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연구 목표는 피킹 스위치에 의하여 블룸라인 PFL 출력 파형의 상승시간이 단축되는 현상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규명하는 것이다. 2장에서는
시뮬레이션에 사용되는 방정식들을 등가회로로부터 유도하고 방정식의 해를 고전적인 4차 Runge-Kutta 방법을 이용하여 수치적으로 구한다.
2.1 피킹 스위치 등가회로
그림 1은 블룸라인 PFL과 피킹 스위치의 간단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참고문헌(5)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스템의 내부 인덕턴스 때문에 블룸라인 PFL의 출력 파형은 충분히 빠르게 상승할 수가 없다. 그 결과, 블룸라인
PFL 만을 이용하여 UWB 신호를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출력 파형의 느린 상승시간을 단축시키는 피킹 스위치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약 300 kV의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피킹 스위치의 등가회로는 그림 2와 같이 표현된다(6). 블룸라인 PFL의 출력 전압은 피킹 스위치의 입력 전압(vi)이고 피킹 스위치의 출력 전압(vo)은 임피던스가 Z0인 UWB 안테나에 인가된다.
여기서, SW는 이상적인 스위치로서 피킹 스위치가 동작하기 전에는 SW는 열린 상태이고 피킹 스위치는 하나의 커패시터(커패시턴스: C)로 취급된다.
피킹 스위치가 동작하면 SW는 닫힌 상태로 변하고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 채널은 저항(저항: R)과 인덕터(인덕턴스: L)로 모델링된다.
그림. 1. 블룸라인 PFL과 피킹 스위치 개념도
Fig. 1. Conceptual diagram of Blumlein PFL and peaking switch
등가회로의 지배 방정식은 SW 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미분 방정식($t$:시간)으로 표현된다.
이 상태는 피킹 스위치 내에서 충전 기체의 절연이 유지되어 방전이 전혀 일어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C, L, $Z_{0}$은
그림. 2. 피킹 스위치 등가회로
Fig. 2. Equivalent circuit of the peaking switch
(a) SW 열린 상태:
상수이고 다음에 설명할 바와 같이 입력 전압은 가우시안(Gaussian) 함수로 가정하므로 식(1)로부터 출력 전압을 쉽게 구할 수 있다.
(b) SW 닫힌 상태:
이 상태는 전극 사이에 방전이 발생하여 아크 전류($i_{R}$)가 흐르는 상태를 나타낸다. 식(2)와 식(3)을 풀기 위해서 C, L, $Z_{0}$, $v_{i}$와 더불어 아크 저항을 알아야 한다. 아크 저항은 일반적으로 시간의 함수로서 전류, 전극 사이의
거리, 충전 기체의 압력 등과 같은 물리적 변수에 의해 결정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피킹 스위치는 일종의 스파크 갭 스위치이므로 갭 스위치의 아크 저항에 대하여 이미 알려진 모델들을 이용하여 피킹 스위치의 동작
특성을 해석할 수 있다. 시간의 함수로 표현되는 아크 저항에 대한 이론적 혹은 실험적 모델로서 Kushner, Toepler, Rompe-Weizel,
Vlastos, Sorensen-Ristic, Braginskii 모델 등이 잘 알려져 있으며 이것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참고문헌(7)에 기술되어 있다. 이 중에서 Rompe-Weizel 모델은 피킹 스위치에 가장 적절한 것으로 간주된다(6). 이 모델에서는 아크 플라즈마의 내부 에너지만을 고려한 에너지 평형 방정식으로부터 아래와 같은 아크 저항이 유도된다.
여기서 $d$는 전극 사이 거리, $p$는 압력이다. 상수 $a$는 질소의 경우 $a=0.8\sim 1 atm\bullet cm^{2}/\left(s\bullet
V^{2}\right)$이다(8). 식(4)를 미분 방정식으로 변환하면 식(5)를 얻을 수 있다.
식(2), 식(3), 그리고 식(5)의 연립 상미분 방정식을 풀면 피킹 스위치에 아크 전류가 흐를 때의 출력 전압을 구할 수 있다.
2.2 고전적인 4차 Runge-Kutta 법
식(1)의 단일 1차 상미분 방정식과 식(2), 식(3), 식(5)으로 구성된 연립 1차 상미분 방정식은 초기치 문제에 해당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소위 고전적인 4차 Runge-Kutta 방법을 이용하여 해를 구한다.
단일 1차 상미분 방정식에 대한 Runge-Kutta 식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이 식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비교적 복잡한 식(2), 식(3), 식(5)에 대한 Runge-Kutta 식을 기술한다. $v_{o}$, $i_{R}$, $R$을 $y_{1}$, $y_{2}$, $y_{3}$로 치환하면 식(2), 식(3), 식(5)의 연립 1차 상미분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t_{i}\le t\le t_{i+1}$ 구간에서 4차 Runge-Kutta 방법을 적용하면 식(6), 식(7), 식(8)의 수치적 해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k_{1,\:1}$, $k_{1,\:2}$, $k_{1,\:3}$은 $t=t_{i}$에서 $y_{1}$, $y_{2}$, $y_{3}$의
기울기, $k_{2,\:1}$, $k_{2,\:2}$, $k_{2,\:3}$은 $t=t_{i}+h/2$에서 $y_{1}$, $y_{2}$, $y_{3}$
기울기의 첫 번째 추정 값, $k_{3,\:1}$, $k_{3,\:2}$, $k_{3,\:3}$은 $t=t_{i}+h/2$에서 $y_{1}$, $y_{2}$,
$y_{3}$ 기울기의 두 번째 추정 값, $k_{4,\:1}$, $k_{4,\:2}$, $k_{4,\:3}$은 $t=t_{i+1}$에서 $y_{1}$,
$y_{2}$, $y_{3}$ 기울기의 추정 값을 나타낸다. 이 값들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k_{1,\:1}=f_{1}\left(t_{i},\: y_{i,\:1},\: y_{i,\:2},\: y_{i,\:3}\right)$$
$$k_{1,\:2}=f_{2}\left(t_{i},\: y_{i,\:1},\: y_{i,\:2},\: y_{i,\:3}\right)$$
$$k_{1,\:3}=f_{3}\left(t_{i},\: y_{i,\:1},\: y_{i,\:2},\: y_{i,\:3}\right)$$
$$k_{2,\:1}=f_{1}\left(t_{i}+\dfrac{h}{2},\:y_{i,\:1}+\dfrac{k_{1,\:1}h}{2},\:y_{i,\:2}+\dfrac{k_{1,\:2}h}{2},\:y_{i,\:3}+\dfrac{k_{1,\:3}h}{2}\right)$$
$$k_{2,\:2}=f_{2}\left(t_{i}+\dfrac{h}{2},\:y_{i,\:1}+\dfrac{k_{1,\:1}h}{2},\:y_{i,\:2}+\dfrac{k_{1,\:2}h}{2},\:y_{i,\:3}+\dfrac{k_{1,\:3}h}{2}\right)$$
$$k_{2,\:3}=f_{3}\left(t_{i}+\dfrac{h}{2},\:y_{i,\:1}+\dfrac{k_{1,\:1}h}{2},\:y_{i,\:2}+\dfrac{k_{1,\:2}h}{2},\:y_{i,\:3}+\dfrac{k_{1,\:3}h}{2}\right)$$
$$k_{3,\:1}=f_{1}\left(t_{i}+\dfrac{h}{2},\:y_{i,\:1}+\dfrac{k_{2,\:1}h}{2},\:y_{i,\:2}+\dfrac{k_{2,\:2}h}{2},\:y_{i,\:3}+\dfrac{k_{2,\:3}h}{2}\right)$$
$$k_{3,\:2}=f_{2}\left(t_{i}+\dfrac{h}{2},\:y_{i,\:1}+\dfrac{k_{2,\:1}h}{2},\:y_{i,\:2}+\dfrac{k_{2,\:2}h}{2},\:y_{i,\:3}+\dfrac{k_{2,\:3}h}{2}\right)$$
$$k_{3,\:3}=f_{3}\left(t_{i}+\dfrac{h}{2},\:y_{i,\:1}+\dfrac{k_{2,\:1}h}{2},\:y_{i,\:2}+\dfrac{k_{2,\:2}h}{2},\:y_{i,\:3}+\dfrac{k_{2,\:3}h}{2}\right)$$
$$k_{4,\:1}=f_{1}\left(t_{i}+h,\:y_{i,\:1}+k_{3,\:1}h,\:y_{i,\:2}+k_{3,\:2}h,\:y_{i,\:3}+k_{3,\:3}h\right)$$
$$k_{4,\:2}=f_{2}\left(t_{i}+h,\:y_{i,\:1}+k_{3,\:1}h,\:y_{i,\:2}+k_{3,\:2}h,\:y_{i,\:3}+k_{3,\:3}h\right)$$
$$k_{4,\:3}=f_{3}\left(t_{i}+h,\:y_{i,\:1}+k_{3,\:1}h,\:y_{i,\:2}+k_{3,\:2}h,\:y_{i,\:3}+k_{3,\:3}h\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