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성
(Hong-Sung Kim)
†iD
김기복
(Ki-Bok Kim)
1iD
이승요
(Seung-Yo Lee)
2iD
-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Daelim University College,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PV(Photovoltaic) System, DC Junction Block, Diagnosis, Artificial Neural Network(ANN), Bath Tube Failure Rate Function, O&M(Operation and Maintenance)
1. 서 론
세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 시장은 2018년 102.4[GW]로서 연간 100[GW] 이상을 기록하였으며 2019년 120[GW] 정도의 시장규모가
예측된다. 국내 태양광 시장의 규모도 지자체 규제와 계통연계 제약에도 불구하고 2018년 설치 규모가 2[GW], 누적 7.9[GWh], 2030년
누적 규모는 36.5[GW]에 이를 것으로 기대된다(1)-(2).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설치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관련 사고 또한 증가하고 있는데, 이 중 국내 태양광 발전설비 화재 현황을 살펴보면 화재 발생 건수는
매년 평균 46% 정도 증가하는 것을 표 1에서 알 수 있다.
수 백 kW급 이상의 중·대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성 시 다수의 PV 스트링을 노드화하여 하나의 출력으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직류 접속반(DC
Junction-Block: 태양
표 1.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화재 현황(국내)(3)
Table 1. Fire status of PV System(Domestic)(3)
Year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Fire number
|
19
|
44
|
63
|
79
|
45
|
80
|
전지 모듈의 직·병렬 연결을 통하여 구성되는 PV Field와 PCS 간에 설치되어 두 장치를 전기적으로 결합)은 직류 배선을 간편하게 하며 동시에
각 스트링의 전류 및 전압 센서, 환경 센서(일사량 센서, 온도 센서 등)를 설치하여 태양광 발전소의 운전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두보 역할을 담당한다.
표 2는 독일 태양광 발전설비 화재사고에 대한 발화점을 분석한 자료이다. 약 180건(1995년~2012년)의 화재 발생 건수 중 대부분이 접속반에 포함된
DC Section에서 발생(약 40% 정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논의를 통해 향후 국내 태양광 발전소가 국내 전체 전력 소비의 11.4% 정도를 담당할 것으로 기대되는 2030년경에 이르게 되면 합리적인
유지보수를 통한 태양광 발전소의 신뢰성 확보는 안정적 전력 공급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표 2.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화시점(독일)(4)
Table 2. Fire beginning points of PV system (Germany)(4)
AC section
|
DC section
|
PCS
|
Module
|
20~25
|
60~65
|
30~35
|
35~40
|
이런 흐름에 편성하여 유지보수 시장 규모는 2022년 20조원 규모가 예상됨에 따라 유지보수 기술은 사회적·경제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할 것으로 예상된다(5)-(6).
전력 시스템의 유지보수 및 진단을 위한 시스템은 크게 네 부분(센싱을 위한 H/W 및 S/W, DB, 운전 특성 추출부(또는 예측부), 진단을 위한
기준 체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부는 고유한 기술적 내용을 가진다(7). 현재 태양광 발전소의 유지보수 국내 관련 기술로는 태양광 패널 진단 기술(8)-(11), 시스템 접지저항 측정기술(12)과 같은 전기적 특성의 측정을 통한 진단 기술 등이 발표된 바 있다. 그리고 태양광 발전용 직류 접속반(DC Junction Block) 진단을 위한
접근 방법으로는 아크진단(13)과 같은 이상 시 특징 검출 기술, 유선 또는 무선 센싱 시스템으로 접속반 온도, 전류, 전압, 불꽃 등의 운전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반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방식(14) 등이 제안되어 진 바 있으며 현재도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보면 태양광 발전용 유지보수에 관한 연구는 주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태양광 패널 및 PCS를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요소에 대한 연구에 치중된 감이 없지 않다(15)-(19). 전체 사고의 40[%] 정도를 차지하는 DC Section을 구성하는 요소인 접속반의 진단방식에 대한 연구로는 연구 사례수, 이론적 배경, 연구결과의
구체성 측면에서 태양광 패널 진단, 또는 시스템 출력 예측 분야에 비해 연구결과가 빈약한 상태이며, 모니터링 기반 제품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진단 기술 측면에서는 데이터 수집 및 모니터링 방식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접속반 진단 변수를 포함한 진단 기준체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편으로 데이터 베이스 기반 전문가 의견 의존성이 높은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는 접속반의 실패율 관점에서 욕조형 고장률 함수를 가정한 접속반 진단 방식 및 여기에 적용 가능한 접속반 진단 변수 예측기를 제안한다.
진단 변수 예측기로 사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는 통계기반 선형적 다중 회귀 모형을 이용하는 방식, 비선형 활성화 함수를 이용함으로써 비교적 풍부한 표현력을
가지는 인공 신경망 기반 추정 방식 등을 들 수 있으며, 기존 문헌을 통해 비교적 인공 신경망 기반 예측기가 회귀방식에 비하여 양호한 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20)-(22). 본 연구에서는 접속반 진단에 사용될 진단 변수의 추정을 위하여 인공 신경망 기반 예측 방식을 이용한다. 인공 신경망 기반 예측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일사량, 외기온도, 접속반 내부 온도 등의 학습 및 모형 테스트에 사용 가능한 풍부한 데이터를 필요로 하나 현장에서 얻어진 실제 데이터를 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일사량, 온도 데이터와 문헌 및 적정한 가정을 통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안된
방식의 타당성을 평가한다. 데이터 생성 및 예측기 평가용 S/W로는 최근 사용이 증가하는 파이썬(Python)을 이용한다.
2. 제안 시스템 구성 및 평가방법
2.1 접속반 진단 개념 및 모형
그림 1에서 진단 기준체계는 진단에 활용되는 변수(예:전압, 전류, 변화율 등) 및 의사 결정에 사용될 진단변수의 정량적 크기(예: 전압, 전류, 변화율의
크기 등), 판별조건으로 구성될 수 있는 이상 판별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진단 기준 체계 구성 요소 중 진단 기준 신호의 정량적 기준은 설치
현장에 따른 시스템 운전 특성이 확률적 특성을 가질 경우 설치 현장의 특성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준신호 관련 정량적 기준은 설치자의
경험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일정 기간 이상의 운전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준 신호에 대한 정량적 판단 기준 설정 합리성이 경험치에
좌우될 경우 노련한 기술자를 보유하지 못한 사업자 입장에서는 유지보수 시스템의 판단 결과는 항상 비용 위험요인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진단 기준 신호의 정량적 기준 설정 시 적절한 가정, DB(Data Base) 또는 실험적 결과를 바탕으로 하는 합리적이고 비교적 분명한 개념이 필요하다.
만약 실험적 데이터의 확보가 어려울 경우 초기 유지보수 시스템의 동작을 위해서는 합리적인 가정을 기반으로 하는 정량적인 진단 기준 신호의 확보가 필요하다.
그림. 1. O&M 시스템의 구성
Fig. 1. Configuration of O&M system(7)
그림 2는 DC 접속반의 고장율 함수가 욕조형임을 가정한 제안된 접속반 진단개념이다(23). 통상적으로 욕조형 고장률 함수를 가지는 시스템은 그림 2와 같이 설치 초기 튜닝과정을 거치며 실패율(Failure Rate)이 감소하면서 안정기에 들어간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접속반 진단 방식은 욕조형
실패율 함수가 접속반의 고장률을 대변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시스템 설치 후 안정기에 들어가면 시스템 운전 DB(Data Base)를 구축하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시스템 진단 대상 변수에 대한 기준 신호를
추정할 수 있다면 진단 대상 변수의 현재 값을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시스템 실패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시점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잦은 사고로 보수비용이 급증할 수 있는 시점에서 적절한 유지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2. 욕조형 고장 함수를 이용한 직류 접속반 진단 개념
Fig. 2. Diagnosis concept for DC junction block using bath tube failure function
그림 2와 같은 진단 개념 하에서 진단을 위해 필요한 것은 진단 기준 신호(진단변수)이다. 접속반은 외부에 설치되므로 방수가 필요하여 완전 차폐된 형태로
구성되므로 열 고임이 발생하기 좋은 구조이며 설계 시 접속반의 열적 안전성 확보가 중요하다(24). 본 연구에서는 접속반 내부온도를 진단 변수로 하는 접속반 진단체계를 구성하기 위한 신경망 기반 예측기를 제안한다.
그림. 3. 제안된 진단 방법
Fig. 3. Proposed diagnosis method
그림 3은 본 연구에서 제안되는 DB 기반 접속반의 진단 방식을 나타낸다. 제안된 방식은 접속반 손실 계산부, ANN(Artificial Neural Network)을
이용한 추정부, 비교 및 진단부로 구성된다. 인공 신경망의 입력 벡터는 식 (1)과 같이 접속반 손실 예측치, 일사량, 외기온도로 구성되며,
여기서 $P_{loss}$: 계산된 접속반 손실[W], S: 일사량[W/㎡], $T_{a}$: 외기온도[°C]
출력은 다음과 같이 예측된 접속반 내부 온도로 정의된다.
여기서 $T_{j}^{*}$: 예측된 접속반 내부 온도[°C]
2.2 예측기 구성
그림 2에서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기반 예측기는 시스템이 안정기에 접어든 후 일정 기간 동안 축적한 DB에서 얻어질 수
있는 접속반 손실, 일사량, 외기온도를 입력 벡터로 하여 접속반 내부 온도를 추정하도록 하는 반복 학습을 통하여 만들어진다. 본 연구에서 예측기는
그림 4와 같이 i개의 퍼셉트론으로 구성되는 입력층(Input Layer), j개의 퍼셉트론으로 구성되는 은닉층(Hidden Layer), 1개의 출력층(Output
Layer)으로 구성되는 3층의 신경망을 이용하였다. 그림 4에서 입력층 및 은닉층의 활성화 함수로는 식 (3)과 같이 표현되는 Rectified Linear Unit (ReLU)을 이용하였으며, 출력층의 활성화 함수로는 항등함수가 이용되었다(25).
그림. 4. 인공 신경망 기반 예측기의 구성
Fig. 4. Construction of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based predictor
2.3 데이터 생성방법 및 절차
본 연구에서 제안된 예측기의 예측 성능평가를 위해서는 일사량, 경사면 일사량, 외기온도, 접속반 내부 온도, 접속반 손실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일사량
및 외기온도 데이터는 기상청의 DB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면 지역별로 1분 간격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26). 접속반 손실 데이터 및 접속반 내부 온도 데이터는 공공 데이터 형태의 제공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여, 본 연구에서는 그림 5와 같은 DB 구축 과정을 통해 예측기 평가를 위한 연구용 DB를 생성하도록 하였다.
그림. 5. 연구를 위한 데이터 생성 과정
Fig. 5. Data generating process for research
(1) 접속반 손실 데이터 생성방법
접속반은 다수의 태양전지 스트링을 병렬로 연결 후 PCS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선과 PCS로부터 태양전지 방향으로의 역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
차단기 등으로 구성된 집합체이다. 접속반의 전기적 구성도는 그림 6과 같이 구성되므로 접속반 내부의 손실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만약 직렬저항(Rs)가 매우 작고, 병렬저항 (Rop)가 매우 크다면 식 (4)는 다음과 같이 근사적인 표현이 가능하다.
그림. 6. 역압방지 다이오드를 갖는 접속반의 전기회로
Fig. 6. Electrical circuit of junction block with blocking diodes
식 (5)에서 태양광 스트링 전류(ipvk)는 태양광 PCS의 최대 전력점 추적기가 완전하게 동작하고, 표면 온도에 따른 태양전지 전류값의 변화가 작다고 가정하면
식 (6)과 같이 일사량의 함수로 간단히 표현 가능하다(27).
여기서 $I_{mp-st}$: 표면온도 25°C, 일사량 1000[W/㎡] 조건에서의 최대 전력점 전류
(2) 접속반 내부 온도 데이터 생성방법
접속반 내부에서 식 (4)와 같은 전력손실이 발생하면 외기온도($T_{a}$)와 온도 차이가 발생하는 다음과 같은 1차 시스템으로 모델링이 가능하다(28)-(29).
여기서 $T_{a0}$: 계산 시작점에서의 외기온도(°C), $T_{j}$: 접속반 내부온도(°C), $\tau$: 시정수, $T_{f}$: 접속반
내부 열평형 온도(°C)
기상청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연간 데이터는 1월 1일 0시를 시점으로 표현되므로 이 시점부터 데이터를 생성시킨다고 가정한다. 이 시점에서 태양전지의
출력은 영이고, 발전을 멈춘 후 충분한 시간이 흐르면 접속반 내부는 충분히 식었다고 가정할 수 있으므로, 접속반 내부 온도의 초기 조건은 외기온도와
같다고 놓을 수 있다. 그리고 $T_{f}$는 전력손실의 함수로서, 식 (8)과 같이 전력손실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도록 모델링 되었으며, 우변의 두 번째 항에서 $K_{temp}$는 접속반 손실 발생 위치를 중심으로 측정점에
따라 온도가 틀려질 수 있음을 표현하는 계수이다. 30[W] 정도의 전력손실이 발생할 경우 외기온도에 비해 4°C~10°C 정도 높아지도록 $K_{temp}$는
결정된다(29). 만약 $K_{temp}$가 0.33이고 30[W] 정도의 전력손실이 접속반 내부에서 발생한다면 측정점의 접속반 내부 온도는 외부 온도에 비해 10°C가
높음을 의미한다. 접속반 내부의 온도가 측정 지점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K_{temp}$를 조정한다는 의미는 온도 측정점(센서위치)이 다른 경우에
대해서 접속반 내부 온도 데이터를 생성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3) 경사면 일사량 생성방법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일사량 정보는 수평면 일사량을 의미한다. 수평면 일사량 정보를 이용하여 경사면 일사량 정보를 구하기 위해서는 산란광 정보 등이
요구되는 적절한 변환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너지 기술연구소에서 제공하는 표 3과 같은 2010년 대전지역에 대한 남향 기준 수평면 일사량[kcal/㎡/day]과 경사면 30°일 때의 일사량[kcal/㎡/day]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에 대한 비율(Ks)을 구한 후, 다운로드 받은 수평면 일사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 (9)와 같이 경사면 일사량 데이터를 생성시킨다(30).
표 3. 일사량 데이터(2010, 대전)(30)
Table 3. Irradiation data(2010, Daejeon)(30)
|
Jan.
|
Feb.
|
March
|
April
|
May
|
Horizontal irradiation
|
1,986
|
2,687
|
3,366
|
4,181
|
4,452
|
Incline irradiation
|
3,033
|
3,594
|
3,874
|
4,249
|
4,180
|
$Ks$
|
1.527
|
1.337
|
1.150
|
1.016
|
0.938
|
June
|
July
|
Aug.
|
Sep.
|
Oct.
|
Nov.
|
Dec.
|
4,149
|
3,594
|
3,707
|
3,340
|
2,968
|
2,075
|
1,762
|
3,793
|
3,332
|
3,619
|
3,620
|
3,782
|
3,039
|
2,800
|
0.914
|
0.927
|
0.976
|
1.083
|
1.274
|
1.464
|
1.589
|
3. 결과 및 검토
표 4는 예측기 평가를 위한 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표 4에서 데이터 평균 주기(T_avg)가 1분이라고 하면 1분 간격의 원래 데이터를 그대로 활용하였음을 의미하며, 10분이라고 하면 1분 간격의 데이터
10개를 평균해서 1개의 데이터로 만들었다는 의미로서 학습 데이터(Training data) 및 테스트 데이터(Test data)의 개수가 1/10로
감소하게 된다.
표 4. 예측기 평가조건
Table 4. Evaluation condition for predictor
Items
|
Value
|
Data average period(T_avg)
|
60sec(1minute), 600sec(10 minute), 1200sec(20 minute)
|
$K_{temp}$
|
0.333, 0.233, 0.133
|
Diode forward voltage ($v_{f}$)(34)
|
1[V]
|
Time constant of temperature model($\tau$)
|
3300[sec]
|
Maximum power point current in standard condition(Imp_st)
|
9.19[A]
|
PV String numbers (n)
|
n = 20
|
Neuron numbers in input layer
|
50
|
Neuron numbers in hidden layer(35)
|
100
|
Neuron numbers in output layer(35)
|
1
|
Learning rate in ANN(35)
|
0.0015
|
ANN optimizer(35)
|
ADAGRAD
|
Batch size(35)
|
100개
|
Training number 반복 학습 횟수
|
15번
|
Initial value of weighting number in ANN
|
Using random function
|
Characteristics of down loaded data
|
Daejeon
|
2018 year
|
1 minute data
|
그림. 6. 교육 및 시험 데이터에 대한 분류 유형
Fig. 6. Types of data classification types as training data and test data
그림 5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1년 데이터는 그림 6과 같이 4가지 형태의 학습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로 분류된다. 학습 데이터는 예측기를 학습시키는 용도로 이용되며 테스트 데이터는 학습된 예측기의
성능을 평가하는 용도로 이용된다. 예측기의 오차를 평가하기 위해 다음의 평가계수 $r^{2}$가 이용된다.
여기서 $y_{p}$: 예측된 값(predicted value), $y_{m}$: $y$의 평균값, $y$: 실제 값(measured value)
실제값 $y$와 예측된 값 $y_{p}$가 완전히 일치한다고 가정하면 식 (10) 우변의 둘째 항이 0이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r^{2}$의 최대치는 1이며, 예측정도가 낮아질수록 0에 가까워진다. 예측된 데이터에 대하여
실제 데이터의 산포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RMSE(Root Mean Square Error)는 식 (11)과 같다.
여기서 N: 데이터 개수
3.2 데이터 전처리(33)
생성된 데이터는 수동적인 과정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부적절성이 제거되도록 한다.
•일별 또는 월별 데이터가 중복되어 나타나는 경우 부적절 데이터로 판별하고 중복된 부분을 제외시킴
•일사량 데이터에서 상식적 일출 시점과 데이터 시점에 차이가 있을 경우는 모순으로 판별하고 제외시킴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사면 일사량 데이터를 만드는 과정에서 일사량이 1500[W/㎡] 이상인 경우는 모순으로 가정하고 1500[W/㎡]이
되도록 조정함
•PCS의 과부하율은 120[%]로 설정함(식 (6)에서 태양전지 출력 전류는 표준조건에 대한 최대 전력점 전류의 1.2배로 제한함)
3.3 평가 결과
표 5는 제안된 ANN 기반 예측기의 성능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표 5에 기재된 결과들에서 예측기의 최초 가중치는 랜덤함수를 이용하여 결정한 후 접속반 내부 온도 센서 위치, 데이터 평균주기, 학습 데이터를 변수로 하여
얻어진 예측기의 특성이다. 표 5를 통해 평가계수 $r^{2}$ 값은 T_avg를 10분 정도로 할 경우 모든 모델이 0.92 정도, RMSE는 5 정도 이하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접속반 내부 온도 센서의 위치는 외기온도와 기온 차가 적게 나는 곳에 설치되는 것이 비교적 예측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은 표 5의 두 경우($K_{temp}$=0.333, 0.1333)에 대하여 접속반 내부 온도를 X축, 예측된 접속반 내부 온도를 Y축에 매핑한 결과이다.
표 5. 예측기 평가 결과
Table 5. Predictor evaluation results
평가 방법
|
$r^{2}$
|
RMSE
|
$K_{temp}$=0.333
|
10월~3월데이터:학습, 4월~9월데이터 :평가
|
T_avg=1분
|
0.8783
|
6.1710
|
T_avg=10분
|
0.9208
|
4.9776
|
T_avg=20분
|
0.9160
|
5.1235
|
1월~6월데이터:학습,
7월~12월데이터:평가
|
T_avg=1분
|
0.9108
|
5.8959
|
T_avg=10분
|
0.9356
|
5.0073
|
T_avg=20분
|
0.9349
|
5.0350
|
7월~12월데이터:학습,
1월~6월데이터:평가
|
T_avg=1분
|
0.9272
|
5.3737
|
T_avg=10분
|
0.9469
|
4.5875
|
T_avg=20분
|
0.9375
|
4.9771
|
4월~9월데이터:학습
10월~3월데이터:평가
|
T_avg=1분
|
0.8871
|
5.6668
|
T_avg=10분
|
0.9223
|
4.6993
|
T_avg=20분
|
0.9117
|
5.0095
|
$K_{temp}$=0.233
|
10월~3월데이터:학습4월~9월데이터 :평가
|
T_avg=1분
|
0.9048
|
4.2587
|
T_avg=10분
|
0.9169
|
3.9766
|
T_avg=20분
|
0.9303
|
3.6418
|
1월~6월데이터:학습
7월~12월데이터:평가
|
T_avg=1분
|
0.9368
|
4.1476
|
T_avg=10분
|
0.9450
|
3.8696
|
T_avg=20분
|
0.9436
|
3.9165
|
7월~12월데이터:학습
1월~6월데이터:평가
|
T_avg=1분
|
0.9467
|
3.8268
|
T_avg=10분
|
0.9591
|
3.3520
|
T_avg=20분
|
0.9582
|
3.3896
|
4월~9월데이터:학습
10월~3월데이터:평가
|
T_avg=1분
|
0.9117
|
5.0095
|
T_avg=10분
|
0.9325
|
3.5112
|
T_avg=20분
|
0.9080
|
4.1037
|
$K_{temp}$=0.133
|
10월~3월데이터:학습4월~9월데이터 :평가
|
T_avg=1분
|
0.9249
|
2.7976
|
T_avg=10분
|
0.9506
|
2.2693
|
T_avg=20분
|
0.9447
|
2.3996
|
1월~6월데이터:학습
7월~12월데이터:평가
|
T_avg=1분
|
0.9617
|
2.6839
|
T_avg=10분
|
0.9686
|
2.4290
|
T_avg=20분
|
0.9701
|
2.3693
|
7월~12월데이터:학습
1월~6월데이터:평가
|
T_avg=1분
|
0.9709
|
2.3239
|
T_avg=10분
|
0.9751
|
2.1519
|
T_avg=20분
|
0.9576
|
2.8066
|
4월~9월데이터:학습
10월~3월데이터:평가
|
T_avg=1분
|
0.9490
|
2.3830
|
T_avg=10분
|
0.9547
|
2.2455
|
T_avg=20분
|
0.9447
|
2.4810
|
만약 $r^{2}$값이 1이라면 두 개의 변수를 매핑할 경우 기울기가 1인 영점을 통과하는 직선이 X-Y평면에 그려지므로, 이를 통해 예측기의 특성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두 개의 그림(그림 7(a),(b))을 통해 $r^{2}$값이 작을수록 데이터의 흩어짐 정도가 커지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림. 7. X-Y 평면상에서 접합 블록 온도 및 예측 값 매핑(그림(a): $K_{temp}$=0.333, 그림(b): $K_{temp}$=0.133)
Fig. 7. Mapping of junction block temperature and predicted value on an X-Y plane
(Fig(a): $K_{temp}$=0.333, October~March data: Training, April~September
data: Test, T_avg = 1minutes, $r^{2}$=0.8783, Fig(b): $K_{temp}$=0.133, July~December
data: Training, January~June data: Test, T_avg = 10minutes, $r^{2}$=0.9751)
그림 8은 표 5에서 평가조건에 따른 평가계수 $r^{2}$ 값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으로 그림의 (a)는 7월~12월의 학습 데이터를 사용하고 T_avg를 10분으로
한 경우 $K_{temp}$에 따른 $r^{2}$ 값의 비교이며, (b)는 7월~12월의 학습 데이터를 사용하고 $K_{temp}$가 0.133인
경우 T_avg에 따른 $r^{2}$ 값의 비교를, (c)는 $K_{temp}$가 0.133이고 T_avg가 10분인 경우 데이터 학습기간에 따른
비교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8을 통하여 접속반 온도 변화가 작은 위치(즉 작은 $K_{temp}$), T_avg=10분, 7월~12월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한 예측모델의 경우에
있어서 성능계수($r^{2}$)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그림. 8. 표 5의 평가조건에 따른 평가계수 $r^{2}$ 값 비교 (a)$K_{temp}$에 따른 비교 (b)T_avg에 따른 비교 (c)데이터 학습기간에 따른
비교
Fig. 8. Comparison of evaluation factor $r^{2}$ value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onditions in Table 5. (a)according to the $K_{temp}$ (b)according to the T_avg (c)according to the learning
period of data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센서의 위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학습 데이터의 선정에 따라 보다 높은 성능계수 갖는 예측기의 설계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표 6은 예측된 모델의 범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얻은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 범용성의 의미는 임의의 지역에서 구축한 모델이 타 지역에 설치된 시스템의 초기
평가 모델로의 사용 가능성 여부를 의미한다.
표 6은 대전 지역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축된 예측 모델을 대전 지역과 위도 상으로 가장 차이가 큰 제주도의 신설 시스템에 적용한다고 가정한 결과이다. 즉,
제주도에 신설된 시스템의 DB가 확보되기 전 타지역 시스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축된 모델을 임시 진단 모델로 적용한 경우를 가정한 예측기의 평가
결과이다. 표 6은 센서 위치, 데이터 평균 주기, 학습 데이터 선정 구간은 앞에서와 동일하며 수평면 일사량이 경사면 일사량으로 변환되는 비율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
대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 경우 테스트 데이터의 경사면 일사량은 제주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 (9)와 같이 얻어진다.
표 6에서 센서 위치, 데이터 평균 주기, 학습 데이터 선정 구간은 동일하며, 일사량 조건 만 다른 경우에는 $r^{2}$값이 0.93 이상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시스템 구성 방식 및 모델 구축 방식에 일관성을 가진다면 지역별 일사량 특성의 차이는 예측 특성 변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표 6. 대전 데이터에서 얻은 예측 모델에 대해 제주 데이터(2019.01.01.~08.15)를 적용한 결과
Table 6. Applying Jejudo data (2019.01.01.~08.15) as test data to prediction model
obtained from Daejeon data
평가 방법
|
$r^{2}$
|
RMSE
|
$K_{temp}$=0.133
|
10월~3월 데이터로 학습한 모델 적용
|
T_avg=1분
|
0.9328
|
2.3705
|
T_avg=10분
|
0.9533
|
1.9756
|
T_avg=20분
|
0.9463
|
2.1174
|
1월~6월
데이터로 학습한 모델 적용
|
T_avg=1분
|
0.9365
|
2.3032
|
T_avg=10분
|
0.9532
|
1.9804
|
T_avg=20분
|
0.9526
|
1.9888
|
7월~12월 데이터로 학습한 모델 적용
|
T_avg=1분
|
0.9428
|
2.1865
|
T_avg=10분
|
0.9536
|
1.9683
|
T_avg=20분
|
0.9247
|
2.5081
|
4월~9월 데이터로 학습한 모델 적용
|
T_avg=1분
|
0.9434
|
2.1748
|
T_avg=10분
|
0.9546
|
1.9470
|
T_avg=20분
|
0.9471
|
2.1015
|
표 7은 예측모델을 적용 시 사용자의 미숙성 등 기타 이유로 모델을 얻는 과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조건과 적용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특성을 매칭 시키지 못한
경우를 가정하고 얻어진 결과이다. 표 7에서 첫 번째 조건은 $K_{temp}$ 0.333 조건, T_avg 1분, 10분, 20분 30분 조건에서 생성된 제주도 데이터를 이용하고 대전지역
데이터를 통해 얻은 예측 모델 중 하나를 적용하여 얻은 예측 결과이다. 표 7을 통하여 접속반에 설치하는 온도 센서 위치가 일치할 경우는 지역이 다르고, 데이터 평균주기가 다르더라도 $r^{2}$값이 0.93 이상으로 비교적
정확한 예측결과를 보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표 6, 표 7의 결과를 통해 모델 범용성 확보라는 관점에서는 접속반 내부에서 온도변화 정도가 작은 위치를 잡아서 일관된 온도 센서 설치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표 7. 표 6과 다른 조건하에서 예측 모델의 일반성 평가
Table 7. Generality evaluation of the prediction model under different conditions
from table 6
평가 방법
|
$r^{2}$
|
RMSE
|
1.$K_{temp}$ =0.333, 제주도 데이터, T_avg 가변
|
.예측모델 학습조건
- 1월~6월데이터
-$K_{temp}$ : 0.133
- T_avg = 1분
|
T_avg=1분
|
0.5449
|
9.9864
|
T_avg=10분
|
0.5484
|
9.9464
|
T_avg=20분
|
0.5487
|
9.9400
|
T_avg=30분
|
0.5483
|
9.9384
|
2.$K_{temp}$ =0.233, 제주도 데이터, T_avg 가변
|
.예측모델 학습조건
- 7월~12월데이터
-$K_{temp}$ : 0.133
- T_avg = 1분
|
T_avg=1분
|
0.7934
|
5.3517
|
T_avg=10분
|
0.8027
|
5.2286
|
T_avg=20분
|
0.8035
|
5.2167
|
T_avg=30분
|
0.8045
|
5.2017
|
3.$K_{temp}$ =0.133, 제주도 데이터, T_avg 가변
|
.예측모델 학습조건
- 4월~9월데이터
-$K_{temp}$ : 0.133
- T_avg = 10분
|
T_avg=1분
|
0.9347
|
2.3361
|
T_avg=10분
|
0.9546
|
1.9470
|
T_avg=20분
|
0.9563
|
1.9114
|
T_avg=30분
|
0.9572
|
1.8903
|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접속반을 진단하기 위한 모형 및 진단변수의 예측방식을 제안하였다. 예측기로는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였으며 진단 변수는
접속반 내부온도이고 진단을 위한 입력 데이터는 일사량, 접속반 손실, 외기온도로 설계하였다.
데이터는 공공 데이터 및 적정한 가정에 의한 계산을 통해 생성하였으며,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진단기용 예측기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를 통해
적절한 접속반 내부 온도 센서 위치 및 데이터 평균 주기를 설정한다면 $r^{2}$값이 0.97 이상인 예측기 구성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모델의 범용성 평가 또한 실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잘 학습된 예측 모델이 구축된다고 하면, 해당 발전소를 대상으로 하는 모델이 만들어지기 전에는 기
구축된 모델을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식은 실제 데이터를 구축 후 실험적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실제 데이터 수집을 통하여 진단 모형을 구현할
경우 입력 벡터로 접속반 내부 및 외부 습도 등의 정보가 추가된다면 보다 의미 있는 진단 용 예측기 모델이 얻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18년도 산업통상자원부 지원 광역협력권육성사업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관계부처에 감사드립니다.(과제번호 : P0006070)
References
Solar Power Europe, 2019~2023, Global Market Outlook for Solar Power, pp. 7-23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2019.02.01., 2019 Quarterly Report, Vol. 2019-02
Won Keun Choe, Jeong Seop Lee, Sung Jun Kim, Woo Jong Lee, Young Seok Jeong, June
2015, Th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fire Vulnerabilities in the Junction Box
of the Photovoltaic System, Fire Investigation of Society of Korea, Vol. 6, No. 2,
pp. 71-74
Hermann Laukamp, Georg Bopp, 2013, PV Fire Hazard-Analysis and Assessment of Fire
Incidents, 28th EU PVSEC, Paris, pp. 4304-4311
Cheol Yong Lee, 2017. 12,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LCOE with the Cost Analysis,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pp. 77-80
2018 Sterategy Technology Road Map of Medium&Small-Sized Enterprises, December 2018,
Support Policy and Improvement Issues to Enlarge Participation to the O&M Market of
PV System, TIPA, pp. 2-5
Han-Sang Kim, Kwang-Ho Kim, February 2014, A Study on Economic Analysis of Development
of On-line Diagnosis Technique for Preventing Electrical Accidents, Transactions of
KIEE, Vol. 63, No. 2, pp. 313-318
Yu Na Park, 2017, Study about Performance Diagnosis of Photovoltaic Modules and arrays,
Master Thesis of Korea University in Korea
Younghoon Kim, Kyuseok Shim, 2013, Efficiency Computation and Failure Detection of
Solar Power Generation Panels, Proceedings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Vol. 40, No. 1, pp. 1-7
Il-Soon Park, 2013, A Study on the Solar Modules individual monitoring System for
the Efficient Maintenance of the Solar Power, Master Thesis of CheongJu University
in Korea
Kye-Ho Lee, Sung-Sik Choi, Byung-Ki Kim, Chan-Hyeok Kim, Jong-Yun Jung, Dae-Seok Rho,
October 2015, Development of Aging Diagnosis Algorithm for Photovoltaic Modules by
Considering Electric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Factors, Transactions of KIEE,
Vol. 64, No. 10, pp. 1411-1417
Han Woon-Ki, 2010, Improved Method for Measurement of the Groundidng Resistance on
Large Scale Photovoltaic System, Dotorial Thesis of Soongsil University in Korea
Shibo Lu, B.T. Phung, Daming Zhang, 2018, A compre- hensive review on DC arc faults
and their diagnosis methods in photovoltaic system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89, pp. 88-98
Yang-Mi Lee, Hyoun-Su Kim, Young-Kyu Kang, Chul-Hwan Kim, 2016, Electrical Fire Prevention
System of Photovoltaic Power System Junction Box, Proceedings of KIIEE(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Annual Conference
(spring)
Dhanup S. Pillai, N. Rajasekar, August 2018, A Comprehensive Review on Protection
Challenges and Fault Diagnosis in PV System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91, pp. 18-40
Abhik Hazra, Saborni Das, Mousumi Basu, June 2017, An Efficient Fault Diagnosis Method
for PV Systems Following String Current,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Vol. 154,
pp. 220-232
Fchang Han, Zjicong Chen, Lijun Wu, Chao Long, Jinling Yu, Pejjie Lin, Shuying Cheng,
February 2019, An Intelligent Fault Diagnosis Method for PV Arrays Based on an Improver
Rotation Forest Algorithm, Energy Procedia, Vol. 158, pp. 6132-6138
Zhicong Chen, Fuchang Han, Lijun Wu, Jinling Yu, Shuying Cheng, Peijie Lin, Huihuang
Chen, December 2018, Random Forest Based Intelligent Fault Diagnosis for PV Arrays
Using Array Voltage and String Currents,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Vol. 178,
pp. 250-264
Yin Zhang, Mridul Sakhuja, Fang Jeng Lim, Stephen Tay, Congyi Tan, Monika Bieri, Vijay
Anand Krishnanurthy, September 2017, The PV System Doctor– Comprehensive Diagnosis
of PV System Installations, Energy Procedia, Vol. 130, pp. 108-113
Tae-Hun Kim, Han-Kuk Hong, December 2004, A Study on Apartment Price Models Using
Regression Model and Neural Network Model,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Vol.
43, pp. 184-200
Jin Soo Jung, Hee Keun Lee, Young Whan Park, April 2016, Prediction of Tensile Strength
for Plasma-MIG Hybrid Welding Using Statistical Regression Model and Neural Network
Algorithm,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Vol. 34, No. 2, pp. 67-72
Kwon, Soo Ho, Lee, Jinwoo, Chung Gunhui, April 2017, Snow Damages Estima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7, No. 2, pp. 315-324
Jaeseok Choi, 2014, Power System Reliability Evolution Engineering, Gyeongsang University
Press (2014)
Chi-ming Lai, R.H. Chen, September 2011, Novel Heat Dissipation Design Incorporating
Heat Pipes for DC Combiner Boxes of a PV System, Solar Energy, Vol. 85, pp. 2053-2060
Martin Hagon, Howard Demuth, Mark Hudson Beale, Orlando De Jesus, 2018, Neural Network
Design, Acorn Publishing Co. Ltd.
http://www.greenmap.go.kr/main.do
Efstratios I. Batzelis, Stavors A. Papathanassiou, April 2016, A Method for the Analytical
Extraction of the Single-Diode PV Model Parameters, IEEE Trans. Sustainable Energy,
Vol. 7, pp. 504-512
H. M. Hashemian, 2015, Sensor Performance and Reliability, Hanshous Books, pp. 109-114
Junsik Lee, Seunggon Kim, Youngjun Sohn, February 2016,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Natural Convection Heat Transfer of Air-cooling PEMFC in a Enclosure,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27, No. 1, pp. 42-48
https://kredc.kier.re.kr/kier/03_dataEnquiry/Solar_Slop.aspx
Ki-Bok Kim, Ding-Jin Yoon, Jung-Chae Jeong, Seung-Seok Lee, September 2004, Determining
the Stress Intensity Factor of a Material with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from Acoustic
Emission Measurements, NDT&E International, Vol. 37, pp. 423-429
Kengo Tateishi, 2018, Machine Learning Algorithm with Basic Mathematics, Mynavi Publishing
Corporation, pp. 112-130
Hyun Ho Lee, 2018, Data Pre-Processing with SQL & Python, CHAOS BOOK, pp. 23-33
Ned Mohan, 1995, Power Electronics, JOHN WILEY & SONS, INC., pp. 16-19
Tae Young Kim, 2019, Python Deeplearning Kears, Digital Books, pp. 38-86
저자소개
1992년 건국대 전기공학과 졸업.
1994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1998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공박).
1998년 11월~1999년 11월 일본 전력 중앙 연구소 박사 후 연구원.
2000년 5월~2002년 1월 LS산전 특기 제조팀 과장.
2004년 3월~2007년 2월 건국대학교 전기공학과 강의교수.
2007년 3월 ~ 2017년 5월 한빛EDS(주) 연구소장.
2017년 8월 ~ 현재 지앤비쏠라(주) 연구소장.
연구 분야 :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 제어 기술, PV시스템 유지보수 및 진단기술 등.
Tel : 070-4258-5909
Fax : (042) 221-0988
E-mail : pvkim@hanmail.net
서울대학교 농공(기계)학과 학사(1989)
사(1991) 박사(1997)
서울대학교 비파괴 ERC 전임연구원, 시간강사(1997~200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안전측정센터 선임
책임연구원(2000~현재)
연구 분야 : 시설구조물 비파괴 안전성평가 센서 및 시스템 개발, 지능형 계측/진단 기술 등.
1994년 건국대 공대 전기공학과 졸업.
1996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2000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공박).
2000년 10월∼2003년 9월 버지니아공대(Virginia Tech) 박사후 연구원.
2003년 10월∼2004년 10월 Intronics, Inc.(U.S.A.) Research Engineer.
2004년 12월∼2007년 3월 삼성전자(주) DM총괄 영상 디스플레이 사업부 개발팀 책임연구원.
2007년3월∼2008년2월 ㈜이이시스 이사.
2008년3월∼현재 대림대학교 전기과 부교수.
Tel : (031) 467-4862
Fax : (031) 467-4861
E-mail : sylee@daelim.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