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orea.)



PVC Insulated Wires, Insulation Degradation, Dielectric Breakdown, Reliability Analysis

1. 서 론

현재 전기설비의 수명연한은 고압 이상의 설비 위주로 제시되고 있다. 한국전기안전공사의 2018년도 전기재해 통계분석 자료에 따르면, 저압(380/220 V) 전기화재는 전체 사고의 약 75 %를 점유하고 있으며, 인입구 배선, 옥내배선, 기기배선을 포함하는 전선류는 기기별 사고 현황에서 668건으로 13 %를 점유하고 있다 (1).

PVC 절연 전선(IV, PVC insulated wire)은 도체 위에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등의 절연재료만을 피복한 것으로, 절연체가 적용되지 않고 사용되는 나선에 비해 감전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2). 그러나 고전압에서는 접촉 시 감전의 위험이 있을 수 있어 주로 조명용, 전열용, 조작패널 등에서 배선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전선 또는 케이블의 수명은 주로 절연체의 성능에 좌우되며, 크게 열적, 기계적, 전기적 열화요인이 작용하며, 수명은 포설상태와 수분의 영향, 사용 환경에 따른 주위 온도, 부하율에 따라 달라지므로, 객관적인 수명을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3).

저압 구내배선의 내구연한은 국내의 경우 기준 및 관련 근거는 명확히 제시되지 않고 있다. 국외의 경우 일본전선공업회(JCMA, Japanese Electric Wire & Cable Makers' Association) 절연전선전문위원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IV, HIV 등 절연전선의 경우 실내, 전선관, 덕트 포설, 분전반내배선과 실외 포설을 구분하여 각각 20~30년, 15~20년으로 수명을 달리 제시하고 하고 있다 (4).

전선의 수명 예측 연구는 통상 온도, 전압 등 가속스트레스 인자를 이용한 통제된 가속시험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가속스트레스-수명 모형식으로 온도의 경우 아레니우스 식(Arrhenius equation)을 적용하며, 전압의 경우 역누승 법칙(Inverse square law)을 적용하는데, 전기 절연재료의 경우 주로 온도를 채택하고 있다 (5). 구체적으로 3개의 온도 조건에서 가속열화시험을 수행하여 노화 전후 절연체의 무게,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신장률(Elongation) 등 기계적 특성 변화를 통해 통계적으로 수명을 추정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6-8). 가속수명시험 외 전압파괴시험을 이용한 연구는 경우 2006년 9월 JCMA 기술자료에 6,600 V 가교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케이블(CV, XLPE Insulated and PVC Sheathed Power Cable)을 대상으로 각종 포설환경 하에서 장기간 사용된 수거 케이블의 사용연수와 잔존교류 파괴전압특성의 관계를 조사하여 물의 영향 여부에 따라 있을 경우 17년, 없을 경우 27년을 제시한 사례가 있다 (9).

본 연구에서는 450/750V PVC 절연전선을 3개의 수명그룹별로 현장에서 수거하여 절연파괴시험을 수행하여 사용기간과 절연내력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시험은 IV 절연전선 시료에 AC전압을 일정속도로 인가하여 절연파괴 전압을 측정하였다. 이로부터 얻어진 절연파괴전압 데이터를 통계분석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대수정규분포(Log-normal distribution) 확률을 이용하여 전기 절연 재료의 수명 평가 기준과 백분위수에 따른 통계적 수명을 추정하였다.

2. 절연파괴와 수명예측에 대한 이론적 고찰

2.1 전기 절연재료의 절연파괴 메커니즘

전기재료의 절연파괴 현상은 인가되는 전계가 크게 되어 특정 값에 도달하면 갑자기 대전류가 흘러 도체와 같이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절연파괴전압을 $V$ 라 하고 시료의 두께 $d$로 나눈 값을 절연파괴강도 $v$ 또는 절연내력으로 정의한다. 절연체 시료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절연파괴전압은 증가하나 절연파괴강도 또는 절연내력은 감소한다 (10). 절연체의 두께와 절연강도의 상관성은 Kinzbrunner 식 $V = vd^{1/2}$과 Baur 식 $V=\kappa d^{2/3}$으로 제시된다 (11). 여기서 $\kappa$는 상수이다. 절연파괴강도와 가압시간은 짧은 시간의 고압은 견딜 수 있으나 장시간일 경우 훨씬 낮은 시험전압에서는 파괴될 수 있다. 이는 유전체를 파괴 시키는 데 일정량 이상의 에너지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그 외 절연파괴 시험 시 시험전압 종류, 인가전압의 주파수, 시료 표면의 습윤 상태, 측정 온도 등 에 따라 측정값을 다르게 얻을 수 있다.

2.2 전기절연재료의 수명예측 기법

절연재료의 열화 요인은 크게 열적, 전기적, 환경적, 기계적(TEEM, Thermal, Electrical, Environmental and Mechanical) 스트레스로 구분된다 (3). 전기 절연재료는 전기기기의 전류에 의한 발열로 열적 열화가 진행되며, 사용 용도와 환경에 따라 열팽창과 수축 등 기계적 마모에 의한 열화, 고전계 등 전기적 열화 등이 지속적인 성능 저하가 진행된다. 노후 절연재료의 경우 이러한 열화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되었을 것으로 가정하며, 사용 기간별로 절연성능 저하를 판단할 수 있는 특성치로 인장세기, 신율, 도전율, 파괴전압 등을 평가 요소를 적용되고 있다.

절연재료의 수명은 신뢰도 분석을 통해 확률 변수로 표현되며, 제품이 고장 없이 기능을 수행하는 특정 시간으로 정의된다. 노후 IV전선의 절연재료의 절연파괴 시험 데이터는 통계 분석 기법을 적용한 수명 평가에 활용한다. 일반적으로 확률(Probability)로 정의되는 개념의 신뢰도를 적용한다 (5).

그림. 1. 절연열화의 근본 원인

Fig. 1. Root causes of insulation deterioration

../../Resources/kiee/KIEE.2020.69.4.623/fig1.png

그림 1의 신뢰성 관련 척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신뢰도 함수(R(t), Reliability function or Survival function)는 주어진 t 시점 이전까지 고장이 나지 않을 확률로 식 (1)과 같이 정의된다.

(1)
$$R(t)=P_{r}[T>t]=1-\int_{0}^{t}f(x)dx=1-F(t)$$

여기서, $T$는 제품의 수명(Lifetime) 또는 고장시간(Failure time)이며, $F(x)$는 수명의 누적 분포함수(CDF, Cumulative Density function)로 t 이내에 고장이 발생할 확률로 정의된다.

신뢰성 척도로 MTTF(MTTF, Mean Time To Failure), MTBF(MTBF, Mean Time Between Failure), 백분위수(percentile) 등이 사용된다. MTTF는 수리 불가능한 제품의 고장이 발생할 때까지의 평균 시간으로 정의되며, MTBF는 수리 가능한 제품의 고장 간 평균 시간으로 정의된다. 백분위수는 누적분포함수 $F(t)$의 값이 p가 되는 시점으로 정의된다. 신뢰성 분석에서는 시간 t에 따른 고장률 $\lambda(t)$의 경향에 따라 수명 분포를 증가(IFR, Increasing failure rate), 감소(DFR, Decreasing failure rate), 상수(CFR, Constant failure rate)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절연재료는 시간에 따라 성능이 감소하며, 주로 욕조곡선(Bath-tub curve)으로 표현되며, 초기고장은 설계/제조 오류, 부적절한 부품 사용 등에 의해 발생하며, 충분한 디버깅(Debugging)과 표준 재료 사용으로 해결가능하다. 임의고장 영역은 제품 사양을 초과한 과중한 부하 또는 낮은 안전 마진에 의해 발생한다. 끝으로, 마모고장(Wear-out failure)은 마모, 노화, 부식에 의해 발생한다.

그림. 2. 신뢰성 이론 및 척도

Fig. 2. Conceptual diagram of theory and indicators for reliability analysis

../../Resources/kiee/KIEE.2020.69.4.623/fig2.png

신뢰성 분석은 통상 현장데이터(Field data) 수집 및 조건별 분류 후 데이터 분포 양상을 확인하여 A-D (Anderson-Darling)값을 이용하여 적합한 수명분포를 선정한다 (12). 여기서 수명분포는 확률밀도함수 또는 누적분포함수로 표현되며, 절연파괴시험의 경우 대수정규분포를 적합한다. 대수정규 분포는 웨이블 분포와 유사하게 오른쪽으로 치우친 데이터를 모형화 할 수 있다 (5). 위험함수는 증가하다가 일정기간 후 감소하는 모양을 보인다. 이 분포는 열화 과정에 의해 발생되는 고장에 대한 모형으로 적합하여 종종 피로와 부하 시험에서 파괴 시간을 모델링하는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로그정규분포는 분포의 모양과 적합할 수 있는 고장 모드에 대한 관점에서 웨이블 분포와 같은 유연성은 없다.

대수정규분포는 자연로그(Natural logarithm)를 취하면 정규분포가 되는 분포라는 의미입니다. 즉 연속확률변수 X가 정규분포 $N(\mu ,\:\sigma^{2})$를 따를 때, 확률변수 $T=e^{X}$의 분포를 구해보면 확률밀도함수 $f_{T}(t)$는 식 (2)와 같으며, 확률변수 T는 대수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한다.

(2)
$$f_{T}(t)=\dfrac{1}{\sqrt{2\pi}\sigma t}\exp\left(-\dfrac{(\ln t-\mu)^{2}}{2\sigma^{2}}\right)=\dfrac{1}{\sigma t}\phi\left(\dfrac{\ln t-\mu}{\sigma}\right)$$

3. 절연파괴 시험 및 분석

3.1 절연파괴 시험 설계

절연파괴시험은 ASTM D 149의 시험방법과 그 평가로 IEC 60216-1을 적용하였다 (13-14). 시험전압은 절연파괴가 30초 이내에 일어나도록 일정한 속도(1.0 kV/sec)로 전압을 인가하는 단시간법(Short time)을 채택하였다. 노후 IV전선 시료는 국내에서 옥내 배선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단심 PVC 절연전선을 완성품 형태로 사용하였으며, 연면방전을 고려하여 500 mm의 크기로 각 6개씩 준비하였다. 주요 사양은 정격전압은 450/750 V, 굵기 2.5 ㎟이다. 컨덕터는 단심 구리이며, 절연체는 PVC이다.

시료는 사용기간에 따라 신품은 수명그룹(Aging group) #1, 사용기간 19년은 수명그룹 #2, 사용기간 34년은 수명그룹 #3으로 구분하였다. 그럼 3과 같이 16 시간 수조 침수 및 중간점 접지선 연결 등 시료 전처리 후 AC 전압을 동일 속도로 인가하여 파괴 시점의 전압을 측정하였다.

표 1. AC 절연파괴시험 설계

Table 1. AC breakdown voltage test design

Test system

AC Dielectric Test System

Test method

Short time method

Test voltage

1.0 kV/sec until 30 kV

Failure Criteria

Not more than 50 % of the initial design dielectric breakdown voltage

그림. 3. 교류 절연파괴시험 절차

Fig. 3. Procedure for AC dielectric breakdown test

../../Resources/kiee/KIEE.2020.69.4.623/fig3.png

수명그룹별 6개의 시료의 절연전압측정결과는 표 2와 같으며, 수명그룹 #3의 시료 3번의 경우 전선 제작 불량으로 1.7 kV에서 절연이 파괴되어 최종 측정 데이터에서 제외하였다.

표 2. 수명그룹별 절연파괴전압 측정 결과

Table 2. Results of AC dielectric breakdown voltage test by aging group

Sample

Breakdown voltage (kV)

Aging #1

Aging #2

Aging #3

1

28.4

28.2

30.8

2

30.8

29.2

28.2

3

28.6

27.6

*

4

30.9

27.2

25.1

5

28.1

26.6

27

6

28.6

26.2

24.7

Average

29.07

27.50

26.24

표 2의 측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그림 4와 같이 수명그룹별 절연파괴전압 분포로 도식화하였다. 수명그룹별 평균값을 비교하면, 수명그룹 #1의 평균은 29.63 kV, 수명그룹 #2의 평균은 27.50 kV 그리고 수명그룹 #3의 평균이 25.80 kV로 사용기간이 길수록 IV전선의 PVC절연체의 절연내력 성능은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그림. 4. IV전선의 수명그룹별 절연파괴전압 분포

Fig. 4. Distribution plot of dielectric breakdown voltage by aging group of IV wires

../../Resources/kiee/KIEE.2020.69.4.623/fig4.png

3.2 신뢰성 분석

시험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용통계해석프로그램인 미니탭을 활용하여 신뢰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15). 데이터 분포 양상을 확인하고 파괴시험에 적합한 대수정규분포를 적용하여 그림 5와 같이 수명그룹별로 백분위수를 % 단위로 도식화 하였다. 수명그룹별로 절연파괴전압 데이터에 대응되는 백분위 수는 고장률을 의미하며, 수명그룹 #1은 빨간색 네모, #2는 파란색 원 그리고 #3는 녹색 세모로 나타낸다. 각 데이터 분포에서 검정색 실선의 기준선은 수명분포 방정식을 기준으로 선형화되는데, 이는 백 분위수로 표현된 고장 데이터가 기준선에 가까울수록 수명분배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림 5에서 빨간색 점은 수명그룹별로 고장률 50 %에 대응되는 절연파괴전압을 표시한다.

그림. 5. IV전선의 수명그룹별 절연파괴전압 확률도

Fig. 5. Probability plot of dielectric breakdown voltage by aging group of IV wires

../../Resources/kiee/KIEE.2020.69.4.623/fig5.png

IV전선의 파괴수명은 그림 5의 3개의 수명그룹별 고장률 50 %(B50)에서 절연파괴전압을 사용하여 그림 6과 같이 선형적합(linear fitting)을 통해 수명-절연파괴전압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그림 6에서 수명그룹별 파괴전압은 파란색 네모로 표시되며, 적합선은 검정색 점선으로 사용 경과에 따른 절연내력 성능의 저하에 대한 추세를 나타낸다. 만약 초기 설계파괴전압의 50 %를 가정한다면 예상 평가수명은 132년으로 빨간색 점으로 표시된다.

그림. 6. IV전선의 절연파괴전압과 수명 관계식

Fig. 6. The relationship of dielectric breakdown voltage and expected lifetime of IV wires

../../Resources/kiee/KIEE.2020.69.4.623/fig6.png

IV전선의 절연체의 수명 판단기준과 고장률에 따른 평가수명은 그림 7과 같다. 고장판단기준은 50%, 60%, 70%, 80%, 90%의 범위를 가지며, 고장률은 최소 파괴설계전압을 가정한 1%와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50%를 가정하였다. 그림 6의 관계식을 상기 조건별로 산출하여 그림 7과 도식화 하였다. 고장 판단기준과 고장률이 높을수록 평가수명은 짧아짐을 확인하였다.

그림. 7. 고장 판단기준과 고장률에 따른 파괴수명 추정

Fig. 7. Estimation of failure life by failure criteria and failure rate

../../Resources/kiee/KIEE.2020.69.4.623/fig7.png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저압 구내배전설비의 수명평가를 위해 노후 수거품의 절연파괴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얻어진 수명데이터를 통계분석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데이터 분포 적합성 검증을 통해 대수정규분포를 선정하고 신뢰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전기화재 사고 발생률이 높은 노후 저압 IV전선 수거품과 신품에 대해 ASTM D 149의 시험방법과 IEC 60216-1의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단시간법 시험전압 인가를 통해 교류절연파괴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0년(신품), 19년, 34년의 세 개의 수명그룹별 절연파괴전압 분포 양상을 통해 사용기간이 길수록 IV전선의 PVC 절연체의 절연내력 성능은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2) 수명그룹별 절연파괴 시험전압 데이터에 대한 수명분포 적합성 검증을 통해 대수정규분포를 적합하여 신뢰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IV전선의 절연파괴수명은 3개의 수명그룹별 고장률 50 %에서의 절연파괴전압에 대한 선형적합 기법을 적용하여 수명-절연파괴전압에 대한 실험식을 도출하였다.

3) IV전선의 PVC 절연체의 고장판단기준(50~90 %)와 고장률(1 %, 50 %)에 따른 평가수명을 관계식으로부터 산출하였다. 그 결과 고장 판단기준과 고장률이 높을수록 파괴수명은 짧아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노후 IV전선의 수거품에 대한 전기적 성능 저하 정도에 따른 수명과의 관계를 신뢰성 분석 이론을 활용하여 규명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설치환경, 부하 특성 등 다양한 조건에 대한 표본 분석 및 가속열화시험을 통한 비교 검증이 후속 연구로 필요하다.

References

1 
Accessed 20 March 2020, A Statistical Analysis on the Electric Accident,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http://www.esps.or.kr/ reportboard/19/report.pdf, No. 28Google Search
2 
V. Babrauskas, 2005, Vechanisms and Modes for Ignition of Low-Voltage PVC Wires, Cables, and Cords, in Proc. of Fire & Materials Conf., San Francisco, pp. 291-309Google Search
3 
Greg C. Stone, Ian Culbert, Edward A. Boulter, Dhirani, 2004, Electrical Insulation for Rotating Machines: Design, Evaluation, Aging, Testing, and Repair, Wiley IEEE Press, pp. 44-49Google Search
4 
June 1989, Service Life of Insulated Wires and Cables, apanese Electric Wire & Cable Makers' Association(JCMA), Technical Committee on Insulated Wire, No. 107, pp. 297-304Google Search
5 
M Modarres, Mark P Kaminskiy, Vasily Krivtsov, 2016, Reliability Engineering and Risk Analysis: a Practical Guide,, CRC PressGoogle Search
6 
Hyung-Ju Park, Feb 2019, Lifetime Prediction on PVC Insulation Material for IV and HIV Insulated Wi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4, No. 1, pp. 8-13DOI
7 
Su-Gil Choi, Si-Kuk Kim, March 2019, A Study on the Performance Change of Insulation Sheath Due to Accelerated De- gradation of IV and HIV Insulated Wir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33, No. 2, pp. 114-123DOI
8 
Youngju Park, Haepyeong Lee, August 2015, Identification on Carbon Oxide and Smoke Release Change of Aging Wire Cab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Hazard Mitigation, Vol. 15, No. 4Google Search
9 
September 2006, Guideline For Maintenance and Inspection of High Voltage CV Cable, apanese Electric Wire & Cable Makers' Association(JCMA), No. 116DGoogle Search
10 
Hermann Bohle, , Transformers; A Treatise on the Theory, Construction, Design, and Uses of Transformers, Auto Transformers, and Choking CoilsGoogle Search
11 
Chul-Ho Lee, July 2011, Evaluation of Insulation Characteristics of Polymer Insulating Materials, Journal of Electrical World, pp. 35-42Google Search
12 
Chong-Min Kim, Myeong-Il Choi, Young-Seok Kim, Sun-Bae Bang, Jung-Youl Seo, Dec 2010, A Study on the Real Condition and Life Time of the RCD, The Tra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IEE), Vol. 59, No. 4, pp. 467-472Google Search
13 
Standard Test Method for Dielectric Breakdown Voltage and Dielectric Strength of Solid Electrical Insulating Materials at Commercial Power Frequencies., ASTM D 149-09Google Search
14 
Electrical Isulating Mterials - Thermal endurance properties - Part 1: Ageing procedures and evaluation of test results, Ed. 6.0., IEC 60216-1:2013Google Search
15 
Sun-Guen Seo, Feb 2009, Reliability Aalysis by Mnitab, Ire Tech Inc.Google Search

저자소개

정기석 (Ki-Seok Jeong)
../../Resources/kiee/KIEE.2020.69.4.623/au1.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in 2008, 2010 and 2014, respectively.

From 2014 to 2016, he performed postdoctoral research at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RRI).

He is currently senior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since 2016.

E-mail : jksowl@kesco.or.kr

김영석 (Young-Seok Kim)
../../Resources/kiee/KIEE.2020.69.4.623/au2.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in 1996, 1999 and 2004, respectively.

From 2001 to 2002, he was visiting fellow at Yamaguchi University, Japan.

He is currently head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since 2003.

E-mail : athens9@kesco.or.kr

김종민 (Chong-Min Kim)
../../Resources/kiee/KIEE.2020.69.4.623/au3.png

He received the B.S.,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in 1998, 2001,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head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since 2001.

E-mail : cmkim@kesco.or.kr

권오민 (Oh-Min Kwon)
../../Resources/kiee/KIEE.2020.69.4.623/au4.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in 2016, where he has currently working forward the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He is currently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since 2015.

E-mail : dhals1024@kesco.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