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외부 방전 (부싱 반도전 페인트 박리 방전)s
그림 5와 같이 부싱 하단의 반도전 페인트가 박리된 개폐기에 대해 부분방전 측정을 수행하였다. 각 부싱별로 29 ~ 36kV 정도의 유사한 PDIV를 나타내었으며,
방전량이 매우 작으며 반도전 페인트가 박리된 곳에서 소음이 발생하였다. 좀 더 명확하게 주파수별 부분방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PDIV의 1.2배
전압을 인가하였는데, 소음이 더 크게 발생하였으며 코로나 방전의 빛이 발생하였다. 소음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측정된 방전량이 작았고, HFCT에는
그림 6과 같이 주로 저주파 대역에서 측정되었으며, 안테나 센서로 측정결과 그림 7과 같이 640MHz ~ 770MHz 대역(직사가형 박스)에서 SN비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역별 PRPD 측정 결과 역시 이 대역에서 가장 명확하게
측정되었다. PRPD 패턴은 코로나 방전이나 플로팅 방전과 유사한 면이 있지만 복잡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그림. 4. 모의결함 및 개폐기 내 설치 양상
Fig. 4. Defect models and installation in switchgear
그림. 5. 부싱 반도전 페인트 박리 모습
Fig. 5. Delamination of semi-conductive paint in bushing
그림. 6. 부싱 반도전 박리 방전 HFCT 주파수 스펙트럼 및 대역별 PRPD 결과
Fig. 6. Frequency spectrum and PRPD results in semi-conductive paint de-laminated
bushing using HFCT sensor
그림. 7. 부싱 반도전 박리 방전 안테나 센서 주파수 스펙트럼 및 대역별 PRPD 결과
Fig. 7. Frequency spectrum and PRPD results in semi-conductive paint de-laminated
bushing using Antenna sensor
3.2. 내부 부분방전
3.2.1. SF6 가스 누기로 인한 트립된 개폐기
수거된 개폐기 중 외관상 결함이 없이 SF6 가스 누기로 인해 내부 절연성능이 떨어져 34 ~ 40kV에서 트립 되는 경우, 부분방전과 트립(고장)과의
상관성 조사를 위해 부분방전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부싱별로 PDIV는 20 ~ 28kV로 매우 낮았으며 방전량이 매우 크고 개폐기 내부에서 소음이
발생하였다. PDIV가 낮을수록 트립 발생전압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200MHz 이하 대역에서 SN비가 가장 높으며 대역별 PRPD는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PRPD 패턴은 표면방전의 형태로 보이며 이외에 여러 방전의 형태가 혼합된 것으로 보인다. 그림 8 및 그림 9에 누기로 추정되는 개폐기에서 HFCT와 안테나 센서로 측정한 주파수 특성과 대역별 PRPD 패턴을 나타내었다.
그림. 8. 가스 누기 결함의 경우 HFCT 센서 주파수 스펙트럼 및 대역별 PRPD 결과
Fig. 8. HFCT sensor frequency spectrum and PRPD results for gas leak defects
그림. 9. 가스 누기 결함의 경우 안테나 센서 주파수 스펙트럼 및 대역별 PRPD 결과
Fig. 9. Antenna sensor frequency spectrum and PRPD results for gas leak defects
3.2.2. 수분 침투로 인한 부싱 파손
수분 침투로 인한 부싱의 결빙 균열 문제로 수거된 것으로 추정되는 개폐기를 선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개폐기는 그림 10과 같이 리드 선에서 물이 배어 나오고 몰드콘의 접합부가 들뜬 상태로서 부싱하단이 심하게 열화된 것으로, 고장으로 판정하여 수거된 것으로 보인다.
그림. 10. 부싱 몰드콘의 수분침투 흔적
Fig. 10. Trace of moisture penetration in bushing mold cone
측정 결과, 부싱별로 26 ~ 32kV 정도의 유사한 PDIV를 나타내었으며, 좀 더 명확하게 주파수별 부분방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2배 정도
가압하여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하였다. 그림 11과 같이 부싱별로 280MHz ~ 340MHz 대역에서 SN비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역별 PRPD 측정 결과 역시 이 주파수 대역에서 가장 명확하게
측정되었다. PRPD는 표면방전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일부 부싱의 경우 부싱하단이 심하게 열화되어 코로나나 플로팅 방전과 같은 다른 방전이 섞여
나오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HFCT와 안테나 센서에서는 다소 다른 특성이 나타났다. 그림 12와 같이 HFCT에서는 50MHz 이하의 저주파수 대역에서만 측정되었으나, 안테나 센서에서는 수 백 MHz 대역에서도 측정되고 있다. 이것은 부분방전
신호의 전파경로 차이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그림. 11. 수분침투 결빙파손 부분방전의 안테나 센서 측정 결과
Fig. 11. Antenna Sensor frequency spectrum and PRPD results for moisture penetrated
bushing mold cone
그림. 12. 수분침투 결빙파손 부분방전의 HFCT 센서 측정 결과
Fig. 12. HFCT Sensor frequency spectrum and PRPD results for moisture penetrated bushing
mold cone
3.2.3. 내부방전 모의결함 삽입 측정결과
(1) 개폐기 내 표면방전 모델 결함 측정 결과
개폐기 내에서 발생하는 방전신호는 SF6 절연 및 외부 철제함에 의해 방전의 주파수가 감쇄되어 측정된다. 따라서 그림 4.(a)의 표면방전 모델에 대해 먼저 대기 중에서 모델결함 자체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을 측정한 후, 표면방전 모델을 개폐기 내부에 삽입하고 SF6 가스 1.2bar
압력에서 전압을 인가하여 부분방전 주파수대역을 측정하였다. 절연성능이 뛰어난 SF6 가스 영향으로 PDIV가 높아지고 방전량이 줄어들어 그림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요 측정대역인 150MHz ~ 250MHz을 제외하고 대체로 감쇠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림 14에는 센서별 주파수 측정 내역을 나타냈는데, HFCT에서는 300MHz 이상 대역에서 감쇠되었지만 안테나 센서에서는 수 백 MHz 대역에서도 측정되고
있다. 이것은 접지선으로의 신호 전달 및 방사 전자파와 같이 부분방전 신호의 전파경로 차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각 센서별 대표적인 주요 주파수
대역에서의 PRPD 패턴을 그림 15와 그림 16에 나타내었다. 두 센서 모두 부극성이 다소 큰 표면방전 패턴을 보이고 있다.
그림. 13. 표면방전 모델 결함 위치별 주파수 특성 (안테나 센서)
Fig. 13.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Surface Discharge Model according to Defect
Location (Antenna Sensor)
(2) 개폐기 내 플로팅 방전 모델 결함 측정 결과
그림 4(b)의 플로팅 방전 역시 대기 중에서 모델 자체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을 먼저 측정한 후, 플로팅 방전 모델을 개폐기 내부에 삽입하고 SF6 가스 1.2bar
압력에서 전압을 인가하여 부분방전 주파수대역을 측정하였다. 그림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팅 방전은 전 대역에서 크게 나타나며 개폐기 내부에 삽입했을 때도 방전의 크기가 커서 잘 측정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센서
별로 측정하였을 때 HFCT 센서의 부분방전 주파수대역은 200MHz ~ 350MHz에서 SN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인 450MHz
~ 520MHz에서도 피크를 보인다. 이 부분은 파란색 박스로 명시하였다. 안테나 센서의 경우에는 전 대역에서 크게 발생되고 있어서 별도의 피크라고
하긴 어려우며, 플로팅 방전의 고유한 특성으로 파악된다. 그림 18 및 그림 19에 각 센서에서 측정된 주요 주파수 대역의 PRPD를 나타내었으며, 전형적인 플로팅 방전의 패턴을 보이고 있다.
그림. 14. 표면방전 모델 SF6 1.2bar 센서별 주파수 특성
Fig. 14.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Surface Discharge Model installed inside switchgear
in 1.2 bar SF6 gas by Sensor
그림. 15. 표면방전 모델 SF6 1.2bar HFCT 센서 주파수별 PRPD (개폐기2)
Fig. 15. PRPD of Surface discharge model inside switchgear (1.2 bar SF6, HFCT, switchgear
2)
그림. 16. 표면방전 모델 SF6 1.2bar 안테나 센서 주파수별 PRPD (개폐기2)
Fig. 16. PRPD of Surface discharge model inside switchgear (1.2 bar SF6, Antenna,
switchgear 2)
그림. 17. 플로팅방전 모델 결함 위치별 주파수 특성(안테나 센서)
Fig. 17.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Floating Discharge Model by Defect Location(Antenna
Sensor)
그림. 18. 플로팅 방전 모델 SF6 1.2bar 센서별 주파수 특성
Fig. 18.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Floating Discharge Model installed inside switchgear
in 1.2 bar SF6 gas by Sensor
그림. 19. 플로팅 방전 모델 SF6 1.2bar HFPD 센서 주파수별 PRPD (개폐기1)
Fig. 19. PRPD of Floating discharge model inside switchgear (1.2 bar SF6, HFCT, switchgear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