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Korea.)
  2. (Kwangwoon University, Korea.)



Wildfire Monitoring, Event-Driven Proces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Data Fusion, Power Saving Mode, Real-Time Performance, Low-Cost.

1. 서 론

2000년 중반 이후 글로벌 워밍으로 세계적으로 이상 기후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고 산불 발생 규모와 그 빈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산불 발생은 야생동물 서식지 파괴, 생물 다양성 감소, 토양 영양물질 소실, 홍수 피해 증가와 같은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산업교란, 수송교란 등 경제적인 악영향과 함께 관광객 감소, 대기 중 연무농도에 따른 신체의 호흡기와 피부 질환 등 각종 사회적인 악영향도 초래한다.

2007년에 그리스 국토의 절반을 태워버린 큰 규모의 산불이 발생하였으며, 그 이후 유럽,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산불방재 대책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1), (2), (3). 그럼에도 2017년 10월 기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만 대형산불 14개의 발생에 연소면적 86,000ha, 41명의 사망자 발생과 5,700여채의 주택과 상가가 소실되는 등 매년 막대한 피해가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4). 산불 발생의 원인은 입산자, 논밭 소각, 담뱃불, 쓰레기 소각 등 다양하며 그 중에서도 입산자의 부주의에 의한 산불발생이 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국내에서도 산림청을 중심으로 산불 예방대책 마련, 사후조사를 통한 산불 예방과 함께 산불 방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노력도 강구하고 있다. 이러한 여러 노력에도 불구하고 최근 (2019년 4월 4일) 강원도 고성에 큰 산불 (6)과 같은 여전히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보다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산불 예방(방지)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산불 피해를 조기에 예방하여 주는 이벤트 기반의 실시간 처리하에 저전력 기능 및 데이터 퓨전 기능을 갖는 고효율 저비용 산불 모니터링 WSN (wreless sensor network: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최근 산불 방재용 WSN 시스템에서는 이미지 및 영상 센서를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보다 현장감 있고 정밀도 높은 이미지 및 영상 취득을 위해 드론이나 무인헬기에 이들 센서를 장착 이용하는 방식도 제안하고 있다 (7), (8), (9). 하지만 이들 이미지나 영상 센서는 대부분 고가이고, 낮은 수명주기 (즉, 높은 소모 전력)로 산불발생(위험)지역에 일시적 배치 운영이 일반적이어 산불 발생 전 예방(조기 경보/진압)보다는 산불 발생 후 확산방지에 더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최근 문헌에는 산불 발생 시 조기 경보/진압을 목표로 한 저가형 센서(온도, 습도 및 연기 센서 등)를 이용한 WSN 방식을 또한 제안 (2), (10), (11)하고 있다. Li 등 (2)은 TinyOS 기반의 CROSSBoard Mica2 보드를 활용한 센서 네트워크를 제안하였고, Bhosle 등 (11)은 ZigBee (IEEE 802.15.4), wirelessHART (IEEE 802.15.3) 등의 표준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산불 감지 시스템에 대해 검토한 바 있다. 더욱이 Mohapatra 등 (12)은 망 내에 고장 노드로 인한 시스템 성능 저하를 막아주어 산불 감지의 신뢰도를 높여주는 저가형 WSN 방안을 제시하였다. 최근 Neumann 등 (13)은 스마트 폰 기반의 IoT (Mobile HUB)를 이용한 화재 감지 방식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기존 대부분의 저가형 WSN 방식은 아직도 실험실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실시간 대처 곤란, 과다한 전력소모, 짧은 수명주기 (즉, 짧은 배터리 사용시간) 등 실용화에 앞서 극복해야 할 숙제가 많이 남아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이벤트 기반의 저가형 산불 모니터링 WSN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방식에서는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저가형 (연기, 온도, 습도 외) 센서를 부착한 아두이노 기반의 노드를 설계하며 배치된 각 노드는 AP(access point)에 ZigBee 통신을 이용해 화재 감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더욱이 제안방식은 저전력 운용모드(Power Saving Mode: PSM)를 고려한 설계로 노드의 수명주기(배터리 사용시간)를 효과적으로 늘려준다. 노드 SW는 이벤트 처리 기반으로 설계되어 PSM하에서도 실시간 처리를 가능케한다. 특별히 노드는 임시 운용 모드 (Temporary Operating Mode: TOM)에서 특정기간 동안 더이상 센싱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자동적으로 PSM으로 전환되며, 이 경우 센서부, AP 메시지 수신부 등 일부 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노드 모듈을 ‘OFF’시켜 노드 배터리 소모를 최소한으로 줄여준다. 노드는 PSM에서 센싱 정보를 감지한 경우 혹은 AP로부터 WakeUp 메시지(msgWakeUp)를 수신한 경우 CPU를 비롯한 노드의 제반기능이 ‘ON‘ 되는, 즉, 정상적인 센싱 이벤트 처리가 가능한 TOM으로 운용모드가 변경된다. TOM은 일시적 노드 운용모드로, 노드는 감지 데이터가 임계치를 넘을 경우 해당 클래스 정보를 전송메시지 msgSensInfo1에 담아 AP로 전송하던가(노드 퓨전) 아니면 감지 데이터를 그대로 전송메시지 msgSensInfo2에 담아 AP로 전송하여 준다(AP 퓨전). 하지만 TOM에서 특정 시간 동안 더 이상 센싱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혹은 센싱 데이터(sensData)가 일정기간 이상 임계치 이하로 유지되는 경우, 노드 운용모드는 자동으로 PSM으로 복귀된다. 이러한 이벤트 기반의 노드의 두 가지 모드 운용(TOM ↔ PSM)은 효과적인 실시간 처리를 지원할 뿐 아니라, 이벤트가 없는 대부분의 시간(예를 들면, 여름과 같이 산불발생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장기간의 휴지기)동안 노드는 PSM 모드에 있게 되어 배터리 수명주기를 최대한 늘려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이벤트 기반 WSN 방식은 기존의 WSN 방식 (2), (10), (11)과 달리 산불(이벤트) 발생 시 신속한 대처(전송)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효과적인 PSM 모드 운용으로 센서 노드의 수명주기를 대폭(반영구적) 늘려준다 (3.4절 표 2 참조).

제안한 네트워크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 퓨전 기능을 이용한 종합적인 데이터 분석으로 화재 검출 정확도 및 신뢰도를 개선한다. 제안 시스템에 설계한 퓨전 방식은 일정 샘플 주기로 획득한 다중 샘플에 대한 시간 합성을하는 노드 퓨전과 모니터링 구획 (Sector) 내 배치된 여러 노드들로부터 수신한 다중 샘플에 대한 앙상블(공간) 합성을 하는 AP 퓨전의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한다. 우선, 노드 퓨전은 일정한 샘플주기로 반복하여 취득한 샘플에 대한 시간 샘플 퓨전으로 저가형 노드 설계를 고려 간소화 한 퓨전 방안이다. 사전에 노드 내에 저장된 테이블 임계치를 활용하여 퓨전 결과에 대한 클래스 (sensClass = ‘00’ (일반)/ ‘01’(긴급))를 분류하고 이를 전송 메시지(msgSensInfo1)에 담아 AP로 전송한다. AP는 각 노드로부터 수신한 msgSensInfo (msgSensInfo1 [노드 퓨전] 혹은 msgSensInfo2 [AP 퓨전])를 받은 즉시 발생한 이벤트의 프로세스를 통해 퓨전 결과 (화재여부를 판정하는 클래스 정보)를 얻고 해당 결과를 통제센터 서버에 통보하는 등 신속한 조치(산불 경보 발생 외)를 취하여 준다. 노드 퓨전은 임계치를 이용 특정 노드 위치에서 감지한 샘플의 반복확인 과정을 통해 화재탐지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반면에 AP 퓨전은 구획 내에 분산배치된 다중 노드 (총 노드 수 $N >1$ 가정)로부터 센싱 정보(sensData)를 주기적으로 수집 및 종합(aggregation)하는 고급 퓨전 알고리즘을 AP 장치 내에 내장하고 있다. AP 퓨전은 공간 샘플 (서로 다른 노드의 전송 샘플)에 대한 앙상블 샘플 합성으로 시간 샘플 합성인 노드 퓨전에 비해 신뢰도가 높은 반면에, 각 노드(PSM 운용 중)를 ‘WakeUp’ 시키기 위한 핸드 세이크 과정의 추가로 전력(배터리)소모가 커지고 악조건 채널 하에 전송지연으로 실시간 처리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 모델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해 아두이노 우노 보드를 이용하여 Test Bed (TB)를 구현한다. TB는 다수의 노드와 AP로 구성되며, 화재발생 시 이를 신속히 감지하고 센싱 메시지 (msgSensInfo)를 만들어 AP로 전송하며 AP는 전송 메시지에 근거하여 구획 내 화재여부를 판정한다. 노드와 AP 간의 통신은 지그비 (ZigBee) S2 표준모델을 사용한다. 지그비는 소형/저전력 개인 통신망을 구성하는 표준 소규모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기술로 1:$N$ 통신에 유용하다. 노드 간 네트워크 TB를 구성하는 AP는 각 노드로부터 메시지 msgSensInfo의 수신을 위해 ZigBee 통신기능을 갖는 아두이노 Mega 2560 보드를 이용하여 설계한다. 제한된 Mega 2560 보드 사양(메모리 등)을 고려, 획득한 다중공간 샘플에 대한 AP 퓨전 기능은 별도로 보드와 연결(USB)된 노트북에서 구현한다. 결과적으로, 제안방식은 기존방식(2),(13)과는 달리 노드로부터 수집한 클래스 정보(sensClass: 노드 퓨전) 혹은 샘플 정보(sensData: AP 퓨전)를 이용하여 화재여부를 판정하여주어 산불 판정의 신뢰도를 개선한다. 화재 센싱 시 해당 감지정보를 AP로 전송하여 주는 노드는 각기 독립적이고 동일한 센싱 기능을 가짐을 가정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실시간 이벤트 기반 모니터링 방식은 $N$개의 다중노드로부터 센싱 데이터 정보에 대한 신속한 수집, 효과적인 처리, 합성 (혹은 퓨전) 및 판정 과정을 거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안 방식은 신속성/정확성/신뢰성이 보장된 고효율 저비용 저전력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실시간 산불 조기 방재용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제안한 모니터링 방식은 다각적이고 다면적인 판정이 요구되는 환경 측정(대기, 하천), 교량 모니터링, 생체신호 모니터링 등 각종 응용에도 확장 적용 가능하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2 장 본론에서는 시스템 개요, 이벤트 기반 프로세스, 전원절약 모드 설계 방안, 퓨전 방안, 전송 데이터 포맷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 다음으로 3 장의 실험 및 결과 고찰에서는 아두이노를 활용한 테스트 베드 (TB) 제작, 화재 감지 데이터 측정 및 결과, 퓨전 실험 및 결과, 노드 수명주기 실험 및 결과를 각각 설명하며, 4 장에서 본 논문의 결론을 맺는다.

2. 본 론

2.1 시스템 개요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이벤트 처리가 가능한 저가형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산불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림 1 참조). 이를 위해 제안방식에서는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연기 (혹은 온도) 센서를 부착한 아두이노 기반의 노드를 설계한다. 모니터링 구획 내에 배치된 다중노드는 화재감지 메시지(msgSensInfo: msgSensInfo1 [노드 퓨전], msgSensInfo [AP 퓨전])를 발생하고 이를 ZigBee를 통해 AP (access point)로 전송한다. 각 노드에 내장되는 임베디드 SW는 이벤트 처리 기반 (14)으로 설계되어 효율적인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며 센싱 이벤트 발생 시 우선순위에 따른 이벤트 태스크를 수행한다. 더욱이 제안방식은 저전력 운용모드 (Power Saving Mode: PSM)를 고려한 이벤트 기반의 설계로 효과적으로 노드의 수명주기 (배터리 사용시간)을 늘려준다. 노드는 전원 스위치 ‘ON’시 임시 운용 모드 (Temporary Operating Mode: TOM)로부터 시작하며 일정기간 이상 이벤트 발생이 없을 경우 ‘휴면상태’로 판단하여 센서부와 AP로부터 ‘WakeUp’ 메시지 수신을 위한 수신부 등 일부 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노드 모듈에 전원 공급을 ‘OFF’ 시키는 전원 절약 모드 (Power Saving Mode: PSM)로 전환한다. 노드의 PSM 모드에서는 센서부의 센싱 정보를 감지한 경우 혹은 RF 수신부에서 AP로부터 ‘Wakeup’ 메시지 msgWakeUp을 수신한 경우에만 CPU 기능을 비롯한 노드의 제반기능을 ‘ON‘ 시키는, 즉, 정상적인 이벤트 처리가 가능한 운용모드인 TOM으로 다시 변경하게 된다.

노드는 TOM에서 센싱정보를 감지하고 적절한 처리과정을 거쳐 전송메시지(msgSensInfo: 노드 퓨전시 msgSensInfo1 혹은 AP 퓨전시 msgSensInfo2)를 만들고 이를 AP로 전송한다. 하지만 특정 시간 ($=T_{op}$) 내에 더 이상 센싱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다시 PSM으로 자동 복귀된다. 이러한 이벤트 기반의 TOM/PSM의 두 가지 모드운용은 효과적인 실시간 처리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특별히 화재 센싱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대부분의 시간(휴지기: 장마철 등)동안 노드를 PSM으로 두어 배터리 소모를 최소한으로 낮추어 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산불 모니터링 방식은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PSM 사용으로 노드 수명주기를 효과적으로 연장시켜 줄 뿐 아니라 화재(이벤트)발생 시 이벤트 신호처리로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한다.

그림. 1. 산불 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Fig. 1. Wildfire prevention monitoring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5.706/fig1.png

그림 1은 본 논문에서 제안한 무선 네트워크를 활용한 실시간 산불예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를 간략히 보여준다. 그림 1에서 보여주듯이 제안 시스템은 산불 위험 지역(산불 모니터링 커버리지 영역)을 일정한 구획(예: 가로 100m × 세로 100m의 Sector)으로 나누고 적정 개수의 노드를 각 구획 내에 분산 배치한다. 각 구획에는 해당구획을 관할하는 AP를 두고, AP는 노드로부터 전송한 화재 감지 정보를 수집/처리(합성)/서버전송 기능을 갖는다. 제안 시스템의 산불 감지용 센서 노드와 AP 간에 통신방식은 ZigBee를 사용한다. 각 센서 노드는 구획 내 산불 발생 (이벤트)시 이를 신속히 감지하고 감지정보를 전송 메시지인 msgSensInfo에 담아 관할 AP를 거쳐 서버로 전송하여 주어 산불 피해를 조기에 예방한다.

AP는 담당 구획(섹터) 내에 분산 배치된 센서 노드와 1:$N$ 방식으로 연결(연동)되며 필요시 (초기설치 시, 설치 후 확인 시 등) 산하 노드에 ‘WakeUp’ 메시지 전송 등을 비롯한 개별 노드 통제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그림 1에 보여주듯이 구획 k ($=1,\: 2,\:\cdots$)를 관할하는 APk는 해당구획 내에 분산 배치된 노드들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msgSensInfo 정보를 수신하여 필요한 적정 퓨전 태스크를 수행한다. 퓨전에는 일종의 시간샘플 퓨전인 노드 퓨전 방식과 공간샘플 (앙상블) 퓨전인 AP 퓨전 방식의 둘로 나뉘며, 초기화 과정에서 주어진 퓨전 옵션(mdFusion)에 따라 두 방식 중 하나를 선정하게 된다. 무엇보다 이러한 퓨전 기능은 제안시스템의 신뢰도 높은 산불 여부 판정을 가능케한다 (두 퓨전 방식에 대한 세부 설명은 아래 2.4 절 참조). 퓨전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퓨전(합성)결과인 클래스 정보는 AP를 거쳐 인터넷 망에 연결된 원격 통제센터(서버)로 보내준다 (그림 1 참조).

2.2 이벤트 기반 프로세스

제안한 산불 감지용 노드 장치는 장기간 (1년 이상)의 수명주기를 위한 저전력 설계로, 산불 감지 시 휴면모드 (혹은 전원절약모드 (PSM)) 중인 노드의 ‘WakeUp’을 비롯한 실시간 처리를 위해 내부/외부 이벤트 (인터럽트) 기반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실제 하나의 이벤트 태스크의 수행을 위해서는, 해당 이벤트의 이벤트 큐에 사전 저장이 요구된다 (그림 2 참조). 이는 곧, 이벤트의 이벤트 큐에 사전 저장을 위해 특정 이벤트 트리거 신호 (내부 이벤트: 내부 (SW) 트리거 명령어, 외부 이벤트: 외부 (HW) 인터럽트 신호)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SW 이벤트 TmrSensChk 태스크 (그림 2, 3 참조) 수행은 이벤트 큐 저장으로부터 시작되며 큐 저장을 위해 이벤트 트리거 명령어 eTmrSensChk = ‘ON’를 요구한다. 노드 장치는 임시 운용 모드(Temporary Operating Mode: TOM)와 전원절약 모드 (Power Saving Mode: PSM)의 크게 두 가지 운용모드로 나뉜다. TOM에서 PSM으로의 노드 운용모드 전환은 명령어 mPwrSaveMod = ‘ON’ 수행에 의해 이루어진다. PSM에서 TOM으로의 노드 운용모드 전환은 전원 스위치 ‘ON’ 이벤트이거나 두 종류의 외부 ‘WakeUp’ 이벤트(SensWakeUp 혹은 RcvMsgWakeUp)에 의해 이루어진다. 노드 운용 중에 발생한 각 이벤트는 이벤트 큐에 저장된 후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된다(그림 2 참조). TOM은 대부분의 노드 태스크를 처리하는 운용 모드로 전원절약을 고려 정해진 제한시간 $T_{op}$(초) 내에 운용되도록 설계되며 그 시간 경과 후에는 자동으로 PSM으로 복귀(즉, mPwrSaveMod = ‘ON’ 명령어 수행에 의해 TOM → PSM로의 모드 전환) 되도록 설계한다. 다시 말해, TOM 모드 하에 발생하는 노드의 메인 SW 이벤트인 TmrSensChk에서는 센싱정보의 획득 (acquitions), 퓨전 방식별 처리 및 분류 (classification), 전송 메시지 (msgSensInfo) 발생, 메시지의 AP 전송 (transmission) 등 노드의 대부분의 주요 화재감지 및 전송 기능을 수행하며 해당 이벤트 태스크 처리 후 mPwrSaveMod = ‘ON’에 의해 PSM 모드로 변경한다 (그림 3(a), (b) 참조). 결과로, 노드는 이벤트가 없는 대부분의 시간 (휴지기) 동안 저전력 모드인 PSM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2. 노드의 초기화 및 기본 프로세스

Fig. 2. Node initialization and basic processes

../../Resources/kiee/KIEE.2020.69.5.706/fig2.png

그림. 3. 노드의 TmrSensChk 이벤트 처리 과정: (a) 노드 퓨전 부분, (b) AP 퓨전 부분

Fig. 3. Node TmrSensChk event process: (a) node fusion, (b) AP fusion

../../Resources/kiee/KIEE.2020.69.5.706/fig3-1.png

../../Resources/kiee/KIEE.2020.69.5.706/fig3-2.png

한편 본 논문에서는 휴지기 동안 PSM 모드에 있는 노드를 ‘WakeUp’ (즉, 운용모드 변환 PSM → TOM) 시켜주는 2 가지 외부 이벤트 SensWakeUp (그림 4 참조)과 RcvMsgWakeUp (그림 5 참조)를 설계한다. 이들 2 가지 외부 이벤트는 동일 우선순위를 가지며 내부 이벤트인 TmrSensChk 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이다. 우선 SensWakeUp의 경우, 노드의 센서부 (그림 6(a) 참조)에서 센싱 신호 감지로 발생한 외부 ‘WakeUp’ 트리거 (파워) 펄스 신호에 의해 노드 제반 모듈에 정상 전원이 공급되며 그 결과로 PSM → TOM으로의 모드의 변환과 함께 해당 이벤트가 이벤트 큐에 저장된다 (그림 6(b) 참조). 마찬가지로 RcvMsgWakeUp의 경우, RF 수신부 (그림 6(a) 참조)에서 WakeUp 메시지 (msgWakeUp)의 수신에 의한 ‘WakeUp’ 트리거 (파워) 펄스 신호에 의해 노드 제반 모듈에 정상 전원이 공급되며 그 결과로 PSM → TOM으로의 모든 전환과 함께 해당 이벤트가 큐에 저장된다 (그림 6(b) 참조). 여기서 주목할 점은, 외부 (HW) 트리거 펄스에 의해 노드 시스템에 전원 공급되어 (PSM → TOM으로의 전환과 함께) 해당 외부 이벤트가 이벤트 큐에 저장되어져 우선순서에 따른 이벤트 태스크가 정상적으로 수행된다는 것이다. SensWakeUp (그림 4 참조)과 RcvMsgWakeUp (그림 5 참조)의 각 이벤트 태스크에서는 노드의 초기화 과정과 함께 센싱 이벤트 TmrSensChk 발생을 위한 기본 과정을 차례로 수행한다.

그림. 4. SensWakeUp 이벤트 처리 과정

Fig. 4. SensWakeUp event process

../../Resources/kiee/KIEE.2020.69.5.706/fig4.png

그림. 5. RcvMsgWakeUp 이벤트 처리 과정

Fig. 5. RcvMsgWakeUp event process

../../Resources/kiee/KIEE.2020.69.5.706/fig5.png

처음 노드의 전원 스위치를 켰을 때는 TOM 모드에서부터 시작하며 그림 2에서 보여주듯이 기본 노드 시스템의 초기화 세팅 태스크 (main())를 수행한다. 여기서는 시스템의 초기화 및 센싱 이벤트 발생을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태스크를 수행하고 이벤트 트리거 명령어인 eTmrSensChk = ‘ON’의 수행을 통해 TmrSensChk 이벤트 $E_{t}$를 이벤트 큐에 저장한 후 해당 이벤트 프로세스를 기다리는 일종의 대기(폴링) 모드에 들어간다. 발생한 TmrSensChk 이벤트의 프로세스에서는 일정기간 이상 동안 노드의 주 기능인 감지 데이터(즉, ‘sensData’)를 읽고 확인(점검)하고 메시지 msgSensInfo (노드 퓨전시 Type 1 메시지 msgSensInfo1 혹은 AP 퓨전시 Type 2 메시지 msgSensInfo2)를 AP로 전송하며 필요시 해당 과정을 반복한다 (그림 3 참조). TmrSensChk 이벤트 반복 횟수는 초기화 과정에서 지정한 업 카운터 𝑐𝑛𝑡𝑇𝑚𝑟𝑆𝑒𝑛𝑠𝐶ℎ𝑘의 상한 값 $M$으로 정하여진다. 결과적으로 TmrSensChk 이벤트에서 별 다른 이벤트의 발생이 없는 경우, 최대 $T_{op}(\le$이벤트 TmrSensChk의 1회 최대 수행시간 × $M$) 시간동안 태스크를 수행 (반복)하게되며 그런 후 PSM으로 자동 모드 변환이 이루어진다.

그림 3(a), (b)에서는 TOM의 메인 이벤트인 TmrSensChk의 세부 수행과정을 보여준다. 퓨전 옵션 mdFusion (노드 초기화 과정에서 혹은 AP 제어 메시지에 의해 셑팅 가능) 값에 따라 크게 노드 퓨전 과정 (mdFusion = 0)과 AP 퓨전 과정 (mdFusion = 1)으로 구분되고 서로 다른 프로세스를 밟게 된다. 첫째, 노드 퓨전의 경우(mdFusion = 0, 그림 3(a) 참조) 센서 감지 값 𝑠𝑒𝑛𝑠𝐷𝑎𝑡𝑎를 임계치($TH_{e}$ <최고위 임계치> 혹은 $TH_{g}$ <차상위 임계치>)와 비교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네 가지 서브태스크를 수행한다. 우선 sensData가 $TH_{e}$ 보다 클 경우, 즉, $TH_{e}$ ≤ 𝑠𝑒𝑛𝑠𝐷𝑎𝑡𝑎인 경우 해당 노드는 긴급 클래스로 분류되어 클래스 정보(sensClass = ‘01’)가 포함된 Type 1 메시지 msgSensInfo1을 발생하고 이를 AP로 즉시 전송한 후 명령어 mPwrSaveMod = ‘ON’의 수행으로 운용모드를 TOM에서 PSM으로 전환시킨다. 다음으로 𝑠𝑒𝑛𝑠𝐷𝑎𝑡𝑎가 차상위 임계치 $TH_{g}$와 최고위 임계치 $TH_{e}$ 사이에 놓일 경우 (즉, $TH_{g}$ ≤ 𝑠𝑒𝑛𝑠𝐷𝑎𝑡𝑎 < $TH_{e}$ 인 경우), 일반 클래스로 분류하고 카운트 nClass를 하나 증가시켜 그 누적 값이 $N$ 이상일 때 (즉, $n Class\ge N$을 만족할 때) 긴급 클래스 정보(sensClass = ‘01’)가 포함된 Type 1 메시지 msgSensInfo1을 발생하고 이를 AP로 전송한 후 mPwrSaveMod = ‘ON’의 수행으로 운용모드를 TOM에서 PSM으로 전환시킨다. 다음으로 𝑠𝑒𝑛𝑠𝐷𝑎𝑡𝑎 < $TH_{g}$ 이면서 누적카운터 𝑐𝑛𝑡𝑇𝑚𝑟𝑆𝑒𝑛𝑠𝐶ℎ𝑘 < M일 경우, 카운트 nClass를 하나 감소시키고 𝑐𝑛𝑡𝑇𝑚𝑟𝑆𝑒𝑛𝑠𝐶ℎ𝑘을 하나 증가시킨 후 트리거 명령어 eTmrSensChk = 'ON'의 수행으로 TmrSensChk 이벤트를 반복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sensData < $TH_{g}$ 이면서 𝑐𝑛𝑡𝑇𝑚𝑟𝑆𝑒𝑛𝑠𝐶ℎ𝑘 ≥ M 일 경우 (다시 말해, 허용시간 $T_{op}$ 를 초과할 경우―$T_{op}$ 값의 범위: 이벤트 TmrSensChk의 1회 수행시간 최솟값 $\le T_{op}\le$이벤트 TmrSensChk의 1회 수행시간 최댓값 × $M$), 의미있는 화재감지가 없음으로 판단 TmrSensChk 이벤트를 더 이상 진행(반복)시키지 않고 mPwrSaveMod = ‘ON’ 수행으로 운용모드를 TOM에서 PSM으로 전환시킨다. PSM 모드에서는 ‘WakeUp’ 트리거 신호를 발생하는 노드의 두 가지 모듈, 즉, 센서부와 RF 수신부를 제외한 모든 노드 모듈에 전원공급이 자동 차단(‘OFF’) 된다 (그림 6(b) 참조).

둘째, AP 퓨전인 경우 (mdFusion = 1), 그림 3(b)에 보여주고 있는 TmrSensChk 이벤트 태스크 $E_{t}$를 진행한다. 이 경우, 실제 퓨전 과정은 AP에서 이루어지므로 노드는 단지 센서부의 감지정보 sensData를 그대로 Type 2의 메시지 msgSensInfo2에 담아 AP로 보내주기만 하면 된다. 즉, 노드는 msgSensInfo2를 AP로 전송한 후 즉시 명령어 mPwrSaveMod = ‘ON’ 수행으로 운용모드를 TOM에서 PSM로 전환시킨다. 결과로, AP 퓨전은 노드 퓨전에 비해 노드 자체적인 퓨전 과정(부하)이 생략되어 태스크 프로세스가 간단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림 3(b) 참조). 하지만, 다중 노드 (공간) 샘플 퓨전 방식인 AP 퓨전은 msgSensInfo2 전송에 앞서 구역 내 모든 노드를 ‘WakeUp’ (즉, PSM → TOM 모드 변환을 가리킴)하기 위한 핸드 세이크 절차가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AP 퓨전은 노드 퓨전과는 달리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latency 증가와 배터리 소모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2.3 전원 절약 모드 설계 방안

그림 6에서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전원절약운용을 고려한 노드 시스템 블록도룰 보여 준다. 노드는 크게 산불발생을 감지하는 연기센서 등을 포함한 센서부, 센서의 감지 데이터(sensData)로부터 msgSensInfo (Type 1 [노드퓨전]: msgSensInfo1, Type 2 [AP 퓨전]: msgSensInfo2)를 발생하고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 msgSensInfo를 AP로 전송하는 RF 송신부, AP로부터 메시지 (‘WakeUp’ 메시지 msgWakeUp 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부 (CPU) 및 전원부로 구성된다. 노드는 전원절약 모드 (PSM)와 임시 운용 모드 (TOM)의 두 가지 모드로 구분 운용된다. 노드는 대부분의 휴면기 (화재 센싱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기간) 동안 PSM에 있게 되어 노드의 수명주기를 효과적으로 늘려주게 된다. PSM 모드에서는 그림 6(a)에서 음영 처리한 모듈, 즉, WakeUp 센싱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AP로부터 msgWakeUp를 수신하는 RF 수신부에만 전원이 공급되고 나머지 노드 모듈에는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그림 6(b)에서 보여주듯이 노드는 PSM 모드에서 센서부에서 ‘WakeUp’ 신호, 즉, 연기 신호 감지 시 혹은 RF 수신부에서 AP로부터 WakeUp 메시지인 msgWakeUp 수신시에만 트리거 신호 ‘PWR ON pulse’가 발생되고 이 펄스 신호에 의해 노드 제반 모듈에 전원이 공급 되어져 휴면모드로부터 깨어나게 된다(즉, PSM → TOM). 그 결과로 대응 이벤트 (SensWakeUp $E_{s}$ 혹은 RcvMsgWakeUp $E_{r}$)의 이벤트 큐에 저장과 함께 해당 태스크의 진행으로 (그림 4, 5 참조) 시스템 초기화과정을 거쳐 메인 센싱 SW 이벤트 TmrSensChk가 재차 수행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림. 6. PSM를 고려한 노드 시스템 설계: (a) 노드 시스템 블록도, (b) 센서부 화재 신호 감지 혹은 AP WakeUp 메시지 수신에 의한 노드 운용 모드 전환 (PSM → TOM)

Fig. 6. Node system design with PSM: (a) node system block diagram, (b) node operating mode transition (PSM → TOM) by smoke signal detection in sensor module or AP wakeup message reception.

../../Resources/kiee/KIEE.2020.69.5.706/fig6.png

2.4 퓨전 방안

제안 시스템의 센싱 데이터 퓨전은 퓨전을 수행하는 주체에 따라 AP 퓨전과 노드 퓨전의 두 방식으로 나뉜다. 퓨전 방식에 따라 노드로부터 AP로의 전송 메시지 msgSensInfo (Type 1 [노드퓨전]: msgSensInfo1, Type 2 [AP 퓨전]: msgSensInfo2) 또한 서로 다르다. AP 퓨전은 AP 가 직접 퓨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직접식 앙상블 퓨전 방식으로 각 노드는 센서의 감지 샘플 정보 (sensData)를 그대로 msgSensInfo2에 담아 AP로 전송하며 AP는 다중노드 샘플로 부터 퓨전 결과인 클래스 정보를 추출한다. 이에 반해 노드 퓨전은 노드 자체적으로 간단히 임계치를 이용한 간접식 시간샘플 퓨전 방식으로 추출한 퓨전 결과인 클래스 정보(sensClass)는 msgSensInfo1에 담아 AP로 전송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AP 퓨전과 노드 퓨전의 두 가지 방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P 퓨전은 Dempster-Shafer (D-S) 증거이론 (15)에 기반 한 퓨전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AP는 각 노드로부터 보내온 메시지 msgSensInfo2로부터 추출한 감지샘플 (sensData)로 구성된 입력벡터 $\boldsymbol{s}=\left[s_{1},\: s_{2},\: ...,\: s_{N}\right]$ (여기서, $s_{i}$ 는 노드 $i$의 샘플)를 얻는다. D-S 퓨전 알고리즘에 입력벡터 $\boldsymbol{s}$를 입력하여 퓨전 결과를 얻은 후 임계치와의 비교로 클래스 정보를 도출한다. D-S 이론은 다중 소스 정보의 조합 규칙을 이용하여 얻은 화재발생 기본 확률 분포의 합성으로 화재발생에 대한 글로벌 확률 분포를 제시한다. 수학적으로 하나의 사건 $A$의 모든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FOD (frame of discernment)를 $\Theta$로 표시한다고 할 때, power set $2^{\Theta}$는 $\Theta$의 모든 가능한 부분집합을 구성한다. 집합 $\Theta$에 대한 함수 $m: 2^{\Theta}\to[0,\: 1]$을 정의하며, $m(\varnothing)=0,\:\sum_{A\subset 2^{\Theta}}m(A)=1$을 각각 만족한다. $m$은 질량함수인 FOD 상에 ‘기본확률할당 (BPA)’로 $m(A)$는 사건 $A$의 belief 척도가 된다고 말할 수 있다. D-S의 일반결합규칙에 의하면, $N$ 개의 다중 노드 (혹은 다중 소스)를 가정할 때 $N$ 개의 개별사건 $A_{1},\: A_{2},\:\cdots ,\: A_{N}$의 퓨전 사건 $A$ (단, $\forall A\sqsubseteq\Theta$ 가정)의 질량함수는 다음 식과 같이 개발질량 함수 $m_{1},\: m_{2},\:\cdots ,\: m_{N}$를 이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1)
$\left(m_{1}\oplus m_{2}\oplus\cdots\oplus m_{N}\right)A$ $=\dfrac{1}{1-K}\sum_{\cap_{i}A_{i}=A}m_{1}\left(A_{1}\right)m_{2}\left(A_{2}\right)\cdots m_{N}\left(A_{N}\right)$

식(1)에서 $A\ne\varnothing$, $K=\sum_{\cap_{i}A_{i}=\varnothing}m_{1}\left(A_{1}\right)m_{2}\left(A_{2}\right)\cdots m_{N}\left(A_{N}\right)$를 가정한다. 결과적으로 산불이 발생할 퓨전 사건 $A$의 사건발생 확률 $P_{f}$는 개별 노드 사건 $A_{i}$의 belief 척도인 질량함수 $m_{i}(A_{i})$ (질량함수 $m_{i}(\circ)$는 곧 노드 $i$에서의 fire probability $FP_{i}$임)의 합성 결과라고 말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노드에서의 개별 화재발생 사건과 개별사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퓨전은 적응 가중 퓨전 방식(adaptive weighted fustion algorithm: AWFA (15))의 정의와 절차를 따른다고 가정하고 실험한다.

둘째, 노드 퓨전 방안에서는 그림 3(a)에서 보여주듯이 AP 퓨전과 달리 감지샘플 (sensData)을 노드 자체적으로 저장한 임계치 ($TH_{e}$ or $TH_{g}$)와의 비교로 두 가지 샘플 Type (긴급샘플, 일반샘플)로 구분한다. 제안 알고리즘에서는 샘플 Type에 따라 적절한 과정을 거친다. 단, 제안 TB에서는 해당 결과가 긴급 클래스로 판정될 경우 추가 절차 없이 해당 클래스 정보 (sensClass = ‘01’)를 포함한 전송 메시지 msgSensInfo1를 만들어 AP로 보내준다. 그림 3(a)의 TB 시스템 플로우에서 보여주듯이 긴급샘플인 경우엔 한번이라도 발생 시 긴급 클래스 (즉, sensClass = ‘01’)로 판정하지만, 일반샘플인 경우엔 별도의 누적(퓨전)과정을 거친 후 긴급 클래스 여부를 판정하도록 설계되어져 있다. 즉, 일반샘플인 경우 클래스 카운터 nClass (up/down counter)를 누적하고 nClass가 일정 임계치 (즉, $M$ 이상)를 넘을 경우에만 긴급 클래스 정보(즉, sensClass = ‘01’)를 발생하도록 하였다. AP에서 수신한 msgSensInfo1에 sensClass = ‘01’인 경우엔 해당 정보를 관제센터 서버로 즉시 포워딩하여 주어 긴급 상황에 대한 조기조치가 가능하여진다.

결과적으로, 임계치를 활용한 간단한 시간샘플 합성 방식인 노드 퓨전은 공간 샘플 (앙상블) 합성 방식인 AP 퓨전에 비해 검출 신뢰도가 다소 낮은 반면에, 노드 ‘WakeUp’을 위한 별도의 핸드 세이크 과정 불필요 등 절차적으로 간단하며 실시간 처리에 유리하고 소모전력 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또한 노드 퓨전은 감지샘플(sensData)을 그대로 메시지 msgSensInfo2에 담아 전송하는 AP 퓨전에 비해 퓨전 결과 (sensClass)만을 메시지 msgSensInfo1에 담아 AP로 전송하여 주어 상대적으로 메시지 길이가 짧아 (즉, 길이(msgSensInfo1) < 길이(msgSensInfo2)) 전송부하를 줄여 준다.

2.5 노드 전송메시지 msgSensInfo 데이터 포맷

그림. 7. 산불 모니터링 용 노드 전송 메시지 데이터 포맷: (a) Type 1 메시지 msgSensInfo1 (노드 퓨전용), (b) Type 2 메시지 msgSensInfo2 (AP 퓨전용), (c) 데이터 포맷 항목 및 설명

Fig. 7. Node transmission message format for wildfire monitoring: (a) Type 1 message msgSensInfo1 (for node fusion), (b) Type 2 message msgSensInfo2 (for AP fusion), (c) data format items and explanation

../../Resources/kiee/KIEE.2020.69.5.706/fig7-1.png

../../Resources/kiee/KIEE.2020.69.5.706/fig7-2.png

그림 7은 노드에서 감지신호(sensData) 취득 및 처리 후 AP로 전송하는 전송메시지 msgSensInfo의 데이터 포맷을 보여준다. 노드에서 AP로의 전송 메시지 msgSensInfo는 퓨전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노드 퓨전의 경우 그림 7(a)의 Type 1 메시지 msgSensInfo1을 전송하고, AP 퓨전의 경우 그림 7(b)의 Type 2 메시지 msgSensInfo2를 전송한다.

그림 7(a), (b)의 데이터 포맷은 크게 헤더 (Header), 센싱정보 (Sensing Info), 테일 (Tail) 부분으로 각각 구분한다. 우선 헤더부분은 Type 1 & Type 2 공통으로 동기용 프리앰블 (SyncPrm), 수신측 주소 (AP address), 송신측 주소 (Node address), 센싱 시간을 나타내는 TTS (Time To Sense), 노드 퓨전과 AP 퓨전을 구분하여 주는 퓨전 모드 (mdFustion: 0 [노드 퓨전], 1 [AP 퓨전]), 예비 데이터(Reserved: 센싱 정보를 전송하는 노드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으로 구성된다. 센싱정보 부분은 퓨전 모드 mdFusion에 따라 달라지는데, Type 1 메시지 msgSensInfo1의 경우 노드 감지 샘플 sensData를 임계치와의 비교로 분류한 클래스 정보 sensClass(00: 일반클래스, 01: 긴급클래스)를 포함하며, Type 2 메시지 msgSensInfo2의 경우 AP 퓨전을 위해 필요한 순수 감지데이터 (sensData)를 포함한다. 나머지 테일 부분은 Type 1 & Type 2 공통으로 쳌섬(checksum)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노드 퓨전의 Type 1 메시지에 비해 sensData를 그대로 포함하는 AP 퓨전의 Type 2 메시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커 반복전송 (재전송) 시 전송부하로 이어짐을 알 수 있다.

3. 실험 및 결과 고찰

본 논문에서는 제안방식 검증의 일환으로 아두이노 우노 보드 기반의 다중 센서 노드와 AP로 구성된 분산형 산불감시용 모니터링 테스트 베드 (TB)를 구축한다. 본 절에서는 아두이노 기반의 노드 및 AP로 구성된 TB 제작, TB를 이용한 산불감시용 감지데이터 측정 및 전송 실험, 퓨전 실험, 배터리 사용시간 실험 및 결과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

3.1 아두이노를 활용한 테스트 베드 (TB) 제작

그림. 8. 안두이노 기반의 TB: (a) AP, (b) MQ-2 가스센서를 부착한 노드

Fig. 8. Arduino-based TB: (a) AP, (b) Nodes with MQ-2 gas sensor

../../Resources/kiee/KIEE.2020.69.5.706/fig8.png

그림 8은 본 논문에서 제안한 산불 발생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의실험을 위해 구현한 아두이노 우노보드 기반의 테스트 베드 (TB) 사진을 보여준다. TB 모의실험에서 ZigBee 통신 기반의 다중 노드가 구획 (Sector) 내에 균일하게 배치되어있음을 가정한다. TB 모의실험에서는 하나의 특정 모니터링 구획을 가정하며, 구획 내에 MQ-2 연기감지기를 탑재한 우노 보드 기반의 다중 노드 단말(노드 수: $N$)과 각 노드로부터 감지 메시지를 수신 및 취합하는 하나의 AP가 배치된다. 설계된 TB의 AP는 노드와의 ZigBee 통신 기능을 갖는 아두이노 우노보드와 각 노드로부터 수신한 센싱 데이터의 퓨전 기능을 수행 (우노 보드의 제한 사양 고려)하는 노트북을 USB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그림 8(a) 참조). 그림 8(b)의 노드 단말은 화재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MQ-2 연기(가스) 센서 모듈과 함께 ZigBee 통신 기능의 ZigBee Pro 모듈을 부착한 우노 보드를 이용한다. 노드는 연기(가스)가 감지될 경우, 이벤트를 발생하고 대응 절차 (퓨전기능 포함)에 따른 전송메시지 (msgSensInfo1 혹은 msgSensInfo2)의 발생 및 AP로의 전송으로 구획 내에 발생한 산불의 신속한 탐지 및 모니터링을 가능케 한다. 설계한 TB를 활용하여 노드와 AP 간에 이벤트 기반의 제반 프로세스와 전송 프로토콜의 확인 및 퓨전기능 (노드 퓨전, AP 퓨전)의 점검이 가능하다. TB를 이용한 모의실험에서 총 노드 개수 $N=8$을 가정한다.

3.2 화재 감지 데이터 측정 및 결과

본 논문에서는 그림 8(b)에서 보여준 TB 노드 장치를 이용하여 MQ-2 연기센서 기반 화재감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화재감지 실험을 통해 95 \% 이상의 신뢰도를 만족하는 (즉, 100회 실험에서 95회 이상 감지) 실험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그림 9(a)는 MQ-2 연기센서를 이용한 측정 결과표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TB의 화재감지 클래스를 판정하는 임계치를 설정한다. 그림 9(a)의 표에서 보여준 MQ-2 연기 센서 측정 평균 (기준) 값 176은 그림 9(b)의 SMOKE 농도 기준표에서 3000~3500 ppm에 해당하며, 이 값은 TB에서 일반클래스를 판정하는 기준 임계치 ($=TH_{g}$)가 된다. 또한 $TH_{g}$는 설계한 노드의 센서부에서 WakeUp 이벤트 (SensWakeUp)를 트리거하는 임계치로도 사용한다. 동일 TB 실험을 통해 특수클래스를 결정하는 임계치 $TH_{e}$ = 230 (SMOKE 농도 기준 10000 ppm)로 설정한다.

TB를 이용한 AP와 노드간의 전송 프로토콜 실험에서는 제안한 이벤트 프로세스의 절차적인 확인과 함께 AP 퓨전과 노드 퓨전의 각 퓨전 방식에 대한 주요 기능을 점검한다. 우선 AP 퓨전 프로세스(그림 3(b) 참조)에서 각 노드는 센서부의 측정 샘플 (sensData)를 포함한 msgSensInfo2 (그림 7(b) 참조)를 발생하고 이를 AP로 보내준다. AP는 이들 노드로부터 수집된 sensData 입력 벡터 $\boldsymbol{s}=\left[s_{1},\: s_{2},\: ...,\: s_{N}\right]$ (여기서 $s_{i}$ 는 노드 $i$의 샘플)를 D-S 퓨전 알고리즘 (15)에 입력하여 퓨전 결과를 얻고 얻어진 결과로 구획 내 화재발생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제안한 AP 퓨전 방안 (D-S 알고리즘 기반)의 수행으로 퓨전 결과 값을 얻고, 그 값이 임계치 $TH_{e}$를 넘는 경우 긴급 클래스로 판정한다. 구현한 TB의 AP 퓨전 방식에서는 AP에서 긴급 클래스로 판정한 경우에만 원격 서버(통제센터)로 화재 경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해당 경보 메시지를 수신한 서버는 경보 알림음과 함께 AP로부터 전달된 화재발생 시간 (TTS: Time To Sense) 및 위치(구획) 등의 정보를 서버 모니터에 표시하여 준다 (그림 10 참조).

그림. 9. MQ-2 가스 센서를 이용한 노드 화재 감지 측정: (a) 화재 감지 측정 데이터, (b) 화재 감지 데이터 와 smoke ppm 값 간의 관계 곡선

Fig. 9. Node smoke detection using MQ-2 gas sensor: (a) smoke measurement data, (b) smoke measurement data versus smoke ppm value curve

../../Resources/kiee/KIEE.2020.69.5.706/fig9.png

AP 퓨전과는 달리 노드 퓨전은 노드의 저가형 설계를 고려 사전에 노드 메모리에 저장된 임계치 테이블을 이용하여 센싱 클래스를 직접 얻는 (절차적으로) 간소화된 퓨전 방식이다. TB 노드의 임계치 테이블에는 위에서 언급한 실험을 통해 추출한 일반 임계치 $TH_{g}$와 긴급 임계치 $TH_{e}$를 각각 저장한다. 다시 말해, 설계된 노드에서는 노드 퓨전 프로세스(그림 3(a) 참조)를 통해 센서부로부터 얻어진 sensData 값과 임계치와의 비교로 적정 클래스 (일반/긴급)를 판정한다. 최종 판정 결과가 긴급인 경우, 해당 sensClass (= 01) 정보를 포함한 msgSensInfo1을 발생하고 (그림 7(a) 참조) 이를 AP를 거쳐 서버로 전송한다. 통제실 서버에서는 해당 메시지의 클래스 결과와 함께 필요시 산불 발생 시간 및 위치 정보 등을 서버 모니터에 표시하고 적절한 비상조치를 취한다 (그림 10 참조).

그림. 10. 노드 전송메시지 msgSensInfo를 통해 전달된 긴급 산불 정보 (시간 및 위치 포함)의 서버 모니터 확인

Fig. 10. Identification of wildfire emergency information (time & position) in server monitor via node transmission message msgSensInfo

../../Resources/kiee/KIEE.2020.69.5.706/fig10.png

3.3 퓨전 실험 및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산불 모니터링 용 TB를 이용하여 화재 검출 성능 개선시키는 퓨전 알고리즘에 대한 모의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퓨전 방식은 AP 퓨전과 노드 퓨전의 둘로 나뉜다. AP 퓨전의 경우는 각 노드로부터 전송된 감지샘플 (sensData) 입력벡터 $\boldsymbol{s}=\left[s_{1},\: s_{2},\: ...,\: s_{N}\right]$ (여기서 $s_{i}$는 노드 $i$의 샘플)를 퓨전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합성결과(클래스 정보)를 얻는 데이터 퓨전 방식이고, 노드 퓨전의 경우는 별도의 퓨전 알고리즘 없이 노드에 저장된 테이블 임계치 만을 기초로 감지 샘플에 대한 클래스(퓨전)를 판정하는 일종의 저가형 노드 운용을 고려 설계된 데이터 퓨전 방식이다. AP 퓨전의 경우 각 노드는 sensData를 그대로 메시지 (msgSensInfo2: 그림 7(a) 참조)에 담아 AP로 보내주는 반면에, 노드 퓨전의 경우 각 노드는 자체적으로 임계치에 의거 sensClass를 판정하고 해당 결과만을 메시지 msgSensInfo1 (그림 7(b) 참조)에 담아 AP로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AP 퓨전이 공간적 다중 노드 샘플에 대한 앙상블 퓨전인 반면에 노드 퓨전은 시간 샘플 퓨전으로 퓨전 성능 (AP 구획 내 화재발생 검출성능) 면에서는 AP 퓨전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반면에 PSM 중인 노드를 ‘WakeUp’ 하기 위한 별도의 핸드 세이크 절차 필요로 latency가 증가하고 전송 부하가 커지는 등 저전력 운용면 및 실시간 처리면에서 제한된다고 볼 수 있다.

표 1. AP 퓨전을 이용한 산불 검출 신뢰도 실험 결과

Table 1. Reliability test results of AP fusion based wildfire detection

../../Resources/kiee/KIEE.2020.69.5.706/table2.png

표 1은 AP에서 관할 모니터링 구획 내에 배치된 다중 노드(여기서는 총 노드 수 $N =$ 8 가정)로부터 각기 전송한 메시지 (msgSensInfo2)로부터 추출한 sensData 벡터 $\boldsymbol{s}$를 D-S 퓨전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얻은 AP 퓨전 결과를 보여준다. 각 노드의 측정결과 (이는 곧, $i$번째 노드의 사건 $A_{i}$의 질량함수 $m_{i}\left(A_{i}\right)$가 됨)는 대응되는 화재발생 확률$FP_{i}$ (fire probability) 값으로 표현되며, 퓨전 알고리즘을 거쳐 얻어진 다중노드의 퓨전 결과는 구획 내 화재검출 신뢰도 값 $P_{f}$ (= 퓨전 확률값)으로 환산된다. 노드 $i$ ($=1,\:2,\:...,\:N$)에서의 사건은 화재발생 사건과 화재미발생 사건의 둘로 구분되며 각 사건 확률은 $FP_{i}$ (화재 발생사건 확률)와 $NFP_{i}$ (화재미발생사건 확률)로 표시되고 서로 상보관계이다 (즉, $NFP_{i}=1-FP_{i}$). $F_{i}$를 노드 $i$ ($=1,\:2,\:\ldots ,\:N$)에서 화재발생 시 얻은 국소추정 (local estimate) 값 (즉, 감지샘플 값)이라고 가정했을 때 모니터링 구획 (관할 AP 영역) 내에 노드 $i$에서 화재발생 검출 확률 $FP_{i}$ 는 다음 식(1)과 같이 정의된다 (15).

(2)
$FP_{i}=\dfrac{F_{i}}{(F_{i})+ F_{i}}$.

식(2)에서 $({F}_{{i}})$는 정상 환경 조건하에서의 적응 가중치 퓨전 알고리즘 (AWFA) 결과 값의 상한을 가리킨다 (15). 일반적으로 $FP_{i}$가 $NFP_{i}$보다 값이 큰 경우 (즉, $FP_{i}>0.5$일 때), 노드 $i$에서의 화재 검출을 가정한다. 표 1은 다중 노드 ($N=$ 8 가정)를 갖는 AP 구획 내에 산불 발생을 가정 시, $i$ 번째 노드에서의 국소추정 값 $F_{i}$ 으로부터 유도된 $FP_{i}$와 D-S 알고리즘 기반의 $N$ ($= 8$) 개 노드의 AP 퓨전 결과인 산불 검출 신뢰도 값 $P_{f}$을 요약하고 있다. 표 1에서 노드의 산불 발생확률 $FP_{i}$가 0.5 이상인 노드 수(음영 처리 부분)가 증가할수록 $P_{f}$의 값이 커짐을 알 수 있다. 비록 총 노드 8 개 중에 3 개의 노드에서 $FP_{i}$ 0.5 이상인 경우 $P_{f}$가 $TH_{f}$ (= 0.5 가정) 이상이 됨으로 AP 구획 내 산불발생으로 판정하고 있지만, 2 개의 노드에서 $FP_{i}$가 0.5 이상으로 나오는 경우 $P_{f}$가 $TH_{f}$ 이하가 되어 AP 구획 내 산불 미발생로 판정하고 있다. TB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퓨전 실험에서 $P_{f}$의 임계치 $TH_{f}=TH_{e}=0.5$ 이상일 경우 긴급클래스로 판정한다 (표 1의 마지막 행의 음영부분).

TB 시뮬레이터에는 AP 퓨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퓨전 프로세스가 간단한 저가형 노드 설계를 고려한 노드 퓨전을 또한 구현한다. 노드 퓨전은 AP 퓨전과는 달리 개별 노드의 화재발생 사건(즉, 감지샘플이 임계치를 넘는 경우)을 구획 내 발생한 화재사건으로 바로 간주한다. 노드 퓨전은 일정한 주기로 측정(샘플)한 다중 감지샘플(sensData)에 대한 합성, 즉, 시간 샘플 퓨전이라고 볼 수 있으며 해당 퓨전 결과는 간단히 임계치 ($TH_{g}$ 혹은 $TH_{e}$)와의 비교로 클래스 정보 (No/일반/비상)를 얻는다. 설계한 TB 시뮬레이터에는 하나의 감지 샘플이라도 비상클래스로 판정되는 경우 해당정보 (즉, sensClass = ‘01’)를 msgSensInfo1에 담아 AP로 전송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림 3(a) 참조). 아울러 감지샘플이 일반 클래스로 판정되는 경우, 그림 3(a)에서 보여주듯이 신뢰도를 높여주기 위해 반복 확인과정을 거쳐 그 결과가 긴급으로 판정될 시 sensClass = ‘01’를 msgSensInfo1에 담아 AP로 전송하도록 설계하였다. 단, 노드 퓨전의 경우 다중노드 샘플을 취합하는 AP 퓨전과는 성능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서버에서 재차 확인과정을 거치게 할 수도 있다 (본 시뮬레이터에서 이 과정은 생략). TB 시뮬레이터에는 일반클래스인 경우 임계치 $TH_{g}$ = 0.61 (MQ-2 가스 센서값 = 3500 ppm; $P_{f}$ = 0.90 기준), 긴급클래스인 경우 임계치 $TH_{e}$ = 0.75 (MQ-2 가스 센서값 = 10000 ppm; $P_{f}$ = 0.99 기준)를 각각 설정한다.

3.4 센서 노드의 실시간성 및 수명주기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 방식과 기존 방식에 대한 실시간성 및 수명주기의 비교에 있어 공정성(fairness)을 고려 노드 운용모드 내에 전원절약모드(PSM)를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음을 가정(전제)한다. 운용모드를 이벤트 발생 시 처리 모드(TOM; 걸리는 시간 $T_{t}$)와 전원절약모드(PSM; 걸리는 시간 $T_{p}$)의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때 일반적으로 운용모드 한 주기 $T$에 걸리는 시간은 두 모드에 걸리는 시간의 합, 즉, $T=T_{p}+T_{t}$ 이 된다. 높은 수명주기를 가정할 때 노드는 대부분의 시간을 PSM에 있게 되어 $T_{t}$는 $T_{p}$에 비해 거의 무시할 수준(표 2 참조; 즉, $T\cong T_{p}$)으로 가정할 수 있다.

대부분의 문헌을 살펴보면 IoT 기반의 산불처리 모니터링을 위한 기존방식은 AP (혹은 sink node) 퓨전과 노드 퓨전의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우선 AP 퓨전의 경우 AP에서 각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임계치와의 비교로 화재발생여부를 확인하는 퓨전방식으로 다수의 기존문헌에서 제안하고 있다 (10), (11), (13). AP 퓨전은 구획 내에 분산 배치된 각 노드 (총 노드 수 $N >1$ 가정)로부터 센싱 정보(sensData)를 주기적으로 수집 및 종합(aggregation)하는 고급 퓨전 알고리즘을 AP 장치 내에 내장한 방식이다. AP 퓨전은 공간 샘플 (서로 다른 노드의 전송 샘플)에 대한 앙상블 샘플 합성으로 상대적으로 시간 샘플 합성인 노드 퓨전에 비해 신뢰도가 높다. 반면에, AP 퓨전에서는 대부분의 기간 동안 PSM 모드(노드 수명주기를 고려)에 있는 노드를 AP가 깨운 ‘WakeUp’후 센싱 메시지 msgSensInfo 전송을 요청하는 주기적인 핸드세이크(handshake) 과정을 요구한다. 이러한 핸드세이크 과정의 추가는 운용주기 $T$가 핸드세이크 시간 $T_{h}$이 추가되어짐 (즉, $T=T_{p}+T_{t}+T_{h}$)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실제 이벤트 처리시간 $T_{t}^{'}$은 핸드세이크 처리시간 $T_{h}$ ($T_{h}:T_{t}=10:1$ 가정)만큼 증가(즉, $T_{t}^{'}=T_{t}+T_{h}$)하고 이는 곧 실시간 처리에 있어 큰 제약요건이 될 뿐 아니라 수명주기 또한 단축 (표 2 참조)시킨다. 더구나 악조건 (병목현상 등) 무선 채널 하에 반복된 핸드세이크 발생 ($n T_{n},\: n>1$)은 시스템 실용성을 저하시키는 주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AP 퓨전 방식 대신 실시간 처리 및 저전력 설계 요건을 만족하는 이벤트 기반의 노드 퓨전 방식을 새로이 제안한다. 제안한 노드 퓨전은 임계치를 활용한 간단한 시간샘플 합성 방식으로 공간 샘플 (앙상블) 합성 방식인 AP 퓨전에 비해 검출 신뢰도는 다소 낮아지는 반면에, 노드 ‘WakeUp’ 및 msgSensInfo 요청을 위한 별도의 핸드세이크 과정의 불필요로 절차적으로 간단하여져 실시간 처리에 유리할 뿐 아니라 전력(배터리) 소모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한편, 기존 논문에서도 저전력 설계를 고려한 노드 퓨전 방식을 또한 제안 (2)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노드 퓨전 방식은 노드의 수명주기를 고려 일정한 시간 주기 $T$로 노드를 WakeUp, 센싱 및 센싱 메시지 msgSensInfo 전송을 수행하는 주기적인 폴링방식을 취하고 있다. 다시 말해, 일정한 주기 $T$ ($=T_{p}+T_{t}$)로 자체적인 Wakeup 및 msgSensInfo 전송을 반복하는 주기적인 폴링 모드를 가정할 때 이벤트 (산불) 발생 시 최대 $T$ 시간의 필요로 실시간 처리에 제약이 있다. 다른 한편 실시간 처리를 고려 폴링 주기 $T$를 적정값 이내로 유지하고자 할 때에는 전력 소모의 과다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실시간 이벤트 처리 기반의 노드 퓨전 방식은 이벤트 (산불) 발생 시에 필요한 시간 $T_{t}$ (<< $T_{p}$) 동안만 active(‘ON’)하게 되어져 실시간 처리에 문제가 없을 뿐 아니라 또한 전력 소모면에서도 유리하여 수명주기를 적정값 이내로 설계가 가능하여진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전원절약 기능을 갖는 저가형 산불 감지용 노드는 대부분의 시간동안 전원 절약모드 (PSM)에 있게 되어 배터리의 교체 주기, 즉, 산불 모니터링 시스템의 수명주기를 대폭 늘려준다. 산불 모니터링 특성상 노드가 배치되는 커버리지 영역 내에 많은 곳이 사람의 접근이 용이치 않는 위험한 지역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배터리 교체를 포함한 유지 보수를 위해 상당한 비용이 요구된다. 이에 거의 배터리 교체 없이 사용이 가능한 (즉, 반영구적 혹은 영구적) 저가형 저전력 노드 설계를 고려하고 있다. PSM 운용모드를 포함한 제안 노드 시스템의 배터리 수명 주기에 대해 수치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표 2에서는 기존의 방식 과 제안 실시간 이벤트 처리방안에 대한 실시간 처리시간과 수명주기를 실험 결과를 기존 방식들 (2), (10), (11), (13)의 결과와 비교하여 보여주고 있어 제안 방식 (노드 퓨전)은 이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표 2의 배터리 수명주기 실험에서 각 노드에 장착한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Type인 용량 $C_{B}$ = 1200mAh (전압 $V$ = 3.6 Volt 가정)의 1차 리튬이온 전지 사용을 가정한다 (16). 노드가 TOM 시 평균 소모 전류 $A_{T}$ (Idle + Rx : Tx = 10 : 1 가정)는 5mA, PSM 시 평균 소모 전류 $A_{P}$는 50nA를 각각 가정한다 (17).

표 2. 시스템 운용 방식 별 이벤트 처리시간 및 배터리 수명 주기의 비교

Table 2. Event processing time vs battery life span comparison in each system operating mode

운용 모드

이벤트 처리 시간

센서 노드 수명 (단위: 시)

PSM+TOM : 이벤트 기반 운용(제안방식)

(주기 $T=T_{t}+T_{p}$ = 10 분당 1초씩 TOM 운용 (이벤트가 없는 경우)

[$T_{t}$: TOM time, $T_{p}$: PSM time] 가정;

이때

$\text{duty cyc}\le =\dfrac{T_{t}}{T_{p}+T_{t}}=\dfrac{T_{t}}{T}=\dfrac{1}{600}$ 이 됨)

최대: $T_{t}$

평균: $T_{t}$/2

$1.43\times 10^{5}$ 시간 (약 16.34년)

PSM+TOM: : 주기적 폴링 운용(노드 퓨전 기존방식 (2))

(주기 $T=T_{t}+T_{p}$=10 분당 평균 1초씩 TOM 운용

[$T_{t}$: TOM time, $T_{p}$: PSM time] 가정;

이때

$\text{duty cyc}\le =\dfrac{T_{t}}{T_{p}+T_{t}}=\dfrac{T_{t}}{T}=\dfrac{1}{600}$ 이 됨)

최대:

$T=T_{t}+T_{p}\cong T_{p}$

평균: $T/2$

$1.43\times 10^{5}$ 시간 (약 16.34년)

PSM+TOM: : 주기적 수집 운용(AP 퓨전 기존방식 (10), (11), (13))

(주기 $T=T_{t}+T_{p}+T_{h}$=10 분당 평균 10초 TOM ($T_{t}+T_{h}$) 운용

[$T_{t}$: TOM time, $T_{p}$: PSM time, $T_{h}$: handshake time] 가정;

이때

$\text{duty cyc}\le =\dfrac{T_{t}+T_{h}}{T_{t}+T_{p}+T_{h}}$

$=\dfrac{T_{t}+T_{h}}{T}=\dfrac{1}{60}$

이 됨)

최대:

$T=T_{t}+T_{p}+T_{h}$

$\cong T_{p}+T_{h}$

평균: $T/2$

$1.44\times 10^{4}$ 시간 (약 1.64년)

TOM only

$T_{t}$

240 시간 (4일)

PSM 중인 노드를 WakeUp 하는 상황은 AP로부터 msgWakeUp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아니면 센서모듈의 WakeUp 센싱 신호 감지시의 크게 두 경우로 나눌 수 있다. 후자 (즉, 센서 모듈에서 산불감지를 통해 WakeUp 이벤트 발생) 경우는 전자 (즉, 메시지 msgWakeUp에 의한 WakeUp 이벤트 발생) 경우에 비해 발생할 확률이 매우 작다고 볼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AP가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주기적으로 발신한 msgWakeUp 메시지를 수신하여 노드가 WakeUp 하는 악조건 상황을 가정하여 배터리 수명주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본 시뮬레이션에서 각 노드는 10분 주기(즉, $T=600$ 초)로 AP로 부터 msgWakeUp 메시지를 수신하여 노드 운용모드가 PSM에서 TOM으로 바뀌고 이에 따른 감지데이터의 획득 및 메시지 (msgSensInfo) 전송의 일련의 과정이 반복됨을 가정한다. 단, 여기서 주기 $T$ ($=T_{p}+T_{t}$) 중에 TOM 모드에서 걸리는 시간은 약 $T_{t}=0.1$ 초를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 하에 센서 노드 배터리의 수명 $L$을 계산하는 식은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L=\dfrac{C_{B}}{\left(A_{T}\times\dfrac{1}{36000}\times 6\right)+\left(A_{P}\times\dfrac{35994}{36000}\right)}. [단위: hour]$$

항상 TOM 모드를 유지하며 운용되는 경우(지속적으로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경우)의 센서 노드 배터리의 수명 $L$은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L=\dfrac{C_{B}}{A_{T}}. [단위: hour]$$

실험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저가형 저전력 센서노드는 기존방식 (10)과는 달리 PSM 모드 설계로 배터리 사용시간 (즉, 노드 수명주기)이 대폭 늘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하나의 배터리로 별도의 유지 보수(배터리 교체) 비용 추가 없이 센서 노드를 반영구적 (150년 이상)으로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산불발생시 조기 조치로 큰 산불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 이벤트 기반의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고효율(비용대효과면) 저가형 화재 모니터링 WSN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식은 전원절약모드 (PSM)를 별도로 갖는 저전력 노드 설계로 산불이 없는 대부분의 휴지기 동안 배터리 소모를 대폭 낮추어 주어 센서 노드의 배터리 수명주기를 대폭 (반영구적) 늘려주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식은 PSM 하에서도 실시간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이벤트 기반으로 설계되어 있어 화재발생시 신속한 대처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제안 시스템은 산불 여부의 판정 오류율을 낮추어 주는 데이터 퓨전 기능 옵션 (AP 퓨전, 노드 퓨전)을 내장하고 있어 저가형 노드임에도 효과적으로 화재검출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개선시켰다. AP 퓨전은 다중 공간 샘플에 대한 앙상블 퓨전인 반면에 노드 퓨전은 다중 시간 샘플에 대한 시간 퓨전으로, 퓨전 성능 면에서는 AP 퓨전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반면에 간단한 핸드 세이크 절차 및 낮은 전송 부하 등 저전력 및 경량화 설계면에서는 노드 퓨전이 상대적으로 이점이 있다. 제안 산불 모니터링 시스템의 검증을 위해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 감지 기능 (MQ-2 센서 부착)과 ZigBee 전송 기능을 갖는 아두이노 우노 보드 기반의 저가형 노드와 AP로 구성된 테스트 베드 (TB)를 구현하였다. TB를 활용한 시험에서 노드와 AP간의 이벤트 기반의 프로토콜과 각 퓨전방식에 대한 기능검증과 더불어 제안방식의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 모델의 실용화 단계 구현 (FPGA 설계 포함)과 함께, 실제 화재 환경 조건하에 타당성 검증 실험(소방청/산림청 산하 화재표준시험기관 협조)을 강구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n government (MSIT) (2017R1A2B4005840) and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Research Fund, 2020.

References

1 
H. Xu, Jan 2007, Wireless fire monitoring system for ancient buildings, in Proceedings of ACM INFOSCALEGoogle Search
2 
Y. Li, Z. Wang, Y. Song, June 2006, Wireless sensor network design for wildfire monitoring, in Proceedings of IEEE WCICADOI
3 
Y. Birot, 2009, Living with wildfires: what science can tell us, EFI Discussion Paper 15, European Forest InstituteGoogle Search
4 
Feb 2018, 2017 Forest Fire Statistics Annual Report, Korea Forest ServiceGoogle Search
5 
M. W. Lee, S. Y. Lee, J. H. Lee, Oct 2012,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 based on statistics of forest fire in Korea, Journal of Kosham, Vol. 12, No. 5, pp. 185-192Google Search
6 
2019, Gangwon-do Fire, https://ko.wikipedia.org/wiki/2019%EB%85%84_%EA%B0%95%EC%9B%90%EB%8F%84_%EC%82%B0%EB%B6%88Google Search
7 
B. Singh, S. Kumar, V. S. Chandel, Oct 2017, Novel cost effective multisensor network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parks and wildlife from fire, in Proceedings of IEEE UPCONDOI
8 
M.-S. An, D.-S. Kang, June 2014, A study of forest fire prevention system based on meteorological and vision sensor, Journal of KIIT, pp. 175-180Google Search
9 
D.-Y. Yun, S.-H. Kim, 2007, A design of fi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unmaned helicopter and sensor network, Journal of KIIS, Vol. 17, No. 2, pp. 173-178DOI
10 
H. Kim, G. Shin, B. Woo, N. Koo, K. Jang, K. Lee, June 2015, A study on forest fires prediction and detection algorithm using intelligent context-awareness senso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19, No. 6, pp. 1506-1514DOI
11 
A. S. Bhosle, L. M. Gavhane, March 2016, Forest disaster management with wireless sensor network, in Proceedings of ICEEOTDOI
12 
S. Mohapatra, P. M. Khilar, Nov 2016, Forest fire monitoring and detection of faulty nodes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in Proceedings of IEEE TENCONDOI
13 
G. B. Neumann, V. P. Almeida, M. Endler, June 2018, Smart forests: fire detection service, in Proceedings of WoCCESDOI
14 
March 2019, Method of event signal processing, Korea Patent No. 10-1970410Google Search
15 
J. Zhao, Dec 2014, Multisensor data fusion for wildfire warning, in Proceedings of IEEE MSN, pp. 19-21DOI
16 
www.farnel.com>datasheets>Primary lithium battery LS 14250Google Search
17 
Cornell Evan, Jun, 2015, Achieve extremely long battery life in wireless sensor nodes, Texas Instruments, Technical Articles, IndustrialGoogle Search

저자소개

최상호 (Sangho Choe)
../../Resources/kiee/KIEE.2020.69.5.706/au1.png

1978.03~1982.02 한양대학교 학사

1978.03~1982.02 한양대학교 석사

1996.09~2001.05 TexasA&M 대학교 박사

2003.03~현재 가톨릭대학교 정보통신전자공학부 교수

연구분야: 사물인터넷, 5G, 신호처리

E-mail : schoe@catholic.ac.kr, sangho.choe@gmail.com

유정화 (JeongHwa Yoo)
../../Resources/kiee/KIEE.2020.69.5.706/au2.png

2005.03~2010.02 가톨릭대학교 학사

2010.03~2012.08 가톨릭대학교 석사

2012.09~2019.02 가톨릭대학교 박사 정보통신전자 공학 전공

연구 분야: 전력선 통신, 전력선 품질 측정, 신호처리

E-mail : mundade@hanmail.net

폰수게수라니 (Ponsuge Surani Shalika Tissera)
../../Resources/kiee/KIEE.2020.69.5.706/au3.png

2005.04~2008.05 University of Kelaniya, Sri Lanka 학사

2008.09~2012.12 University of Colombo Sri Lanka 석사

2013.03~2015.02 가톨릭대학교 석사

2015.03~2019.08 가톨릭대학교 박사 정보통신전자 공학 전공

연구 분야: Molecular Communication, Machine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E-mail : surani.pss@gmail.com

강조인 (JoIn Kang)
../../Resources/kiee/KIEE.2020.69.5.706/au4.png

2014.04~2019.08 가톨릭대학교 학사 정보통신전자 공학 전공

2019.08~ 광운대학교 석사 재학 인공지능융합학과 전공

연구 분야: 신호처리, 인공지능

E-mail : kjikji956@gmail.com

양희경 (HeeKyung Yang)
../../Resources/kiee/KIEE.2020.69.5.706/au5.png

2013.03~2020.02 가톨릭대학교 학사 정보통신전자 공학 전공

연구 분야: 신호처리

E-mail : kent686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