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Smart Electric & Signaling Division,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orea)
  2. (Dept. of Transportation System Engineering,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Korea)
  3. (D2 Engineering, Korea)



Tensioning device, Condition monitoring, Contact wire, Messenger wire

1. 서 론

전기철도에서 가공 전차선로는 차량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핵심설비로서, 차량의 팬터그래프와 직접적으로 마찰하면서 전기를 공급하는 전차선, 전차선을 일정한 높이로 현수하기 위한 드로퍼 및 조가선, 그리고 조가선을 설치하기 위한 가동브래킷 및 애자 등으로 구성된다. 차량의 속도향상을 위하여 집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차선의 파동전파속도를 올려야 하고, 파동전파속도는 각 선의 장력을 올리고 무게를 가볍게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1]. 전차선과 조가선은 전도율 및 강도를 고려하여 순동 혹은 동합금으로 제작하는데 주변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한다[2]. 따라서 가동 브래킷의 회전 등을 고려하여 그림 1과 같이 약 1.2 km ~ 1.6 km마다 장력조정장치를 설치하고 온도변화에 대응하여 각각의 선에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게 한다[1-3]. 장력조정장치는 온도에 따라 전선의 길이가 변화하며 온도가 상승하면 선팽창계수에 의해 전선이 늘어나 가선장력이 감소되므로 전차선의 처짐현상이 발생하고 온도가 낮아지면 전선이 줄어들어 경간 내 전차선의 호그(ho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4].

그림 1 전차선로 인류거리 및 장력조정장치

Fig. 1 Tensioning Device and Dead-Section at the Catenary System

../../Resources/kiee/KIEE.2019.68.8.1025/fig1.png

장력조정장치는 온도변화에 상관없이 전차선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기철도 급전설비의 핵심 장치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4]. 설계속도 및 선로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장력조정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크게 보면 표 1과 같이 스프링식, 활차식 및 도르래식으로 구분된다[5]. 도르래식은 장력변동율이 작아서 고속철도에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활차식 장력조정장치는 제일 먼저 기술을 수입하여 중저속 구간에 주로 사용하고 있다.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는 일본에서 수입되어 국산화하여 별도의 유지보수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표 1 장력조정장치 종류

Table 1 Type of Tensioning Device

Type

Shape

Wheel

../../Resources/kiee/KIEE.2019.68.8.1025/table1_1.png

Pulley

../../Resources/kiee/KIEE.2019.68.8.1025/table1_2.png

Spring

../../Resources/kiee/KIEE.2019.68.8.1025/table1_3.png

전차선로는 신규 고속철도가 증가하면서 산악, 터널, 교량, 개활지 등 다양한 환경에서 건설되며 전차선로의 유지보수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발된 바 있다[6,7]. 이 시스템은 차량 상부에 설치되며 운행하면서 전차선과 팬터그래프간의 집전성능, 전차선의 설치상태를 판단하므로 선로변에 고정된 장력조정장치의 모니터링은 어려움이 있다[8]. 장력조정장치의 경우 주기적인 데이터 모니터링을 위해 선로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합하며 장력조정장치의 개수가 증가하면서 데이터의 통합관리가 필요하다. 실시간 데이터 통합관리를 위해 계측센서를 이용한 유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 사물인터넷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9,10] 철도분야의 경우 LTE-R을 활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데이터 통합 관리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11]. 또한 육안으로 점검하는 인력 위주의 유지보수만으로 어려움이 있으므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무선통신 기반의 장력조정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인력 위주의 유지보수는 제한된 시간에 장력조정장치의 건전성을 평가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온도변화에 따른 장력조정장치의 거동을 정확하게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해외의 경우 유지보수의 효율화를 위해 활차식 장력조정장치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유선 및 상시전원 방식으로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된 바 있다[10]. 그러나 국내의 경우 역간 전차선로에서 전원설비를 추가하여야 하고 유선통신 구축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장력조정장치를 포함한 전철설비의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지능적인 유지보수를 위해 사물인터넷, 머신러닝 등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11,12]. 국내의 경우 신규 고속철도 계통의 따른 전차선로의 유지보수범위가 확대되면서 과학적인 유지보수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의 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사물인터넷의 LoRa (Long Range) 통신은 기존 모니터링 시스템의 LTE (Long Tem Evolution) 통신과 달리 동작하는 기기들의 출력이 10 ~ 25 mW 이상 초과하지 않으므로 전체 데이터 소비가 감소하고 배터리 수명이 평균 9년에서 10년까지 향상된다[8,13]. 또한 네트워크 범위는 약 15 km에서 약 18 km까지 이므로 저전력 장거리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다. 제안한 전기철도 전차선로의 장력조정장치 상태 모니터링 장치는 최소 소비전력의 초음파 변위센서,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별도의 전원설비 없이 다양한 장력조정장치의 설치환경조건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통신 구성 방안을 검토하여 철도환경에 적합한지를 확인하였다.

2. 본 론

2.1 온도변화에 따른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의 변화

전기철도에서 가공 전차선로는 차량의 팬터그래프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도전율이 높은 순동 또는 동합금계가 사용된다. 각 전선은 온도변화에 따라 열팽창과 수축으로 인해 변화하며 전선의 신축량은 식(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14].

(1)
전선신축량 $= d_{cw}\times L\times\triangle t(m)$

여기서, $$L : 흐름방지점 또는 고정점에서 장력조정장치의 전선 길이$$

$$d : 전선의 열팽창계수, 동(Cu)의 경우 d = 0.000017 m/℃$$

$$∆t : 설치기준온도로부터 설계최대온도까지의 차이(℃)$$

그리고, 전차선 길이변화의 계산식은 식(2)와 같이 나낼 수 있다[15].

(2)
$l =\dfrac{S}{2}\times\dfrac{t_{0}-t}{30}\times\dfrac{L}{L_{0}}=\dfrac{S}{2}\times\dfrac{10-t}{30}\times\dfrac{L}{L_{0}}$

여기서, $$l : 스트로크 길이 [mm] $$

$$S : 동작범위 $$

$$t : 표준온도 (℃) $$

$$t : 측정온도(℃) $$

$$L : 장력거리 [m] $$

$$L : 최대 장력거리 [m]$$

스프링식 장력 조정장치는 식(2)와 같이 기준온도에 따라 최대 및 최소 장력을 유지하여 이에 따라 전차선을 강철재 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신축을 피스톤 운동과 연동시켜 전차선의 장력이 조정된다[15]. 온도변화에 따른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의 동작은 그림 2와 같이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는 표준장력이 2,400 kgf이며 470 m의 최대장력거리, ± 370 mm의 동작범위를 갖는다[16].

그림 2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의 원리

Fig. 2 Operation of Spring Tensioning Device

../../Resources/kiee/KIEE.2019.68.8.1025/fig2.png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의 상기와 같은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눈금자를 설치하며, 코레일 전철전력설비유지보수세칙에 따라 고속철도의 경우 1년에 1회의 점검을 수행하고 있다[15]. 이때 점검은 눈금자와 온도와의 위치를 유지보수자가 육안으로 점검한다.

2.2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2.2.1 시스템 구성

개발한 장력조정장치에 대한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은 그림 3과 같다. 시스템은 네트워크와 센서부로 구분되며, 네트워크는 노드, 게이트웨이 또는 LoRa 기지국, 서버, 클라이언트로 구성할 수 있다. 센서부는 온도에 따른 장력 변화를 측정하여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노드는 LoRa 전용 무선단말장치이며 계측데이터를 게이트웨이 또는 LoRa 기지국에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한다. 또한 노드의 개수를 증가시켜 여러 곳의 데이터를 동시에 보낼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상업용 LTE 통신을 통해 직접 운영할 수 있는 자체망을 구축할 수 있다. LoRa 기지국은 통신공급사에서 운영되는 상용망을 사용하여 LoRa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서버는 계측데이터를 저장, 분석 등 관리하면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한다. 클라이언트는 인터넷을 통해 계측데이터를 실시간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그림 3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

Fig. 3 Configuration of Condition Monitoring System

../../Resources/kiee/KIEE.2019.68.8.1025/fig3.png

2.2.2 네트워크 구성

사물인터넷에 활용될 수 있는 통신 계층은 물리계층과 응용계층으로 2가지로 구분된다. 물리계층은 CDMA, LTE, LTE-R, LoRa-WAN 등 원거리용과 LoRa, WiFi, Zigbee, 블루투스, 이더넷 등의 근거리용이 있다. 응용계층은 MQTT, COAP, HTTP, 웹소켓, Custom 등이 있다. 이 중 LoRa는 사물인터넷 전용 네트워크 기술로 저전력 장거리 통신기술이며 14 km의 통신영역과 1 GHz 이하의 대역폭, 저전력 등의 장점이 있다[13].

LoRa 통신을 적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방법은 자체와 상용 네트워크로 구분되며 각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장력 상태 모니터링에 적합한 통신환경을 고려하여 현장에 효율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표 2는 자체와 상용 네트워크의 비교를 나타내었으며 각 네트워크는 LoRa 전용 기지국, 게이트웨이를 통해 구성된다. 상용 네트워크의 경우 통신 거리, 유지보수의 장점이 있으나 국내의 상용 네트워크에 적용의 한계가 있으며 통신공급사에 적합한 센서 디바이스 개발, 및 제작에 대한 시험과 인증이 필요하며 통신사의 플랫폼을 반드시 이용해야 하는 제약사항과 장기적 기술지원, 통신망에 대한 사업축소, 상용 네트워크의 다변화 등의 변수가 존재한다. 자체 네트워크의 경우 노드의 개수가 많고 게이트웨이 설치 위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역구내, 터널 입출구, 교량 입출구 등 설비가 있다면 가장 유리하며 상용망의 경우 노드의 수량이 적고 주변에 전원을 사용할 수 없는 역 사이의 일반개소의 설치 장점이 있다. 자체 네트워크는 상용 네트워크보다 전송 거리와 네트워크 관리에 대한 제약이 있지만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상용 네트워크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감소하며 국내외 구축 환경과 조건에 따라 확장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력조정장치의 설치 거리를 고려하여 약 2 km 반경을 기준으로 운영 가능한 자체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표 2 상용 및 자체 네트워크 비교

Table 2 Comparison of Commercial and Private network

비교

상용 네트워크

자체 네트워크

비용

유료

무료(노드-게이트웨이간)

유료(게이트웨이-서버간)

전송거리

제한없음(통신공급사 구축망)

500m~1Km

전송용량

50~100byte/회

50~100byte/회

망관리

통신공급사 관리

자체관리

보안

통신공급사 보안시스템

자체보안구축

비고

-상용망 운영사의 전국적으로 구축된 상용망을 사용하여 회선관리가 불필요

-게이트웨이 필요

-Gateway +유무선상용망

-디바이스의 통신비용 미발생

2.2.2 센서부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의 거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스프링의 변위량을 검측할 수 있도록 센서부를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 상황을 고려하여 비접촉 방식의 초음파방식의 변위센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초음파 변위센서의 측정범위는 장력조정장치의 거동을 고려하여 +120 mm에서 +1,000 mm까지 검측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동작 온도는 –25℃에서 +70℃이다.

센서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측정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저전력 타입의 센서를 중점으로 측정용 무선통신 기능을 갖춘 DAQ Device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고려하여 직렬통신을 지원하는 RS-232 출력을 가진 초음파센서로 선정하였다. 초음파센서는 동일한 사양과 외부 케이스의 구조 차이를 가진 센서를 선정하여 공장성능시험을 통해 설치 환경조건의 따른 효율적인 센서를 선정하였다.

표 3은 공장성능시험의 따른 센서 정보이며 300 mm부터 5000 mm까지의 측정범위, -40℃부터 65℃까지의 동작온도, IP67의 방진방수등급, RS-232의 출력 인터페이스의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표 3 센서 정보

Table 3 Specification of Sensor

측정방식

측정범위

보호등급

동작 온도

출력 인터페이스

초음파

변위

300~5000[mm]

IP67

-40℃~+65℃

RS-232

그림 4 초음파 및 와이어 변위센서 설치 사진

Fig. 4 Installation of Ultrasonic and Wire Displacement Sensor

../../Resources/kiee/KIEE.2019.68.8.1025/fig4.png

초음파 변위센서는 그림 4와 같이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에 설치하였으며 초음파 변위 값의 검증을 위해 별도의 와이어 센서를 추가 설치하였다. 초음파센서의 측정 위치별 간섭 시험을 통해 설치 위치를 선정하였으며 초음파 변위 값의 검증을 위해 그림 4와 같이 별도의 와이어 센서를 설치하였다. 이때 와이어 변위센서는 최대 1,200 mm까지 검측되며 –20℃에서 +70℃까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와이어 변위센서로부터 초음파 변위센서의 간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그림 5와 같이 시험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두 센서의 설치 위치의 원점이 달라서 변위의 절대값에 차이가 있었으나 신호, 눈금자 등으로부터 간섭이 일어나지 않았다.

그림 5 초음파센서 및 와이어센서의 간섭 여부 확인 결과

Fig. 5 Result of Interface between Ultrasonic and Wire Displacement Sensor

../../Resources/kiee/KIEE.2019.68.8.1025/fig5.png

2.2.3 네트워크

네트워크는 장력조정장치의 거동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받는 노드와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게이트웨이, 서버로 구성되며 그림 6과 같이 노드와 태양광 배터리를 나타내었다. 노드는 저전력 운영을 위해 RTC (Real Time Clock)를 적용하여 센서를 작동시키고 무선으로 계측데이터를 송신하며 이외 시간은 절전모드로 작동되도록 구성하였다. 전원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여 6V/5W 기준의 패널을 사용하였으며 일조가 4시간 이하인 경우는 5W 이상의 패널사이즈로 변경하도록 구성하였다. 통신거리는 약 120 m의 현장설치 장력거리를 고려한 6 dB의 안테나를 사용하였으며 무선AP 연결을 통해 통신거리를 연장하도록 구성하였다. 외부 케이스는 PCB와 케이블 조립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통기성을 위해 커넥터 적용과 PCB 우레탄 코팅을 통해 장치 내부의 결로에 따른 하드웨어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온도 측정을 위한 센서는 노드 케이스에 설치하였으며 –50℃에서 +180℃까지 측정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운영보드와 LTE 통신모뎀으로 구성되며 운영보드는 무선통신장비의 설정 조건에 따라 적용되며 1시간당 1회씩 RoLa 통신을 통해 계측데이터를 수신한다. 통신모뎀은 LTE B/C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서버 접속 후 약 2분 동안 1시간당 1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하였다.

서버는 PC (Personal Computer)로 구성하여 Labview 기반의 프로그램을 통해 온도의 따른 장력거동변화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림 6 태양광 배터리 및 노드 사진

Fig. 6 Picture of Solar Cell and Node

../../Resources/kiee/KIEE.2019.68.8.1025/fig6.png

2.3 현장설치 및 시험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의 현장적용성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철도연 테스트베드에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그림 7과 같이 구축하였으며 테스트베드의 장력거리를 고려하여 게이트웨이를 사용한 자체망을 적용하였다. 테스트베드의 장력거리는 약 100 m의 개활지와 약 20 m의 터널구간으로 구성된다. 초음파 변위센서는 장치의 하단부분과 눈금자 사이에 설치되어 1시간당 1회 10개의 데이터를 측정하여 노드에게 전송한다. 노드는 태양광 배터리를 고려하여 전주에 설치하여 10개의 데이터 중 중앙값만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게이트웨이는 노드로부터 현장환경을 고려하여 약 200 m의 거리를 두어 설치하였으며 노드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서버로 보내준다. 초음파 데이터의 검증을 위해 별도의 장력조정장치 측면에 와이어 변위센서를 설치하였다.

그림 7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현장 구축 사진

Fig. 7 Installation of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t the Test-Bed

../../Resources/kiee/KIEE.2019.68.8.1025/fig7.png

장력거동변화의 시험결과는 그림 8과 같이 초음파 변위로 나타내었으며 온도변화의 따른 장력이 변화하였다. 초음파 변위 데이터는 약 20일간 469개의 데이터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위치에서 장력조정장치의 스프링 인출 방향에 설치된 반사판까지의 거리변위를 나타냈다. 시험결과는 최고온도 +13℃에서 약 -3 mm 이며 최저온도 10℃에서 약 +30 mm로 나타냈다. 총 17개의 데이터가 계측되지 않았으며 비접촉식으로 거리에 대한 정밀도는 높으나 외부환경인 눈, 비, 습도 등 환경의 소음으로부터 일부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17].

그림 8 초음파 변위 모니터링 및 전차선 인출 길이 결과

Fig. 8 Result of Monitoring for Ultrasonic Sensor and Calculation in Length of Contact Wire

../../Resources/kiee/KIEE.2019.68.8.1025/fig8.png

초음파 변위 데이터의 유지보수 활용을 위해 식(2)를 이용한 온도에 따른 전차선 인출 길이를 그림 8과 같이 나타냈다. 전차선 인출 길이는 온도에 따른 전차선의 길이를 나타내며 유지보수를 위한 참고자료로 사용된다. 전차선 길이는 1℃당 약 1.5 mm의 변화를 나타냈으며 –10℃에서 +31.5 mm, +13℃에서 –4.7 mm로 나타났다. 초음파 변위의 경우 전차선의 인출 길이 보다 +5℃에서 최대 +5 mm를 차이를 나타냈다. 전차선은 직사광선에 따라 길이가 변화하므로 시스템의 외기온도와 차이가 발생하여 변위 값의 오차가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사계절 초음파 변위를 분석하여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한 유지보수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3.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인 유지보수 작업을 위하여 사물인터넷 기반의 장력조정장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시스템의 구성은 센서부와 네트워크부로 나눌 수 있으며, 센서는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위해 사물인터넷 기반 LoRa 통신을 활용하였다. 센서는 전원설비가 없는 현장환경을 고려한 태양광 배터리의 용량과 충전방식을 선정하였으며 변위보정시험을 통해 선정된 센서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공장성능시험을 통해 저전력, 절전모드를 고려한 초음파센서를 채택하여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위치를 선정하였다. 센서 통신은 자체망과 상용망을 비교하였으며 경제성, 설치환경을 고려하여 자체망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온도변화에 따른 장력조정장치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시험설비를 구축하였으며, 선정된 센서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온도에 따른 전차선 인출길이를 확인하기 위해 스프링 장력조정장치의 눈금자와 초음파 변위 값을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인출길이의 변화는 온도에 따라 정상동작 하였으며 온도별 변화량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차이는 직사광선을 받는 전차선과 계측되는 대기온도의 차이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일조량이 적고 전원설비 없는 환경에서 데이터를 측정하고 있으며 상시 측정할 예정이다. 따라서 개발한 시스템은 계절의 따른 배터리 성능과 상관없이 현장적용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철도무선통신망인 LTE-R 기반의 철도안전관리시스템과 통합하여 시설물 유지보수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되며 사계절 장력거동변화 데이터를 수집하여 유지보수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요사업의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K. Lee, 2013, A Experimental Study on Train Speed and Wave Propagation Speed of Contact Wire according to the Speed-up,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2. no.12, No. , pp. 1820-1823DOI
2 
BS EN 50149:2012, Railway applications. Fixed installations. Electric traction. Copper and copper alloy grooved contact wires.Google Search
3 
Y. Park, S. Y, Kwon, H. S. Jung, Y. H. Cho, H. J, Park, K. W. Lee, 2005, Analysis of Temperature on Overhead Contact Line Using De-icing System, Fall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88-93Google Search
4 
T. S. Choi, K. G. Choi, 2017, Research on Configuration Opti- mization of Overlap Section in Overhead Catenary System for High-speed Railway,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6, No. 6, pp. 975-980DOI
5 
K. Lee, Y. H. Cho, S. Y. Kwon, Y. Park, 2017, A Suggestion for Improvement of Tension Balancer in Trolly Wire System,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6, No. 2, pp. 453-458Google Search
6 
K. M. Na, Y. Park, Y. H. Cho, S. Y. Kwon, K. Lee, W. You, 2017, Analysis of Current Collect Performance Depending on Installation Condition of Overhead Contact Line in Suseo High Speed Line,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6, No. 4, pp. 727-732DOI
7 
Y. Park, H. S. Jung, I. K. Yun, W. Kim, 2014, On the Im- plementation of an Advanced Judgement Algorithm for Contact Loss of Catenary System,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3, No. 6, pp. 850-854DOI
8 
Y. H. Cho, Y. Park, H. J. Jung, 2015, Implementation Techni- que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High-Speed Rail Contact Wire with High Tension,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4, No. 8, pp. 1256-1261DOI
9 
S. T. Heo, S. H Choi, 2015, A Study on the Applications of Internet of Things (IoT) in Urban Railways, Fall Con- 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1333Google Search
10 
Sicat CMS, Siemens, siemens.com/rail-electrification.Google Search
11 
Y. J. Park, S. A. Kim, 2017, A Study on Optimization of Communication Interface for Real-time Integrated Railway Safe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Urban Railways, Vol. 5, No. 4, pp. 993-1002Google Search
12 
C. J. Cho, Y. Park, 2016, New monitoring technologies for overhead contact line at 400 km/h, Engineering, Vol. 2, No. 3, pp. 360-365DOI
13 
LoRa Device Developer Guide, 2016, Introduction to LoRaWANGoogle Search
14 
S. H. Chang, K. Lee, S. Y. Kwon, J. W. Park, 2011, Technique of Tension Length Calculation for 350km/h High Speed Catenary System, Spring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932-938Google Search
15 
Y. Y. Han, Y. G. Kwang, 2005, Field Test Results of a Spring Type Tensioning Device for Korea Railroad, Fall Con- 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135-140Google Search
16 
2006, KRS PW 0012—08 (R), Spring Type Automatic Tensioning DeviceGoogle Search
17 
Y. C. Lim, E. S. Kim, T. G. Kim, C. S. Park, Y. M. Kim, 1993, Ultrasonic Ranging System Insensitive to Atmospheric Condition,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 No. 1, pp. 49-56Google Search

저자소개

이기원(Kiwon Lee)
../../Resources/kiee/KIEE.2019.68.8.1025/au1.png

1997년 RIT(미) 기계공학(공학석사) 졸업

009년 성균관대 기계공학 졸업(공학박사)

현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나경민(Kyung-Min Na)
../../Resources/kiee/KIEE.2019.68.8.1025/au2.png

2015년 고려대 전자 및 정보공학부 졸업(학사)

2018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철도시스템공학 졸업(공학석사),

현재 동대학원 교통시스템공학 박사과정

박 영(Young Park)
../../Resources/kiee/KIEE.2019.68.8.1025/au3.png

2000년 성균관대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부 졸업(공학석사),

2004년 동대학원 동학과 졸업(공학박사)

현재 한밭대학교 전기시스템공학 교수

조호령(Ho-Ryung Cho)
../../Resources/kiee/KIEE.2019.68.8.1025/au4.png

1993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설계과 졸업(학사)

현재 ㈜디투엔지니어링 기술연구소 상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