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2. (VNC Tech. Co. Daejeon, Korea,)



Temperature Control, Heating Furnace, Soak Time

1. 서 론

철강 열·화학 공정이란 철강 재료에 요구하는 기계적, 물리적 성질을 부여하기 위해 가열과 냉각을 시행하는 열조작 기술이다. 철강의 경도와 인장강도를 확대시키기는 등 여러 목적으로 열·화학 공정을 한다. 철강 열·화학 공정에는 산업용 가열로를 사용하는데 가열로 내부의 온도 제어에는 비례·적분·미분 (PID) 제어기가 주로 이용된다 (1,2).

열·화학 공정의 단계에는 정해진 온도까지 지정 또는 임의의 속도로 온도 상승하는 램프 (ramp) 구간과 소정의 온도에서 일정시간 유지하는 소오크 (soak) 구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철강에 열처리가 잘 되게 하려면 모든 부위에 고르게 열이 전달될 때까지 가열해야 한다. 열이 고르게 퍼져 철강의 모든 부위에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한 시점을 균열 시점이라 하는데 균열 시점부터 목표 시간만큼 온도를 유지해야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균열 시점은 철강의 종류, 가열로 내의 가스의 종류, 가열 시 초기 온도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3).

열·화학 공정에서 소오크 구간의 균열 시점을 알아내는 것은 중요하다. 균열 시점에 도달했는지는 중심부 온도와 분위기 온도를 측정하여 두 온도 모두 목표 온도에 도달했는가를 확인하면 된다. 하지만 철강의 중심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가열로에서 열처리를 위해 넣어준 철강을 장입물이라고 하는데 현재 산업현장에서 가열로의 온도가 800 ℃가 넘는 매우 고온이라 장입물의 중심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온도측정기는 가격이 비싸고 고온에서 내구성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복하여 사용하기 힘들다. 또한 가열로의 구조상 결선에 따른 장입물 이동에 제약이 생기며 센서 설치에도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산업 현장에서는 장입물의 중심부 온도를 측정하지 못하고 장입물의 표면에서 조금 떨어져서 측정한 분위기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를 제어한다. 분위기 온도만 사용하기 때문에 중심부 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했는지는 알 수 없으므로 철강의 축열을 고려하여 경험적으로 충분한 시간 더 가열하여 준다. 이로 인해 배출가스의 증가로 인한 환경오염이 커지고 추가적인 가열에 사용되는 시간과 에너지 낭비가 커지게 된다.

본 논문은 장입물의 열처리를 할 때 중심부 온도를 사용하지 않고 분위기 온도와 제어출력의 정보를 토대로 구한 제어출력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소오크 구간의 균열시점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가열로의 목표온도까지 가열, 유지를 위해서는 제어기가 필요하여 본 논문에서는 산업현장에서 많이 쓰이는 PID 제어기를 사용하여 온도제어를 한다. PID 제어기의 사용으로 인해 생기는 잡음은 이동평균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본론 2.1에서는 제어출력에 요동이 생기는 이유와 요동을 없애기 위해 사용한 이동평균에 대하여 설명하고 본론 2.2에서는 실험과정에서 얻은 목표 기울기를 이용하여 균열 시점 추정 방법을 설명하고 설명한다. 본론 2.3에서는 실험환경에 대해 설명한다. 본론 2.4에서는 필터링 (filtering) 전, 후의 제어출력을 비교하고 제안한 방법을 적용하여 추정한 균열 시점과 실제 균열 시점을 비교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을 말하고 마무리를 한다.

2. 본 론

2.1 이동평균을 이용한 필터링

본 실험에서 장입물의 분위기 온도를 받아오는 센서는 5Hz로 샘플링 (sampling)하기 때문에 샘플링에서의 잡음이 생기게 되어 작은 요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PID의 미분 항에 의해 작은 요동은 미분폭주가 일어나 큰 요동을 만들어낸다. 제어출력의 순간기울기를 사용하여 균열 시점을 추정하기 때문에 제어출력에 요동이 있는 경우 정확한 순간기울기를 찾기가 힘들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동평균을 이용하여 제어출력을 필터링 해주어야한다. 사용한 이동평균 식은 식(1)과 같다.

(1)
$y(k)=\sum_{i=k-a}^{k+a}\dfrac{x(i)}{n}$

$x(k)$는 필터링 전 신호이고 $y(k)$는 필터링 된 신호이다. $a=\dfrac{n-1}{2}$이고 n은 스무딩 팩터 (smoothing factor)로 홀수를 사용한다.

2.2 균열 시점 추정 방법

제어출력으로 균열 시점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실험 환경에서 중심부 온도를 측정하여 찾은 균열 시점과 제어출력과의 관계를 파악한다. 중심부 온도는 장입물의 축열 때문에 분위기 온도보다 늦게 가열되지만 가열되고 나서는 더 높은 온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분위기 온도와 중심부 온도가 처음으로 같아지는 지점을 균열 시점으로 보고 진행한다. 실제 산업 환경에서 분위기 온도만 사용하여 온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실험에서도 목표 온도를 설정하고 분위기 온도를 피드백 (feedback) 받아 PID제어기를 통하여 제어한다. 목표 온도가 같은 여러 실험 데이터들 모아 균열시점에서의 제어출력의 순간기울기를 측정하고 모은 데이터의 기울기들의 평균값을 동일 목표 온도에서의 균열시점을 나타내는 목표 기울기라 정한다. 현재 순간 기울기가 목표 기울기와 같아지는 지점을 균열 시점이라 추정한다 (4). 테스트 데이터에서는 순간 기울기가 목표 기울기와 정확히 같지 않을 수 있으니 1 %의 오차를 두고 현재기울기가 목표 기울기의 99 %보다 커지는 순간을 균열시점이라 추정한다. 매 순간 기울기를구하면 계산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현재 분위기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고 제어출력이 70 % 미만인 조건을 만족할 때만 기울기를 구해 비교하도록 한다. 가열로 자체가 느린 시스템이고 5시간 이상 열처리를 하기 때문에 20초 시간 구간의 평균기울기를 순간 기울기로 가정하여 사용한다.

그림 1 균열 시점 추정 방법 순서도

Fig. 1 soak time estimation method flow chart

../../Resources/kiee/KIEE.2019.68.12.1590/fig1.png

2.3 실험 환경

그림 2 장입물 STS310S

Fig. 2 Test STS310S

../../Resources/kiee/KIEE.2019.68.12.1590/fig2.png

그림 3 제어기 azbil – DCP320

Fig. 3 Controller azbil - DCP320

../../Resources/kiee/KIEE.2019.68.12.1590/fig3.png

그림 4 furnace Benchtop Muffle Furnaces F48010

Fig. 4 Furnace Benchtop Muffle Furnaces F48010

../../Resources/kiee/KIEE.2019.68.12.1590/fig4.png

그림 5 데이터 측정기 GRAPHTEC midi LOGGER GL840

Fig. 5 Data logger GRAPHTEC midi LOGGER GL840

../../Resources/kiee/KIEE.2019.68.12.1590/fig5.png

실험에서 사용한 장입물은 STS310S 내열강 (그림 2) 을 사용하였다. PID제어기는 Yamatake 사의 DCP30 제어기 (그림 3)를 사용하여 분위기 온도만을 피드백하여 온도제어를 한다. 가열로는 실제 산업에서 쓰는 가열로와 비슷한 성질을 가지고 크기는 작은 Thermo Scientific사의 Benchtop Muffle Furnaces F48010 모델을 사용하였다 (그림 4). 분위기 온도는 가열로의 내장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중심부 온도는 가열로의 천장의 뚫린 구멍을 통하여 장입물에 뚫린 작은 구멍에 온도계를 넣어 측정하였다. 측정한 중심부 온도, 분위기 온도와 제어출력은 GRAPHTEC midi LOGGER GL840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 저장하였다 (그림 5). 시작 온도는 상온, 목표 온도는 850 ℃로 설정하고 분위기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고 2시간 더 가열하였다. PID제어기의 계수는 P=0.9, I=53, D=13를 사용하였다. 이동 평균의 스무딩 팩터 n은 5001을 사용하였다.

2.4 실험 결과

그림 6을 보면 장입물의 축열 때문에 중심부 온도는 분위기 온도보다 늦게 상승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분위기 온도만으로 PID제어를 하기 때문에 분위기 온도가 목표 온도인 850 ℃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출력이 100 %를 낸다. 분위기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면 중심부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지 못하였음에도 제어 출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6 필터링 전 제어출력, 분위기 온도, 중심부 온도

Fig. 6 Control output, ambient temperature and center temperature before filtering

../../Resources/kiee/KIEE.2019.68.12.1590/fig6.png

그림 7 기존의 제어출력과 필터링한 제어출력

Fig. 7 Original control output and filtered control output

../../Resources/kiee/KIEE.2019.68.12.1590/fig7.png

그 후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분위기 온도는 작은 요동이 생기게 되고 PID제어기의 샘플링 시간마다 D항의 미분폭주에 의해 제어 출력은 큰 요동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7은 기존의 제어출력과 이동평균을 사용하여 필터링한 제어출력을 나타낸다. 기존의 제어출력은 요동이 심한 것을 볼 수 있고 그에 반해 이동평균을 사용하여 필터링한 제어출력은 요동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8은 상온에서 시작하여 목표 온도 850 ℃까지 유지되는 상황에서 필터링 된 제어출력, 분위기 온도, 중심부 온도를 나타낸다. 장입물의 축열 때문에 중심부 온도가 분위기 온도보다 늦게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다. y축과 평행한 점선은 중심부 온도와 분위기 온도가 같아지는 균열 시점을 나타내고 균열 시점에 도달한 시간은 98.9분이다. 상온에서 시작하여 목표 온도 850 ℃까지 가열, 유지하는 데이터 20개의 균열 시점을 구하고 각 균열 시점에서의 제어출력의 기울기를 평균내서 구해 본 결과 목표 온도 850 ℃에서 목표 기울기는 -0.0170이고 표준편차는 0.0014이다.

그림 8 목표 온도 850 ℃에서 필터링 된 제어출력, 중심부 온도, 분위기 온도와 균열 시점

Fig. 8 Filtered control output, ambient temperature, center temperature and soak time at 850 ℃

../../Resources/kiee/KIEE.2019.68.12.1590/fig8.png

그림 9그림 8에서 사용한 데이터를 가지고 현재 순간 기울기가 목표 기울기의 99%보다 커졌을 때 기울기를 가지는 시점을 포착하여 기울기에 해당하는 검은색 선을 그려주고 균열 시점을 추정한 것을 나타낸다. 추정한 균열 시점은 101.5분이고 테스트 데이터의 실제 균열 시점과 2.6분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산업현장에서는 경험적으로 충분히 가열하는 것에 비해 3분 이내의 시간으로 균열 시점을 추정함으로써 에너지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림 9 제어출력의 기울기로 추정한 균열 시점

Fig. 9 Soak time estimated by using proposed method

../../Resources/kiee/KIEE.2019.68.12.1590/fig9.png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열·화학 공정의 소오크 구간의 균열시점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환경에서 중심부 온도와 분위기 온도가 같아지는 시점으로 균열시점을 판단하여 균열시점에서의 제어출력 목표기울기를 구하고 중심부 온도가 없는 상황에서 제어출력 기울기를 토대로 균열시점을 추정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균열시점이 실제 균열시점과 근접하게 나타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19년도 정부(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4.0017466.01, 열처리 생산성 20% 향상, 에너지 15% 절감을 위한 소오크 시간 자동)

References

1 
Vunlop Sinlapakun, Wudhichai Assawinchaichote, 2015, Optimized pid controller design for electric furnace temperature systems with nelder mead algorithm, 2015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Engineering/ Electronics, Computer,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Technology (ECTI-CON) IEEE, pp. 1-4DOI
2 
Elena Grassi, Kostas Tsakalis, 2000, Pid controller tuning by frequency loop-shaping: application to diffusion furnace temperature control, IEEE Transactions on Control Systems Technology, Vol. 8, No. 5, pp. 842-847DOI
3 
George E Totten, 2006, Steel Heat Treatment Handbook, -2 Volume Set., CRC pressGoogle Search
4 
Song, 2018,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industrial heater having auto-correction of soak time and self-diagnosis of abnormal heating function, Patent No. 10-2031815Google Search

저자소개

이호섭 (Ho Sub Lee)
../../Resources/kiee/KIEE.2019.68.12.1590/au1.png

2018년 경북대학교 전자공학부 졸업(공학사).

2018년~현재 포항공과대학교 전자전기공학과 석사과정.

관심분야: 시간지연시스템.

이민호 (Min Ho Lee)
../../Resources/kiee/KIEE.2019.68.12.1590/au2.png

2015년 경북대학교 전자공학부 졸업(공학사).

2018년 포항공과대학교 전자전기공학과(공학석사).

관심분야: 신호 처리 및 제어.

박태수 (Tae Su Park)
../../Resources/kiee/KIEE.2019.68.12.1590/au3.png

2015년 경북대학교 전자공학부 졸업(공학사).

2017년 포항공과대학교 전자전기공학과(공학석사).

관심분야: 신호처리 및 제어, 능동 소음 제어.

송복한 (Bok Han Song)
../../Resources/kiee/KIEE.2019.68.12.1590/au4.png

1987년 인하대학교 금속공학과 졸업(공학사).

1989년KAIST 재료공학과 졸업(공학석사).

1999년 KAIST 재료공학과 졸업(공학박사).

1989.2~2013.11 셰플러코리아(유) 연구소 재료팀 수석연.

2013.12~2016.09 ㈜베어링아트 연구소 재료, 열처리 이사.

2016.10~현재 브이앤씨테크㈜ 연구소 수석연구위원

관심분야: 재료 및 재료공정(단조, 열처리, 표면처리), 재료공정 제어

박부견 (Poo Gyeon Park)
../../Resources/kiee/KIEE.2019.68.12.1590/au5.png

1988년 서울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공학사).

1990년 서울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공학석사).

1995년 Stanford University 전기공학과(공학박사).

1995년~1996년 Stanford University 연구원.

1996년~현재 포항공과대학교 전자전기공학과 교수.

관심분야: 시간지연시스템, LPV, 신호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