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Blumlein pulse forming line, rise time, peaking switch, forth-order Runge-Kutta method

1. 서 론

이론적으로 블룸라인 펄스 성형라인(블룸라인 PFL: Blumlein Pulse Forming Line)은 매우 짧은 폭(∼수 ns)의 이상적인 사각형 모양의 고전압 펄스를 발생할 수 있다(1). 이와 같은 특성 때문에 블룸라인 PFL은 다양한 고전압 펄스 응용분야에서 이용되었다(2-3). 최근에 초광대역(UWB : Ultra Wide Band) 전자기 펄스(EMP : Electromagnetic Pulse)가 전자 및 전력 기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위하여 블룸라인 PFL을 이용한 실험실 규모의 고전압 UWB EMP 발생장치가 개발되었다(4). UWB 출력의 고주파 성분은 출력 전압 펄스의 상승시간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이상적인 블룸라인 PFL은 UWB 펄스 발생 장치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이다. 그러나 실제의 블룸라인 PFL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내부에 존재하는 인덕턴스 때문에 출력 펄스의 상승시간은 상당히 길어진다. 그 결과, 펄스의 주파수 대역폭은 감소하여 UWB 출력을 얻을 수 없다(4). 출력 펄스의 상승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전자기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CST Microwave Studio)로 설계된 피킹 스위치(Peaking Switch)가 사용되었는데 이것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참고문헌 (5)에 기술되어 있다.

피킹 스위치는 수 백 ps 정도의 매우 빠른 상승시간의 출력 전압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설계된 일종의 고전압 스파크 갭(Spark Gap) 스위치로서 일반적으로 자가 방전으로 동작하며 충전 기체의 종류와 압력, 전극 갭 간격에 의하여 상승시간이 정해진다. 고전압 UWB 출력 펄스의 파형은 피킹 스위치의 동작 특성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피킹 스위치에 대한 이론적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피킹 스위치의 특성을 이론적으로 해석하기 위하여 여러 문헌에서 상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출력을 구하였다. 예컨대, 참고문헌(6)에서는 피킹 스위치를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와 아크 저항에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된 등가회로로 모델링하고 상용 소프트웨어(SIMPLORER)를 이용하여 등가회로를 시뮬레이션하고 출력 펄스의 상승시간을 계산하였다. 이와 달리, 본 논문에서는 같은 등가회로로부터 아크 전류 및 저항 그리고 출력 전압 등의 세 가지 변수에 대한 지배 방정식들을 유도하고 고전적인 4차 Runge-Kutta 방법으로 이 연립 상미분 방정식을 직접 풀어서 피킹 스위치의 특성을 해석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2장에서 블룸라인 PFL과 피킹 스위치의 간략한 개념도와 등가회로의 지배 방정식을 설명한다. 피킹 스위치가 동작할 때 발생하는 아크의 저항 특성은 출력 파형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므로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Rompe-Weizel 아크 저항 모델을 설명한다. 또한 지배 방정식들의 해를 구하는 도구로 사용되는 4차 Ruge-Kutta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3장에서 상승시간과 관련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결론에서 피킹 스위치의 동작 특성을 요약한다.

2. 피킹 스위치 등가회로 및 Runge-Kutta 법

본 논문의 연구 목표는 피킹 스위치에 의하여 블룸라인 PFL 출력 파형의 상승시간이 단축되는 현상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규명하는 것이다. 2장에서는 시뮬레이션에 사용되는 방정식들을 등가회로로부터 유도하고 방정식의 해를 고전적인 4차 Runge-Kutta 방법을 이용하여 수치적으로 구한다.

2.1 피킹 스위치 등가회로

그림 1은 블룸라인 PFL과 피킹 스위치의 간단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참고문헌(5)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스템의 내부 인덕턴스 때문에 블룸라인 PFL의 출력 파형은 충분히 빠르게 상승할 수가 없다. 그 결과, 블룸라인 PFL 만을 이용하여 UWB 신호를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출력 파형의 느린 상승시간을 단축시키는 피킹 스위치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약 300 kV의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피킹 스위치의 등가회로는 그림 2와 같이 표현된다(6). 블룸라인 PFL의 출력 전압은 피킹 스위치의 입력 전압(vi)이고 피킹 스위치의 출력 전압(vo)은 임피던스가 Z0인 UWB 안테나에 인가된다. 여기서, SW는 이상적인 스위치로서 피킹 스위치가 동작하기 전에는 SW는 열린 상태이고 피킹 스위치는 하나의 커패시터(커패시턴스: C)로 취급된다. 피킹 스위치가 동작하면 SW는 닫힌 상태로 변하고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 채널은 저항(저항: R)과 인덕터(인덕턴스: L)로 모델링된다.

그림. 1. 블룸라인 PFL과 피킹 스위치 개념도

Fig. 1. Conceptual diagram of Blumlein PFL and peaking switch

../../Resources/kiee/KIEE.2020.69.2.309/fig1.png

등가회로의 지배 방정식은 SW 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미분 방정식($t$:시간)으로 표현된다.

이 상태는 피킹 스위치 내에서 충전 기체의 절연이 유지되어 방전이 전혀 일어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C, L, $Z_{0}$은

그림. 2. 피킹 스위치 등가회로

Fig. 2. Equivalent circuit of the peaking switch

../../Resources/kiee/KIEE.2020.69.2.309/fig2.png

(a) SW 열린 상태:

(1)
$\dfrac{dv_{o}}{dt}=-\dfrac{v_{o}}{CZ_{o}}+\dfrac{dv_{i}}{dt}$

상수이고 다음에 설명할 바와 같이 입력 전압은 가우시안(Gaussian) 함수로 가정하므로 식(1)로부터 출력 전압을 쉽게 구할 수 있다.

(b) SW 닫힌 상태:

(2)
$\dfrac{dv_{o}}{dt}=-\dfrac{v_{o}}{CZ_{o}}+\dfrac{i_{R}}{C}+\dfrac{dv_{i}}{dt}$

(3)
$\dfrac{di_{R}}{dt}=-\dfrac{1}{L}\left(v_{o}+i_{R}R-v_{i}\right)$

이 상태는 전극 사이에 방전이 발생하여 아크 전류($i_{R}$)가 흐르는 상태를 나타낸다. 식(2)식(3)을 풀기 위해서 C, L, $Z_{0}$, $v_{i}$와 더불어 아크 저항을 알아야 한다. 아크 저항은 일반적으로 시간의 함수로서 전류, 전극 사이의 거리, 충전 기체의 압력 등과 같은 물리적 변수에 의해 결정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피킹 스위치는 일종의 스파크 갭 스위치이므로 갭 스위치의 아크 저항에 대하여 이미 알려진 모델들을 이용하여 피킹 스위치의 동작 특성을 해석할 수 있다. 시간의 함수로 표현되는 아크 저항에 대한 이론적 혹은 실험적 모델로서 Kushner, Toepler, Rompe-Weizel, Vlastos, Sorensen-Ristic, Braginskii 모델 등이 잘 알려져 있으며 이것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참고문헌(7)에 기술되어 있다. 이 중에서 Rompe-Weizel 모델은 피킹 스위치에 가장 적절한 것으로 간주된다(6). 이 모델에서는 아크 플라즈마의 내부 에너지만을 고려한 에너지 평형 방정식으로부터 아래와 같은 아크 저항이 유도된다.

(4)
$R(t)=d\left(\dfrac{p}{2a\int i_{R}^{2}dt}\right)^{1/2}$

여기서 $d$는 전극 사이 거리, $p$는 압력이다. 상수 $a$는 질소의 경우 $a=0.8\sim 1 atm\bullet cm^{2}/\left(s\bullet V^{2}\right)$이다(8). 식(4)를 미분 방정식으로 변환하면 식(5)를 얻을 수 있다.

(5)
$\dfrac{d R}{dt}=-\dfrac{a}{d^{2}p}i_{R}^{2}R^{3}$

식(2), 식(3), 그리고 식(5)의 연립 상미분 방정식을 풀면 피킹 스위치에 아크 전류가 흐를 때의 출력 전압을 구할 수 있다.

2.2 고전적인 4차 Runge-Kutta 법

식(1)의 단일 1차 상미분 방정식과 식(2), 식(3), 식(5)으로 구성된 연립 1차 상미분 방정식은 초기치 문제에 해당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소위 고전적인 4차 Runge-Kutta 방법을 이용하여 해를 구한다. 단일 1차 상미분 방정식에 대한 Runge-Kutta 식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이 식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비교적 복잡한 식(2), 식(3), 식(5)에 대한 Runge-Kutta 식을 기술한다. $v_{o}$, $i_{R}$, $R$을 $y_{1}$, $y_{2}$, $y_{3}$로 치환하면 식(2), 식(3), 식(5)의 연립 1차 상미분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6)
$\dfrac{dy_{1}}{dt}=f_{1}\left(t ,\: y_{1},\: y_{2},\: y_{3}\right)$

(7)
$\dfrac{dy_{2}}{dt}=f_{2}\left(t ,\: y_{1},\: y_{2},\: y_{3}\right)$

(8)
$\dfrac{dy_{3}}{dt}=f_{3}\left(t ,\: y_{1},\: y_{2},\: y_{3}\right)$

$t_{i}\le t\le t_{i+1}$ 구간에서 4차 Runge-Kutta 방법을 적용하면 식(6), 식(7), 식(8)의 수치적 해는 다음과 같다.

(9)
$y_{i+1,\:1}=y_{i,\:1}+\dfrac{1}{6}\left(k_{1,\:1}+2k_{2,\:1}+2k_{3,\:1}+k_{4,\:1}\right)h$

(10)
$y_{i+1,\:2}=y_{i,\:2}+\dfrac{1}{6}\left(k_{1,\:2}+2k_{2,\:2}+2k_{3,\:2}+k_{4,\:2}\right)h$

(11)
$y_{i+1,\:3}=y_{i,\:3}+\dfrac{1}{6}\left(k_{1,\:3}+2k_{2,\:3}+2k_{3,\:3}+k_{4,\:3}\right)h$

여기서 $k_{1,\:1}$, $k_{1,\:2}$, $k_{1,\:3}$은 $t=t_{i}$에서 $y_{1}$, $y_{2}$, $y_{3}$의 기울기, $k_{2,\:1}$, $k_{2,\:2}$, $k_{2,\:3}$은 $t=t_{i}+h/2$에서 $y_{1}$, $y_{2}$, $y_{3}$ 기울기의 첫 번째 추정 값, $k_{3,\:1}$, $k_{3,\:2}$, $k_{3,\:3}$은 $t=t_{i}+h/2$에서 $y_{1}$, $y_{2}$, $y_{3}$ 기울기의 두 번째 추정 값, $k_{4,\:1}$, $k_{4,\:2}$, $k_{4,\:3}$은 $t=t_{i+1}$에서 $y_{1}$, $y_{2}$, $y_{3}$ 기울기의 추정 값을 나타낸다. 이 값들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k_{1,\:1}=f_{1}\left(t_{i},\: y_{i,\:1},\: y_{i,\:2},\: y_{i,\:3}\right)$$ $$k_{1,\:2}=f_{2}\left(t_{i},\: y_{i,\:1},\: y_{i,\:2},\: y_{i,\:3}\right)$$ $$k_{1,\:3}=f_{3}\left(t_{i},\: y_{i,\:1},\: y_{i,\:2},\: y_{i,\:3}\right)$$ $$k_{2,\:1}=f_{1}\left(t_{i}+\dfrac{h}{2},\:y_{i,\:1}+\dfrac{k_{1,\:1}h}{2},\:y_{i,\:2}+\dfrac{k_{1,\:2}h}{2},\:y_{i,\:3}+\dfrac{k_{1,\:3}h}{2}\right)$$ $$k_{2,\:2}=f_{2}\left(t_{i}+\dfrac{h}{2},\:y_{i,\:1}+\dfrac{k_{1,\:1}h}{2},\:y_{i,\:2}+\dfrac{k_{1,\:2}h}{2},\:y_{i,\:3}+\dfrac{k_{1,\:3}h}{2}\right)$$ $$k_{2,\:3}=f_{3}\left(t_{i}+\dfrac{h}{2},\:y_{i,\:1}+\dfrac{k_{1,\:1}h}{2},\:y_{i,\:2}+\dfrac{k_{1,\:2}h}{2},\:y_{i,\:3}+\dfrac{k_{1,\:3}h}{2}\right)$$ $$k_{3,\:1}=f_{1}\left(t_{i}+\dfrac{h}{2},\:y_{i,\:1}+\dfrac{k_{2,\:1}h}{2},\:y_{i,\:2}+\dfrac{k_{2,\:2}h}{2},\:y_{i,\:3}+\dfrac{k_{2,\:3}h}{2}\right)$$ $$k_{3,\:2}=f_{2}\left(t_{i}+\dfrac{h}{2},\:y_{i,\:1}+\dfrac{k_{2,\:1}h}{2},\:y_{i,\:2}+\dfrac{k_{2,\:2}h}{2},\:y_{i,\:3}+\dfrac{k_{2,\:3}h}{2}\right)$$ $$k_{3,\:3}=f_{3}\left(t_{i}+\dfrac{h}{2},\:y_{i,\:1}+\dfrac{k_{2,\:1}h}{2},\:y_{i,\:2}+\dfrac{k_{2,\:2}h}{2},\:y_{i,\:3}+\dfrac{k_{2,\:3}h}{2}\right)$$ $$k_{4,\:1}=f_{1}\left(t_{i}+h,\:y_{i,\:1}+k_{3,\:1}h,\:y_{i,\:2}+k_{3,\:2}h,\:y_{i,\:3}+k_{3,\:3}h\right)$$ $$k_{4,\:2}=f_{2}\left(t_{i}+h,\:y_{i,\:1}+k_{3,\:1}h,\:y_{i,\:2}+k_{3,\:2}h,\:y_{i,\:3}+k_{3,\:3}h\right)$$ $$k_{4,\:3}=f_{3}\left(t_{i}+h,\:y_{i,\:1}+k_{3,\:1}h,\:y_{i,\:2}+k_{3,\:2}h,\:y_{i,\:3}+k_{3,\:3}h\right)$$

3. 피킹 스위치 시뮬레이션

3.1 SW 열린 상태 시뮬레이션

식(1)의 수치적 해를 구하기 위하여 우선, C, $Z_{0}$, $v_{i}$의 값을 알아야 한다. 참고문헌(5)에 기술되어 있듯이 임피던스 정합 피킹 스위치의 구조는 매우 복잡하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내부 도체 즉 전극은 지름 20 mm, 길이 20 mm의 원통형 도체와 지름이 20 mm부터 증가하는 쐐기형 도체로 구성된다. 입력과 출력 전극의 원통형 도체의 모양은 동일하지만 쐐기형 도체의 모양은 다르다. 외부 도체는 내부가 원형 모양으로 뚫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원통형 전극 주변에서는 내부 지름 48 mm, 길이 40.62 mm이고 그 밖에서는 내부 지름이 증가한다. 특히 출력 전극과 안테나 사이에서임피던스 변화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쐐기형 출력 전극 주위에 유전체가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작한 구조에서 C 값을 해석적으로 구할 수 없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다른 문헌(6)을 참고하여 C=2∼10 pF 정도로 가정한다. $Z_{0}$는 블룸라인 PFL의 특성 임피던스와 같은 50 Ω이다. 그림 3에 도시되어 있듯이 피킹 스위치의 입력 전압 파형은 가우시안 펄스와 유사하므로 시뮬레이션 편의상 입력 전압을 식(12)의 가우시안 펄스로 가정한다.

(12)
$v_{i}(t)=V_{i0}e^{-\dfrac{t^{2}}{2\sigma^{2}}}$

여기서 $\sigma =\Delta t/(2\sqrt{2\ln 2})$, $\Delta t$는 펄스폭이다. 그림 3에서 $V_{i0}$=230 kV, $\Delta t$=7 ns이다.

다음은 이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t_{on}$)을 계산한다. 물리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시간이 $t_{on}$까지 경과될 동안 커패시터를 통하여 변위 전류가 흐르고 스위치의 전극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v_{c}$)은 절연파괴 전압($v_{b}$)에 도달할 때까지 상승한다. 파센(Paschen) 법칙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절연파괴 전압은 전극 사이 거리와 기체 압력의 함수이지만 실제 피킹 스위치에 대하여 절연파괴 전압을 이론적으로 유도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림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실험적으로 측정한 데이터를 사용한다. 여기서 d=3 mm이고 충전 기체는 SF6(25%)와 N2(75%)의 혼합 기체이다. 커브 피팅(curve fitting) 법을 이용하여 실험 데이터를 2차 다항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3. 피킹 스위치 입력 전압 펄스.

Fig. 3. Input voltage pulse to the peaking switch.

../../Resources/kiee/KIEE.2020.69.2.309/fig3.png

(13)
$v_{b}=132.3095+1.2041p+0.4694p^{2}$

그림. 4. 피킹 스위치의 압력 대 절연파괴 전압

Fig. 4. Pressure versus breakdown voltage of the peaking switch

../../Resources/kiee/KIEE.2020.69.2.309/fig4.png

3.2 SW 닫힌 상태 시뮬레이션

SW 닫히면 인덕터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므로 시뮬레이션을 하려면 L 값을 정해야 한다.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피킹 스위치의 구조는 복잡하여 정확한 L 값을 계산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축 전송선로로 가정할 수 있는 원통형 전극 영역만을 계산한다. 이 경우 L은 두 가지 인덕턴스의 합이 된다. 첫째는 아크 채널의 인덕턴스($L_{{arc}}$)이고 둘째는 원통형 전극의 인덕턴스($L_{e}$)이다. 스파크 갭 스위치의 방전 채널에서 $L_{{arc}}$는 다음과 같다(10).

(14)
$L_{{arc}}=200d\times\ln\left(\dfrac{r_{o}}{r_{i}}\right)[n H]$

여기서 $r_{o}$와 $r_{i}$는 각각 동축 전송선로의 외부 도체의 내부 반경과 내부 도체 반경이다. 식(14)에서 갭 간격 d 대신에 전극의 길이(l)를 대입하면 $L_{e}$ 값을 계산할 수 있다. d=3 mm, l=40 mm, $r_{o}$=48 mm, $r_{i}$=20 mm이므로 L=7.5 nH이다. 이와 더불어 쐐기형 전극 영역의 인덕턴스를 고려하여 피킹 스위치 전체의 인덕턴스를 L=7∼15 nH 정도로 가정한다. 이 값이 정해지면 식(9), 식(10), 식(11)을 이용하여 식(2), 식(3), 식(5)의 근사해를 구한다. 계산 시작 시간은 $t_{s}=t_{on}$, 계산 종료 시간은 $t_{f}$=20 ns, 계산 간격은 $\Delta t$=1 ps이다.

3.3 시뮬레이션 결과

그림 5(a)는 여러 가지 전압 파형에 대한 전형적인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나타낸다. 여기서 검정색 점선은 가우시안 입력 전압(vin), 검정색 실선은 출력 전압(vout), 붉은색 실선은 전극 사이의 갭 전압(vgap)이다. $t_{s}$(=9.49 ns)는 기체의 절연 파괴 시간이므로 시간 $t=0\sim t_{s}$ 동안 피킹 스위치 내에 아크 채널은 형성되지 않지만 무시할 수 없는 크기의 소위 프리펄스(prepulse) 출력 전압을 볼 수 있다. 프리펄스는 커패시터를 통하여 흐르는 변위 전류($i_{C}$) 때문에 발생된다. 이 때 변위 전류는 출력 전류가 되므로 출력 전압은 $v_{out}=Z_{o}i_{C}$이다.

그림. 5. 여러 가지 전압 파형과 아크 저항.

Fig. 5. Various voltage waveforms and arc resistance.

../../Resources/kiee/KIEE.2020.69.2.309/fig5.png

시간 $t=t_{s}$에서 갭 전압이 식(13)의 절연 파괴 전압($v_{b}$)과 같으므로 전극 사이에서 방전이 시작한다. 이 때 부터 아크 저항은 그림 5(b)처럼 무한대(계산 편의상 10 kΩ)에서 영으로 매우 빠르게 변한다. 또한, 그림 5(a)에서 볼 수 있듯이 갭 전압이 감소함에 따라 출력 전압은 급속하게 증가한다. 그 결과 입력 전압과 비교하여 출력 전압의 상승시간이 엄청나게 단축된다. 일반적으로 상승시간은 파형의 최대치 10 %에서 90 %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이 정의에 따르면 가우시안 입력 전압의 상승시간은 약 5 ns이다. 그러나 가우시안 파형과 다르게 출력 파형은 단조롭게 변하지 않으므로 위의 정의를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프리펄스 후 급속하게 변하는 출력 파형의 선두 부분의 10 %에서 90 %로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출력 전압의 상승시간으로 정의한다. 이 정의에 따라 그림 5의 출력 전압의 상승시간은 약 490 ps로 측정되므로 피킹 스위치를 통하여 입력 전압의 상승시간은 약 1/10로 줄었다.

압력이 증가하면 갭 전압이 절연 파괴 전압에 도달하는데 더 긴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프리펄스의 지속 시간이 길어진다. 그러므로 압력이 변하면 출력 전압의 상승시간은 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을 자세히 조사하기 위하여 압력을 p=10∼17 기압 범위에서 변화시키면서 출력 전압의 상승시간을 측정하였다. 그림 6그림 7은 각각 출력 전압 파형과 프리펄스 후 상승시간의 변화를 나타낸다. 여기서 압력이 증가하면 상승시간은 감소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프리펄스 후 아크 저항은 급속하게 감소하므로 출력 전압은 빠르게 증가한다. 다시 말해서 상승시간은 아크 저항과 관련이 있다. 보통 아크 저항은 압력에 따라 다르므로 압력과 상승시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크 저항의 특성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그림 8식(4)의 Rompe-Weizel 아크 저항 특성을 압력 별로 나타낸다. 압력에 따라 아크 저항이 얼마나 빠르게 감소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강시간을 계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편의상 하강시간을 저항의 최대치에서 10 %로 하강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정의한다. 그림 9에서 볼 수 있듯이 압력이 증가하면 하강시간은 감소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아크 저항의 특성 때문에 압력이 증가하면 상승시간이 감소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림. 6. 압력에 따른 출력 전압 파형의 변화.

Fig. 6.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waveform by pressure.

../../Resources/kiee/KIEE.2020.69.2.309/fig6.png

그림. 7. 압력 대 출력 전압의 상승시간.

Fig. 7. Pressure versus the rise time of the output voltage.

../../Resources/kiee/KIEE.2020.69.2.309/fig7.png

그림. 8. 압력별 아크 저항의 특성.

Fig. 8. Characteristics of the arc resistance by pressure.

../../Resources/kiee/KIEE.2020.69.2.309/fig8.png

그림. 9. 압력 대 아크 저항의 하강시간.

Fig. 9. Pressure versus the fall time of the arc resistance.

../../Resources/kiee/KIEE.2020.69.2.309/fig9.png

그림. 10. 커패시턴스에 따른 프리펄스 파형의 변화.

Fig. 10. Change of the prepulse waveform by capacitance.

../../Resources/kiee/KIEE.2020.69.2.309/fig10.png

그림. 11. 커패시턴스 대 출력 전압의 상승시간.

Fig. 11. Capacitance versus risetime of the output voltage.

../../Resources/kiee/KIEE.2020.69.2.309/fig11.png

그림. 12. 인덕턴스 대 출력 전압의 상승시간.

Fig. 12. Inductance versus risetime of the output voltage.

../../Resources/kiee/KIEE.2020.69.2.309/fig12.png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피킹 스위치의 커패시턴스와 인덕턴스를 정확하게 구할 수 없으므로 이것들의 변화가 계산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우선 커패시턴스를 변화시키면서 구한 출력 전압 파형의 프리펄스와 상승시간을 그림 10그림 11에 제시한다. 그림 10에서 볼 수 있듯이 커패시턴스가 증가하면 프리펄스의 크기도 증가한다. 이것은 변위 전류가 커패시턴스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이다. 그림 11은 커패시턴스 C=3∼10 pF 범위에서 계산한 출력 전압의 상승시간을 나타낸다. 여기서 C 값이 증가하면 상승시간이 증가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음은 인덕턴스 L=7∼15 nH 범위에서 구한 상승시간을 그림 12에 제시한다. 여기서도 커패시턴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L 값이 증가하면 상승시간이 증가한다.

3. 결 론

피킹 스위치의 입력과 출력 전압의 상승시간 변화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피킹 스위치를 직렬 연결된 저항과 인덕터 그리고 이 소자들에 병렬 연결된 커패시터로 구성된 등가회로로 취급하였다. 저항과 인덕터는 스위치가 동작할 때 생성되는 아크 채널을 나타내고 커패시터는 아크 채널 생성 전의 상태를 의미한다. 아크 채널의 특성을 결정하는 인자 중의 하나인 아크 저항으로 Rompe-Weizel 모델을 선택하였다. 등가회로로부터 유도된 출력 전압, 아크 저항 및 전류에 대한 상미분 방정식들을 4차 Runge-Kutta 법을 이용하여 풀었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갭 전압이 절연 파괴 전압에 도달하기 전까지 변위 전류로 인하여 프리펄스 출력 전압이 발생한다. 이 후 출력 전압은 매우 짧은 시간(<1 ns) 내에 입력 전압과 거의 같아지므로 입력 전압과 비교하면 출력 전압의 상승시간은 매우 단축된다. 상승시간이 단축되는 정도는 압력에 따라 다르다. 압력이 증가하면 상승시간은 단축되는데 이것은 압력이 높을수록 저항 값이 더 빠르게 하강하는 Rompe-Weizel 아크 저항 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커패시턴스가 증가하면 프리펄스의 크기와 상승시간은 증가한다. 또한 인덕턴스가 증가하면 상승시간은 증가한다. 따라서 피킹 스위치의 우수한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커패시턴스와 인덕턴스가 작은 값이 되도록 전극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References

1 
A. D. Blumlein, 1947,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al impulses, GB Patent 589 127Google Search
2 
V. P. Singal, B. S. Narayan, K. Nanu, P. H. Ron, Mar 2001, Development of a Blumlein based on helical line storage elements, Rev. Sci. Instrum., Vol. 72, No. 3, pp. 1862-1868DOI
3 
D. V. Giri, 2004, High Power Electromagnetic Radiators, Harvard University, LondonGoogle Search
4 
Y. S. Jin, S. W. Lim, C. H. Cho, J. S. Kim, S. H. Lee, Y. Roh, Apr 2012, High voltage ultrawide band pulse generator using Blumlein pulse forming line, Rev. Sci. Instrum., Vol. 83, pp. 044704-1-044704-5DOI
5 
Y. Roh, Y. S. Jin, C. H. Cho, S. W. Lim, Sep 2012, A peaking switch to generate a high voltage pulse of sub-nanosecond rise time, Trans. KIEE, Vol. 61, No. 9, pp. 1300-1305DOI
6 
X. Wang, H. Luo, Y. Hu, Jul 2007, Numerical Simulation of the Gas Discharge in a Gas Peaking Switch, IEEE Trans. Plasma Sci., Vol. 35, No. 3, pp. 702-708DOI
7 
R. Montano, 2006, Resistance of Spark Channels, IEEE Trans. Plasma Sci., Vol. 34, pp. 1610-1619DOI
8 
G. A. Mesyats, 2005, Pulsed Power, New York: SpringerGoogle Search
9 
S. C. Chapra, R. P. Canale, 2006, Numerical Methods for Engineers 5, Mcgraw-Hill International EditionGoogle Search
10 
J. M. Lehr, C. E. Baum, W. D. Prather, R. J. Torres, 1999, Fundamental Physical Considerations for Ultrafast Spark Gap Switching, Ultra-Wideband, Short-Pulse Electro- magnetics 4, New York: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DOI

저자소개

노영수 (Young-Su Roh)
../../Resources/kiee/KIEE.2020.69.2.309/au1.png

He received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84 and 1986, respectively.

He received a Ph.D. degree in Applied Science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in 2001.

From 1988 to 1996, he worked at the Korea Electricity Research Institute.

He is now a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His research fields are plasma physics and electrical dischar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