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Aerospace Information Engineering, Konkuk Univerity, Korea.)
  2. (Dept. of Aerospace Information Engineering, Konkuk Univerity, Korea.)



Path planning, RRT-star, Multicopter, Energy consumption

1. 서 론

무인 항공기는 조종사가 항공기 내부 또는 외부에서 무선으로 조종을 하지 않는 자동 비행 가능한 비행체를 의미한다. 무인 항공기는 고정익 무인항공기와 회전익 무인항공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고정익 무인항공기는 넓은 임무 범위와 높은 적재 중량을 가지지만 일정 속도 이상으로 계속 이동하여야하기 때문에 한 지점을 오랫동안 관찰하거나 실내와 같이 좁은 지역을 비행하는 것은 다소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회전익 무인항공기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멀티콥터는 적재 중량이 적고, 배터리 지속 시간이 짧아 좁은 임무 범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정지 비행이 가능하여 한 지점에서 오랫동안 임무를 수행하거나 좁은 지역에서도 비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활용하여 현재 멀티콥터는 군사적 목적뿐만 아니라 산업 구조 감시, 농업, 택배 등 많은 민간 분야에서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1].

한편, 멀티콥터는 앞서 언급하였듯 임무 지속 시간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대부분은 멀티콥터에서 사용하고 있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의 성능에 의해 보통 30분 이내로 비행시간이 제한된다.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카본 프레임을 활용한 기체의 경량화[2], 추진 계통 성능 향상[3]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알고리즘 단위에서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자 하는 목적으로 path planning 기법을 활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 path planning 연구는 이동체가 이동 가능한 길 또는 이동 불가능한 장애물 등이 주어졌을 때 최적의 길을 찾기 위한 알고리즘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래프 탐색 기반의 경로 계획으로 Dijkstra’s Algorithm[4], A* Algorithm[5] 연구 등이 있었고, 샘플링 기반의 경로 계획으로 RRT[6], RRT-star[7]를 활용한 알고리즘이 연구되었다. 이외에도 spline curves[8], polynomial curves[9] 등 보간 곡선을 활용한 경로 계획 등이 연구되었다. 한편 무인 항공기의 실질적인 적용을 위해 동적 한계 및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경로 계획도 연구되었다. 참고 문헌 [10]는 특정 지역 전체를 커버하는 경로 계획을 소개한다. 경로 계획 중 실험을 통해 얻은 쿼드콥터의 기동 별 에너지 소모 등을 반영하여 에너지 소모가 적은 기동을 많이 포함하는 경로를 선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수치 실험 및 실제 비행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참고 문헌 [11]는 DC 모터의 전력 모델과 쿼드콥터의 동역학 모델을 소개하며, 쿼드콥터의 초기 및 최종 상태가 주어졌을 때 네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에 대한 최적 제어 기법을 사용하여 에너지 소모를 최소로 하는 경로를 탐색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주어진 최종 상태가 다를 때, 기체의 무게가 다를 때 그리고 같은 에너지가 주어졌을 때 최소 시간 경로 탐색 등 여러 시나리오에 대한 수치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RRT* 알고리즘에 기반한 경로 계획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멀티콥터가 수행 가능한 동적 한계를 제시하고, 멀티콥터에 작용하는 공기 저항 등 외력에 기반한 에너지 소모 모델을 유도하여 에너지 소모 및 거리를 고려한 비용 함수를 제시한다. 또한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비용 함수에서 가중치의 변화에 따른 가상의 지도상에서 경로 계획 결과를 제시하고, 실제 실험에 의해 만들어진 지도상에서 경로 계획 결과를 제시한다. 2장에서 알고리즘 소개와 알고리즘 중 멀티콥터 동적 한계 판단 방법과 새롭게 제시하는 비용 산출 방법을 소개한다. 그리고 3장에서는 제시한 알고리즘의 경로 계획 시뮬레이션 결과 및 실제 지도 데이터를 활용한 경로 계획 결과를 제시하고, 4장에서 본 논문의 결론을 맺는다.

2. Path Planning 알고리즘

2.1 알고리즘 개요

그림. 1. Path planning 알고리즘 flow chart

Fig. 1. Path planning algorithm flow chart

../../Resources/kiee/KIEE.2020.69.2.362/fig1.png

최적 경로 생성 알고리즘은 Extend Spline-RRT* 알고리즘을 참고하여 작성되었다[12]. 그림 1은 알고리즘의 flow chart를 도시한다. Flow chart에서 트리의 node가 아닌 점은 $P$, 트리의 node인 점은 $x$로 나타내었다. $P$는 단순히 점의 위치만을 포함하고 있으며, $x$는 점의 위치, 방향, cost 및 parent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알고리즘 수행 전 주어진 point cloud 데이터는 Map Clustering 과정에서 사용자 지정 단위(cluster resolution)로 조직화한다. 이 과정에서 장애물이 각 Cluster 점유 여부를 판단하여 Cluster의 요소로 저장한다. 즉, 한 Cluster는 Cluster의 위치, 점유 여부의 2가지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알고리즘 중 Loop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횟수만큼 반복한다. 주요 하위 함수에는 Feasibility Check와 Cost 산출이 있다. Feasibility Check 함수는 spline을 생성하고 생성된 spline이 Map 안에 존재하는지(Edge 충돌 확인), 기체의 선회 반경 동적 한계 내에 존재하는 경로인지, 그리고 장애물과 충돌하지 않는지 판단한다. Cost 산출 함수는 한 spline을 선택하였을 때 소개할 원리에 따라 해당 경로가 소모하는 비용을 산출한다. 알고리즘 과정 중 Re-wiring 과정을 포함하여 비용 감소가 가능한 경로를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2.2 선회 반경 제한

그림. 2. 선회 시뮬레이션 경로

Fig. 2. Turning simulation path

../../Resources/kiee/KIEE.2020.69.2.362/fig2.png

그림. 3. 헥사콥터 모델

Fig. 3. Hexacopter model

../../Resources/kiee/KIEE.2020.69.2.362/fig3.png

멀티콥터는 고정익에 비해 동역학 특성에 따른 기동의 자유도가 높은 특징이 있으나, 선회 반경에 대한 동적 한계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선회 반경 동적 한계 판단은 Feasibility Check 함수에서 이루어진다. 멀티콥터의 선회 반경 제한을 설정하기 위해 MATLAB Simulink로 작성된 멀티콥터의 3차원 동역학식이 반영되어 있는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였다[13]. 시뮬레이션 상에서 위의 그림 2와 같은 선회 경로를 지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경로는 Dm 북쪽으로 이동한 후 R[m]의 반경을 가진 원 궤도를 돌아 다시 동쪽으로 D[m] 이동하는 경로이다. 제어기 및 유도기 성능을 최대한 배제하고 기체의 기동 한계를 시험하기 위해 간단한 경로를 지정하였다. 시뮬레이션의 대상 멀티콥터는 680급 헥사콥터이다. 680급 헥사콥터는 모터 축간 거리가 680mm인 헥사콥터로 정의되며, 위 그림 3의 헥사콥터 예시 그림에서 $l=680mm$인 헥사콥터이다. 비행속도는 실내 운용을 고려하여 수 m/s의 수준의 속도로 설정하였다.

2.2.1 시뮬레이션1(R=0.01m 회전반경 케이스)

그림. 4. 시뮬레이션1의 위치 결과

Fig. 4. Position of simulation 1

../../Resources/kiee/KIEE.2020.69.2.362/fig4.png

그림. 5. 시뮬레이션1의 자세 결과

Fig. 5. Attitude of simulation 1

../../Resources/kiee/KIEE.2020.69.2.362/fig5.png

경로 중 선회 반경인 R이 0.01m로 매우 작은 경우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그림 4그림 5는 각각 위치와 자세 결과를 도시한다. 경로에 대해서는 북쪽 방향으로 약 83cm의 오버슈트가 있다. 제어기 등의 성능을 고려하였을 때 큰 오차는 아니지만, 실내 비행을 염두에 두었을 때에는 허용 범위를 넘어선 오차라고 볼 수 있다. 자세의 경우 roll, pitch 모두 최대 28deg로, 시뮬레이션과 같은 크기의 멀티콥터를 사용한 [14]의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멀티콥터에 무리하지 않은 기동인 것으로 판단된다.

2.2.2 시뮬레이션2 (R=1m 회전반경 케이스)

경로 중 선회 반경인 R을 1m로 증가시켰을 때의 결과이다. 그림 6그림 7은 각각 위치와 자세 결과를 도시한다. 경로에 대해서는 북쪽 방향으로 38cm의 오버슈트가 있다. 기존 시뮬레이션 1의 결과보다 많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기체의 크기, 제어기 및 유도기의 추종 성능 그리고 실내 비행임을 고려하였을 때에도 허용 범위 내의 결과이다. 자세는 roll, pitch 모두 최대 22deg로 시뮬레이션1의 결과보다 감소하였지만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전반적으로 낮은 속도인 2m/s에서의 기동은 기체에 큰 무리가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종합하여 Feasibility Check 중 선회 반경 제한은 1m로 설정하였다.

그림. 6. 시뮬레이션2의 위치 결과

Fig. 6. Position of simulation 2

../../Resources/kiee/KIEE.2020.69.2.362/fig6.png

그림. 7. 시뮬레이션2의 자세 결과

Fig. 7. Attitude of simulation 2

../../Resources/kiee/KIEE.2020.69.2.362/fig7.png

2.3 충돌 판단

경로가 장애물과 충돌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Feasibility check 함수에는 충돌 판단이 포함되어 있다. 충돌 판단 알고리즘은 Map cluster의 점유 여부로 판단한다. 경로는 3차원 spline이 여러 개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이다. 한 spline은 20개의 직선(21개의 점)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림 8은 이 spline의 예시를 도시한다. 기체의 중심이 이 경로점들을 지나간다. 기체의 중심이 $<i,\: j,\: k>$ Cluster에 존재한다고 하면, $<i-1:i+1,\: j-1:j+1,\: k-1:k+1>$의 Cluster에 대하여 점유 여부를 판단한다. 그림 9는 점유 여부를 판단하는 cluster의 예시를 도시한다. 빨간색 큐브가 $<i,\: j,\: k>$ Cluster로 기체의 중심이 속해 있는 Cluster이고, 이를 포함한 총 27개의 큐브에 대해 점유 여부를 판단한다. 선회 반경이 1m일 때 38cm의 오버슈트가 있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고려하여 Cluster Resolution은 0.8m로 설정하였다. 이때 기체와 장애물이 가장 가까운 경우, 기체와 장애물 사이에 46cm(>38cm)의 여유가 있게 된다.

그림. 8. 경로를 이루는 spline 예시

Fig. 8. Example of spline forming a path

../../Resources/kiee/KIEE.2020.69.2.362/fig8.png

그림. 9. 점유 여부를 판단하는 cluster 예시

Fig. 9. Cluster example to determine occupation

../../Resources/kiee/KIEE.2020.69.2.362/fig9.png

2.4 Cost 산출

[14]의 제어기에서 목표 위치/속도가 실제 위치/속도와 일치하는 이상적인 제어 상태이고, 모터에 시간 지연이 없다고 가정하면 멀티콥터가 발생시키는 힘은 아래 식 (1)과 같다.

(1)
$$\overrightarrow{F}=C_{drag}· \|\overrightarrow{V}\| · \overrightarrow{V}$$

(2)
$$C_{drag}=\begin{bmatrix}C_{drag,\:x}& C_{drag,\:y}& C_{drag,\:z}\end{bmatrix},\:\overrightarrow{V}=\begin{bmatrix}V_{x}& V_{y}& V_{z}\end{bmatrix}^{T}$$

$\overrightarrow{F}$는 멀티콥터가 발생시키는 힘, $C_{drag}$는 각 성분이 각각 x, y, z 방향으로의 공기 저항 계수이다. 그리고 $\overrightarrow{V}$는 멀티콥터의 속도이고, 방향은 각 점에서 spline에 접한다. 에너지는 힘과 거리의 곱으로 나타내어지므로 한 경로가 정해졌을 때 임무 거리와 에너지 소모를 고려한 Cost는 식 (4)와 같다.

(3)
$$ E_{i}=\|\overrightarrow{F_{i}}\| \cdot s_{i} $$

(4)
$$Cost =\sum_{i=1}^{20}W_{1}· s_{i}+ W_{2}· E_{i}$$

$W_{1}$, $W_{2}$는 거리 및 에너지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낸다. $W_{1}$이 더 크다면 이동 거리에 Cost의 가중치가 더해진 것이고, $W_{2}$가 더 크다면 에너지 소모에 가중치를 더한 것이다. $s_{i}$는 그림 8의 $s_{1\sim 20}$이고, $\overrightarrow{F}_{i}$ 및 $E_{i}$는 각각 $s_{i}$를 지날 때의 힘과 에너지 소모이다. 멀티콥터의 속력 변화는 없다고 가정하였다. $W_{2}$를 더 크게 지정할수록 에너지 소모를 절감하는 경향의 경로를 생성할 것이다.

3. 시뮬레이션 및 실험

3.1 시뮬레이션 결과

그림. 10. 알고리즘 검증을 위한 가상의 Map

Fig. 10. Virtual map for algorithm verification

../../Resources/kiee/KIEE.2020.69.2.362/fig10.png

장애물이 존재하는 복잡한 환경에서 path planning 알고리즘이 유효한지 확인하기 위해 그림 10에서 도시하고 있는 가상의 map을 활용하여 path planning 알고리즘을 수행하였다. Map의 크기는 80×100×20m이고, Map 내에 6개의 장애물이 존재한다. 높이가 높은 2개의 파란 장애물은 20m이고, 다른 높이가 낮은 4개의 장애물은 10m이다. 시작점은 $<5,\:5,\:3>$이고, 도착점은 $<75,\:95,\:3>$이다. 시뮬레이션에서 Cost 산출 함수에서 계수는 각각 $C_{drag}=\begin{bmatrix}0.2&0.2&0.3\end{bmatrix}$, $\|\overrightarrow{V}\|=2$로 설정하였다.

그림. 11. 가상의 Map에서 알고리즘 수행 결과 예시가상의

Fig. 11. Example of algorithm execution result in virtual ma

../../Resources/kiee/KIEE.2020.69.2.362/fig11.png

그림 11은 가상의 Map에서 알고리즘을 수행한 결과 예시를 도시한다. 알고리즘 loop를 3000번 수행한 결과이고, Cost 가중치는 $W_{1}= 0.5$, $W_{2}= 0.5$로 균등하게 배분한 경우이다. 왼쪽 그림은 3000번의 알고리즘 수행 중 생성한 트리 전체를 도시한다. 녹색 spline들은 알고리즘 과정 중 Re-wiring 과정을 거치기 전 생성된 트리이고, 노란색 spline들은 기존 트리보다 cost를 더 작게 만드는 Re-wiring과정 중에 새로이 생성된 트리이다. 그리고 빨간색이 최종적으로 선택된 경로이다. 오른쪽 그림에서는 이 최종 선택된 경로만을 도시한다. 알고리즘 수행 결과 중간 10m 높이의 장애물을 모두 위로 넘어가는 경로가 생성되었다. 아래의 표 1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 iteration 및 cost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했을 때의 cost value 등을 표로 정리한 결과이다.

표 1. 알고리즘 수행 횟수 및 가중치에 따른 비교 표

Table 1. Comparison table according to the number of algorithm execution (iteration) and weight

Case

Iteation

Cost

$W_{1}$

$W_{2}$

Value

1

3000

0.5

0.5

205.093

2

3000

0

1

313.9168

3

3000

0

1

224.5365

4

5000

0

1

203.1505

Case1이 그림 11에서 도시한 예시이다. Cost에 에너지 소모만 요소로 사용하는 Case 2, 3, 4를 서로 비교하면, Case2에서 고도 변화를 최소화하려는 경향이 있으나 결국 10m 장애물을 넘어 가는 경로가 생성된다. Case3은 강제로 10m 고도 제한을 준 경우이다. 장애물 사이를 지나가는 경로가 생성되었으나 Case2보다 cost가 더 작게 산출되었다. 이는 같은 알고리즘 수행 횟수 동안 더 좁은 영역에서 효과적으로 알고리즘을 수행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Case4에서 고도 제한을 주지 않고 알고리즘 수행 횟수를 더 크게 하였다. 10m 장애물들을 넘어가는 경로를 선택하며, 고도 제한을 준 Case3보다 더 작은 cost를 가진다. 따라서 고도 제한과 같이 사전에 제한 조건이 있다면 제한 조건을 미리 고려하는 것이 알고리즘의 효율을 높이는 방안이고, 같은 제한 조건이라면 알고리즘 수행 횟수를 높여 cost가 더 작은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3.2 실제 점유격자지도를 이용한 결과

실제 Map에서 path planning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그림 13과 같이 실험 환경을 구축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공안 내에 약 2.85m의 장애물 6개를 놓고 지도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지도는 그림 12에 도시하였으며, 6개의 장애물은 주황색 박스로 표시하였다.

그림. 12. 실제 실험 환경의 점유 격자 지도

Fig. 12. Occupied grid map of real experimental environment

../../Resources/kiee/KIEE.2020.69.2.362/fig12.png

그림. 13. 실제 실험 환경

Fig. 13. Real experimental environment

../../Resources/kiee/KIEE.2020.69.2.362/fig13.png

그림. 14. 실제 실험 환경에서의 경로 생성 결과

Fig. 14. Path planning result in real experiment environment

../../Resources/kiee/KIEE.2020.69.2.362/fig14.png

시작점은 <-15, -1, 1>이고, 도착점은 <15, 15, 1>이다. 알고리즘의 효율을 위해 map 크기를 제한하였다. 시작점과 도착점을 고려하여 x=[-20, 20], y=[-10, 20], z=[-1, 5]로 제한하였다. 그리고 장애물의 높이를 고려하여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동안 고도를 2.8m로 제한하였다. 크기를 제한한 map은 크기가 크지 않기 때문에 알고리즘 수행 횟수를 1000번으로 하였고, cost의 가중치는 $W_{1}=0.5$, $W_{2}=0.5$로 배분하였다. 그림 14는 실제 실험 환경에서의 경로 생성 결과를 도시한다. 주어진 장애물을 피해 경로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제 실험 환경에서 에너지 소모 절감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반복적인 경로 계획 알고리즘을 수행하였다. $W_{1}= 1$, $W_{2}= 0$에서부터 두 가중치의 합이 1을 만족하도록 0.2 단위로 $W_{1}= 0$, $W_{2}= 1$까지 바꾸어 가며 알고리즘을 수행하였다. 각 가중치에 대한 생성 경로의 분포특성을 고려하여 평균적 비용함수를 비교 대상으로 이용하였다. 즉, 수행 횟수 1000번으로 구성된 알고리즘을 각 가중치 케이스 당 100회씩 수행하여 나온 결과를 정량적 분석에 적용하였다. 아래 그림 15에는 에너지 가중치 $W_{2}$에 따른 거리 및 에너지 비용의 100회 결과를 모두 도시하였다.

그림 16그림 15의 분석을 위해 $W_{2}$에 대한 에너지 소모를 0.2 단위 히스토그램을 그린 결과이다. 히스토그램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알고리즘의 무작위성에 의한 결과로 여러 값에 데이터가 분포하는데, 이 중 유효성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추출한 데이터 유효군은 가장 많이 카운트 된 값의 데이터(최빈값), 두번째 그리고 세번째로 많이 카운트 된 값들을 선정하였다. 표 2는 가중치 별 선정된 유효군들의 기댓값을 비교한 결과이고 그림 17은 이를 그래프로 도시한 결과이다.

표 2그림 17의 그래프를 보면 에너지 가중치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 소모는 줄어드는 반면 이동 거리는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거리를 최소로 하는 경우와 에너지를 최소로 하는 경우는 서로 다른 경로를 선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때 경로의 이동 거리가 최소인 경로가 반드시 에너지를 최소화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가중치 $W_{2}= 0.8$ 부근으로 정하는 것이 에너지 소모와 이동 거리를 모두 고려했을 때 전체 비용을 최소화하는 선택이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표 2. 가중치 별 데이터 유효군 기댓값 표

Table 2. Expectation of frequent group according to weight variation

$W_{1}$

$W_{2}$

Cost

Distance

Energy

1

0

35.37

38.45

0.8

0.2

35.67

37.86

0.6

0.4

35.80

37.54

0.4

0.6

36.01

37.03

0.2

0.8

36.77

36.79

0

1

40.75

36.61

그림. 15. 가중치에 따른 거리 및 에너지 비용

Fig. 15. Distance and energy costs due to different weights

../../Resources/kiee/KIEE.2020.69.2.362/fig15.png

그림. 16. 에너지 가중치에 따른 히스토그램 분석

Fig. 16. Histogram analysis on energy weight ratio

../../Resources/kiee/KIEE.2020.69.2.362/fig16.png

그림. 17. 가중치 별 데이터 유효군 기댓값 그래프

Fig. 17. Weight trend of frequency group expectation

../../Resources/kiee/KIEE.2020.69.2.362/fig17.png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Spline-RRT* 기반의 멀티콥터 path planning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멀티콥터가 기동 가능한 선회 반경을 설정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시뮬레이션에서 1m의 선회 반경일 때 약 38cm의 오차를 가지는 경로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여, cluster resolution을 0.8m로 정하여 충돌 판단에 반영하였다. Cost 산출 시에는 이동 거리 및 멀티콥터에 가해지는 항력을 고려한 소모 에너지 두 가지를 고려하여 산출하였다. Path planning 시뮬레이션 결과 장애물이 많은 환경에서도 경로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실제 실험의 결과로 생성된 map을 이용한 경우에도 장애물을 피해 경로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후 본 연구 결과로 도출된, 사전 제한 조건을 이용하여 알고리즘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이용하여 km 단위의 더 크고 복잡한 map 환경에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는 path planning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연구재단 연구지원사업(2015M3C1B1034536, 2019R1A2B5B01069412) 및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무인이동체기반 접근취약 철도시설물 자동화점검시스템 개발과제(1615011063)의 지원에 의하여 수행됨.

References

1 
D. H. Jang, W. G. Kang, J. H. Kim, Apr 2013, Global UAS market trends and forecast, In Proc. of the Korean Space and Aero­nautical Society Conference, pp. 1140-1145Google Search
2 
Morgan, Peter, 2005, Carbon fibers and their composites, CRC pressGoogle Search
3 
Peter Lindahl, Eric Moog, Steven R. Shaw, 2012, Simulation, design, and validation of an UAV SOFC propulsion system, IEEE Transactions on Aerospace and Electronic Systems, Vol. 48, No. 3, pp. 2582-2593DOI
4 
B. M. Sathyaraj, et al,, 2008, Multiple UAVs path planning algorithms: a comparative study, Fuzzy Optimization and Decision Making, Vol. 7, No. 3, pp. 257DOI
5 
Yao-hong Qu, Quan Pan, Jian-guo Yan, 2005, Flight path planning of UAV based on heuristically search and genetic algorithms, in Proc. of 31st Annual Conference of IEEE Industrial Electronics Society, IECON 2005, IEEEDOI
6 
Kwangjin Yang, Seng Keat Gan, Salah Sukkarieh, 2013, A Gaussian process-based RRT planner for the exploration of an unknown and cluttered environment with a UAV, Advanced Robotics, Vol. 27, No. 6, pp. 431-443DOI
7 
Ryan DuToit, UAV Collision Avoidance Using RRT* and LOS Maximization Technical Report# CSSE12-03.Google Search
8 
Tomas Berglund, et al., 2009, Planning smooth and obstacle-avoiding B-spline paths for autonomous mining vehicles, IEEE Transactions on Automation Science and Engineering, Vol. 7, No. 1, pp. 167-172DOI
9 
Plamen Petrov, Fawzi Nashashibi, 2014, Modeling and nonlinear adaptive control for autonomous vehicle overtaking, IEEE Transactions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ol. 15, No. 4, pp. 1643-1656DOI
10 
Carmelo Di Franco, Giorgio Buttazzo, 2015, Energy-aware coverage path planning of UAVs, in Proc. of 201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tonomous Robot Systems and Competitions. IEEEDOI
11 
Fabio Morbidi, Roel Cano, David Lara, 2016, Minimum- energy path generation for a quadrotor UAV, in Proc. of 2016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ICRA). IEEEDOI
12 
Dasol Lee, HanJun Song, David Hyunchul Shim, 2014, Optimal path planning based on spline-RRT* for fixed- wing UAVs operating in three-dimensional environments, in Proc. of 2014 1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ICCAS 2014). IEEEDOI
13 
B. Lee, et al., 2018, Design of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using IMU and multiple ranges from in-flight rotating hexacopter system, 2018 IEEE/ION Position, Location and Navigation Symposium (PLANS). IEEEDOI
14 
J. Bae, et al., 2019, Cyclic Heading Hexacopter Control System Design and Flight Test with Independent Horizontal Maneuverability,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Vol. 25, No. 4, pp. 285-294DOI

저자소개

배재휴(Jaehyu Bae)
../../Resources/kiee/KIEE.2020.69.2.362/au1.png

2017년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학사 졸업.

2019년 동 대학원 석사 졸업. 2019년~현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재학 중.

관심분야는 항공기 자동 유도, 항법 및 제어, 무인 이동체.

이영재(Young Jae Lee)
../../Resources/kiee/KIEE.2020.69.2.362/au2.png

1982년 서울대학교 항공공학과 학사 졸업.

1985년 동 대학원 석사 졸업.

1990년 미국 The Univ. of Texas at Austin 항공우주공학 박사.

1996년~현재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

관심분야는 GPS를 이용한 정밀 위치 결정,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위성항법보강시스템, 기타 GPS 응용.

성상경(Sangkyung Sung)
../../Resources/kiee/KIEE.2020.69.2.362/au3.png

1996년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졸업.

2003년 동 대학원 전기컴퓨터공학부 박사.

2007년 3월~현재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

관심분야는 복합항법시스템, 무인이동체 항법 및 제어시스템, 비선형 필터 및 센서 융합, 관성항법 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