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Shin Ansan University, Korea)



The optimum printing conditions for 3D printing, FDM-type 3D printer, PLA and ABS filaments, Flow rate, Additive microstructure

1. 서 론

1984년 세계 최초로 3D 프린터 기술이 개발된 후, 특정 업체가 특허를 독점하여 대중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특허가 만료되면서 많은 업체에서 3D 프린터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고 2013년 세계 최초로 3D 프린터로 제작한 총기가 발사되는 동영상이 유튜브에 공개되면서 3D 프린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기 시작되었다.

3D 프린터는 특수 소재를 순차적으로 분사하여 미세한 두께로 층층이 쌓아 올리면서 입체적인 형상물을 제작하는 장비로서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3D 프린터의 확산과 함께 다양한 방식의 3D 프린터가 개발되고 있는 가운데, 3D 프린터를 크게 출력방식에 따라 구분하면 FDM, SLS, SLA 및 DLP로 구분된다.

그중 FDM 방식은 국내에서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는 방식으로, 필라멘트를 실처럼 가늘게 압출하여 한 줄씩 형상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제품을 출력한다. FDM 방식의 필라멘트는 PLA, ABS, TPU, Wood 및 PVA 등이 있는 가운데, 주로 PLA와 ABS 필라멘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1].

필라멘트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면 PLA 필라멘트는 FDM 방식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필라멘트로서, 옥수수와 사탕수수로 만들어진 친환경 수지이기 때문에 녹아도 냄새가 나지 않고 유해요소가 거의 없지만, 습기에 약하며 출력물은 60℃ 이상의 온도에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2,3]. 한편 ABS 필라멘트는 Acrylonitrile, Butadiene 및 Styrene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로서 출력물의 강도가 세고 후가공이 용이하지만, 출력 시 냄새가 나고 균열 및 수축현상이 크게 발생한다[4,5].

현재 필라멘트의 기술 동향은 출력 후 신속하게 고화되면서 변형 없이 치수 및 형태가 설정값과 동일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제조 시 압출이 용이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3D 출력물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각 필라멘트의 출력에 대한 최적의 출력 조건을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3D 출력 시에는 적층한 레이어 중 1개층의 두께인 레이어 높이를 슬라이스 프로그램에서 보통 0.2mm로 설정하여 실제로 1개층을 출력하여 두께를 측정하면 정확히 0.2mm를 만족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필라멘트를 상온에서 출력 시 수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슬라이스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레이어 높이와 상이하게 출력 시에는 출력물의 크기가 달라져서 3D 모델링 설계 시에 의도하였던 결과를 도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LA와 ABS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FDM 방식으로 3D 출력 시, 슬라이스 프로그램에서 레이어 높이를 0.2mm로 설정한 후, 0.2mm에 가장 근접한 최적의 출력 조건을 찾기 위해서, 출력 온도, 내부 채우기 밀도 및 Flow Rate를 설정하고 각 출력 조건에 따른 레이어 1개층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슬라이스 프로그램에서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와 20mm로 정육면체를 설정하여 출력한 후, 설정한 정육면체의 부피와 가장 근접하게 제작한 출력 조건을 제시하였다.

2. 3D 출력물 제작 및 측정 방법

2.1 3D 출력물의 제작 방법

2.1.1 각 출력 조건에 따른 레이어 1개층의 제작 방법

본 연구에 사용한 출력물은 슬라이스 프로그램에 의해서 레이어 높이를 설정한 후, PLA와 ABS 필라멘트에 의해서 FDM 방식의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레이어 1개층을 출력하였다. 그림 12는 각각 출력에 사용한 3D 프린터와 필라멘트를 나타낸다. 3D 출력물 제작에 사용한 3D 프린터는 Cubicon (Single Plus 3DP-310F, Hyvision사)을 사용하였고 슬라이스 프로그램은 3D 프린터 제작 업체의 소프트웨어(Cubicreator V.3.3.1, Hyvision사)를 사용하였으며 필라멘트는 3D 프린터 제작 업체에서 제공한 PLA 출력 재료(1.75mm PLA 3D Fila- ment, Hyvision사)와 ABS 출력 재료(1.75mm ABS 3D Filament, Esun사)를 사용하였다.

그림. 1. 본 연구에 사용한 3D 프린터

Fig. 1. 3D printers used in this study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1.png

그림. 2. 3D 출력 재료인 PLA와 ABS 필라멘트

Fig. 2. PLA and ABS filament for 3D printing material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2.png

출력 조건에 따른 레이어 1개층의 제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모델링 설계 프로그램인 오토캐드 프로그램에 의해서 가로×세로×높이가 10mm인 정육면체를 설계한 후, STL(Standard Triangulation Language) 파일로 내보내기(Exporting)하였다.

그림 3은 설계한 정육면체를 슬라이스하기 위해서 출력 조건을 설정한 슬라이스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그림 3으로부터 슬라이스 프로그램에서 출력 재료는 PLA와 ABS 필라멘트로 설정하고 지지대와 바닥 보조물은 사용하지 않았으며 레이어 높이는 0.2mm로 설정하였다. 또한 출력 조건은 PLA 필라멘트인 경우 출력 온도(토출봉 온도)는 210℃, 베드 온도(바닥 온도)는 65℃로, ABS 필라멘트인 경우 출력 온도는 240℃, 베드 온도는 100℃로 일정하게 유지한 채, Flow Rate는 70∼140%, 내부 채우기 밀도는 35∼75%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조건으로 3D 프린터를 가동시켜서 설계한 가로×세로×높이가 각각 10mm인 정육면체를 출력하였다. 이후 베드의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출력물을 베드로부터 분리하면 출력물이 변형하기 쉽기 때문에 약 5분 정도 경과한 후 출력물을 베드로부터 분리하였다.

이때 정육면체 출력 전, 레이어 1개층의 두께를 균일하게 출력하기 위해서 3D 프린터의 자체 기능인 skirt 기능에 의해서 필라멘트를 베드 위에 흘려서 레이어 1개층을 생성하는데, skirt 기능에 의해서 생성된 레이어 1개층을 본 연구의 두께 측정에 사용하였다. 그림 4는 두께 측정에 사용한 레이어 1개층을 나타낸다.

그림. 3. 출력 조건을 설정한 슬라이스 프로그램

Fig. 3. Slice program that sets printing conditions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3.png

그림. 4. 두께 측정에 사용한 레이어 1개층

Fig. 4. 1 layer used to measure thickness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4.png

2.1.2 각 출력 조건에 따른 정육면체의 제작 방법

정육면체의 제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모델링 설계 프로그램인 오토캐드 프로그램에 의해서 가로×세로×높이가 각각 10mm, 20mm인 정육면체를 설계한 후, STL 파일로 내보내기(Exporting)하였다. 그림 5는 출력 조건을 설정한 슬라이스 프로그램과 출력 상태를 표시한 3D 프린터의 표시부를 나타낸다. 슬라이스 프로그램에서 출력 재료는 PLA와 ABS 필라멘트를 설정하였고 Flow Rate는 70∼120%로 설정한다. 또한 내부 채우기 밀도는 55%로 일정하게 유지한 채, PLA 필라멘트인 경우 출력 온도는 210℃, ABS 필라멘트인 경우 출력 온도는 240℃로 설정하였다. 이후, 위의 출력 조건을 코드화시켜 정육면체를 출력하였다.

그림. 5. 정육면체 제작을 위한 슬라이스 프로그램의 출력조건과 3D 프린터의 표시부

Fig. 5. The printing conditions of the slice program and the display parts of the 3D printer for fabricating cube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5.png

2.2 3D 출력물의 측정 방법

2.2.1 레이어 1개층의 두께 측정 방법

그림 6은 레이어 1개층의 두께를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측정을 위해서 버니어 캘리퍼스(CD-30PSX, Mitutoyo사)를 사용하였으며 측정 방법은 제작한 레이어 1개층을 버니어 캘리퍼스에 물려 1개층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그림. 6.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측정한 레이어 1개층의 두께

Fig. 6. Thickness of 1 layer measured using vernier calipers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6.png

2.2.2 정육면체 체적의 측정 방법

그림 7은 정육면체의 체적을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측정을 위해서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였으며 측정 방법은 제작한 정육면체를 버니어 캘리퍼스에 물려 정육면체의 가로, 세로 및 높이를 측정하였다.

그림. 7.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측정한 정육면체 한 변의 두께

Fig. 7. Thickness of one side of a cube measured using vernier calipers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7.png

2.2.3 정육면체의 레이어 간 적층 미세구조 측정 방법

그림 89는 각각 정육면체의 레이어 간 적층 미세구조를 측정한 기기와 Au 코팅을 위한 Coater를 나타낸다. 미세구조 분석을 위해서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JSM-5600, JEOL사)을 사용하였으며 Au 코팅을 위해서 Coater(JEC-3000 FC, JEOL사)를 사용하였다.

그림. 8. 정육면체의 레이어 간 미세구 조를 분석한 SEM 기기

Fig. 8. SEM apparatus for analyzing the microstructure between layers of cube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8.png

그림. 9. Au 코팅을 위한 Coater 기기

Fig. 9. Coater apparatus for Au coating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9.png

3. 결과 및 고찰

3.1 3D 프린팅의 일반적인 원리

그림 1011은 각각 기존의 절삭 가공과 최근의 적층 조형 방법을 나타낸다. 기존에는 제품을 절삭 가공(Subtractive Manu- facturing)에 의해서 가공하였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과 작은 형상의 구현이 어려웠고 재료의 대부분이 버려졌으며 장비 운용을 위해 많은 시간과 숙련된 인원이 필요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3D 프린터가 도입되면서 적층 가공(Additive Manufactu- ring)에 의해서 가공하기 때문에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가공이 가능하고 필요한 부분만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작 시간이 빠르고 제작 비용이 저렴하며 대부분의 과정이 자동으로 운영되고 있다[6,7].

그림. 10. 기존의 절삭 가공

Fig. 10. Conventional subtractive manufacturing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10.png

그림. 11. 최근의 적층 가공

Fig. 11. Recent additive manufacturing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11.png

그림 12는 3D 프린팅의 원리를 나타낸다. 3D 모델링 설계자에 의해서 설계된 3D 모델링을 내보내기(Exporting)할 때 STL 파일 형식으로 저장하는데 이때 STL 파일은 3D 프린팅을 위해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파일 형식이고 수많은 삼각형 메쉬로 형성되어 있다. 이후 슬라이스 프로그램에 의해서 STL 파일을 슬라이스한 후, 슬라이스한 파일을 3D 프린터에 입력하여 3D 출력을 한다. FDM 방식 3D 프린터의 동작 원리는 압출기에 의해서 노즐 안에 삽입된 필라멘트를 필라멘트 종류에 따라서 적정한 출력 온도를 지정하여 필라멘트를 녹인 후, 베드에 한 층씩 적층하여 출력한다. 필라멘트는 열가소성 재료인 PLA와 ABS 필라멘트 이외의 다른 재료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실제 출력했을 때의 가격 대비 품질을 고려하면 일반적으로 PLA와 ABS 필라멘트를 많이 사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출력 재료로 PLA와 ABS 필라멘트를 사용하였으며 표 1표 2에 각각 PLA와 ABS 필라멘트의 물성값을 나타낸다.

그림. 12. 3D 프린팅의 원리

Fig. 12. Principle of 3D printing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12.png

표 1. PLA 필라멘트의 물성

Table 1. Properties of PLA filament

항목

물성값

항목

물성값

출력 온도

(Printing Temp.)

210℃

열 변형점

(Heat Deflection Temp.)

85~

110℃

베드 온도

(Bed Temp.)

65℃

열 팽창계수

(Thermal Expasion Coefficient)

68μm/mK

인장, 항복강도

(Tensile Yield Strength)

60Mpa

필라멘트 직경

(Filament Diameter)

1.75mm

표 2. ABS 필라멘트의 물성

Table 2. Properties of ABS filament

항목

물성값

항목

물성값

출력 온도

(Printing Temp.)

240℃

열 변형점

(Heat Deflection Temp.)

78℃

베드 온도

(Bed Temp.)

100℃

열 팽창계수

(Thermal Expasion Coefficient)

81~95

μm/mK

인장, 항복강도

(Tensile Yield Strength)

43Mpa

필라멘트 직경

(Filament Diameter)

1.75mm

3.2 레이어 1개층의 두께 정밀도 분석

3.2.1 PLA 필라멘트 레이어의 1개층 두께

표 3그림 13은 PLA 필라멘트의 출력 온도를 210℃로 일정하게 유지한 채, 노즐 안에 필라멘트 주입량을 조절하는 Flow Rate를 70∼140%로 하였을 때, 내부 채우기 밀도 변화에 따른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값이다. 표 3그림 13으로부터 Flow Rate가 70%인 경우 내부 채우기 밀도 변화에 따른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15∼0.16mm로서 평균값은 0.152mm, Flow Rate가 8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15∼0.17mm로서 평균값은 0.162mm, Flow Rate가 9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17mm로서 평균값은 0.170mm, Flow Rate가 10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18∼0.19mm로서 평균값은 0.188mm, Flow Rate가 11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19∼0.20mm로서 평균값은 0.196mm, Flow Rate가 12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20∼0.21mm로서 평균값은 0.206mm, Flow Rate가 13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21∼0.22mm로서 평균값은 0.216mm, Flow Rate가 14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22∼0.23mm로서 평균값은 0.224mm를 나타낸다.

표 3. Flow Rate를 변화시켰을 때 내부 채우기 밀도 변화에 따른 PLA 레이어 1개층의 두께

Table 3. Thickness of 1 layer of PLA according to infill density as flow rate changes

A

B

C

A

B

C

A

B

C

A

B

C

70

35

0.15

80

35

0.17

90

35

0.17

100

35

0.18

45

0.15

45

0.16

45

0.17

45

0.19

55

0.15

55

0.16

55

0.17

55

0.19

65

0.15

65

0.15

65

0.17

65

0.19

75

0.16

75

0.17

75

0.17

75

0.19

D

0.152

D

0.162

D

0.170

D

0.188

A

B

C

A

B

C

A

B

C

A

B

C

110

35

0.20

120

35

0.21

130

35

0.22

140

35

0.23

45

0.19

45

0.21

45

0.22

45

0.22

55

0.20

55

0.20

55

0.21

55

0.23

65

0.19

65

0.20

65

0.22

65

0.22

75

0.20

75

0.21

75

0.21

75

0.22

D

0.196

D

0.206

D

0.216

D

0.224

주) A : Flow Rate(%), B : 내부 채우기 밀도(%), C : 레이어 1개층의 두께(mm), D : 평균 두께(mm)

그림. 13. Flow Rate를 변화시켰을 때 내부 채우기 밀도 변화에 따른 PLA 레이어 1개층의 두께

Fig. 13. Thickness of 1 layer of PLA according to infill density as flow rate changes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13.png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슬라이스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레이어 높이인 0.2mm와 차이가 나는 이유는 출력 재료인 PLA 필라멘트는 상온에서 출력되면서 다소 수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PLA 필라멘트인 경우, 설정한 레이어 높이인 0.2mm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110%임을 알 수 있으며 내부 채우기 밀도는 레이어 1개층의 두께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3.2.2 ABS 필라멘트 레이어의 1개층 두께

표 4그림 14는 ABS 필라멘트의 출력 온도를 240℃로 일정하게 유지한 채, 노즐 안에 필라멘트 주입량을 조절하는 Flow Rate를 70∼140%로 하였을 때, 내부 채우기 밀도 변화에 따른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값이다. 표 4그림 14로부터 Flow Rate가 70%인 경우 내부 채우기 밀도 변화에 따른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16∼0.17mm로서 평균값은 0.166mm, Flow Rate가 8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16∼0.18mm로서 평균값은 0.172mm, Flow Rate가 9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18∼0.19mm로서 평균값은 0.182mm, Flow Rate가 10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18∼0.19mm로서 평균값은 0.186mm, Flow Rate가 11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20mm로서평균값은 0.200mm, Flow Rate가 120%인 경우 레이어 1개 층의 두께가 0.21∼0.22mm로서 평균값은 0.212mm, Flow Rate가 13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21∼0.22mm로서 평균값은 0.218mm, Flow Rate가 14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22∼0.23mm로서 평균값은 0.222mm를 나타낸다.

표 4. Flow Rate를 변화시켰을 때 내부 채우기 밀도 변화에 따른 ABS 레이어 1개층의 두께

Table 4. Thickness of 1 layer of ABS according to infil density as flow rate changes

A

B

C

A

B

C

A

B

C

A

B

C

70

35

0.16

80

35

0.16

90

35

0.18

100

35

0.19

45

0.16

45

0.18

45

0.19

45

0.18

55

0.17

55

0.17

55

0.18

55

0.19

65

0.17

65

0.17

65

0.18

65

0.19

75

0.17

75

0.18

75

0.18

75

0.18

D

0.166

D

0.172

D

0.182

D

0.186

A

B

C

A

B

C

A

B

C

A

B

C

110

35

0.20

120

35

0.22

130

35

0.22

140

35

0.23

45

0.20

45

0.21

45

0.22

45

0.22

55

0.20

55

0.21

55

0.22

55

0.22

65

0.20

65

0.21

65

0.22

65

0.22

75

0.20

75

0.21

75

0.21

75

0.22

D

0.200

D

0.212

D

0.218

D

0.222

주) A : Flow Rate(%), B : 내부 채우기 밀도(%), C : 레이어 1개층의 두께(mm), D : 평균 두께(mm)

그림. 14. Flow Rate를 변화시켰을 때 내부 채우기 밀도 변화에 따른 ABS 레이어 1개층의 두께

Fig. 14 Thickness of 1 layer of ABS according to infill density as flow rate changes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14.png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슬라이스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레이어 높이인 0.2mm와 차이가 나는 이유는 출력 재료인 ABS 필라멘트는 상온에서 출력되면서 일반적으로 수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ABS 필라멘트인 경우, 설정한 레이어 높이인 0.2mm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110%임을 알 수 있으며 내부 채우기 밀도는 레이어 1개층의 두께와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3.3 정육면체의 체적값 분석

3.3.1 Flow Rate 변화에 따른 PLA 정육면체의 체적값

표 5그림 15는 내부 채우기 밀도를 55%, 출력 온도를 210℃로 일정하게 유지한 채, Flow Rate가 70∼120%인 조건 하에서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하여 3개씩 3D 출력하였을 때 PLA 정육면체의 체적값이고 표 6그림 16은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하여 3개씩 3D 출력하였을 때 PLA 정육면체의 체적값이다.

표 5그림 15로부터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한 3개의 PLA 정육면체 체적값은 Flow Rate가 70%인 경우 967∼972$mm^3$로서 평균값은 969$mm^3$, Flow Rate가 80%인 경우 978∼982$mm^3$로서 평균값은 979$mm^3$, Flow Rate가 90%인 경우 993∼997$mm^3$로서 평균값은 994$mm^3$, Flow Rate가 100%인 경우 1,009∼1,011$mm^3$로서 평균값은 1,010$mm^3$, Flow Rate가 110%인 경우 1,026∼1,035$mm^3$로서 평균값은 1,030$mm^3$, Flow Rate가 120%인 경우 1,052∼1,059$mm^3$로서 평균값은 1,056$mm^3$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Flow Rate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PLA 정육면체의 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슬라이스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한 체적값 1,000$mm^3$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90%임을 알 수 있다.

표 5. Flow Rate에 따른 PLA 정육면체의 체적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

Table 5. Volume of the PLA cube according to the flow rate (Set width×length×height to 10mm each)

A

B

A

B

A

B

70

9.92×9.90×9.86

= 968

80

9.96×9.95×9.88

= 979

90

10.01×10.02×9.91

= 993

9.94×9.90×9.88

= 972

9.95×9.93×9.90

= 978

10.01×9.99×9.94

= 993

9.89×9.89×9.89

= 967

9.98×9.94×9.90

= 982

10.03×10.02×9.93

= 997

C

969

979

994

A

B

A

B

A

B

100

10.05×10.03×10.01

= 1,009

110

10.13×10.11×10.07

= 1,031

120

10.24×10.17×10.16

= 1,058

10.06×10.04×10.01

= 1,011

10.12×10.11×10.03

= 1,026

10.19×10.18×10.15

= 1,052

10.05×10.05×10.00

= 1,010

10.23×10.06×10.06

= 1,035

10.22×10.21×10.15

= 1,059

C

1,010

1,030

1,056

주) A : Flow Rate(%), B : 체적($mm^3$), C : 평균 체적($mm^3$)

그림. 15. Flow Rate에 따른 PLA 정육면체의 체적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

Fig. 15. Volume of the PLA cube according to the flow rate (Set width×length×height to 10mm each)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15.png

표 6그림 16으로부터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한 3개의 PLA 정육면체 체적값은 Flow Rate가 70%인 경우 7,876∼7,932$mm^3$로서 평균값은 7,909$mm^3$, Flow Rate가 80%인 경우 7,908∼7,948$mm^3$로서 평균값은 7,932$mm^3$, Flow Rate가 90%인 경우 7,955∼8,003$mm^3$로서 평균값은 7,984$mm^3$, Flow Rate가 100%인 경우 8,064∼8,088$mm^3$로서 평균값은 8,080$mm^3$, Flow Rate가 110%인 경우 8,096∼8,132$mm^3$로서 평균값은 8,114$mm^3$, Flow Rate가 120%인 경우 8,197∼8,209$mm^3$로서 평균값은 8,203$mm^3$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Flow Rate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PLA 정육면체의 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슬라이스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한 체적값 8,000$mm^3$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90%임을 알 수 있다.

표 6. Flow Rate에 따른 PLA 정육면체의 체적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

Table 6. Volume of the PLA cube according to the flow rate (Set width×length×height to 20mm each)

A

B

A

B

A

B

70

19.96×19.97×19.90

= 7,932

80

19.99×19.99×19.89

= 7,948

90

20.01×20.04×19.94

= 7,995

19.99×19.94×19.87

= 7,920

19.92×19.98×19.87

= 7,908

20.06×20.03×19.92

= 8,003

19.88×19.94×19.87

= 7,876

19.94×19.99×19.92

= 7,940

20.04×19.96×19.89

= 7,955

C

7,909

7,932

7,984

A

B

A

B

A

B

100

20.08×20.00×20.08

= 8,064

110

20.12×20.05×20.07

= 8,096

120

20.19×20.14×20.16

= 8,197

20.09×20.05×20.08

= 8,088

20.14×20.09×20.10

= 8,132

20.21×20.11×20.19

= 8,205

20.10×20.05×20.07

= 8,088

20.13×20.07×20.09

= 8,116

20.17×20.19×20.16

= 8,209

C

8,080

8,114

8,203

주) A : Flow Rate(%), B : 체적($mm^3$), C : 평균 체적($mm^3$)

그림. 16. Flow Rate에 따른 PLA 정육면체의 체적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

Fig. 16. Volume of the PLA cube according to the flow rate (Set width×length×height to 20mm each)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16.png

그림 1718은 각각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 20mm로설정하여 출력한 PLA 정육면체이다.

그림. 17. 출력한 PLA 정육면체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

Fig. 17. Printed PLA cube (Set width×length×height to 10mm each)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17.png

그림. 18. 출력한 PLA 정육면체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

Fig. 18. Printed PLA cube (Set width×length×height to 20mm each)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18.png

3.3.2 Flow Rate 변화에 따른 ABS 정육면체의 체적

표 7그림 19는 내부 채우기 밀도를 55%, 출력 온도를 240℃로 일정하게 유지한 채, Flow Rate가 70∼120%인 조건 하에서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하여 3개씩 3D 출력하였을 때 ABS 정육면체의 체적값이고 표 8그림 20은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하여 3개씩 3D 출력하였을 때 ABS 정육면체의 체적값이다.

표 7그림 19로부터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한 3개의 ABS 정육면체 체적값은 Flow Rate가 70%인 경우 967∼987$mm^3$로서 평균값은 979$mm^3$, Flow Rate가 80%인 경우 997∼1,003$mm^3$로서 평균값은 1,000$mm^3$, Flow Rate가 90%인 경우 1,009∼1,015$mm^3$로서 평균값은 1,011$mm^3$, Flow Rate가 100%인 경우 1,018∼1,023$mm^3$로서 평균값은 1,020$mm^3$, Flow Rate가 110%인 경우 1,036∼1,040$mm^3$로서 평균값은 1,037$mm^3$, Flow Rate가 120%인 경우 1,051∼1,062$mm^3$로서 평균값은 1,058$mm^3$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Flow Rate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ABS 정육면체의 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슬라이스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한 체적값 1,000$mm^3$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80%임을 알 수 있다.

표 7. low Rate에 따른 ABS 정육면체의 체적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

Table 7. Volume of the ABS cube according to the flow rate (Set width×length×height to 10mm each)

A

B

A

B

A

B

70

10.00×10.01×9.87

= 987

80

10.05×10.05×9.94

= 1,003

90

10.13×10.13×9.90

= 1,015

10.00×10.00×9.83

= 983

10.06×10.06×9.86

= 997

10.10×10.11×9.89

= 1,009

10.02×10.02×9.64

= 967

10.08×10.08×9.86

= 1,001

10.10×10.10×9.90

= 1,009

C

979

1,000

1,011

A

B

A

B

A

B

100

10.15×10.15×9.89

= 1,018

110

10.22×10.21×9.93

= 1,036

120

10.22×10.17×10.21

= 1,061

10.14×10.15×9.91

= 1,019

10.20×10.21×9.95

= 1,036

10.19×10.18×10.14

= 1,051

10.17×10.16×9.91

= 1,023

10.22×10.22×9.96

= 1,040

10.23×10.22×10.16

= 1,062

C

1,020

1,037

1,058

주) A : Flow Rate(%), B : 체적($mm^3$), C : 평균 체적($mm^3$)

그림. 19. Flow Rate에 따른 ABS 정육면체의 체적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

Fig. 19. Volume of the ABS cube according to the flow rate (Set width×length×height to 10mm each)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19.png

표 8그림 20으로부터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한 3개의 ABS 정육면체 체적값은 Flow Rate가 70%인 경우 7,963∼7,975$mm^3$로서 평균값은 7,968$mm^3$, Flow Rate가 80%인 경우 7,971∼7,987$mm^3$로서 평균값은 7,980$mm^3$, Flow Rate가 90%인 경우 8,019∼8,023$mm^3$로서 평균값은 8,021$mm^3$, Flow Rate가 100%인 경우 8,100∼8,116$mm^3$로서 평균값은 8,108$mm^3$, Flow Rate가 110%인 경우 8,119∼8,148$mm^3$로서 평균값은 8,130$mm^3$, Flow Rate가 120%인 경우 8,242∼8,274$mm^3$로서 평균값은 8,260$mm^3$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Flow Rate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ABS 정육면체의 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슬라이스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한 체적값 8,000$mm^3$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80%임을 알 수 있다.

표 8. Flow Rate에 따른 ABS 정육면체의 체적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

Table 8. Volume of the ABS cube according to the flow rate (Set width×length×height to 20mm each)

A

B

A

B

A

B

70

20.08×19.99×19.87

= 7,975

80

20.11×20.06×19.79

= 7,983

90

20.13×20.10×19.83

= 8,023

20.07×20.00×19.85

= 7,967

20.12×20.05×19.80

= 7,987

20.13×20.07×19.85

= 8,019

20.04×20.00×19.87

= 7,963

20.09×20.03×19.81

= 7,971

20.15×20.08×19.83

= 8,023

C

7,968

7,980

8,021

A

B

A

B

A

B

100

20.22×20.15×19.92

= 8,116

110

20.24×20.17×19.90

= 8,123

120

20.32×20.29×20.05

= 8,266

20.18×20.16×19.93

= 8,108

20.22×20.21×19.87

= 8,119

20.27×20.25×20.08

= 8,242

20.19×20.13×19.93

= 8,100

20.28×20.20×19.89

= 8,148

20.33×20.22×20.13

= 8,274

C

8,108

8,130

8,260

주) A : Flow Rate(%), B : 체적($mm^3$), C : 평균 체적($mm^3$)

그림. 20. Flow Rate에 따른 ABS 정육면체의 체적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

Fig. 20. Volume of the ABS cube according to the flow rate (Set width×length×height to 20mm each)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20.png

3.3.1항과 3.3.2항의 결과로부터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하였을 때 설정값과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PLA 정육면체인 경우 90%, ABS 정육면체인 경우 80%를 나타내었으며,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하였을 때 설정값과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PLA 정육면체인 경우 90%, ABS 정육면체인 경우 80%를 나타내었다.

그림 2122는 각각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 20mm로 설정하여 출력한 ABS 정육면체이다.

그림. 21. 출력한 ABS 정육면체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 로 설정)

Fig. 21. Printed ABS cube (Set width×length×height to 10mm each)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21.png

그림. 22. 출력한 ABS 정육면체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

Fig. 22. Printed ABS cube (Set width×length×height to 20mm each)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22.png

3.4 정육면체의 레이어 간 적층 미세구조 분석

3.4.1 PLA 정육면체의 적층 미세구조

그림 23은 내부 채우기 밀도를 55%, 출력 온도를 210℃로 일정하게 유지한 채, 3.3.1항으로부터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하여 PLA 정육면체의 체적이 1,000$mm^3$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90%이기 때문에 Flow Rate가 90%인 조건 하에서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출력하였을 때 PLA 정육면체의 레이어 간 적층 미세구조이다.

그림 24는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하여 PLA 정육면체의 체적이 8,000$mm^3$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90%이기 때문에 Flow Rate가 90%인 조건 하에서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출력하였을 때 PLA 정육면체의 레이어 간 적층 미세구조이다.

그림 23(a)는 PLA 정육면체의 가로×세로×높이 중 높이인 10mm를 레이어 높이인 0.2mm로 나누면 PLA 정육면체는 전체 50층(10/0.2=50)으로 구성되는 가운데, 전체 50층의 레이어 중 일부분을 나타낸다. 그림 23(a)를 분석하면, 레이어 1개층의 두께 평균값은 약 185μm(=0.185mm)를 나타낸다. 그림 23(b)그림 23(c)의 아랫부분 사진을 분석하면, 적층에 따른 PLA 레이어의 끝부분이 일정하게 원형으로 굴곡져서 출력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23.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3D 출력하였을 때 PLA 정육면체의 적층 미세구조

Fig. 23. Additive microstructure of the PLA cubes when 3D printed the horizontal ×vertical×height at 10mm each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23.png

그림. 24.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3D 출력하였을 때 PLA 정육면체의 적층 미세구조

Fig. 24. Additive microstructure of the PLA cubes when 3D printed the horizontal ×vertical×height at 20mm each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24.png

3.4.2 ABS 정육면체의 적층 미세구조

그림 25는 내부 채우기 밀도를 55%, 출력 온도를 240℃로 일정하게 유지한 채, 3-3-2항으로부터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하여 ABS 정육면체의 체적이 1,000$mm^3$에 가장 근S접한 Flow Rate는 80%이기 때문에 Flow Rate가 80%인 조건 하에서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출력하였을 때 ABS 정육면체의 레이어 간 적층 미세구조이다. 또한 그림 26은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하여 ABS 정육면체의 체적이 8,000$mm^3$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80%이기 때문에 Flow Rate가 80%인 조건 하에서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출력하였을 때 ABS 정육면체의 레이어 간 적층 미세구조이다.

그림. 25.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3D 출력하였을 때 ABS 정육면체의 적층 미세구조

Fig. 25. Additive microstructure of the ABS cubes when 3D printed the horizontal ×vertical×height at 10mm each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25.png

그림 25(a)는 ABS 정육면체의 가로×세로×높이 중 높이인 10mm를 레이어 높이인 0.2mm로 나누면 ABS 정육면체는 전체 50층(10/0.2=50)으로 구성되는 가운데, 전체 50층의 레이어 중 일부분을 나타낸다. 그림 25(a)를 분석하면, 레이어 1개층의 두께 평균값은 약 185μm(=0.185mm)를 나타낸다. 그림 25(b)

그림 25(c)의 윗부분 사진을 분석하면, 적층에 따른 ABS 레이어의 끝부분이 레이어 ① 부분은 두껍게, 레이어 ② 부분은 얇게 원형으로 굴곡져서 출력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26(a)는 ABS 정육면체의 가로×세로×높이 중 높이인 20mm를 레이어 높이인 0.2mm로 나누면 ABS 정육면체는 전체 100층(20/0.2=100)으로 구성되는 가운데, 전체 100층의 레이어 중 일부분을 나타낸다. 그림 26(a)를 분석하면, 그림 25(a)와 동일하게 레이어 1개층의 두께 평균값은 약 185μm (=0.185mm)를 나타낸다. 그림 26(b)를 분석하면, 적층에 따른 ABS 레이어의 끝부분이 레이어 ① 부분은 두껍게, 레이어 ② 부분은 얇게 원형으로 굴곡져서 출력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ABS 필라멘트의 열팽창계수가 81∼95μm/mK, PLA 필라멘트의 열팽창계수가 68μm/mK로서, 그림 24(b)에서 PLA 필라멘트의 열팽창계수가 ABS보다 낮기 때문에 PLA 필라멘트의 적층에 따른 끝 부분이 일정하게 원형으로 굴곡져서 출력되었지만, 그림 26(b)에서 ABS 필라멘트의 열팽창계수가 PLA보다 높기 때문에 ABS 필라멘트의 적층에 따른 끝 부분이 어떤 레이어는 두껍게, 다른 레이어는 얇게 원형으로 굴곡져서 출력이 반복된 것으로 생각한다.

그림. 26.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3D 출력하였을 때 ABS 정육면체의 적층 미세구조

Fig. 26. Additive microstructure of the ABS cubes when 3D printed the horizontal ×vertical×height at 20mm each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fig26.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PLA와 ABS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FDM 방식으로 3D 출력 시, 적층한 레이어 1개층의 두께를 설정값과 동일하게 출력하기 위해서 슬라이스 프로그램에서 Flow Rate, 출력 온도 및 내부 채우기 밀도를 설정한 후, 각 출력 조건에 따른 레이어 1개층의 두께와 정육면체의 체적을 출력하여 측정한 결과, 레이어 1개층의 두께를 설정한 0.2mm로 출력하기 위한 최적의 출력조건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Flow Rate를 변화시켰을 때 내부 채우기 밀도 변화에 따른 레이어 1개층 두께의 평균값을 분석한 결과, PLA와 ABS 필라멘트는 상온에서 출력되면서 일반적으로 수축이 발생하기 때문에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슬라이스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레이어 높이인 0.2mm와 차이가 나는 것이며 PLA와 ABS 필라멘트 모두 설정한 레이어 높이인 0.2mm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110%임을 알 수 있고 내부 채우기 밀도는 레이어 1개층의 두께와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2. PLA 정육면체인 경우, 가로×세로×높이를 10mm로 설정하였을 때 체적값인 1,000$mm^3$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90%이고 가로×세로×높이를 20mm로 설정하였을 때 체적값인 8,000$mm^3$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90%이다. ABS 정육면체인 경우, 가로×세로×높이를 10mm로 설정하였을 때 체적값인 1,000$mm^3$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80%이고 가로×세로×높이를 20mm로 설정하였을 때 체적값인 8,000$mm^3$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80%이다.

3. PLA 정육면체의 적층 미세구조를 분석한 결과, 레이어 1개층의 두께 평균값은 약 185μm(=0.185mm)를 나타내었고 적층에 따른 레이어의 끝부분이 일정하게 원형으로 굴곡져서 출력된 것을 알 수 있다. ABS 정육면체의 적층 미세구조를 분석한 결과, 레이어 1개층의 두께 평균값은 약 185μm (=0.185mm)를 나타내었고 적층에 따른 레이어의 끝부분이 어떤 레이어는 두껍게, 다른 레이어는 얇게 원형으로 굴곡져서 출력된 것을 알 수 있다.

References

1 
B. Stephens, P. Azimi, Z. El Orch, T. Ramos, 2013, Ultrafine Particle Emission from Desktop 3D Printers, Atmospheric Environment, Vol. 79, pp. 334-339DOI
2 
J. G. Han, 2016, Effects of the Processing Condition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culpture by 3D Printing (FDM), Master’s Thesis, pp. 1-5Google Search
3 
D. H. You, 2016, Optimal Printing Conditions of PLA Printing Material for 3D Printer, KIEE, Vol. 65, No. 5, pp. 825-830DOI
4 
S. Dul, L. Fambri, A. Pegoretti, 2016, A Fused Deposition Modeling with ABS-Graphene Nanocomposites, Compositers, Part A 85, pp. 181-191DOI
5 
Z. Weng, J. Wang, T. Senthil, and L. Wu, 2016,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ABS/Montmorillonite Nano- composites for Fused Deposition Modeling 3D Printing, Materials and Design, Vol. 102, pp. 276-283DOI
6 
H. Je, 2013, Everything of 3D Printer, East Asia, pp. 21-26Google Search
7 
Barnatt Christopher, 2014, 3D Printing : The Next Industrial Re- volution, Hanbit Biz. Inc., pp. 288Google Search

저자소개

유도현 (Do Hyun You)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au1.png

1990년 인하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공학사)

1992년 인하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공학석사)

1996년 인하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공학박사)

1990년~1991년 일본 Akita 대학교 초빙연구원

1995~현재 신안산대학교 전기과 교수

박구범 (Gu Bum Park)
../../Resources/kiee/KIEE.2019.68.12.1652/au2.png

1984년 인하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공학사)

1986년 인하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공학석사)

1992년 인하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공학박사)

1995년~1996년 일본 Hokkaido 대학교 Post Doctor

1992년~현재 유한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