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문제 제기
다음의 T-S 퍼지 모델을 고려하자.
여기서 $r>0$은 퍼지 규칙의 수를 나타내며, $x(t)\in R^{n}$과 $u_{F}(t)\in R^{m}$는 각각 상태 벡터와 구동기 고장을
포함하는 입력 벡터이고, $A_{i}\in R^{n\times n}$와 $B_{i}\in R^{n\times m}$는 알고 있는 시스템 행렬들이며,
$w_{i}(x(t))\in[0,\: 1]$은 $i$번째 규칙의 소속함수로 다음을 만족한다.
본 논문에서는 (1)의 안정화를 위해 일정한 샘플링 주기로 샘플된 상태 벡터를 되먹임하는 제어기를 사용하며, 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u(t)\in R^{m}$은 구동기 고장이 포함되지 않은 제어 입력 베터이며, $K_{i}\in R^{m\times n}$는 설계되어질 제어
이득 행렬이며, $t_{k}$는 $k >0$번째 샘플링 시점으로 $t_{k+1}-t_{k}:=h_{k}\le h_{M}$의 관계를 가지며, $h_{M}>0
$은 최대 샘플링 주기를 의미한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시변 고장 행렬 $F(t)$를 이용하여 구동기 고장 모델을 정의한다.
여기서 $F(t)=diag\left\{f_{1}(t),\: f_{2}(t),\:\cdots ,\: f_{m}(t)\right\}$이고, 모든 $a$에
대해 $f_{a}(t)$는 $0\le\underline f_{a}\le f_{a}(t)\le\overline{f}_{a}\le 1$를 만족하고, 이때
$f_{a}(t)$는 알지 못하는 시변 스칼라이며, $\underline f_{a}$와 $\overline{f}_{a}$는 주어진 상수 스칼라이다.
이제 식(1)- (3)을 이용하면, 다음의 폐루프 상태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phi_{ij}=A_{i}+B_{i}F(t)K_{j}$이고, $\overline{x}(t)= x(t)-x(t_{k})$이다.
한편, 표기의 간편함을 위해 임의의 행렬 $M_{i}$와 $N_{ij}$에 대해 다음의 표기법을 정의한다.
식 (5)의 표기법을 이용하여 (4)를 다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본 논문의 목표는 다음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문제 1 : 주어진 양의 스칼라 $h_{M}$, $\overline{f}_{a}$, $\underline f_{a}$에 대해 T-S 퍼지 시스템 (1)의 평형점을 점근 안정화하는 구동기 고장을 포함하는 제어기 (3)의 제어 이득 행렬을 구하라.
마지막으로 문제 1의 해결에 도움이 되는 다음의 보조 정리를 소개하면서 본 장을 마무리한다.
보조 정리 1 (7) : 비선형 시스템 동역학 $\dot x(t)$$=f(t,\:x)$이 구분 연속이고 $x$에 대해 지역적으로 Lipschitz이라면, 양부호 행렬
$P$에 대해 다음의 부등식은 항상 성립한다.
보조 정리 2 (8) : 주어진 어떤 벡터 $x$와 $t_{0}<t_{f}$인 임의의 양수 $t_{0}$, $t_{f}$, 그리고 임의의 양부호 행렬 $P$에 대해 다음의
부등식은 항상 성립한다.
참고 1 : 식(3)에서 고장 행렬 $F(t)=I$가 되면, 즉 $\underline f_{a}=\overline{f}_{a}=1$, 식(3)은 구동기 고장이 없는 이상적인 제어기로 간략화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도출된 결과는 구동기 고장이 없는 시스템의 안정화에도 적용 가능하다.
3. 주요 결과
본 장에서는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T-S 퍼지 시스템의 샘플치 고장 허용 제어기 설계 조건을 유도한다. 본 논문에서는 샘플치 제어 시스템의 상태 방정식
(6)의 정확한 이산화 모델에 대해 이산 시간에서 안정화 조건을 유도한다. 이를 위해 식(6)의 정확한 이산화 모델을 유도하면 다음과 같다.
안정화 조건을 유도하기에 앞서 유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음의 행렬을 정의한다.
여기서 $a\in I_{m}$이며, 고장 행렬 $F(t)$는 $F(t)=F_{0}\left(I +F_{1}(t)\right)$로 표현 가능하며, $I$는
단위행렬이고, $F_{1}(t)$와 $F_{2}$는 $F_{1}^{T}(t)F_{1}(t)\le F_{2}^{T}F_{2}\le I$를 만족한다.
다음의 정리는 문제 1에 대한 해를 제안한다.
: 주어진 양의 스칼라 $\alpha$, $\beta$, $\underline f_{a}$, $\overline{f}_{a}$, $a\in\{1,\:2,\:\ldots
,\:m\}$, $\epsilon$, 그리고 $h_{M}$에 대해 다음의 선형 행렬 부등식을 만족하는 양부호 행렬 $\overline{P}\in R^{n\times
n}$와 $\overline{Q}\in R^{n\times n}$, 그리고 임의의 행렬 $\overline{M}\in R^{n\times n}$과
$\overline{K}_{j}\in R^{m\times n}$, $j\in I_{r}$이 존재하면 (6)의 평형점은 점근 안정하다.
여기서
마지막으로, 제어 이득 행렬은 $K_{j}=\overline{K}_{j}\overline{M}^{-1}$로부터 얻을 수 있다.
증명 : 다음의 이산시간 리아푸노프 함수를 고려하자.
여기서 $P\in R^{n\times n}$은 미지의 양부호 행렬이다.
식 (10)의 차분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식 (11)에 (7)을 대입하면, 다음을 얻는다.
한 편, 임의의 양부호 행렬 $Q\in R^{n\times n}$에 대해 다음이 성립함은 명백하다.
이제 식(12)에 식(13)를 더하고, (13)에 대해 보조 정리 1을 적용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식(14)의 마지막 항에 보조 정리 2를 적용하면,
에 의해 (14)을 다음과 같이 수정할 수 있다.
이제 (6)의 상태 방정식으로부터 임의의 행렬 $M\in R^{n\times n}$과 양의 스칼라 $\alpha$와 $\beta$에 대해 다음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식 (15)와 (16)을 결합함으로써 다음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eta(\tau ,\: t_{k})= col\left\{x(t_{k}),\:\dot x(\tau),\:\overline{x}(\tau)\right\}$이고,
따라서 (6)의 평형점이 점근 안정하기 위해서는 $\Xi(\tau ,\: t_{k})$가 $\tau\in[t_{k},\: t_{k+1}]$, $k\ge 0$에
대해서 다음을 만족해야 한다.
이제 고장 행렬 $F(t)$에 대해 (8)을 적용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phi_{0}(\tau ,\: t_{k})=A(\tau)+B(\tau)F_{0}K(t_{k})$이고 $\phi_{1}(\tau ,\:t_{k})=$$B(\tau)$
$F_{0}F_{1}(\tau)K(t_{k})$이다.
식 (18)에 (19)를 적용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Xi_{1}(\tau)= col\left\{\alpha M^{T}B(\tau),\:\beta M^{T}B(\tau),\: M^{T}B(\tau)\right\}$,
또한, (20)에 임의의 행렬 $X$와 $Y$에 양의 스칼라 $\epsilon$에 대해 잘 알려진 다음의 행렬 부등식을 적용하면,
다음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21)에 슈어 보수를 적용하고, $M^{-1}=\overline{M}$, $\overline{P}=\overline{M}^{T}P\overline{M}$,
$\overline{Q}=\overline{M}^{T}Q\overline{M}$, $\overline{K}(t_{k})= K(t_{k})\overline{M}$을
정의하고, congruence transformation을 ${diag}\{\overline{M},\:\overline{M},\:\overline{M},\:I,\:I\}$을
이용하여 적용하면, 식(21)은 다음의 행렬 부등식으로 보장된다.
이로부터 식(9)의 선형 행렬 부등식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9)의 선형 행렬 부등식을 만족하는 해를 찾을 수 있다면, $\Delta V(t_{k})\le 0$이 보장되므로, (6)의 평형점은 점근 안정화된다. 이것으로 증명을 마무리한다. ■
참고 2 : 정리 1은 식(7)의 정확한 이산화 모델에 대한 점근 안정화 조건을 유도했다. 그러나 (9)의 Proposition 1에 의하면 $|| x(t_{k})||\to 0$이 $|| x(t)||\to 0$을 보장함을, 즉 식(6)의 점근 안정화를 보장함을 쉽게 증명할 수 있다.
한 편, 다음의 따름 정리는 (9)의 정리 2에 근거하여, (9)의 선형 행렬 부등식보다 더 완화된 (22)을 보장하는 선형 행렬 부등식을 제공한다.
따름 정리 1 : 임의의 상수 스칼라 $\sigma_{j}>0$에 대해
$w_{j}(x(t_{k}))-w_{j}(x(t))+\sigma_{j}\ge 0$가 만족할 때, 다음의 선형 행렬 부등식을 만족하는 대칭 행렬 $\Pi_{i}\in
R^{3n\times 2m}$이 존재하면, (22)의 행렬 부등식은 다음의 선형 행렬 부등식으로 보장된다.
여기서 $T_{ij}= X_{ij}-\sum_{v=1}^{r}\phi_{v}\left(X_{iv}+\Pi_{i}\right)$이다.
증명 : (9)로부터 쉽게 증명 가능하므로 생략한다. ■
참고 3 :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다음의 T-S 퍼지 시스템에 대한 샘플치 제어기 설계 문제와 관련하여 다음의 기여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이산화 방법을 통해 고장 허용 제어기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고장 행렬 각 원소의 최대, 최솟값을 이용해 시변의 불확실한 고장 행렬을 포함하는 안정화 조건을 선형 행렬 부등식으로 유도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4. 시뮬레이션 예제
본 장에서는 Van der Pol 오실레이터 시스템에 대한 샘플치 고장 허용 제어기 설계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다루며, 이를 통해 제안하는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할 것이다. Van der Pol 오실레이터의 T-S 퍼지 모델은 (1)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때 시스템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A_{1}=\left[\begin{array}{cc}{0} & {1} \\ {-1} & {\varphi\left(1-M^{2}\right)}\end{array}\right],
A_{2}=\left[\begin{array}{cc}{0} & {1} \\ {-1} & {\varphi}\end{array}\right]$,
$B_{1}=B_{2}=[\begin{aligned}1\\0\end{aligned}]$, $w_{1}(x(t))=\dfrac{x_{1}^{2}(t)}{M^{2}}$,
$w_{2}(x(t))=1-w_{1}(x(t))$, $\varphi =1$, $M =2.5$.
본 시뮬레이션 예제에서는 고장 행렬을 다음과 같다고 가정했다.
$F(t)=\left(\overline{f}_{1}-\underline f_{1}\right)\dfrac{\sin(10t)+1}{2}+\underline
f_{1}$,
이때 파라미터는 $\underline f_{1}= 0.3$과 $\overline{f}_{1}= 0.7$이다.
이상의 조건에서 $\alpha =\beta =1$, $h_{M}=0.01$, $\sigma_{1}=\sigma_{2}=0.3$에 대해 따름 정리 1의
선형 행렬 부등식 (23)-(25)를 해석하여 다음의 제어 이득 행렬을 얻을 수 있다.
비교를 위해 구동기 고장이 없다고 가정한 상태, 즉 $F_{0}= I$과 $F_{1}(t)=F_{2}= 0$인 상태에 대해 (23)-(25)의 선형 행렬 부등식을 해석하여 다음의 제어 이득 행렬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림 1과 그림 2는 각각 구동기 고장 허용 샘플치 제어기 (26)과 일반적인 구동기 고장을 고려하지 않은 샘플치 제어기 (27)로 제어되는 상태 변수 $x_{1}(t)$와 $x_{2}(t)$의 상태 응답을 나타내며, 그림 3은 고장 행렬 $F(t)$의 그래프이다.
그림 1에서 그림 3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설계된 제어기는 구동기 고장이 있는 상황에서도 보다 안정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것으로 제안하는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다.
그림. 1. $x_{1}(t)$의 상태 응답. 고장 허용 제어기 (실선), 일반 제어기 (점선)
Fig. 1. The state response of $x_{1}(t)$. Fault tolerant controller (solid line),
nominal controller (dashed line)
그림. 2. $x_{2}(t)$의 상태 응답. 고장 허용 제어기 (실선), 일반 제어기 (점선)
Fig. 2. The state response of $x_{2}(t)$. Fault tolerant controller (solid line),
nominal controller (dashed line)
그림. 3. $F(t)$의 시간 응답
Fig. 3. The time response of $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