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레이어 1개층의 두께 정밀도 분석
3.2.1 PLA 필라멘트 레이어의 1개층 두께
표 3과 그림 13은 PLA 필라멘트의 출력 온도를 210℃로 일정하게 유지한 채, 노즐 안에 필라멘트 주입량을 조절하는 Flow Rate를 70∼140%로 하였을
때, 내부 채우기 밀도 변화에 따른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값이다. 표 3과 그림 13으로부터 Flow Rate가 70%인 경우 내부 채우기 밀도 변화에 따른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15∼0.16mm로서 평균값은 0.152mm,
Flow Rate가 8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15∼0.17mm로서 평균값은 0.162mm, Flow Rate가 9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17mm로서 평균값은 0.170mm, Flow Rate가 10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18∼0.19mm로서 평균값은
0.188mm, Flow Rate가 11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19∼0.20mm로서 평균값은 0.196mm, Flow Rate가 12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20∼0.21mm로서 평균값은 0.206mm, Flow Rate가 13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21∼0.22mm로서
평균값은 0.216mm, Flow Rate가 14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22∼0.23mm로서 평균값은 0.224mm를 나타낸다.
표 3. Flow Rate를 변화시켰을 때 내부 채우기 밀도 변화에 따른 PLA 레이어 1개층의 두께
Table 3. Thickness of 1 layer of PLA according to infill density as flow rate changes
A
|
B
|
C
|
A
|
B
|
C
|
A
|
B
|
C
|
A
|
B
|
C
|
70
|
35
|
0.15
|
80
|
35
|
0.17
|
90
|
35
|
0.17
|
100
|
35
|
0.18
|
45
|
0.15
|
45
|
0.16
|
45
|
0.17
|
45
|
0.19
|
55
|
0.15
|
55
|
0.16
|
55
|
0.17
|
55
|
0.19
|
65
|
0.15
|
65
|
0.15
|
65
|
0.17
|
65
|
0.19
|
75
|
0.16
|
75
|
0.17
|
75
|
0.17
|
75
|
0.19
|
D
|
0.152
|
D
|
0.162
|
D
|
0.170
|
D
|
0.188
|
A
|
B
|
C
|
A
|
B
|
C
|
A
|
B
|
C
|
A
|
B
|
C
|
110
|
35
|
0.20
|
120
|
35
|
0.21
|
130
|
35
|
0.22
|
140
|
35
|
0.23
|
45
|
0.19
|
45
|
0.21
|
45
|
0.22
|
45
|
0.22
|
55
|
0.20
|
55
|
0.20
|
55
|
0.21
|
55
|
0.23
|
65
|
0.19
|
65
|
0.20
|
65
|
0.22
|
65
|
0.22
|
75
|
0.20
|
75
|
0.21
|
75
|
0.21
|
75
|
0.22
|
D
|
0.196
|
D
|
0.206
|
D
|
0.216
|
D
|
0.224
|
주) A : Flow Rate(%), B : 내부 채우기 밀도(%), C : 레이어 1개층의 두께(mm), D : 평균 두께(mm)
그림. 13. Flow Rate를 변화시켰을 때 내부 채우기 밀도 변화에 따른 PLA 레이어 1개층의 두께
Fig. 13. Thickness of 1 layer of PLA according to infill density as flow rate changes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슬라이스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레이어 높이인 0.2mm와 차이가 나는 이유는 출력 재료인 PLA 필라멘트는
상온에서 출력되면서 다소 수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PLA 필라멘트인 경우, 설정한 레이어 높이인 0.2mm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110%임을 알 수 있으며 내부 채우기 밀도는 레이어 1개층의 두께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3.2.2 ABS 필라멘트 레이어의 1개층 두께
표 4와 그림 14는 ABS 필라멘트의 출력 온도를 240℃로 일정하게 유지한 채, 노즐 안에 필라멘트 주입량을 조절하는 Flow Rate를 70∼140%로 하였을
때, 내부 채우기 밀도 변화에 따른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값이다. 표 4와 그림 14로부터 Flow Rate가 70%인 경우 내부 채우기 밀도 변화에 따른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16∼0.17mm로서 평균값은 0.166mm, Flow
Rate가 8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16∼0.18mm로서 평균값은 0.172mm, Flow Rate가 9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18∼0.19mm로서 평균값은 0.182mm, Flow Rate가 10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18∼0.19mm로서 평균값은
0.186mm, Flow Rate가 11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20mm로서평균값은 0.200mm, Flow Rate가 120%인 경우
레이어 1개 층의 두께가 0.21∼0.22mm로서 평균값은 0.212mm, Flow Rate가 13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21∼0.22mm로서
평균값은 0.218mm, Flow Rate가 140%인 경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0.22∼0.23mm로서 평균값은 0.222mm를 나타낸다.
표 4. Flow Rate를 변화시켰을 때 내부 채우기 밀도 변화에 따른 ABS 레이어 1개층의 두께
Table 4. Thickness of 1 layer of ABS according to infil density as flow rate changes
A
|
B
|
C
|
A
|
B
|
C
|
A
|
B
|
C
|
A
|
B
|
C
|
70
|
35
|
0.16
|
80
|
35
|
0.16
|
90
|
35
|
0.18
|
100
|
35
|
0.19
|
45
|
0.16
|
45
|
0.18
|
45
|
0.19
|
45
|
0.18
|
55
|
0.17
|
55
|
0.17
|
55
|
0.18
|
55
|
0.19
|
65
|
0.17
|
65
|
0.17
|
65
|
0.18
|
65
|
0.19
|
75
|
0.17
|
75
|
0.18
|
75
|
0.18
|
75
|
0.18
|
D
|
0.166
|
D
|
0.172
|
D
|
0.182
|
D
|
0.186
|
A
|
B
|
C
|
A
|
B
|
C
|
A
|
B
|
C
|
A
|
B
|
C
|
110
|
35
|
0.20
|
120
|
35
|
0.22
|
130
|
35
|
0.22
|
140
|
35
|
0.23
|
45
|
0.20
|
45
|
0.21
|
45
|
0.22
|
45
|
0.22
|
55
|
0.20
|
55
|
0.21
|
55
|
0.22
|
55
|
0.22
|
65
|
0.20
|
65
|
0.21
|
65
|
0.22
|
65
|
0.22
|
75
|
0.20
|
75
|
0.21
|
75
|
0.21
|
75
|
0.22
|
D
|
0.200
|
D
|
0.212
|
D
|
0.218
|
D
|
0.222
|
주) A : Flow Rate(%), B : 내부 채우기 밀도(%), C : 레이어 1개층의 두께(mm), D : 평균 두께(mm)
그림. 14. Flow Rate를 변화시켰을 때 내부 채우기 밀도 변화에 따른 ABS 레이어 1개층의 두께
Fig. 14 Thickness of 1 layer of ABS according to infill density as flow rate changes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레이어 1개층의 두께가 슬라이스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레이어 높이인 0.2mm와 차이가 나는 이유는 출력 재료인 ABS 필라멘트는
상온에서 출력되면서 일반적으로 수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ABS 필라멘트인 경우, 설정한 레이어 높이인 0.2mm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110%임을 알 수 있으며 내부 채우기 밀도는 레이어 1개층의 두께와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3.3 정육면체의 체적값 분석
3.3.1 Flow Rate 변화에 따른 PLA 정육면체의 체적값
표 5와 그림 15는 내부 채우기 밀도를 55%, 출력 온도를 210℃로 일정하게 유지한 채, Flow Rate가 70∼120%인 조건 하에서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하여 3개씩 3D 출력하였을 때 PLA 정육면체의 체적값이고 표 6과 그림 16은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하여 3개씩 3D 출력하였을 때 PLA 정육면체의 체적값이다.
표 5와 그림 15로부터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한 3개의 PLA 정육면체 체적값은 Flow Rate가 70%인 경우 967∼972$mm^3$로서 평균값은
969$mm^3$, Flow Rate가 80%인 경우 978∼982$mm^3$로서 평균값은 979$mm^3$, Flow Rate가 90%인 경우 993∼997$mm^3$로서
평균값은 994$mm^3$, Flow Rate가 100%인 경우 1,009∼1,011$mm^3$로서 평균값은 1,010$mm^3$, Flow Rate가
110%인 경우 1,026∼1,035$mm^3$로서 평균값은 1,030$mm^3$, Flow Rate가 120%인 경우 1,052∼1,059$mm^3$로서
평균값은 1,056$mm^3$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Flow Rate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PLA 정육면체의 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슬라이스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한 체적값 1,000$mm^3$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90%임을 알 수 있다.
표 5. Flow Rate에 따른 PLA 정육면체의 체적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
Table 5. Volume of the PLA cube according to the flow rate (Set width×length×height
to 10mm each)
A
|
B
|
A
|
B
|
A
|
B
|
70
|
9.92×9.90×9.86
= 968
|
80
|
9.96×9.95×9.88
= 979
|
90
|
10.01×10.02×9.91
= 993
|
9.94×9.90×9.88
= 972
|
9.95×9.93×9.90
= 978
|
10.01×9.99×9.94
= 993
|
9.89×9.89×9.89
= 967
|
9.98×9.94×9.90
= 982
|
10.03×10.02×9.93
= 997
|
C
|
969
|
|
979
|
|
994
|
A
|
B
|
A
|
B
|
A
|
B
|
100
|
10.05×10.03×10.01
= 1,009
|
110
|
10.13×10.11×10.07
= 1,031
|
120
|
10.24×10.17×10.16
= 1,058
|
10.06×10.04×10.01
= 1,011
|
10.12×10.11×10.03
= 1,026
|
10.19×10.18×10.15
= 1,052
|
10.05×10.05×10.00
= 1,010
|
10.23×10.06×10.06
= 1,035
|
10.22×10.21×10.15
= 1,059
|
C
|
1,010
|
|
1,030
|
|
1,056
|
주) A : Flow Rate(%), B : 체적($mm^3$), C : 평균 체적($mm^3$)
그림. 15. Flow Rate에 따른 PLA 정육면체의 체적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
Fig. 15. Volume of the PLA cube according to the flow rate (Set width×length×height
to 10mm each)
표 6과 그림 16으로부터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한 3개의 PLA 정육면체 체적값은 Flow Rate가 70%인 경우 7,876∼7,932$mm^3$로서
평균값은 7,909$mm^3$, Flow Rate가 80%인 경우 7,908∼7,948$mm^3$로서 평균값은 7,932$mm^3$, Flow Rate가
90%인 경우 7,955∼8,003$mm^3$로서 평균값은 7,984$mm^3$, Flow Rate가 100%인 경우 8,064∼8,088$mm^3$로서
평균값은 8,080$mm^3$, Flow Rate가 110%인 경우 8,096∼8,132$mm^3$로서 평균값은 8,114$mm^3$, Flow Rate가
120%인 경우 8,197∼8,209$mm^3$로서 평균값은 8,203$mm^3$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Flow Rate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PLA 정육면체의 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슬라이스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한 체적값 8,000$mm^3$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90%임을 알 수 있다.
표 6. Flow Rate에 따른 PLA 정육면체의 체적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
Table 6. Volume of the PLA cube according to the flow rate (Set width×length×height
to 20mm each)
A
|
B
|
A
|
B
|
A
|
B
|
70
|
19.96×19.97×19.90
= 7,932
|
80
|
19.99×19.99×19.89
= 7,948
|
90
|
20.01×20.04×19.94
= 7,995
|
19.99×19.94×19.87
= 7,920
|
19.92×19.98×19.87
= 7,908
|
20.06×20.03×19.92
= 8,003
|
19.88×19.94×19.87
= 7,876
|
19.94×19.99×19.92
= 7,940
|
20.04×19.96×19.89
= 7,955
|
C
|
7,909
|
|
7,932
|
|
7,984
|
A
|
B
|
A
|
B
|
A
|
B
|
100
|
20.08×20.00×20.08
= 8,064
|
110
|
20.12×20.05×20.07
= 8,096
|
120
|
20.19×20.14×20.16
= 8,197
|
20.09×20.05×20.08
= 8,088
|
20.14×20.09×20.10
= 8,132
|
20.21×20.11×20.19
= 8,205
|
20.10×20.05×20.07
= 8,088
|
20.13×20.07×20.09
= 8,116
|
20.17×20.19×20.16
= 8,209
|
C
|
8,080
|
|
8,114
|
|
8,203
|
주) A : Flow Rate(%), B : 체적($mm^3$), C : 평균 체적($mm^3$)
그림. 16. Flow Rate에 따른 PLA 정육면체의 체적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
Fig. 16. Volume of the PLA cube according to the flow rate (Set width×length×height
to 20mm each)
그림 17과 18은 각각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 20mm로설정하여 출력한 PLA 정육면체이다.
그림. 17. 출력한 PLA 정육면체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
Fig. 17. Printed PLA cube (Set width×length×height to 10mm each)
그림. 18. 출력한 PLA 정육면체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
Fig. 18. Printed PLA cube (Set width×length×height to 20mm each)
3.3.2 Flow Rate 변화에 따른 ABS 정육면체의 체적
표 7과 그림 19는 내부 채우기 밀도를 55%, 출력 온도를 240℃로 일정하게 유지한 채, Flow Rate가 70∼120%인 조건 하에서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하여 3개씩 3D 출력하였을 때 ABS 정육면체의 체적값이고 표 8과 그림 20은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하여 3개씩 3D 출력하였을 때 ABS 정육면체의 체적값이다.
표 7과 그림 19로부터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한 3개의 ABS 정육면체 체적값은 Flow Rate가 70%인 경우 967∼987$mm^3$로서 평균값은
979$mm^3$, Flow Rate가 80%인 경우 997∼1,003$mm^3$로서 평균값은 1,000$mm^3$, Flow Rate가 90%인
경우 1,009∼1,015$mm^3$로서 평균값은 1,011$mm^3$, Flow Rate가 100%인 경우 1,018∼1,023$mm^3$로서 평균값은
1,020$mm^3$, Flow Rate가 110%인 경우 1,036∼1,040$mm^3$로서 평균값은 1,037$mm^3$, Flow Rate가
120%인 경우 1,051∼1,062$mm^3$로서 평균값은 1,058$mm^3$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Flow Rate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ABS 정육면체의 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슬라이스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한 체적값 1,000$mm^3$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80%임을 알 수 있다.
표 7. low Rate에 따른 ABS 정육면체의 체적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
Table 7. Volume of the ABS cube according to the flow rate (Set width×length×height
to 10mm each)
A
|
B
|
A
|
B
|
A
|
B
|
70
|
10.00×10.01×9.87
= 987
|
80
|
10.05×10.05×9.94
= 1,003
|
90
|
10.13×10.13×9.90
= 1,015
|
10.00×10.00×9.83
= 983
|
10.06×10.06×9.86
= 997
|
10.10×10.11×9.89
= 1,009
|
10.02×10.02×9.64
= 967
|
10.08×10.08×9.86
= 1,001
|
10.10×10.10×9.90
= 1,009
|
C
|
979
|
|
1,000
|
|
1,011
|
A
|
B
|
A
|
B
|
A
|
B
|
100
|
10.15×10.15×9.89
= 1,018
|
110
|
10.22×10.21×9.93
= 1,036
|
120
|
10.22×10.17×10.21
= 1,061
|
10.14×10.15×9.91
= 1,019
|
10.20×10.21×9.95
= 1,036
|
10.19×10.18×10.14
= 1,051
|
10.17×10.16×9.91
= 1,023
|
10.22×10.22×9.96
= 1,040
|
10.23×10.22×10.16
= 1,062
|
C
|
1,020
|
|
1,037
|
|
1,058
|
주) A : Flow Rate(%), B : 체적($mm^3$), C : 평균 체적($mm^3$)
그림. 19. Flow Rate에 따른 ABS 정육면체의 체적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
Fig. 19. Volume of the ABS cube according to the flow rate (Set width×length×height
to 10mm each)
표 8과 그림 20으로부터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한 3개의 ABS 정육면체 체적값은 Flow Rate가 70%인 경우 7,963∼7,975$mm^3$로서
평균값은 7,968$mm^3$, Flow Rate가 80%인 경우 7,971∼7,987$mm^3$로서 평균값은 7,980$mm^3$, Flow Rate가
90%인 경우 8,019∼8,023$mm^3$로서 평균값은 8,021$mm^3$, Flow Rate가 100%인 경우 8,100∼8,116$mm^3$로서
평균값은 8,108$mm^3$, Flow Rate가 110%인 경우 8,119∼8,148$mm^3$로서 평균값은 8,130$mm^3$, Flow Rate가
120%인 경우 8,242∼8,274$mm^3$로서 평균값은 8,260$mm^3$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Flow Rate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ABS 정육면체의 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슬라이스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한 체적값 8,000$mm^3$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80%임을 알 수 있다.
표 8. Flow Rate에 따른 ABS 정육면체의 체적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
Table 8. Volume of the ABS cube according to the flow rate (Set width×length×height
to 20mm each)
A
|
B
|
A
|
B
|
A
|
B
|
70
|
20.08×19.99×19.87
= 7,975
|
80
|
20.11×20.06×19.79
= 7,983
|
90
|
20.13×20.10×19.83
= 8,023
|
20.07×20.00×19.85
= 7,967
|
20.12×20.05×19.80
= 7,987
|
20.13×20.07×19.85
= 8,019
|
20.04×20.00×19.87
= 7,963
|
20.09×20.03×19.81
= 7,971
|
20.15×20.08×19.83
= 8,023
|
C
|
7,968
|
|
7,980
|
|
8,021
|
A
|
B
|
A
|
B
|
A
|
B
|
100
|
20.22×20.15×19.92
= 8,116
|
110
|
20.24×20.17×19.90
= 8,123
|
120
|
20.32×20.29×20.05
= 8,266
|
20.18×20.16×19.93
= 8,108
|
20.22×20.21×19.87
= 8,119
|
20.27×20.25×20.08
= 8,242
|
20.19×20.13×19.93
= 8,100
|
20.28×20.20×19.89
= 8,148
|
20.33×20.22×20.13
= 8,274
|
C
|
8,108
|
|
8,130
|
|
8,260
|
주) A : Flow Rate(%), B : 체적($mm^3$), C : 평균 체적($mm^3$)
그림. 20. Flow Rate에 따른 ABS 정육면체의 체적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
Fig. 20. Volume of the ABS cube according to the flow rate (Set width×length×height
to 20mm each)
3.3.1항과 3.3.2항의 결과로부터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하였을 때 설정값과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PLA 정육면체인
경우 90%, ABS 정육면체인 경우 80%를 나타내었으며,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하였을 때 설정값과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PLA 정육면체인 경우 90%, ABS 정육면체인 경우 80%를 나타내었다.
그림 21과 22는 각각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 20mm로 설정하여 출력한 ABS 정육면체이다.
그림. 21. 출력한 ABS 정육면체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 로 설정)
Fig. 21. Printed ABS cube (Set width×length×height to 10mm each)
그림. 22. 출력한 ABS 정육면체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
Fig. 22. Printed ABS cube
(Set width×length×height to 20mm each)
3.4 정육면체의 레이어 간 적층 미세구조 분석
3.4.1 PLA 정육면체의 적층 미세구조
그림 23은 내부 채우기 밀도를 55%, 출력 온도를 210℃로 일정하게 유지한 채, 3.3.1항으로부터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하여 PLA
정육면체의 체적이 1,000$mm^3$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90%이기 때문에 Flow Rate가 90%인 조건 하에서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출력하였을 때 PLA 정육면체의 레이어 간 적층 미세구조이다.
그림 24는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하여 PLA 정육면체의 체적이 8,000$mm^3$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90%이기 때문에 Flow
Rate가 90%인 조건 하에서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출력하였을 때 PLA 정육면체의 레이어 간 적층 미세구조이다.
그림 23(a)는 PLA 정육면체의 가로×세로×높이 중 높이인 10mm를 레이어 높이인 0.2mm로 나누면 PLA 정육면체는 전체 50층(10/0.2=50)으로
구성되는 가운데, 전체 50층의 레이어 중 일부분을 나타낸다. 그림 23(a)를 분석하면, 레이어 1개층의 두께 평균값은 약 185μm(=0.185mm)를 나타낸다. 그림 23(b)와 그림 23(c)의 아랫부분 사진을 분석하면, 적층에 따른 PLA 레이어의 끝부분이 일정하게 원형으로 굴곡져서 출력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23.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3D 출력하였을 때 PLA 정육면체의 적층 미세구조
Fig. 23. Additive microstructure of the PLA cubes when 3D printed the horizontal ×vertical×height
at 10mm each
그림. 24.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3D 출력하였을 때 PLA 정육면체의 적층 미세구조
Fig. 24. Additive microstructure of the PLA cubes when 3D printed the horizontal ×vertical×height
at 20mm each
3.4.2 ABS 정육면체의 적층 미세구조
그림 25는 내부 채우기 밀도를 55%, 출력 온도를 240℃로 일정하게 유지한 채, 3-3-2항으로부터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설정하여 ABS
정육면체의 체적이 1,000$mm^3$에 가장 근S접한 Flow Rate는 80%이기 때문에 Flow Rate가 80%인 조건 하에서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출력하였을 때 ABS 정육면체의 레이어 간 적층 미세구조이다. 또한 그림 26은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설정하여 ABS 정육면체의 체적이 8,000$mm^3$에 가장 근접한 Flow Rate는 80%이기 때문에 Flow
Rate가 80%인 조건 하에서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출력하였을 때 ABS 정육면체의 레이어 간 적층 미세구조이다.
그림. 25.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0mm로 3D 출력하였을 때 ABS 정육면체의 적층 미세구조
Fig. 25. Additive microstructure of the ABS cubes when 3D printed the horizontal ×vertical×height
at 10mm each
그림 25(a)는 ABS 정육면체의 가로×세로×높이 중 높이인 10mm를 레이어 높이인 0.2mm로 나누면 ABS 정육면체는 전체 50층(10/0.2=50)으로
구성되는 가운데, 전체 50층의 레이어 중 일부분을 나타낸다. 그림 25(a)를 분석하면, 레이어 1개층의 두께 평균값은 약 185μm(=0.185mm)를 나타낸다. 그림 25(b)와
그림 25(c)의 윗부분 사진을 분석하면, 적층에 따른 ABS 레이어의 끝부분이 레이어 ① 부분은 두껍게, 레이어 ② 부분은 얇게 원형으로 굴곡져서 출력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26(a)는 ABS 정육면체의 가로×세로×높이 중 높이인 20mm를 레이어 높이인 0.2mm로 나누면 ABS 정육면체는 전체 100층(20/0.2=100)으로
구성되는 가운데, 전체 100층의 레이어 중 일부분을 나타낸다. 그림 26(a)를 분석하면, 그림 25(a)와 동일하게 레이어 1개층의 두께 평균값은 약 185μm (=0.185mm)를 나타낸다. 그림 26(b)를 분석하면, 적층에 따른 ABS 레이어의 끝부분이 레이어 ① 부분은 두껍게, 레이어 ② 부분은 얇게 원형으로 굴곡져서 출력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ABS 필라멘트의 열팽창계수가 81∼95μm/mK, PLA 필라멘트의 열팽창계수가 68μm/mK로서, 그림 24(b)에서 PLA 필라멘트의 열팽창계수가 ABS보다 낮기 때문에 PLA 필라멘트의 적층에 따른 끝 부분이 일정하게 원형으로 굴곡져서 출력되었지만, 그림 26(b)에서 ABS 필라멘트의 열팽창계수가 PLA보다 높기 때문에 ABS 필라멘트의 적층에 따른 끝 부분이 어떤 레이어는 두껍게, 다른 레이어는 얇게 원형으로
굴곡져서 출력이 반복된 것으로 생각한다.
그림. 26.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20mm로 3D 출력하였을 때 ABS 정육면체의 적층 미세구조
Fig. 26. Additive microstructure of the ABS cubes when 3D printed the horizontal ×vertical×height
at 20mm e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