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SiR/BN Composites. Trackinng Resistance, Thermal Conductivity, Thermal Stability, Surface Contact Angle

1. 서 론

실리콘 고무 (Silicone Rubber: SiR)는 기존에 사용된 세리믹과 유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제작용이성 및 내충격성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전력설비의 외부절연을 위한 재료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다양한 환경적 스트레스에 노출되어야 하는 외부 절연물의 경우에는 외부와 접촉되는 표면의 절연성능유지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이와 관련된 주요 성능의 예로는 표면 절연 내력과 내트래킹성 (Tracking Resistance)이 있으며, 이러한 성능은 습도, 온도 및 자외선 노출와 같은 다양한 스트레스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

외부 절연물의 주요 열화 발생 양상으로 알려진 트래킹 (Tracking) 현상은 열에너지에 의해 생성된 건조대에 탄화된 전도 경로가 생성되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 기존의 AC 고전압 설비뿐만 아니라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HVDC 전력설비의 설계 시에도 안정적인 고전압설비의 운영을 위하여 고려해야한다 (3). 트래킹의 발생 및 심각도 (Severity)에는 소수성 (Surface Hydrophobicity), 열 안정성 (Thermal Stability) 및 열전도도 (Thermal Conductivity)와 같은 재료의 다양한 특성이 관여된다 (4).

특별히, 열전도도는 발생된 열이 주변으로의 확산속도에 영향을 끼치는 물성으로 열전도도가 뛰어날수록 표면의 열 축적 (Heat Accumulation)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내트래킹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5). 절연물에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에폭시와 실리콘 고무의 경우에는 뛰어난 절연성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열전도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6). 이와 같은 고분자 재료의 열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재료의 열적 특성 (열전도도, 열 안정성)이 트래킹 발생에 영향을 끼침을 고려할 때, 전력설비의 외부 절연을 위한 재료의 경우에는 열전도도 향상 및 열 안정성의 향상을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절연물의 열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필러가 첨가된 복합체의 성능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6). 대표적으로 사용된 필러의 종류로는 실리카 (SiO2) (7), 알루미나 (Al2O3) (8) 및 ATH (Aluminium Tri-hydroxie) (7-8)가 있다. 상대적으로 높은 열전도도를 지니는 실리카와 알루미나를 다량 첨가하여 복합체의 열전도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ATH의 경우에는 열전도도 상승뿐만 아니라 산화알루미늄 막을 형성하여 표면의 탄화를 억제한다 (9).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열전도도를 가지는 BN (Boron Nitride)의 첨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예를 들어, 에폭시/BN 복합체는 다른 필러를 사용한 에폭시 복합체에 비해 같은 함량에서 높은 열전도도를 가짐이 확인되었다 (10). BN의 첨가를 통하여 고전압 전력기기에 사용되는 전기재료의 다양한 절연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부 절연물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절연재료인 실리콘 고무에 높은 열전도도를 가지는 BN을 혼합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에 사용되던 고함량의 필러를 저함량의 BN으로 대체하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 크기의 BN 입자가 첨가된 실리콘 고무 복합체의 내트래킹 성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BN 함량비를 갖는 SiR/BN 복합체를 제작하여 IEC 60587 시험 규격에 따라 내트래킹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시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복합체의 BN 함량비에 따라 내트래킹 성능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 재료의 주요 성능 (열전도도, 열 안정성 및 접촉각)이 어떻게 변동되는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2. 실험 구성

2.1 시험 시편

시편은 폴리머 애자의 주로 사용되는 실리콘 고무(KE-1402, Shin-Etsu Chemical Co., Ltd.)를 모체로 사용하였고, 복합체에 첨가되는 필러는 BN (입자크기: 40um, 종류: h-BN, ㈜어벤션)를 고려하였다. 모체와 필러의 조성비는 표 1과 같이 설정하였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BN의 함량비는 0, 3, 5, 10, 20 [wt%]를 고려하였다.

표 1 시편의 조성비

Table 1 Information of samples

Silicone

rubber

(phr)

hardener

(phr)

solvent

(phr)

h-BN

40um

(phr)

weight ratio

(wt%)

Pure

100

10

20

0

0

BN3

100

10

20

4.02

3

BN5

100

10

20

6.84

5

BN10

100

10

20

14.4

10

BN20

100

10

20

32.5

20

시편의 제작과정은 첫 번째로 표 1의 조성비에 맞게 배합 후 혼합액을 교반기에서 2000 [RPM]의 속도로 10분간 분산시킨다. 두 번째로 기압이 –0.1 [Mpa]이하에서 25분간 발포를 진행하여, 혼합액 내부의 기체를 제거해 시편 내부의 보이드 생성을 방지한다. 세 번째로 혼합액을 주형틀에 담고 상온에서 24시간동안 경화를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경화가 완료된 시편을 주형틀에서 제거하고, 시편을 실험 규격에 맞도록 제작하였다.

그림 1 시편 제조과정 블럭도

Fig. 1 A scheme of making specimen

../../Resources/kiee/KIEE.2019.68.11.1389/fig1.png

2.2 시험 방법

내트래킹 실험은 IEC 60587의 경사평면법 규격에 맞게 그림 2과 같이 구성하였다. 전압인가는 용량 0.5 [kVA], 최대전압 60 [kV], 주파수 60 [Hz]의 AC 내전압기를 통해 4 [kV]를 인가하였다. 오손액은 절연물 표면의 수분과 먼지 등의 오손을 모의하여 트랙의 형성을 가속시키기 위한 용도로 제작되었다. 오손액의 제작은 규격에 있는 방법에 따라, 물과 NH4Cl 0.1 [wt%], TritonX-100 0.02 [wt%]를 혼합하여 오손액의 저항률이 3.95 [Ω·m]가 되도록 하였다. 트래킹 시험시에 사용되는 오손액은 동일한 유량으로 지속적으로 시편에 인가되어 흐르도록 하였으며, IEC 60587 규격에 따라 0.60 [mL/min]으로 설정하였다.

그림 2 내트래킹 실험의 개략도

Fig. 2 A scheme of tracking resistivity test

../../Resources/kiee/KIEE.2019.68.11.1389/fig2.png

내트래킹 시험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우선, 시편을 그림 2와 같이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시편의 상부전극에 오손액을 흐르게 하여, 시편표면에 전도경로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후 전압을 인가하여 시편의 표면이 열화되도록 하고 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표면에 생성되는 트랙이 기준점까지 형성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한편, 복합체의 열 안정성과 접촉각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우선, 열 안전성은 SDT 2960 (TA instruments)를 사용하여 열 중량분석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를 실시하였다. 이때 온도 범위는 25 [℃]부터 800 [℃]까지 상승하였으며, 온도 상승속도는 10 [℃/s]로 설정하였다. 또한, 시편의 접촉각 측정은 PHOENIX-300 TOUCH (SEO)를 사용하여 측정을 진행하였다. 측정 전 시편의 오염을 생각하여, 아세톤으로 표면세척 후 측정을 진행하였다.

3. 열전도도 예측 시뮬레이션 모델

3.1 열전도도 예측 모델

열전도도는 매질을 통해 열에너지가 전달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며, 열의 흐름은 열전도도를 이용하여 식(1)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1).

(1)
$Q'= -\kappa A\dfrac{\triangle T}{L}$

여기서, $Q'$는 Heat flow [W], $k$는 열전도도 [W/m·K], $A$는 단면적 [m2]. $L$은 시편의 두께 [m], $\triangle T$는 온도차 [K]이다. 금속과 달리 폴리머에서의 열전도 현상은 포논 (Phonon)의 영향을 받으며, 폴리머의 열전도도는 식(2)와 같이 표현된다 (11).

(2)
$\kappa =\dfrac{C_{p}vl}{3}$

여기서, $k$는 식(1)과 동일하며, $C_{p}$는 단위 부피당 비열용량 [J/K·m3], $v$는 포논의 속도 [m/s], $l$은 포논의 평균행정거리 [m]이다. 대부분의 폴리머의 경우에는 산란 등으로 인하여 평균행정거리가 극단적으로 작기 때문에 0.1~0.5 [W/m·k]의 낮은 열전도도 값을 지니는 것이 일반적이다 (6). 열전도도의 향상을 위하여 폴리머 모체에 열전도 성능이 높은 필러를 첨가한 복합체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으며, 복합체의 열전도도 예측을 위한 다양한 모델이 제시되었다.

복합체의 열전도도 예측을 위하여 제시된 모델의 대표적인 예로는 Maxwell 모델과 Hasselman–Johnson 모델, Lewis–Nielson 등이 있다. Maxwell 모델의 경우에는 복합체의 형상을 모체에 소량의 구형 필러들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로 가정한 모델이며, 복합체의 열전도도는 식(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12).

(3)
$\dfrac{k_{eff}}{k_{m}}=1+\dfrac{3\phi}{\left(\dfrac{k_{1}+2k_{m}}{k_{1}-k_{m}}\right)-\phi}$

여기서, $k_{eff}$는 복합체의 열전도도, $k_{m}$은 모체의 열전도도, $k_{1}$은 필러의 열전도도, $\phi$는 필러의 부피비이이다. 해당 모델의 경우에는 필러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낮은 복합체의 열전도도 예측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Hasselman-Johnson 모델의 경우에는 Maxwell 모델과는 달리 필러의 부피비 뿐만 아니라 필러의 사이즈와 모양, 계면열저항 등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열전도도 예측이 가능하며, 예측 모델은 식(4)와 같다.

(4)
$k_{eff}=\dfrac{k_{1}}{\left[\left(1-\dfrac{k_{1}}{k_{m}}+\dfrac{2k_{1}}{ah_{c}}\right)\phi +\dfrac{k_{1}}{k_{m}}\right]}$

여기서, a는 필러의 반지름이다. 상대적으로 높은 필러 함량비를 지니는 복합체의 경우에는 Lewis–Nielson 모델을 활용한 예측이 보편적으로 고려된다. Hasselman-Johnson 모델과 유사하게 필러의 부피비 뿐만 아니라 필러의 상세 요소 (크기, 모양, 충전형태 등)와 다량 필러의 분산으로 인한 퍼콜레이션(percolation)현상까지 고려하였다. Lewis-Nielson의 복합체 열전도도 모델은 식(5)와 같으며, 식(5)의 연산을 위하여 필요로 하는 계수 B와 Ψ는 식(6)식(7)과 같이 구할 수 있다.

(5)
$k_{eff}=\dfrac{1+AB\phi}{1-B\psi\phi}$

(6)
$B=\left(\dfrac{k_{1}/k_{m}-1}{k_{1}/k_{m}+A}\right)$

(7)
$\psi =1+\left(\dfrac{1-\phi_{m}}{\phi_{m}^{2}}\right)\phi$

여기서, 식(5)에서 계수 A는 필러의 형상에 따라 그 값이 변동되는 샤프 계수 (Sharp coefficient)이고, 식(7)의 $\phi_{m}$은 최대 충전 부피비 (Maximum packing fraction)이다. 모델은 높은 함량비 (40%이상)에서 의미가 있는 값을 가지며, 필러의 최대 부피비에 근접할수록 예측 오차가 커진다.

3.2 열적 등가회로 기반 열전도도 예측

필러의 상세 특성 (함량비, 계면특성, 형상 등)에 따라 전술한 기존의 열전도도 예측 모델의 예측 정확도가 영향을 받음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3.1의 정형화된 형태의 모델을 활용한 열전도도 예측 대신에 그림 3와 같은 전산 시뮬레이션 결과절를 활용하여 SiR/BN 복합체의 열전도도 예측을 수행하였다 (13).

그림 3 열전도도 시뮬레이션 알고리즘

Fig. 3 An algorithm of thermal conductivity simulation

../../Resources/kiee/KIEE.2019.68.11.1389/fig3.png

우선, 복합체모델을 구성하는 격자의 생성과 물질의 배치는 그림 4와 같이 수행하였다. 복합체 모델의 양쪽 끝에는 온도가 각각 $T_{H}$와 $T_{C}$인 고온과 저온의 전극배치를 고려하였으며, 전극 사이에 존재하는 재료 모델은 총 N개의 정육면체로 나누어지도록 구성하였다. 각 격자에는 모체인 실리콘 고무 혹은 필러인 BN이 랜덤 (random)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BN의 함량비 변화를 재료 모델에 반영하기 위하여 각 격자에 채워지는 물질의 열전도도는 무작위로 생성된 난수와 필러 함량비 간의 비교를 통하여 결정되도록 하였다.

그림 4 열전도도 시뮬레이션 개략도

Fig. 4 A scheme of thermal conductivity simulation

../../Resources/kiee/KIEE.2019.68.11.1389/fig4.png

생성된 복합체 모델을 구성하는 각 격자간의 열흐름 $Q'$ 과 열저항 $R_{th}$은 각각 식(8)식(9)에 따라 연산할 수 있다.

(8)
$Q'=\dfrac{\triangle T}{R}$

(9)
$\begin{aligned} R_{t h} &=R_{A}+R_{B}=\frac{d / 2}{\kappa_{A} \times A}+\frac{d / 2}{\kappa_{B} \times A} \\ &=\frac{1}{2}\left(\frac{1}{\kappa_{A}}+\frac{1}{\kappa_{B}}\right) \times \frac{d}{A}=\frac{1}{2} \times \frac{\kappa_{A}+\kappa_{B}}{\kappa_{A} \times \kappa_{B}} \times \frac{d}{A} \end{aligned}$

여기서, 식(8)에서 $Q'$는 각 셀 사이의 맞닿는 면적을 통해 전달되는 열 흐름, $\triangle T$는 각 셀 사이의 온도차이다. 그리고 식(9)에서 $\kappa_{A}$와 $\kappa_{B}$는 맞닿은 두 물질 각각의 열전도도이고, $d$는 정육면체의 한 변의 길이, $A$는 정육면체의 한 면의 면적이다. 한편, 랜덤 배치를 통하여 형성된 복합체 모델의 열적 등가회로 (Thermal Equivalent Circuit)는 그림 5와 같이 도식화할 수 있으며, 그림 5에 나타난 것처럼 각 셀이 단위시간동안 얻는 에너지는 식(10)과 같이 각 셀이 맞닿아 있는 접촉면의 개별 열흐름을 모두 합하여 구할 수 있다.

그림 5 시뮬레이션의 열적 등가회로

Fig. 5 A thermally equivalent circuit of simulation

../../Resources/kiee/KIEE.2019.68.11.1389/fig5.png

(10)
$Q'_{T}=Q'_{U}+Q'_{D}+Q'_{L}+Q'_{R}$

여기서, $Q'_{T}$은 단위시간동안 각 셀을 통해 흐르는 전체 열흐름이고, 우변에 있는 각 요소는 각 셀에서 상하좌우 방향의 열 흐름이다. 각 셀의 단위시간동안의 온도 변화량은 전체 열흐름, 재료의 밀도 및 부피 값을 활용하여 식(11)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1)
$T_{i nc}=\dfrac{Q'_{T}\times t_{step}}{c\times m}=\dfrac{Q_{T}}{c\times\rho\times V}$

여기서, $c$는 설정된 물질의 비열, $\rho$는 설정된 물질의 밀도, $V$는 단위 셀의 부피, $t_{step}$은 시뮬레이션의 단위시간이다. 식(11)에서 연산된 각 셀의 온도증가량이 반영된 최종 온도 값은 식(12)와 같이 연산할 수 있으며, 온도 증가량의 값이 특정 값 이하인 경우에 열적 평형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소 온도 증가량을 10-6 [℃]으로 설정하였다. 복합체의 열전도도는 식(13)을 활용하여 예측할 수 있다.

(12)
$T(t+1)=T(t)+T_{i nc}$

(13)
$\begin{aligned} \kappa &=Q^{\prime} \times \frac{d}{A} \times \frac{1}{\Delta T} \\ &=\frac{\sum_{j=1}^{n_{y}} \sum_{i=1}^{n_{x}} Q_{U}^{\prime}(i, j)}{n_{y}} \times \frac{n_{y}}{n_{x} \times n_{z} \times d} \times \frac{1}{T_{H}-T_{C}} \end{aligned}$

여기서, $n_{x},\: n_{y},\: n_{z}$는 각 축에 셀의 개수이다.

3.3 열전도도 시뮬레이션 결과

본 연구에서 고려한 열전도도 시뮬레이션 기법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에 제안된 모델들과 예측 결과를 본 연구에서 고려한 SiR/BN 복합체를 대상으로 그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예측에 사용된 복합체 모체와 필러의 주요 물성 값은 표 2와 같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h-BN의 경우에는 그래핀과 유사하게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열전도도 값이 상이함을 고려하여 보다 현실적인 예측의 현실성을 향상시켰다.

표 2 모체와 필러의 물성표

Table 2 Properties of materials

Matrix

BN

Conductivity $\kappa$ ($W/m\bullet K$)

0.2

300∥

28⊥

Density $D$ ($g/cm^{3}$)

1.28

2.1

Specific heat $C_{p}$ ($J/g\bullet K$)

1.05

1.96

그림 6 열전도도 예측 기법/모델 간 비교

Fig. 6 Comparison of thermal conductivity prediction models

../../Resources/kiee/KIEE.2019.68.11.1389/fig6.png

그림 6에는 BN 필러의 함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SiR/BN 복합체의 열전도도 예측값이 어떻게 변동되는지 나타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고려한 전산 시뮬레이션 기법을 사용한 결과와 기존의 열전도도 모델을 활용한 예측 결과도 제시되어 있다. 기존의 모델과 본 연구의 전산 시뮬레이션 기법 모두 BN의 함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복합체의 열전도도가 향상되는 경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모체인 SiR에 비해서 월등히 높은 열전도도 값을 지니는 BN의 영향성이 BN의 함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커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전산 시뮬레이션 기법 결과는 함량비가 낮은 경우에는 Maxwell 모델과 유사한 예측값을 보여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함량비가 30%를 초과함에 따라서는 Lewis-Nielson 모델과 유사한 결과값을 보여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고려한 전산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할 경우에는 기존의 예측 기법들과 달리 필러의 함량비 구간에 따른 예측 정확도의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산 시뮬레이션 모델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모델은 Hasselman- Johnson 모델이었으며, 이와 같은 차이는 퍼콜레이션 현상을 고려하지 않았고 계면열저항을 고려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4. 시험 결과 및 검토고찰

4.1 내트래킹성 시험 결과

그림 7는 내트래킹 시험 종료 후 서로 다른 BN 필러 함량비를 지니는 SiR/BN 복합체 시편에 발생한 트랙의 형상 사진이다. 그림 7에 나타난 것처럼 BN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생성된 트랙의 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BN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복합체의 열전도도가 증가하여 시편 표면의 최대 온도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탄화과정이 적게 발생한 결과로 판단된다 (5).

그림 7 BN 함량에 따른 트랙의 형성 사진

Fig. 7. 제목Fig. 7 Photograph of track depending ratio of BN

../../Resources/kiee/KIEE.2019.68.11.1389/fig7.png

그림 8은 SiR/BN 복합체의 BN 함량에 따른 트래킹 시간 (Tracking time)의 측정결과를 도식화한 결과이다. 그림 8에서 알 수 있듯이, BN의 함량비가 증가할수록 트래킹 시간이 증가하였으며, BN의 햠량비가 20%인 경우에는 BN이 전혀 추가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약 2.4배 긴 트래킹 시간을 보였다. 그림 7에 제시된 시편의 트래킹 양상 및 그림 8에 제시된 트래킹 시간 결과를 통하여 BN 필러의 추가가 실리콘 고무의 내트래킹성 향상에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내트래킹성의 향상은 BN이 첨가된 에폭시 복합체를 대상으로 한 결과와 유사한 경향성을 보임을 참고할 수 있다.

그림 8 BN 함량에 따른 트랙의 형성시간

Fig. 8 Growing time of track depending ratio of BN

../../Resources/kiee/KIEE.2019.68.11.1389/fig8.png

그림 9는 SiR/BN 복합체의 TGA시험 결과를 보여준다. 잔여중량 (Residual mass)의 비교에서 볼 수 있듯이, BN이 첨가된 시편이 순수한 실리콘 고무 시편보다 잔여중량이 큼을 확인할 수 있다. BN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중량의 감소가 시작되는 온도와 최종 잔여 중량값이 증가함도 볼 수 있다. 이는 순수 실리콘 고무에 비하여 SiR/BN의 뛰어난 열적 안정성을 보여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다음의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 우선, 첨가된 BN 필러와 모체인 실리콘 고무간의 상호 결합 (Interaction)이 복합체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이 BN 필러의 함량비가 커질수록 우세해짐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영향성은 에폭시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성을 지닌다. 또한, 실리콘 고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열적 안정성을 지니는 BN의 특성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14). 이로 인하여, 높은 열에너지 및 고온의 환경이 수반되는 트래킹이 발생한 경우에 재료가 탄화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는 효과를 거두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9 BN 함량에 따른 열 중량분석 (TGA) 결과

Fig. 9 Thermogravimetric analysis results depending ratio of BN

../../Resources/kiee/KIEE.2019.68.11.1389/fig9.png

그림 10 BN 함량에 따른 접촉각

Fig. 10 Contact angle depending ratio of BN

../../Resources/kiee/KIEE.2019.68.11.1389/fig10.png

그림 10은 서로 다른 BN 함량비를 갖는 SiR/BN 복합체에 대한 접촉각 실험 결과로, BN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접촉각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접촉각이 90도보다 큰 경우에는 오염물이 표면에 접촉할 경우에 소수성을 보이기 때문에 오염물의 세척이 용이하므로, 다양한 오염물에 노출될 수 있는 외부절연물의 표면은 접촉각이 9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모든 시편에서 90도보다 충분히 큰 접촉각이 측정되었지만, BN의 함량비가 증가할수록 접촉각이 커지는 경향성 역시 BN의 추가가 절연물의 내트래킹성 향상에 기여함을 보여준다. BN의 추가에 따른 접촉각 증가는 BN의 분자구조로 인해 소수성을 띄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15).

BN의 첨가에 따른 실리콘 고무의 내트래킹성 향상은 열전도도 예측 결과 (그림 6)와 열적 안정성 (그림 9), 접촉각 (그림 10) 측정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그림 6에 제시된 것처럼 BN의 첨가에 따라 발생되는 SiR/BN 복합체의 열전도도 증가에 의해 트래킹의 발생에 주요한 기여를 하는 열의 축적 정도가 적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동일한 에너지가 인가되었을 때, BN이 포함되지 않은 실리콘 고무에 비하여 SiR/BN 복합체에서 높은 열전도도로 인해 열에너지가 분산되어 온도 상승은 적게 되는 효과를 거둔다. 또한, 그림 9에서 확인되는 SiR/BN 복합체의 우수한 열 안정성은 시편이 열에너지에 노출되더라도 재료가 열분해 (Thermal Decomposition)되는 정도를 줄여주는 효과를 거두게 되어 SiR/BN 에폭시의 내트래킹성 향상에 기여한다. 이와 더불어 그림 10에 나타난 것처럼 BN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보다 큰 접촉각이 SiR/BN 복합체의 표면에서 측정됨도 내트래킹성에 기여하였다. 다만, BN의 함량비 증가에 따른 트래킹 성능 향상의 정도와 접촉각 성능 향상을 고려할 경우에는 SiR/BN 복합체의 내트래킹성 향상에는 열전도도도와 열 안정성과 같은 재료의 열적 특성 (Thermal Properties)의 개선이 트래킹 특성 향상에 접촉각 향상보다 더 큰 기여를 한 것으로 판단된다.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SiR/BN 복합체의 내트래킹성을 측정하고, 이와 관련된 열적 특성인 열 안전성과 표면 측성인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특별히 열적 특성 중 열전도도는 BN의 형상과 구조를 고려하여 시뮬레이션을 작성하여 필러의 함량비에 따른 열전도도를 예측하였다.

시뮬레이션의 결과와 내트래킹성 실험 및 TGA, 접촉각 실험의 결과들을 비교했을 때, BN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내트래킹성이 증가하였다. 이는 BN의 함량이 증가하여 열적 특성 및 접촉각이 향상되었기 때문이고, 특히 열적 특성에 의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사료된다. 추가적으로 열전도도 예측 시뮬레이션의 경우 기존에 사용되던 모델들과 비교했을 때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고분자 복합체의 BN 함량에 따른 열전도도 기존 연구에서 BN의 함량이 부피비로 60%이상으로 증가하였을 때 열전도도가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10). 앞으로 이를 열전도도 시뮬레이션에 적용하고, 고함량의 시편을 제작하여 내트래킹성 및 열적 특성, 접촉각을 측정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17년도 정부(교육부)의 제원으로 한국 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o. 2017R1D1A1B03031723)

또한, 본 연구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재원으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의 연구결과입니다.

References

1 
E. Morteza, et al., 2005, Surface Degradation of Outdoor Polymeric Insulators Resulting from Electrical and Environmental Stress, in Proc. of 20th International Power System ConferenceGoogle Search
2 
A. Madi, et al., 2016, Surface tracking on polymeric insulators used in electrical transmission lines, Indonesian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Vol. no. 3, pp. 639-645Google Search
3 
J. Park, 2019, IPT Characteristics of HCR / ATH Composites for HVDC,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8, No. 8, pp. 993-1001DOI
4 
Y. Jeon, et al., 2019, Effect of Filler Concentration on Tracking Resistance of ATH-Filled Silicone Rubber Nanocomposites, EnergiesDOI
5 
B. X. Du, et al., 2014, Effect of thermal conductivity on tracking failure of epoxy/BN composite under pulse strength, IEEE Trans. Dielectr. Electr. Insul., Vol. 21, No. 4, pp. 1565-1572DOI
6 
X. Huang, et al., 2011, A review of dielectric polymer composites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IEEE Electrical Insulation Magazine, Vol. 27, No. 4, pp. 8-16DOI
7 
R. Omranipour, et al., 2002, Tracking and erosion resistance of RTV silicone rubber: effect of filler particle size and loading, Annual Report Conference on Electrical Insulation and Dielectric Phenomena, Vol. , No. , pp. 371-374DOI
8 
B. Venkatesulu, et al., 2010, Erosion resistance of alumina-filled silicone rubber nanocomposites,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 17, No. 2, pp. 615-624DOI
9 
S. Kumagai, et al., 2001, Tracking and erosion of HTV silicone rubber and suppression mechanism of ATH,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 8, No. 2, pp. 203-211DOI
10 
Z. Wang, et al., 2011, Development of epoxy/BN composites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sufficient dielectric breakdown strength part I sample preparations and thermal conductivity,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 18, No. 6, pp. 1963-1972DOI
11 
N. Burger, et al., 2016, Review of thermal conductivity in composites: Mechanisms, parameters and theory, Progress in Polymer Science, Vol. 61, No. , pp. 1-28DOI
12 
K. Pietrak, et al., 2015, A review of models for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composite materials, Journal of power technologies, Vol. 95, No. 1, pp. 14-24Google Search
13 
D. Gerenrot, et al., 2003, Random Network Model for Heat Transfer in High Contrast Composite Materials, IEEE Transactions on Advanced Packaging, Vol. 26, No. 4, pp. 410-416DOI
14 
S. Ryu, et al., 2018, Surface modification of a BN/ETDS composite with aniline trimer for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RSC Advances, Vol. 8, No. , pp. 22846-22852DOI
15 
Z. Wu, et al., 2016, Influence of nano boron nitride (BN) on electric corrosion of fluororesin based super hydrophobic coatings for insulators, in Proc. of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igh Voltage Engineering and Application (ICHVE), pp. 1-4DOI

저자소개

변영훈 (Younghun Byeon)
../../Resources/kiee/KIEE.2019.68.11.1389/au1.png

2018년 충북대학교 전기공학부 학부 졸업

2019년 현재 충북대학교 전기공학부 석사 과정

전영택 (Yougntaek Jeon)
../../Resources/kiee/KIEE.2019.68.11.1389/au2.png

2018년 충북대학교 전기공학부 학부 졸업

2019년 현재 충북대학교 전기공학부 석사 과정

김명진 (Myungchin Kim)
../../Resources/kiee/KIEE.2019.68.11.1389/au3.png

2004년 한양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졸업

2006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 (석사)

2015년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전기컴퓨터 공학 (박사)

2006년 ~ 2017년 국방과학연구소 선임 연구원

2017년 ~ 현재: 충북대학교 전기공학부 조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