중치를 기반으로 WRSE(weighted RSE)는 식 (14)과 같이 다시 정의 되며 $\hat{C}$이 최소가 되는 격자지도상의 위치 $(i, j)$가 검출 위치가 된다.
그림. 3은 자기 지도에서 가중치 기반 경계를 형성하는 개념도이며, 보행자의 이동거리에 대해서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다음 위치가 검출될 확률이 높은 순서로
낮은 가중치를 주어 다음 위치를 검출할 때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그림. 3. 가중치 기반 경계 형성 알고리즘 개념도.
Fig. 3. Concept of weighted boundary algorithm.
단일 보행자가 각각 0.4m, 0.8m의 보폭으로 실내를 35걸음 걸었을 때 RSE를 최소로 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위치를 검출한 결과와 보폭 기반
가중치 경계 알고리즘을 이용해 WRSE를 적용한 경우의 위치 오차는 그림. 4와 같다. 단순히 RSE를 이용하여 위치를 계산할 경우 두 실험 모두 지도상의 자기 왜곡 특성이 유사한 특이점에 의해 큰 거리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보행자의 보폭 특성을 고려한 가중치 경계를 이용한 위치 검출은 보폭에 따라서 적절한 경계를 형성해 검출 가증 경계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함으로써 특이점의 검출을 방지해 위치 오차가 매우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4. RSE와 가중치 기반 경계 형성 알고리즘의 검출 위치오차
Fig. 4. Detection position error of RSE and Weighted boundary
3.3 데이터 중요도에 따른 가중 합 알고리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먼 거리의 특이점은 가중치 경계를 이용한 위치 검출을 사용해 제거할 수 있지만, 경계 내부의 특이점에 대해서 검출되는 오차는
방지할 수 없다. 특히 실내를 작은 범위로 나누어 지도를 구성하게 되면, 가까운 분할지점에서 자기장 왜곡특성이 유사한 특이점이 존재할 수 있다. 경계
내부의 특이점에 의해 발생하는 위치 오차는 실제 위치와 근접한 위치를 오검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큰 오차를 유발한다. 따라서 WRSE 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 뿐 아니라 두 번째와 세 번째로 작은 값에 의해 검출되는 위치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후보군 생성을 위해 가중치 경계 기반으로 WRSE를 계산하여 모든 $(i, j)$ 위치에 대한 정보를 벡터로 구성한 것을 $\widehat{C}$라고
할 때, 이것을 오름차순 정렬해 $\widetilde{\mathrm{C}}=$SortAscending$(\widehat{\mathrm{C}})$로
다시 정의하고 $\widetilde{\mathrm{C}}$의 각 원소를 $\widetilde{\mathrm{C}}_{k} \quad(k=1,2, \ldots,
m \times n)$ 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식 (13)과 같이 $\widetilde{\mathrm{C}}$의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값이 가지는 지도상의 좌표를 후보군으로 정한다.
위치 후보군이 되는 세 좌표를 모두 고려하여 최종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단순 평균값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만약 첫 번째 후보군의 WRSE
오차가 현저하게 작으면 오히려 큰 위치 오차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세 후보 위치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가중 합 과정에서 각 WRSE 측정값에 상수를
곱하여 최종 위치 $DP$를 식 (14)와 같이 결정한다.
위 식에서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 상수 $\alpha$, $\beta$, $\gamma$는 식 (15)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림. 5는 데이터 중요도에 따른 가중 합 알고리즘의 개념도이다. 특이점에 의해 다른 위치가 검출되는 경우 기존의 방식은 $C P_{1}$ 점을 최종 위치로
추정하지만 중요도에 따른 가중 합을 이용해 위치를 검출할 경우 오차가 줄어들어 최대 오차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만약 $C P_{1}$이 실제
위치인 경우에는 반대로 기존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는 위치 오차가 발생하게 되지만, 전반적으로 WRSE를 단순히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강인하게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림. 5. 중요도에 따른 가중 합 알고리즘 개념도.
Fig. 5. Weighted sum algorithm based on impor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