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Power Electric & Electronic System R&D Institute, ENTEC Electric & Electronic Co., LTD., Korea)
  2. (Institute of Technology in Research Center, Korea Railroad Corporation(Korail), Korea.)



Voltage Unbalance, IEC Standard, AC Railway, Power Quality

1. 서 론

전기철도는 에너지 소비 및 CO2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대중 교통 대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KTX-1의 경우 편성 정원 약 1000명, 영업 최고속도 310 km/h의 수송 능력을 자랑한다. 하지만 그만큼의 수송 능력은 편성별 13.5 MW의 전기적 출력을 요구하고, 단상(single phase)의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을 공급하는 3상 전력계통에 전압불평형을 야기한다. 전압불평형은 3상 계통의 ABC 회전방향의 반대 회전자계를 발생시켜, 역상전류를 발생시키고, 같은 전압을 공급받는 전동기 부하와 전력변환 장치(converters & drives)의 온도와 손실을 높임으로 기기의 수명과 효율을 감소시킨다[1]. 이러한 전압불평형의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는 기기에 미치는 영향을 표 1과 같이 정량적으로 제시하고 있다[2].

전압불평형으로부터 계통 및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전압불평형률의 제한값을 제시하여 규제하고 있으며, 전압불평형개선 장치 및 기술들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교류철도 급전계통에서는 전압불평형을 개선하기 위해 국가마다 다양한 철도용 특수 변압기를 채용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스코트결선 변압기를 사용하고 있다. 해외 연구자료는 표 2와 같이 철도용 변압기 결선에 따른 전압불평형률을 수식적으로 해석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단상변압기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특수 변압기(scott, Le Blanc)를 사용하는 것이 전압불평형 개선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3].

표 1. 전압불평형이 유도전동기 미치는 영향

Table 1. Negative effects of voltage unbalance on induction motors

Voltage Asymmetry

Winding

Temperature

$I^{2}R$ Losses

(%total)

Reduction of

Motor Efficiency

Motor

Lifetime

0%

120 ℃

30%

-

20 years

1%

130 ℃

33%

0.5%

10 years

5%

180 ℃

45%

5%

or more

1 year

본 논문에서는 국내기준 및 국제 기준에서 제시하는 전압불평형률의 정의와 제한값을 비교 검토하고, 그 중에서 IEC(IEC 61000-3-13) 기준이 제시하는 전압불평형률 평가 방법을 소개한다.

표 2. 변압기 결선에 따른 전압불평형률 수식 및 비교

Table 2. Comparison and equations of voltage unbalance on different transformers

변압기 결선

$\left |\dfrac{V_{2}}{V_{1}}\right |\times 100$ [%]

$k$ 에 따른 $V_{UF}$ 비교 ※ 단위 [$V_{UF}$]

0.1

0.2

0.3

0.4

0.5

single

-phase

$V_{UF}$

1

1

1

1

1

Scott

$| 1-2k |\times V_{UF}$

0.8

0.6

0.4

0.2

0

Le Blanc

$| 1-2k |\times V_{UF}$

V-V

$\sqrt{3k^{2}-3k+1}\times V_{UF}$

0.854

0.721

0.608

0.529

0.5

Y-△

△-△

여기서, $V_{UF}=\dfrac{S_{1\psi}}{S_{sc(3\psi)}}\times 100$

$S_{1\psi}= S_{L1}+S_{L2}$ : 총 부하량

$S_{L1},\: S_{L2}$ : 각 상의 부하량

$S_{sc(3\psi)}$ : 공급점에서의 3상 단락용량

$k=\dfrac{S_{L1}}{S_{1\psi}}$, $1-k=\dfrac{S_{L2}}{S_{1\psi}}$

또한 국내 전기철도변전소에서 실제로 측정한 전압을 이용하여 국내기준과 IEC 기준에 제시된 방법으로 전압불평형률을산출하여 교류전기철도 계통에서의 전압불평형률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2. 국·내외 전압불평형률 관련 기준

2.1 국내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국내 송배전용 전기설비 이용규정의 송전용전기설비 성능기준에서 전압불평형률을 3% 이내로 제한하고 있다[4]. 또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 267조(전압불평형에 의한 장해방지)는 교류식 전기철도의 단상 부하에 의한 전압불평형률의 허용 한도를 그 변전소의 수전점에서 3% 이하로 규정하고 있으며 불평형률 산출식은 식(1)과 같다.

(1)
$K=Z(P_{A}-P_{B})\times 10^{-4}$

K : 백분율로 표시한 전압불평형률

Z : 변전소의 수전점에서의 3상 전원계통의 10,000 kVA를 기준으로 하는 퍼센트 임피던스 또는 퍼센트 리액턴스

PA, PB : 각각의 전기철도용 급전 구역에서의 연속 2시간 평균부하(kVA를 단위로 한다)

여기서 Z(수전점에서의 3상 단락 임피던스)는 계통에 따라 정해지는 값이지만, 부하량은 순간적으로 바뀌는 값이다. 이 부하량을 연속 2시간 평균부하로 전압 불평형률을 산출하는 것은 전압 불평형률의 2시간 평균값으로 판단하는 것과 같다. 따라서 국내 기준으로는 스코트변압기 2차측인 M상과 T상의 전력값(2시간 평균)을 측정하여 Z값을 곱하면 산출이 가능하다.

2.2 IEEE 및 NEMA 기준[5]

미국 NEMA(National Equipment Manufacturer's Association)에서는 전압불평형률을 식(2)와 같이 평균 선간전압 분의 평균 선간전압과의 최대편차로 정의(LVUR, Line Voltage Unbalance Rate)하고 있다.

(2)
$LVUR(\%)=\dfrac{\max\left[\left | U_{ab}-U_{av}\right | ,\:\left | U_{bc}-U_{av}\right | ,\:\left | U_{ca}-U_{av}\right |\right]}{U_{av}}$ $\times 100\%$

여기서,$U_{av}=\dfrac{U_{ab}+U_{bc}+U_{ca}}{3}$

또한 전동기 시험시 전압불평형률 발생 허용범위를 1.0 %로 제한하고 있다. IEEE 기준의 경우 식(3)과 같이 전압 불평형률을 상전압의 평균값 분의 상전압 평균값의 최대편차로 정의(PVUR, Phase Voltage Unbalance Rate)하고 있으며, 전동기나 발전기의 시험시 전압불평형률을 0.5%로 제한하고 있다.

(3)
\begin{align*} PVUR(\%)=&\dfrac{\max\left[\left | U_{a}-U_{av}\right | ,\:\left | U_{b}-U_{av}\right | ,\:\left | U_{c}-U_{av}\right |\right]}{U_{av}} \end{align*} \begin{align*} &\times 100\% \end{align*}

여기서,$U_{av}=\dfrac{U_{a}+U_{b}+U_{c}}{3}$

2.3 IEC 기준(IEC 61000-3-13)[6]

IEC 규격에서 전압불평형률은 식(4)와 같이 전압의 정상성분에서 전압의 역상성분의 비로 정의하고 있다.

(4)
$u_{2}=\dfrac{\left | U_{2}\right |}{\left | U_{1}\right |}\times 100=\dfrac{\left | U_{a}+\alpha^{2}U_{b}+\alpha U_{c}\right |}{\left | U_{a}+\alpha U_{b}+\alpha^{2}U_{c}\right |}\times 100\%$

$U_{a},\: U_{b},\: U_{c}$ : 상전압(기본파 성분)

$U_{1}$ : 기본파 전압의 정상성분

$U_{2}$ : 기본파 전압의 역상성분

$\alpha$ : $1\angle 120^{\circ}=-\dfrac{1}{2}+j\dfrac{\sqrt{3}}{2}$

IEC 규격에서는 계통의 전압불평형을 관리해야 하는 전력공급자 및 전력사업자는 전력 품질의 제한을 나타내는 방출(Emission) 레벨을 지정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방출 레벨을 산정하기 위한 적합성(Compatibility) 레벨과 계획(Planning) 레벨을 정의하고 전압 범위에 따라 레벨을 규정하고 있다. 적합성 레벨은 전체 시스템에서 EMC(Electomagnetic compatibility)를 보장하기 위해 공급 시스템의 기준으로 설치 장비의 Emission과 Immunity 레벨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그림 1과 같이 외란 레벨에 따른 확률 밀도로 표현할 수 있고, 적합성 레벨은 Emission 레벨의 95% 확률 지점으로 볼 수 있다.

그림. 1. 기본 전압 품질 개념 설명

Fig. 1. Illustraion of voltage quality concepts relevant to system

../../Resources/kiee/KIEE.2019.68.12.1646/fig1.png

적합성 레벨의 경우, LV 및 MV 시스템에서는 전압불평형률을 2% 이하로 규정하고 있으나 전기철도와 같은 단상 부하와 연결된 지점에서는 3% 까지 제한치를 두고 있다. 하지만 HV 시스템의 Compatibility 레벨을 정의하고 있지는 않다.

계획 레벨의 경우, 적합성 레벨과 동등하거나 이하의 값으로, 개별 설비 또는 장치의 Emission 제한치를 결정하는데 사용하며 표 3에 전압 범위에 따른 계획 레벨을 제시한다.

표 3. IEC 61000-3-13에서의 Planning 레벨

Table 3. Planning levels on IEC 61000-3-13

전압 범위

Planning 레벨

MV (1kV < Vn ≤ 35kV)

1.8 %

HV (35kV < Vn ≤ 230kV)

1.4 %

EHV (230kV < Vn)

0.8 %

2.4 전압불평형률 기준 비교 분석

국내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 전압불평형률 수식의 큰 단점은 2시간 평균 부하량을 적용한다는 것이다. 교류철도 급전계통 구간 내에 차량 부하가 항상 존재하지 않고 1시간에 한 편성만 운행하는 구간도 매우 많다. 차량이 운행하는 시간대에 전압불평형률이 높게 발생하여 수전계통에 영향을 끼치더라도 2시간 평균 부하값은 매우 작기 때문에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

IEEE 및 NEMA 기준의 전압불평형률 수식은 선간전압 혹은 상전압을 사용하여 전압의 위상을 반영하지 않고, 또한 상세한 분석 절차 및 평가 방법을 제시하지 않아 실제 전력설비에 영향을 주는 수식으로는 근래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7].

IEC 기준의 전압불평형률 수식은 정상분 분의 역상분 전압으로 정의하여, 역상분 전압은 제 2고조파의 3배수 고조파들의 집합으로서 실제 회전기기 회전방향의 역방향 회전자계를 발생시키는 성분이다. 따라서 이 전압불평형률 수식이 실제적으로 전력설비에 영향을 미치는 정량적인 정의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또한 전력품질 중 고조파의 계산값과 동일한 3초 평균, 10분 평균 rms값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절차를 제시하고, 평가 방법도 제시하여 실제 계통을 운영하는 데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3. IEC 기준의 전압불평형률 평가 방법 조사

IEC 규격은 국내외 다른 규격들에 비해 전압불평형률의 평가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절에서는 IEC 규격에서 제시하는 평가방법을 조사하고, 4절에서 이 평가방법으로 실제 측정한 값을 분석한다.

IEC 61000-3-13에서는 평가를 방법과 측정 방법을 제시하고 있고, 측정 방법은 IEC 61000-4-30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채용한다. IEC 61000-4-30에서는 공급전압, 고조파, 불평형률의 값을 연산하기 위한 측정 시간 간격을 12 cycle(60Hz 계통 기준)로 정하고 이 간격 동안의 RMS(root mean square) 기본 데이터로 정의한다[8]. 추가적으로 다음과 같이 3가지의 측정집합알고리즘(measurement aggregation algorithm)을 제시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집합값(aggregations)은 RMS값으로 연산으로 된다.

⦁ 3초 데이터(180 cycle aggregation) : 12 cycle의 간격의 데이터 15개를 RMS 값으로 연산한 데이터

⦁ 10분 데이터(10 min aggregation) : 12 cycle의 간격의 데이터 200개를 RMS 값으로 연산한 데이터

⦁ 2시간 데이터(2 hour aggregation) : 10분 데이터 12개를 RMS 값으로 연산한 데이터

IEC 61000-3-13에서는 상기 내용 중 3초 데이터와 10분 데이터 측정방법을 채용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제시한다. 여기서, 최소 측정기간을 영업운전 기준 7일로 제시하고 있다.

⦁ 일주일 동안 10분 데이터들의 백분위(percentile) 95% 값이 계획레벨을 초과하면 안 됨

⦁ 하루 기준 3초 데이터들의 백분위 99% 값에 배율(ex, 1.25~2.0)을 곱한 값이 계획레벨을 초과하면 안 됨

4. 실제 측정데이터의 전압불평형률 분석

국내 교류철도 급전계통 변전소 수전측에서 일주일 동안 3상 전압을 측정하였으며 변전소의 계통 정보는 표 4와 같다.

표 4. 고속철도 A 변전소의 계통 정보

Table 4. Grid data of A substation

수전 계통 선간전압(kV)

154

수전 계통 % 임피던스

5026

수전 계통 Ohm 임피던스

12.47

수전 지점 3상 단락용량(MVA)

1,902

Scott 변압기 각 상 부하정격용량(MVA)

15

먼저 A변전소에서 측정한 전압값으로 3절에서 언급한 IEC 규격을 기준의 3초 데이터 전압불평형률 연산하여 각각 하루별로 구분하여 그림 2에 나타내었다.

그림. 2. A 변전소에서 일주일 동안 측정한 전압불평형률(3초 데이터)

Fig. 2. Measured voltage unbalance for a week in A substation (3 seconds data)

../../Resources/kiee/KIEE.2019.68.12.1646/fig2.png

하루 동안의 3초 데이터는 28,800개로 그래프가 매우 조밀하게 표현되고, 전기철도 차량의 운행시간 및 운행 패턴이 매일 유사하기 때문에 24시간 기준 트렌드 또한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차량이 운행하지 않아 전기공급을 중단한 단전시간(00:00∼04:00)에도 전압불평형률이 매우 높게 발생(1.7∼2.2%)하고, 이 때의 수전측의 상전압은 B상이 높고 A상과 C상의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는 철도 급전계통 외에도 154kV 계통의 공통접속점(PCC, point of common coupling)에서의 불평형이 발생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일주일 데이터 중에 전압불평형률이 가장 높은 값은 3.9%이지만, 기저 전압불평형률을 감안하면 전기철도 차량 부하에 의한 불평형률은 최대 2.2%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04:00∼17:00에는 단전시 154kV 계통에서 나타나는 기저 전압불평형률 보다 더 낮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주변압기 2차측 M상에 전기철도 차량이 운행할 때 3상 기준으로 A상과 C상에 부하가 걸리며 전압불평형률을 오히려 개선하는 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일주일 동안의 10분 데이터와 국내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 제시하는 2시간 데이터를 그림 3에 나타내었다. 10분 데이터의 최대값은 3.1%, 2시간 데이터의 최대값은 2.6%로 나타났다. 이는 2시간 평균 3%를 초과하지 않아 국내 기준에는 부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림. 3. A 변전소에서 일주일 동안 측정한 전압불평형률(10분 데이터 & 2시간 평균 데이터)

Fig. 3. Measured voltage unbalance for a week in A substation(10 mins and 2 hours average data)

../../Resources/kiee/KIEE.2019.68.12.1646/fig3.png

표 5. 7일 동안 측정한 하루 백분율값 일부(3초 데이터)

Table 5. Voltage unbalance percentage of measured one day data for a week (3seconds data)

백분위

(%)

하루 전압불평형률(3초 데이터)(%)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100.0

3.399

3.128

3.293

3.937

3.836

3.555

3.933

99.997

3.365

3.059

3.189

3.831

3.835

3.543

3.930

.

.

.

.

.

.

.

.

.

.

.

.

.

.

.

.

.

.

.

.

.

.

.

.

99.003

2.831

2.730

2.764

3.012

3.162

3.148

3.009

99.000

2.831

2.730

2.764

3.010

3.161

3.147

3.009

98.997

2.829

2.730

2.764

3.010

3.160

3.146

3.007

IEC 규격의 방법으로 하루 데이터를 3초 데이터로 나열하면, 일주일 동안 측정한 각각 하루의 백분율 99% 값은 표 5와 같다. 하루 28,800개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1개의 데이터 간격은 는 약 0.003%이고, 7일 중 백분율 99% 최대값은 3.161%이다.

하루 3초 데이터의 트렌드 및 확률 분포를 검토하기 위해 그림 4에 히스토그램으로 표현하였다. 전압불평형률 2∼2.2%가 10,040의 횟수로 가장 높은 확률(34.8%)로 분포되었고, 전체 평균 전압불평형률은 2.18%로 나타났다.

그림. 4. 3초 데이터 히스토그램

Fig. 4. Histogram of 3 seconds data

../../Resources/kiee/KIEE.2019.68.12.1646/fig4.png

일주일 데이터를 10분 데이터로 백분위 나열하면 표 6과 같고, 일주일 1,008개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1개의 데이터 간격은 는 약 0.099%이고, 백분위 약 95%값은 2.516%이다.

표 6. 7일 백분율값 일부(10분 데이터)

Table 6. Voltage unbalance percentage for a week (10 minutes data)

백분위(%)

전압불평형률(10분 데이터)(%)

100

3.022

99.90

2.905

.

.

.

.

.

.

95.14

2.521

95.04

2.516

94.94

2.513

일주일 10분 데이터의 트렌드 및 확률 분포를 검토하기 위해 그림 5에 히스토그램으로 표현하였다. 전압불평형률 2∼2.2%가 263의 횟수로 가장 높은 확률(26%)로 분포되었고, 전체 평균 전압불평형률은 2.05%로 나타났다.

그림. 5. 10분 데이터 히스토그램

Fig. 5. Histogram of 10 minutes data

../../Resources/kiee/KIEE.2019.68.12.1646/fig5.png

5. 분석 결과 고찰

교류철도 급전계통 A변전소의 전압불평형률을 IEC 표준에 적용한 결과를 요약하면, 하루 3초 데이터의 백분위 99% 값은 3.161%, 일주일 10분 데이터의 백분위 95% 값은 2.516[%]로 측정 및 분석되었다. IEC 기준의 계획레벨 1.4%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철도가 운행하지 않는 단전시간(00:00∼04:00)에 발생하는 기저 불평형률 1.7∼2.2%을 감안하면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국내전기설비기술기준의 2시간 평균 데이터의 최대값은 2.6%로 제한 값 3% 보다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해외의 경우 불평형률의 계획레벨을 제시하기 위해 세계 168개의 EHV 계통 사이트, 940개의 HV 계통 사이트, 497개소의 MV 계통 사이트, 222개의 LV 계통 사이트를 대상으로 불평형률을 측정하였다. 이 중 HV 계통 940개 사이트의 사례를 보면 일주일 10분 데이터의 백분위 95% 값이 2%로 분석되어, 이 결과를 통해 계획레벨을 2%로 권고하고 있다[9].

해외의 데이터와 국내 교류철도 급전계통 A변전소의 전압불평형률 데이터가 다소 다르게 나타났지만, 추가적인 사이트의 데이터 측정 및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6.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주요 전압불평형률관련 기준을 살펴보고, IEC 규격에서 제시한 분석 방법을 기준으로 국내 교류 전기철도 급전계통에서 발생하는 전압불평형률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기준(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2시간 평균 3%를 초과하지는 않지만, 백분위 95%의 10분 전압불평형값은 2.516%로 IEC 규격에 제시된 계획레벨 1.4%을 초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수전측 단전시에도 기저 전압불평형률이 1.7~2.2% 발생하는 것으로 비추어 볼 때, 순수 전기철도 급전계통 운영으로 인한 불평형률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154kV 전력계통에서도 이미 전압불평형이 발생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IEC 기준은 전기철도와 같은 단상부하가 연결된 지점에서는 적합성 레벨을 3%로 권고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LV와 MV의 전압레벨에서 국한되어 있다. 또한 계통 특성에 따른 계수(coefficient)범위를 제시하여 계획레벨 및 방사레벨을 결정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국내 기준도 전기철도 급전계통에 적용하기 위한 적합성 레벨 및 계획레벨의 검토가 필요하다. 국내도 전압불평형률의 적합성레벨, 계획레벨 및 방출레벨의 제한 값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이에 앞서 해외의 경우와 같이 전반적인 송배전 계통 및 전기철도 급전계통의 전압불평형률 측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력설비의 수명 및 효율 개선을 위해 현행 국내 기준 또한 IEC 기준에 부합하도록 개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19년도 국토교통부 철도기술연구사업(과제번호 : 19RTRP-B146034-02)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연구로서, 관계부처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B. Banerjee, June 2000, Voltage unbalance: Power quality issues, related standards and mitigation technique, EPRI Technical ReportGoogle Search
2 
M. H. Albadi, A. S. Al Hinai, A. H. Al­Badi, M. S. Al Riyami, S. M. Al Hinai, R. S. Al Abri, Mar 2015, Unbalance in power system: Case study, in 201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ustrial Technology (ICIT)Google Search
3 
G. Firat, G. Yang, H. Ali Hussain Al-Ali, 2015, A comparative study of different transformer connections for railway power supply mitigation of voltage unbalance, in Proceedings of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Power System Control Operation & Management (APSCOM 2015) IEEEDOI
4 
KEPCO, 2019, Regulations on Facilities of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nergy Trading Terms, pp. 67Google Search
5 
A. T. Chauhan, 2016, Power Quality Issues and their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Industrial Machines, Anchor Academic Publishing, pp. 9Google Search
6 
IEC 61000-3-11, 2008,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 - Part 3­13: Limits - Assessment of emission limits for the connection of unbalanced installations to MV, HV, and EHC power systems, Basic EMC Pubilication edition 1.0Google Search
7 
B. Banerjee, 2000, Voltage Unbalance: Power Quality Issues, Related Standards and Mitigation Techniques, EPRI Technical Report, pp. 2-1Google Search
8 
IEC 61000-4-30, 2015,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 -Part 4-30: Testing and measurement techniques - Power quality measurement methods, Basic EMC Pubilication edition 3.0Google Search
9 
R. Koch, G. Beaulieu, L. Berthet, M. Halpin, 2007, International survey of unbalance level in LV, MV, HV, and EHV power system: CIGRE/CIRED JWG C4.103 RESULT, in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ity DistributionGoogle Search

저자소개

민명환 (Myung-Hwan Min)
../../Resources/kiee/KIEE.2019.68.12.1646/au1.png

2010년 숭실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학사)

2012년 성균관대학교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부 졸업(공학석사)

2013~현재 인텍전기전자(주) 전력전자시스템 연구소 선임연구원

Tel : 031-299-8420

Fax : 031-299-8401

E-mail : mhmin@entecene.co.kr

고유란 (Yu-Ran Go)
../../Resources/kiee/KIEE.2019.68.12.1646/au2.png

2009년 전북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졸업.

2011년 전북대학교 전기공학부 졸업(공학석사).

2019년 ~ 현재 인텍전기전자(주) 전력전자시스템 연구소 선임 연구원

Tel : 031-299-1779

Fax : 031-299-8401

E-mail : yrgo@entecene.co.kr

안태풍 (Tae-Pung An)
../../Resources/kiee/KIEE.2019.68.12.1646/au3.png

1992년 2월 성균관대학교 전자공학과 졸업(공학사)

1992년 2월 ~ 1996년 5월 일진전기공업(주) 기술연구소

1996년 6월 ~ 현재 인텍전기전자(주) 부사장

031-299-8410

031-299-8401

E-mail : tpan@entecene.co.kr

이태훈 (Tae-Hoon Lee)
../../Resources/kiee/KIEE.2019.68.12.1646/au4.png

1997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1999년 광운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석사졸업.

2018년 충남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박사과정 수료.

2005년~현재 한국철도공사 선임연구원

이병곤 (Byeong-Gon Lee)
../../Resources/kiee/KIEE.2019.68.12.1646/au5.png

2014년 충남대학교 전기공학과 대학원 석사 졸업

현재 한국철도공사 기술연구처 차장

Tel : 042-615-4711

Fax : 02-361-8542

E-mail : yeun0714@kor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