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실험 환경 구성
제안된 이동 로봇의 전방향 이동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이동 로봇의 전방과 좌 측방에 아크릴판으로 된 가상 벽을 설치하고
로봇에 부착된 세 개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가상 벽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로봇의 위치와 방향을 추정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림 9는 실험 환경에서 제안된 이동 로봇과 좌표계, 센서 데이터들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그림에서 $X_{W},\:Y_{W}$ 는 월드 좌표계를 나타내고,
$d_{1},\: d_{2},\: d_{3}$ 는 각각 전면부 초음파 센서 측정한 벽까지의 거리, 측면 전방 초음파 센서에서 측정한 벽까지의 거리,
측면 후방 초음파 센서에서 측정한 벽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h$는 측면 초음파 센서들 사이의 거리를, $K$ 는 로봇 몸체부의 가로의 길이, $H$
는 전면부 초음파 센서를 포함한 몸체부의 세로 길이를 나타낸다. $x_{d},\: y_{d}$는 로봇이 이동해야할 목표 위치, $x,\: y$는 로봇의
현재 위치를 나타낸다. $\phi_{1}$은 로봇중심을 지나며 $Y_{W}$축과 평행인 선과 로봇 현재 위치와 목표위치를 잇는 직선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고 $\phi_{2}$는 로봇 중심을 지나며 $Y_{W}$축과 평행인 선과 로봇의 $X_{R}$축(그림 9에서 굵은 화살표 방향)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고 $\phi_{3}$는 로봇 몸체부와 바퀴부 사이의 각도를 나타낸다.
그림. 9. 이동 로봇의 위치와 방향
Fig. 9.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mobile robot
기하학적인 관계로부터 이들 사이에는 식 (6) ~ (8)과 같은 관계가 있음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각도 $\phi_{3}$는 이동 로봇 몸체부에 부착된 절대치 엔코더 데이터로부터 직접 측정할 수 있는
값이다.
3.2 전방향 이동성 실험
제안된 이동 로봇의 전방향 이동성과 이동 정밀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이동 로봇이 몸체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사각형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 로봇은 추측항법(Dead-reckoning)으로 사각형 경로를 따라 등속 이동한다.
이동하는 동안 로봇에 부착된 3개의 초음파 센서로 거리 데이터를 측정하고 이를 식(7)과 식(8)에 대입하여 로봇의 현재 위치 $x,\: y$와 방향 $\phi_{2}$를 추정하고 오차를 계산한다. 이동 로봇은 초기에 $x = 79,\: y =
-80$에 위치해 있다가 5초 동안 후진 이동을 하고, 브레이크를 해제한 후 바퀴부를 $\phi_{3}= -90^{\circ}$로 회전하고 브레이크를
잠근 후 5초 동안 우진 이동,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phi_{3}= 0^{\circ}$로 회전한 후 브레이크를 잠그고 5초 동안 전진 이동,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phi_{3}= 90^{\circ}$로 회전한 후 브레이크를 잠그고 5초 동안 좌진 이동을 하여 초기 위치로 돌아온다.
그림 10은 이동 로봇이 사각형 궤적을 이동하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표 1은 초음파 센서가 측정한 거리와 이를 바탕으로 추정한 로봇의 현재 위치 및 방향 데이터이다. 첫 번째 행인 1번은 이동 로봇의 초기 위치에서 측정한
초음파 거리 데이터와 추정된 이동 로봇의 위치와 방향이며 $d_{1},\: d_{2},\: d_{3}$가 모두 40cm로 측정된다. 이후 각 구간별로
이동하면서 6번씩 거리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2번 ~ 7번까지 6개의 데이터는 후진하는 동안 측정한 데이터이다. 이 구간에서 이동 로봇이 후진하며
로봇의 전면부 벽과 멀어짐에 따라 데이터 $d_{1}$의 크기는 점점 커지고 $d_{2},\: d_{3}$는 거의 변화가 없음을 볼 수 있다.
그림. 10. 사각형 경로에서 이동 로봇의 위치와 방향
Fig. 10.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mobile robot for a square path
그림 11과 그림 12는 각각 표 1에서의 이동 로봇의 방향 데이터와 위치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이동 로봇의 방향 오차는 최대 $+2.72^{\circ}$이다. 사각형 궤적을 모두
이동한 후 이동 로봇의 최종 위치는 $x = 78,\: y = -78$이고 각도는 $\phi_{2}= 2.72^{\circ}$로서 위치 오차는 $\triangle
x=1cm,\:\triangle y =2cm$, 방향 오차는 $\triangle\phi_{2}= 2.72^{\circ}$정도이며 초음파 센서의 측정
오차를 고려하면 제안된 이동 로봇이 로봇 몸체의 회전 없이 전, 후, 좌, 우 방향의 사각형 궤적 이동을 비교적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1. 사각형 경로에서의 로봇 방향
Fig. 11. Orientation of the mobile robot for a square path
그림. 12. 사각형 경로에서의 로봇 위치
Fig. 12. Position of the mobile robot for a square path
표 1. 사각형 경로 이동 실험 결과
Table 1. Experimental results for a square path
|
d1
(cm)
|
d2
(cm)
|
d3
(cm)
|
$\phi_{2}$
(deg)
|
$x$
(cm)
|
$y$
(cm)
|
1
|
40
|
40
|
40
|
0.0°
|
79.0
|
-80.0
|
2
|
58
|
41
|
40
|
+1.36°
|
79.5
|
-98.0
|
3
|
86
|
40
|
40
|
0.0°
|
79.0
|
-126.0
|
4
|
115
|
42
|
41
|
+1.36°
|
80.5
|
-155.0
|
5
|
145
|
42
|
43
|
-1.36°
|
81.5
|
-185.0
|
6
|
174
|
43
|
44
|
-1.36°
|
82.5
|
-214.0
|
7
|
182
|
43
|
44
|
-1.36°
|
82.5
|
-222.0
|
8
|
182
|
61
|
63
|
-2.72°
|
100.9
|
-222.0
|
9
|
178
|
91
|
92
|
-1.36°
|
130.1
|
-218.0
|
10
|
178
|
120
|
121
|
-1.36°
|
159.5
|
-218.0
|
11
|
178
|
149
|
148
|
+1.36°
|
187.5
|
-218.0
|
12
|
174
|
179
|
178
|
+1.36°
|
217.4
|
-214.0
|
13
|
176
|
188
|
187
|
+1.36°
|
226.4
|
-216.0
|
14
|
144
|
186
|
186
|
0.0°
|
225.0
|
-184.0
|
15
|
127
|
186
|
186
|
0.0°
|
225.0
|
-167.0
|
16
|
87
|
187
|
186
|
+1.36°
|
255.4
|
-127.0
|
17
|
55
|
185
|
184
|
+1.36°
|
223.4
|
-95.0
|
18
|
50
|
184
|
184
|
0.0°
|
223.0
|
-80.0
|
19
|
38
|
183
|
185
|
-2.72°
|
222.8
|
-78.0
|
20
|
38
|
165
|
164
|
+1.36°
|
203.4
|
-78.0
|
21
|
38
|
134
|
133
|
+1.36°
|
172.5
|
-78.0
|
22
|
38
|
107
|
105
|
+2.72°
|
144.9
|
-78.0
|
23
|
38
|
77
|
76
|
+1.36°
|
115.5
|
-78.0
|
24
|
38
|
48
|
47
|
+1.36°
|
86.5
|
-78.0
|
25
|
38
|
40
|
38
|
+2.72°
|
78.0
|
-78.0
|
두 번째로는 로봇이 특정한 방향을 유지하면서 주어진 목표 위치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 대해 실험하였다. 이와 같은 상황은 전방향 이동성이 필요한 다양한
응용에서 필요하며 일반적인 차동 구동 로봇에서는 수행하기 불가능한 이동 방식이다. 로봇의 초기 위치는 $x = 106,\: y = -280$으로,
초기 방향은 그림 9에 표기된 $\phi_{2}= 5.44^{\circ}$로 설정하였다. 이는 그림 13에 보인 바와 같이 월드 좌표계 $Y_{W}$축인 좌측 벽면에 대해서 로봇이 오른쪽으로 방향이 틀어져 있는 상태이다. 목표 위치는 $x = 79,\:
y = -80$이고 이동하는 중에 목표 방향은 항상 $\phi_{2}= 0.0^{\circ}$을 유지하도록 한다. 즉 로봇이 목표 위치로 이동하면서
로봇의 $X_{R}$축이 월드 좌표계의 $Y_{W}$축과 평행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는 로봇의 전면부 방향이 좌측 벽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그림. 13. 이동 로봇의 초기 위치와 방향
Fig. 13. Initial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mobile robot
그림 14는 이동 로봇이 목표 위치로 이동해 가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표 2는 로봇이 이동하는 중에 측정한 초음파 거리 데이터와 이를 바탕으로 식 (7)과 (8)에 의해 추정된 로봇의 방향과 위치 데이터이다. 그림 15와 그림 16은 이동 중인 로봇의 방향과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그림 14의 (a)는 이동 로봇의 초기 자세를 나타내고 있다. 로봇의 이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초음파 센서 데이터와 식 (6)과 (7)을 이용하여 $\phi_{1},\:\phi_{2}$를 계산한다. $\phi_{3}$는 이동 로봇의 절대치 엔코더를 이용하여 직접 측정된다.
그림. 14. 목표 위치로의 이동에서의 로봇 위치와 방향
Fig. 14.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mobile robot for moving toward a goal position
로봇 몸체부의 목표 방향을 달성하기 위해 전자 브레이크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좌, 우 바퀴를 구동하여 로봇 몸체를 $\phi_{2}$만큼 회전시키면,
$\phi_{2}=0$이 된다. 이 때 로봇 좌우 바퀴의 각속도는 식 (4)와 $\omega =k_{1}\phi_{2}$를 이용하여 구하였다(15). 여기에서 $k_{1}$은 비례 상수이며 시행착오 방법을 통하여 6으로 설정하였다. 다음에는 목표 위치로 사선 이동을 할 수 있도록 로봇 바퀴부를
정렬시킨다. 이를 위해 전자 브레이크를 해제한 상태에서 좌, 우 바퀴를 구동하여 로봇 몸체는 회전시키지 않고 바퀴부만 제자리 회전시킨다. 이 때 로봇
좌우 바퀴의 각속도는 식 (4)와 $\omega =k_{2}(\phi_{1}-\phi)$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여기에서 $\phi$는 절대치 엔코더에서 측정된 실제 각도 값이고,
비례상수 $k_{2}$는 6으로 설정하였다. 그림 14의 (b)는 로봇의 몸체를 회전시키고, 로봇 바퀴부를 정렬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표 2에서는 2번 행에서 로봇의 방향이 $\phi_{2}=0^{\circ}$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그림 15에서도 이동 로봇의 회전에 따라 초기 방향이 $\phi_{2}= 5.44^{\circ}$에서 $\phi_{2}=0.0^{\circ}$로 변화한 것을
볼 수 있다.
로봇 몸체부의 목표 방향이 달성되었고, 목표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필요한 로봇 바퀴부의 방향이 정렬되었으므로 전자 브레이크를 다시 작동하여 바퀴부와
몸체부를 결합한다. 이 후 목표 위치를 향해 사선 이동을 하면 된다. 이 때 로봇 좌우 바퀴의 각속도는 식 (5)를 사용하여 구한다. 로봇의 선속도 $V$는 목표 위치까지의 거리에 비례하도록 $V=$$k_{3}\sqrt{(x_{d}-x)^{2}+(y_{d}-y)^{2}}$로
설정하였다. $k_{3}$는 비례상수로 1로 설정하였다. 그림 14의 (c)와 (d)는 로봇이 사선 이동을 하는 과정과 최종 위치에 도달한 상황을 보이고 있다. 표 2에서 2행 이후에 이동 로봇의 방향이 $\phi_{2}=0^{\circ}$근방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림 15에서도 로봇이 이동 중에 목표 방향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그림 16의 로봇 위치 경로에서는 이동 로봇이 좌전방으로 사선 이동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5. 목표 위치로의 이동에서의 로봇 방향
Fig. 15. Orientation of the mobile robot for moving toward a goal position
그림. 16. 목표 위치로의 이동에서의 로봇 위치
Fig. 16. Position of the mobile robot for moving toward a goal position
표 2. 목표 위치로의 이동 실험 결과
Table 2. Experimental results for moving toward a goal position
|
d1
(cm)
|
d2
(cm)
|
d3
(cm)
|
$\phi_{2}$
(deg)
|
$x$
(cm)
|
$y$
(cm)
|
1
|
242
|
70
|
66
|
5.44°
|
106.6
|
-280.8
|
2
|
240
|
66
|
66
|
0.0°
|
105.0
|
-280.0
|
3
|
231
|
64
|
66
|
-2.72°
|
103.9
|
-270.7
|
4
|
202
|
60
|
61
|
-1.36°
|
99.5
|
-242.0
|
5
|
177
|
57
|
58
|
-1.36°
|
96.5
|
-217.0
|
6
|
159
|
53
|
55
|
-2.72°
|
93.0
|
-199.0
|
7
|
137
|
52
|
53
|
-1.36°
|
91.5
|
-177.0
|
8
|
108
|
48
|
49
|
-1.36°
|
87.5
|
-148.0
|
9
|
90
|
46
|
46
|
0.0°
|
85.0
|
-130.0
|
10
|
81
|
45
|
45
|
0.0°
|
84.0
|
121.0
|
11
|
71
|
45
|
44
|
1.36°
|
83.5
|
-111.0
|
12
|
61
|
43
|
43
|
0.0°
|
82.0
|
-101.0
|
13
|
51
|
42
|
42
|
0.0°
|
81.0
|
-91.0
|
14
|
45
|
41
|
41
|
0.0°
|
80.0
|
-85.0
|
15
|
41
|
41
|
41
|
0.0°
|
80.0
|
-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