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Dong-A University, Korea.)



Quadrotor, γ─sliding surface, Hovering control, Uncertain time-varying mass, External disturbance

1. 서 론

최근 들어 국외 드론 산업은 인명구조, 산림 보호, 소방방재, 촬영 등의 분야에서 물품 배송 분야로 발전하고 있으며, 국내 드론 산업도 유사하게 농업이나 소방방재용을 중심으로 감시, 정찰, 물류 등의 분야로 발전하고 있다 (1). 대표적인 수직 이·착륙 드론 중 하나인 쿼드로터(quadrotor)는 기동력 및 적재능력이 우수하며 호버링(hovering)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스템이 비선형이며 동역학이 복잡하여 제어하는 데 큰 어려움이 있다 (2). 이에 따라 쿼드로터의 제어는 적절한 양의 추력 값을 분산해야 하며 외란 또는 질량 변화 등에 강인한 자세제어 기술이 필요하다.

쿼드로터의 제어를 위해 (3)에서는 PID제어기를 사용하였지만, 적절한 이득은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선정해야 한다. (4)에서는 질량의 불확실성을 추정하는 적응 자세제어기를 제안하였으며, (5)에서는 터미널 슬라이딩 모드를 이용하여 질량의 변화에 대한 고도의 변화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6)에서 설계된 슬라이딩 모드의 성능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지만 입력에 채터링(chattering)이 발생하며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다. 채터링을 줄이기 위해 (7)에서는 부호함수를 적분하여 사용하는 슈퍼 트위스팅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지만 질량의 변화에 대해 고려되지 않았으며, (8)에서 불연속적 스위칭 함수인 signum함수를 대신하여 saturation함수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saturation함수를 사용하면 스위칭 되는 경계 안에서 일반적인 상태궤환제어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불확실한 질량 및 외란을 가지는 쿼드로터의 고도 및 자세제어를 위해 $\gamma -$슬라이딩 평면을 이용한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제안한다. 슬라이딩 평면의 이득조절 요소 $\gamma$를 조절함으로써 스위칭 되는 경계 안에서의 출력에 대한 ultimate bound를 줄인다. 본 논문은 2장에서 쿼드로터 시스템의 동역학 방정식을 바탕으로 상태방정식을 유도한다. 3장에서는 $\gamma -$슬라이딩 평면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설계하며, 이를 Lyapunov 방정식을 이용하여 $\gamma$의 값에 따른 출력의 ultimate bound를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실제 쿼드로터 시스템에 적용하여 제어기의 성능을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수학적 표기의 경우, $| x |$에 대해 $| x | =\left[\left | x_{1}\right | ,\:\cdots ,\:\left | x_{n}\right |\right]^{T}$, 행렬 $M=\left[m_{ij}\right]$$(i=1,\:\ldots ,\:n$,$j=1,\:\ldots$$,\:n)$에 대하여 $| M | =\left[\left | m_{ij}\right |\right]$,$∥ x ∥$는 Euclidean norm으로 정의한다. signum함수에 대하여 sgn($\cdot$), saturation함수는 sat($\cdot$)로 표기한다.

2. 쿼드로터 시스템 모델링 및 상태방정식

그림 1의 쿼드로터 좌표계에서 각각의 모터에 대한 입력을 $u_{j}$$(j=1,\:2,\:3,\:4)$로 정의한다.

그림 1 쿼드로터 좌표계

Fig. 1 Coordinate system of quadrotor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fig1.png

쿼드로터의 고도 및 자세에 대한 동역학 방정식은 뉴턴-오일러 방정식을 통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9),(10).

(1)

$\ddot z =[\cos\phi\cos\theta U_{z}]/m(t)-g+d_{z}(t)$

$\ddot\phi =[l U_{\phi}+\dot\theta\dot\psi(I_{y}-I_{z})]/I_{x}+d_{\phi}(t)$

$\ddot\theta =[l U_{\theta}+\dot\phi\dot\psi(I_{z}-I_{x})]/I_{y}+d_{\theta}(t)$

$\ddot\psi =[U_{\psi}+\dot\phi\dot\theta(I_{x}-I_{z})]/I_{z}+d_{\psi}(t)$

여기서 $z$는 $z$축 방향의 높이, $\phi$, $\theta$, $\psi$는 각각 roll, pitch, yaw이며 $I_{x}$, $I_{y}$, $I_{z}$는 각 축에 해당하는 관성 모멘트, $g$는 중력가속도, $l$은 무게중심과 rotor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m(t)$는 쿼드로터의 질량에 해당하며 공칭 질량 $m_{0}$와 물품 적재 등의 이유로 추가되는 질량에 대한 불확실성인 $\Delta m(t)$ 합으로, $m(t)=m_{0}+\Delta m(t)$로 표현 된다. 질량에 대한 불확실성은 공칭 질량의 $20$% 이내의 값으로 $\Delta m(t)\le 0.2m_{0}$을 만족한다고 가정한다. 모델링 되지 않은 바람 등의 불확실한 외란은 $d_{i}(t)$$(i=z,\:\phi ,\:\theta ,\:\psi)$와 같이 나타내며 $\left | d_{i}(t)\right |\le\overline{d}_{i}$$(i=z,\:\phi ,\:\theta ,\:\psi)$으로 bound 되어 있다 (11). $U_{i}$$(i=z,\:\phi ,\:\theta ,\:\psi)$는 고도, roll, pitch, yaw에 대한 입력이며, 이는 그림 1에서 각각의 모터 입력에 대해 다음과 같이 표현 가능하다.

(2)

$U_{z}=K_{t}(u_{2}+u_{2}+u_{3}+u_{4})$

$ U_{\phi}=K_{t}(-u_{1}+u_{2}+u_{3}-u_{4})$

\begin{align*} U_{\theta}&=K_{t}(u_{1}+u_{2}-u_{3}-u_{4}) \end{align*}

$ U_{\psi}= K_{y}(-u_{1}+u_{2}-u_{3}+u_{4})$

여기서 $K_{t}$는 추력상수, $K_{y}$는 항력상수를 나타낸다. 식 (2)를 각 모터의 입력에 대해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3)

$u_{1}=\dfrac{\dfrac{U_{z}}{K_{t}}-\dfrac{U_{\phi}}{K_{t}}+\dfrac{U_{\theta}}{K_{t}}-\dfrac{U_{\psi}}{K_{y}}}{4}$

$u_{2}=\dfrac{\dfrac{U_{z}}{K_{t}}+\dfrac{U_{\phi}}{K_{t}}+\dfrac{U_{\theta}}{K_{t}}+\dfrac{U_{\psi}}{K_{y}}}{4}$

$u_{3}=\dfrac{\dfrac{U_{z}}{K_{t}}+\dfrac{U_{\phi}}{K_{t}}-\dfrac{U_{\theta}}{K_{t}}-\dfrac{U_{\psi}}{K_{y}}}{4}$

$u_{4}=\dfrac{\dfrac{U_{z}}{K_{t}}-\dfrac{U_{\phi}}{K_{t}}-\dfrac{U_{\theta}}{K_{t}}+\dfrac{U_{\psi}}{K_{y}}}{4}$

식 (1)의 동역학 방정식은 아래와 같은 상태방정식으로 표현 가능하며

(4)

$\dot x_{1}=x_{2}$

$\dot x_{2}=(\cos x_{3}\cos x_{5})\dfrac{U_{z}}{m_{0}+\Delta m(t)}-g+d_{z}(t)$

$\dot x_{3}=x_{4}$

$\dot x_{4}=x_{6}x_{8}\left(\dfrac{I_{y}-I_{z}}{I_{x}}\right)+\dfrac{l}{I_{x}}U_{\phi}+d_{\phi}(t)$

$\dot x_{5}=x_{6}$

$\dot x_{6}=x_{4}x_{8}\left(\dfrac{I_{z}-I_{x}}{I_{y}}\right)+\dfrac{l}{I_{y}}U_{\theta}+d_{\theta}(t)$

$\dot x_{7}=x_{8}$

$\dot x_{8}=x_{4}x_{5}\left(\dfrac{I_{x}-I_{y}}{I_{z}}\right)+\dfrac{1}{I_{x}}U_{\psi}+d_{\psi}(t)$

여기서 상태변수 $x=[x_{1},\: x_{2},\: x_{3,\:}x_{4},\: x_{5},\: x_{6},\: x_{7},\: x_{8}]^{T}=[z,\:\dot z ,\:\phi ,\:\dot\phi ,\:\theta ,\:$ $\dot\theta ,\:\psi ,\:\dot\psi]^{T}$이다. 쿼드로터 시스템에서의 파라미터는 표 1과 같다.

표 1 쿼드로터의 파라미터 (12)

Table 1 parameters of quadrotor (12)

Parameters

Value

$I_{z}$

$22.3\times 10^{-4}{N}\cdot{m}\cdot{s}^{2}$

$I_{y}$

$29.8\times 10^{-4}{N}\cdot{m}\cdot{s}^{2}$

$I_{z}$

$48\times 10^{-4}{N}\cdot{m}\cdot{s}^{2}$

$m_{0}$

$0.429{kg}$

$l$

$0.1785{m}$

$g$

$9.81$m/s²

$K_{t}$

$0.0161{N}$

$K_{y}$

$0.0159{N}\cdot{m}$

식 (4)에서 $z$축 높이에 대한 속도에 해당하는 상태 $x_{2}$의 경우 공칭 모델과 불확실성을 구분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 가능하다.

(5)

$\dot x_{2}=(\cos x_{3}\cos x_{5})\dfrac{U_{z}}{m_{0}+\Delta m(t)}-g+d_{z}(t)$

$=(\cos x_{3}\cos x_{5})\left\{\dfrac{U_{z}}{m_{0}}-\dfrac{U_{z}}{m_{0}}+\dfrac{U_{z}}{m_{0}+\Delta m(t)}\right\}-g+d_{z}(t)$

\begin{align*} =(\cos x_{3}\cos x_{5})\dfrac{U_{1}}{m_{0}}-g\\ -\Delta\widetilde m(t)\left\{(\cos x_{3}\cos x_{5})\dfrac{U_{1}}{m_{0}}-g\right\}-\widetilde d_{z}(t) \end{align*}

여기서 $\Delta\widetilde m(t)=\Delta m(t)/(m_{0}+\Delta m(t))$, $\widetilde d_{z}(t)=-\Delta\widetilde m(t)g+d_{z}(t)$ 이다. 쿼드로터의 오차 벡터를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6)

$\xi_{1}=x_{1}-x_{1d}$, $\xi_{2}=x_{2}-\dot x_{1d}$

$\xi_{3}=x_{3}-x_{3d}$, $\xi_{4}=x_{4}-\dot x_{3d}$

$\xi_{5}=x_{5}-x_{5d}$, $\xi_{6}=x_{6}-\dot x_{5d}$

$\xi_{7}=x_{7}-x_{7d}$, $\xi_{8}=x_{8}-\dot x_{7d}$

여기서 $x_{1d}$, $x_{3d}$, $x_{5d}$, $x_{7d}$는 각각 $z$축 높이, roll, pitch, yaw가 추종하려는 값이며 식 (6)을 바탕으로 오차에 대한 상태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7)

$\dot\xi_{1}=\xi_{2}$

$\dot\xi_{2}=(\cos\xi_{3}\cos\xi_{5})\dfrac{U_{z}}{m_{0}}-g-\Delta\widetilde m(t)\left\{(\cos\xi_{3}\cos\xi_{5})\dfrac{U_{z}}{m_{0}}-g\right\}+\widetilde d_{z}(t)$

$\dot\xi_{3}=\xi_{4}$

$\dot\xi_{4}=\xi_{6}\xi_{8}\left(\dfrac{I_{y}-I_{z}}{I_{x}}\right)+\dfrac{l}{I_{x}}U_{\phi}+d_{\phi}(t)$

$\dot\xi_{5}=\xi_{6}$

$\dot\xi_{6}=\xi_{4}\xi_{8}\left(\dfrac{I_{z}-I_{x}}{I_{y}}\right)+\dfrac{l}{I_{y}}U_{\theta}+d_{\theta}(t)$

\begin{align*} \dot\xi_{7}& =\xi_{8} \end{align*}

$\dot\xi_{6}=\xi_{4}\xi_{6}\left(\dfrac{I_{x}-I_{y}}{I_{z}}\right)+\dfrac{1}{I_{z}}U_{\psi}+d_{\psi}(t)$

식 (7)은 비선형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이 입력 $u_{z}$, $u_{\phi}$, $u_{\theta}$, $u_{\psi}$로 치환하여 궤환 선형화 시킬 수 있으며, 이 때 사용되는 제어 입력은 다음과 같다.

(8)

$U_{z}=\dfrac{m_{0}}{\cos\xi_{3}\cos\xi_{5}}(u_{z}+g)$

\begin{align*} U_{\phi}& =\dfrac{I_{x}}{l}\left(u_{\phi}-\dfrac{\xi_{6}\xi_{8}(I_{y}-I_{z})}{I_{x}}\right) \end{align*}

\begin{align*} U_{\theta}& =\dfrac{I_{y}}{l}\left(u_{\theta}-\dfrac{\xi_{4}\xi_{8}(I_{z}-I_{x})}{I_{y}}\right) \end{align*}

$U_{\psi}= I_{z}\left(u_{\psi}-\dfrac{\xi_{4}\xi_{6}(I_{x}-I_{y})}{I_{z}}\right)$

최종적으로 식 (8)식 (7)에 대입하여 정리되는 선형화 된 쿼드로터의 오차에 대한 상태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9)

$\dot\xi_{1}=\xi_{2}$

$\dot\xi_{2}=u_{z}-\Delta\widetilde m(t)u_{z}+\widetilde d_{z}(t)$

$\dot\xi_{3}=\xi_{4} $

$\dot\xi_{4}=u_{\phi}+d_{\phi}(t)$

$\dot\xi_{5}=\xi_{6}$

$\dot\xi_{6}=u_{\theta}+d_{\theta}(t)$

$\dot\xi_{7}=\xi_{8}$

\begin{align*} \dot\xi_{8}& =u_{\psi}+d_{\psi}(t) \end{align*}

식 (9)에서 $z$축 높이, roll, pitch, yaw에 대해 각각의 상태 값을 받아와 독립적인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를 전체적인 개략도로 나타내면 그림 2와 같으며, $z$축 높이의 경우 초기 추력을 위해 초기에는 상수 값을 입력으로 한다.

그림 2 제어 개략도

Fig. 2 schematic diagram of control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fig2.png

3. $bold\gamma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 설계 및 분석

$bold z$ position : 이득 조절 요소 $\gamma_{1}$이 포함된 $\gamma -$슬라이딩 평면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0)
$s_{z}=\dfrac{k_{1}}{\gamma_{1}}\xi_{1}+\xi_{2}$

여기서 $\gamma_{1}>0$은 이득 조절 요소, $k_{1}>0$은 제어 이득이다. $\gamma -$슬라이딩 평면 식 (10)을 미분하면 다음과 같다.

(11)

$\dot s_{z}=\dfrac{k_{1}}{\gamma_{1}}\dot\xi_{1}+\dot\xi_{2}$

$=\dfrac{k_{1}}{\gamma_{1}}\xi_{2}+u_{z}-\Delta\widetilde m(t)u_{z}+\widetilde d_{z(t)}$

제어 입력 $u_{z}$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2)
$u_{z}=-\dfrac{\beta_{1}}{\gamma_{1}}{sat}\left(\dfrac{s_{z}}{\epsilon_{1}}\right)$

여기서 $\beta_{1}>0$, $0<\epsilon_{1}<1$이며, ${sat}\left(s_{z}/\epsilon_{1}\right)$은 다음과 같다.

(13)
${sat}\left(\dfrac{s_{z}}{\epsilon_{1}}\right)=\begin{cases} {sgn}(s_{z}),\:&{if}|s_{z}|>\epsilon_{1}\\ s_{z}/\epsilon_{1,\:}&{if}|s_{z}|\le\epsilon_{1} \end{cases}$

이때 $\epsilon_{1}$은 작을수록 ${sgn}(s_{z})$에 근사하게 된다. $\epsilon_{1}=\epsilon_{1}^{*}$으로 정의하면 $\left | s_{z}\right | >\epsilon_{1}^{*}$인 영역을 reaching phase, $\left | s_{z}\right |\le\epsilon_{1}^{*}$인 영역을 boundary layer라고 한다 (14).

먼저 reaching phase에서 Lyapunov함수 $V\left(s_{z}\right)=(1/2)s_{z}^{2}$ 으로 정의한 후, 이를 식 (11)의 궤적에 따라 미분하면 다음과 같다.

(14)

\begin{align*} \dot V(s_{z})& =s_{z}\dot s_{z} \end{align*}

$=s_{z}\left(\dfrac{k_{1}}{\gamma_{1}}\xi_{2}-\dfrac{\beta_{1}}{\gamma_{1}}{sgn}\left(s_{z}\right)+\Delta\widetilde m(t)\dfrac{\beta_{1}}{\gamma_{1}}{sgn}\left(s_{z}\right)+\widetilde d_{z}(t)\right)$

$=\dfrac{k_{1}}{\gamma_{1}}s_{z}\xi_{2}-\dfrac{\beta_{1}}{\gamma_{1}}\left | s_{z}\right | +\Delta\widetilde m(t)\dfrac{\beta_{1}}{\gamma_{1}}\left | s_{z}\right | +s_{z}\widetilde d_{z}(t)$

\begin{align*} \le &\dfrac{k_{1}}{\gamma_{1}}\left | s_{z}\right |\left |\xi_{2}\right | -\dfrac{\beta_{1}}{\gamma_{1}}\left | s_{z}\right | + |\Delta\widetilde m(t)|\dfrac{\beta_{1}}{\gamma_{1}}\left | s_{z}\right |\\ & +\left | s_{z}\right |\left |\widetilde d_{z}(t)\right | \end{align*}

\begin{align*} = &-\dfrac{1}{3\gamma_{1}}\left | s_{z}\right |\left(\beta_{1}-3 k_{1}\left |\xi_{2}\right |\right)-\dfrac{\beta_{1}}{6\gamma_{1}}\left | s_{z}\right |(1-6 |\Delta\widetilde m(t)|)\\ &-\dfrac{1}{2\gamma_{1}}\left | s_{z}\right |\left(\beta_{1}-2\gamma_{1}\left |\widetilde d_{z}(t)\right |\right) \end{align*}

여기서 질량에 대한 $\Delta\widetilde m(t)\le 0.2m_{0}$의 가정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15)
$|\Delta\widetilde m(t)| =\left |\dfrac{\Delta\widetilde m(t)}{m_{0}+\Delta\widetilde m(t)}\right |\le\dfrac{0.2m_{0}}{m_{0}+0.2m_{0}}=\dfrac{1}{6}$

먼저 $\beta_{1}=\beta_{1}^{*}>0$인 유한한 값으로 정의하면 식(14)-(15)에서 얻을 수 있는 $\gamma_{1}$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16)

\begin{align*} \gamma_{1}& <\dfrac{\beta_{1}^{*}}{2\left | -\Delta\widetilde m(t)g+d_{z}(t)\right |} \end{align*}

$$\leq \frac{\beta_{1}^{*}}{2\left(1.633+\bar{d}_{z}\right)}$$

또한 식 (14)에서 $\xi_{2}$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17)
$\left |\xi_{2}\right |<\dfrac{\beta_{1}^{*}}{3k_{1}}$

이때 $\xi_{2}$에 대한 조건은 $k_{1}$을 통해 조절 가능하며, 여기서 $k_{1}=k_{1}^{*}$로 정의한다. 최종적으로 식(16)-(17)의 조건을 만족하면 $\left | s_{z}\right |$는 유한한 시간에 boundary layer에 도달하게 된다.

Boundary layer에서의 제어입력은 식 (13)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18)

\begin{align*} u_{z}& =-\dfrac{\beta_{1}^{*}}{\gamma_{1}\epsilon_{1}^{*}}s_{z} \end{align*}

$=-\dfrac{\beta_{1}^{*}}{\gamma_{1}\epsilon_{1}^{*}}\left(\dfrac{k_{1}^{*}}{\gamma_{1}}\xi_{1}+\xi_{2}\right)$

식 (18)의 제어 입력을 상태방정식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폐루프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19)

$\dot\xi_{1}=\xi_{2}$

$\dot\xi_{2}=-\dfrac{\beta_{1}^{*}k_{1}^{*}}{\gamma_{1}^{2}\epsilon_{1}^{*}}\xi_{1}-\dfrac{\beta_{1}^{*}}{\gamma_{1}^{2}\epsilon_{1}^{*}}\xi_{2}+\Delta\widetilde m(t)\left(\dfrac{\beta_{1}^{*}}{\gamma_{1}\epsilon_{1}^{*}}s_{z}\right)+\widetilde d_{z(t)}$

식 (19)은 다음과 같은 행렬의 형태로 표현 가능하며

(20)
$\dot\xi_{z}=A_{z}(\gamma_{1})+\delta_{z}(t,\: s)+D_{z}(t)$

여기서 $\xi_{z}=[\xi_{1},\:\xi_{2}]^{T}$, $\delta_{z}(t,\:s)=\left[0,\:\Delta\widetilde m\left(\beta_{1}^{*}/\gamma_{1}\epsilon_{1}^{*}\right)s_{z}\right]^{T}$, $D_{z}(t)=[0,\:$$\widetilde d_{z}(t)]^{T}$이며 $A_{z}(\gamma_{1})$은 다음과 같다.

(21)
$A_{z}(\gamma_{1})=\left[\begin{matrix}0& 1\\ -\dfrac{\beta_{1}^{*}k_{1}^{*}}{\gamma_{1}^{2}\epsilon_{1}^{*}}& -\dfrac{\beta_{1}^{*}}{\gamma_{1}\epsilon_{1}^{*}}\end{matrix}\right]$

$E_{z}(\gamma_{1})={diag}[1,\:\gamma_{1}]$으로 정의한 후, $A_{z}$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22)
$A_{z}=\left[\begin{matrix}0& 1\\ -\dfrac{\beta_{1}^{*}k_{1}^{*}}{\epsilon_{1}^{*}}& -\dfrac{\beta_{1}^{*}}{\epsilon_{1}^{*}}\end{matrix}\right]$

이때 $A_{z}$의 특성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23)
$\det(A_{z}-\lambda_{z}I)=\lambda_{z}^{2}+\dfrac{\beta_{1}^{*}}{\epsilon_{1}^{*}}\lambda_{z}+\dfrac{\beta_{1}^{*}k_{1}^{*}}{\epsilon_{1}^{*}}$

식 (23)이 Hurwitz polynomial이 되기 위한 $\beta_{1}^{*}$, $k_{1}^{*}$, $\epsilon_{1}^{*}$의 범위는 Routh-Hurwitz 판별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14). 따라서 $\beta_{1}^{*}>0$, $k_{1}^{*}>0$, $\epsilon_{1}^{*}>0$이면 Hurwitz polynomial이며, 각 제어이득은 이를 만족하므로 식 (23)은 Hurwitz polynomial이다.

$E_{z}(\gamma_{1})$과 $A_{z}$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만족한다.

(24)
$E_{z}(\gamma_{1})^{-1}A_{z}E_{z}(\gamma_{1})=\gamma_{1}A_{z}(\gamma_{1})$

$A_{z}$가 Hurwitz 이므로 Lyapunov방정식 $A_{z}^{T}P_{z}+P_{z}A_{z}=-I$를 만족하며, 식 (24)를 $A_{z}$에 대한 식으로 이항 후 Lyapunov방정식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5)
$A_{z}(\gamma_{1})^{T}P_{z}(\gamma_{1})+P_{z}(\gamma_{1})A_{z}(\gamma_{1})= -\gamma_{1}^{-1}E_{z}(\gamma_{1})^{2}$

여기서 $P_{z}(\gamma_{1})=E_{z}(\gamma_{1})P_{z}E_{z}(\gamma_{1})$이다.

Lyapunov 함수 $V(\xi_{z})=\xi_{z}^{T}P_{z}(\gamma_{1})\xi_{z}$로 정의한 후, 이를 식 (20)의 궤적에 따라 미분하면 다음과 정리 가능하다.

(26)

$\dot V(\xi_{z})=-\gamma_{1}^{-1}(E_{z}(\gamma_{1})\xi_{z})^{T}E_{z}(\gamma_{1})\xi_{z}$

$+2(E_{z}(\gamma_{1})\xi_{z})^{T}P_{z}E_{z}(\gamma_{1})\left(\delta_{z}(t,\:s)+D_{z}(t)\right)$ $= -\dfrac{1}{2}\gamma_{1}^{-1}(E_{z}(\gamma_{1})\xi_{z})^{T}E_{z}(\gamma_{1})\xi_{z}$

$-\dfrac{1}{2}\gamma_{1}^{-1}(E_{z}(\gamma_{1})\xi_{z})^{T}E_{z}(\gamma_{1})\xi_{z}$

$+2(E_{z}(\gamma_{1})\xi_{z})^{T}P_{z}E_{z}(\gamma_{1})\left(\delta_{z}(t,\:s)+D_{z}(t)\right)$

식 (26)는 다음과 같은 부등식을 만족한다.

(27)
\begin{array}{l} \dot{V}\left(\xi_{z}\right) \leq-\frac{1}{2} \gamma_{1}^{-1}\left\|E_{z}\left(\gamma_{1}\right) \xi_{z}\right\|^{2} \\ \quad-\frac{1}{2} \gamma_{1}^{-1}\left|E_{z}\left(\gamma_{1}\right) \xi_{z}\right|^{T}\left|E_{z}\left(\gamma_{1}\right) \xi_{z}\right| \\ \quad+2\left|E_{z}\left(\gamma_{1}\right) \xi_{z}\right|^{T}\left|P_{z}\right|\left|E_{z}\left(\gamma_{1}\right)\left\{\delta_{z}(t, s)+D_{z}(t)\right\}\right| \\ =-\frac{1}{2} \gamma_{1}^{-1}\left\|E_{z}\left(\gamma_{1}\right) \zeta_{z}\right\|^{2} \\ \quad-\frac{1}{2} \gamma_{1}^{-1}\left|E_{z}\left(\gamma_{1}\right) \xi_{z}\right|^{T}\left\{\left|E_{z}\left(\gamma_{1}\right) \xi_{z}\right|\right. \\ \left.\quad-4\left|P_{z}\right|\left|E_{z}\left(\gamma_{1}\right) \delta_{z}(t, s)+E_{z}\left(\gamma_{1}\right) D_{z}(t)\right|\right\} \end{array}

식 (27)에서 마지막 항은 다음과 같이 행렬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28)
$\left.\left | E_{z}(\gamma_{1})\xi_{z}\right |\right .-4\left | P_{z}\right |\left | E_{z}(\gamma_{1})\delta_{z}(t,\:s)+E_{z}(\gamma_{1})D_{z}(t)\right |$ $=\begin{bmatrix}\left |\xi_{1}\right |\\\gamma_{1}\left |\xi_{2}\right |\end{bmatrix}-4\gamma_{1}\begin{bmatrix}\left | p_{z2}\right |\left(|\Delta\widetilde m(t)|\beta_{1}^{*}+\gamma_{1}|\widetilde d(t)|\right)\\\left | p_{z3}\right |\left(|\Delta\widetilde m(t)|\beta_{1}^{*}+\gamma_{1}|\widetilde d(t)|\right)\end{bmatrix}$

따라서 식 (28)을 바탕으로 $\xi_{1}$, $\xi_{2}$의 ultimate bound(UB)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29)
${UB}(\xi_{1}):=4\gamma_{1}\beta_{1}^{*}\left | p_{z2}\right |$$|\Delta\widetilde m(t)|$$+4\gamma_{1}^{2}\left | p_{z2}\right |\overline{d}_{z}$ ${UB}(\xi_{2}):=4\beta_{1}^{*}\left | p_{z3}\right |$$|\Delta\widetilde m(t)|$$+4\gamma_{1}\left | p_{z3}\right |\overline{d}_{z}$

따라서 $z$축 높이에 대한 상태 $\xi_{1}$에 대하여 $\gamma_{1}$을 조절하면 시스템의 허용 한도 내에서 ultimate bound가 임의로 조절 가능하다.

Angle : roll에 대한 $\gamma -$슬라이딩 평면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30)
$s_{\phi}=\dfrac{k_{2}}{\gamma_{2}}\xi_{3}+\xi_{4}$

여기서 $\gamma_{2}>0$은 이득조절 요소, $k_{2}>0$는 제어 이득이다. $\gamma -$슬라이딩 평면인 식 (30)을 미분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31)
$\dot s_{\phi}=\dfrac{k_{2}}{\gamma_{2}}\xi_{3}+\xi_{4}$ $=\dfrac{k_{2}}{\gamma_{2}}\xi_{4}+u_{\phi}+d_{\phi}(t)$

roll에 대한 제어입력 $u_{\phi}$를 아래와 같이 정의하며

(32)
$u_{\phi}= -\dfrac{\beta_{2}}{\gamma_{2}}{sat}\left(\dfrac{s_{\phi}}{\epsilon}_{2}\right)$

여기서 $\beta_{2}>0$, $0<\epsilon_{2}<1$을 만족하며, $\epsilon_{2}=\epsilon_{2}^{*}$으로 정의한다.

먼저 reaching phase에서 $s_{\phi}$에 대한 Lyapunov 함수 $V(s_{\phi})=(1/2)s_{\phi}^{2}$로 정의한 후, 식 (31)의 궤적에 따라 미분하면 다음과 같다.

(33)

$\dot V(s_{\phi})=s_{\phi}\dot s_{\phi}$

$=s_{\phi}\left(\dfrac{k_{2}}{\gamma_{2}}\xi_{4}-\dfrac{\beta_{2}}{\gamma_{2}}{sgn}(s_{\phi})+d_{\phi}(t)\right)$

$=\dfrac{k_{2}}{\gamma_{2}}s_{\phi}\xi_{4}-\dfrac{\beta_{2}}{\gamma_{2}}\left | s_{\phi}\right | +s_{\phi}d_{\phi}(t)$

$\le -\dfrac{\beta_{2}}{2\gamma_{2}}\left | s_{\phi}\right | +\dfrac{k_{2}}{\gamma_{2}}\left | s_{\phi}\right |\left |\xi_{4}\right | -\dfrac{\beta_{2}}{2\gamma_{2}}\left | s_{\phi}\right | +\left | s_{\phi}\right |\left | d_{\phi}(t)\right |$

$=-\dfrac{1}{2\gamma_{2}}\left | s_{\phi}\right |\left(\beta_{2}-2k_{2}\left |\xi_{4}\right |\right)-\dfrac{1}{2\gamma_{2}}\left | s_{\phi}\right |\left(\beta_{2}-2\gamma_{2}\left | d_{\phi}(t)\right |\right)$

식 (33)에서 $\beta_{2}=\beta_{2}^{*}$으로 정의하면 $\gamma_{2}$는 다음과 같은 범위를 가진다.

(34)
$\gamma_{2}<\dfrac{\beta_{2}^{*}}{2\overline{d}_{\phi}}$

또한 $\xi_{4}$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하며,

(35)
$\left |\xi_{4}\right |<\dfrac{\beta_{2}^{*}}{2k_{2}}$

이는 $k_{2}$를 통해 조절 가능하며, 여기서 $k_{2}=k_{2}^{*}$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식(34)-(35)을 만족하면 유한한 시간에 boundary layer에 도달하게 된다.

Boundary layer에서의 제어 입력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36)
\begin{align*} u_{\phi}& =-\dfrac{\beta_{2}^{*}}{\gamma_{2}\epsilon_{2}^{*}}\left(\dfrac{k_{2}^{*}}{\gamma_{2}}\xi_{3}+\xi_{4}\right) \end{align*} $=-\dfrac{\beta_{2}^{*}k_{2}^{*}}{\gamma_{2}^{2}\epsilon_{2}^{*}}\xi_{3}-\dfrac{\beta_{2}^{*}k_{2}^{*}}{\gamma_{2}\epsilon_{2}^{*}}\xi_{4}$

식 (36)식 (9)에서 roll에 대한 상태방정식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 가능하다.

(37)
$\dot\xi_{3}=\xi_{4}$ \begin{align*} \dot\xi_{4}& =-\dfrac{\beta_{2}^{*}k_{2}^{*}}{\gamma_{2}^{2}\epsilon_{2}^{*}}\xi_{3}-\dfrac{\beta_{2}^{*}}{\gamma_{2}\epsilon_{2}^{*}}\xi_{4}+d_{\phi}(t) \end{align*}

식 (37)은 다음과 같은 행렬의 형태로 표현 가능하며,

(38)
$\dot\xi_{\phi}=A_{\phi}(\gamma_{2})+D_{\phi}(t)$

여기서 $\xi_{\phi}=[\xi_{3},\:\xi_{4}]^{T}$, $D_{\phi}(t)=[0,\: d_{\phi}(t)]^{T}$이며 $A_{\phi}(\gamma_{2})$는 다음과 같다.

(39)
$A_{\phi}(\gamma_{2})=\begin{bmatrix}0&1\\-\dfrac{\beta_{2}^{*}k_{2}^{*}}{\gamma_{2}^{2}\epsilon_{2}^{*}}&-\dfrac{\beta_{2}^{*}}{\gamma_{2}\epsilon_{2}^{*}}\end{bmatrix}$

또한 $E_{\phi}(\gamma_{2})={diag}[1,\:\gamma_{2}]$, $A_{\phi}$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40)
$A_{\phi}=\begin{bmatrix}0&1\\-\dfrac{\beta_{2}^{*}k_{2}^{*}}{\epsilon_{2}^{*}}&-\dfrac{\beta_{2}^{*}}{\epsilon_{2}^{*}}\end{bmatrix}$

이때 $A_{\phi}$의 특성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41)
$\det(A_{\phi}-\lambda_{\phi}I)=\lambda_{\phi}^{2}+\dfrac{\beta_{2}^{*}}{\epsilon_{2}^{*}}\lambda_{\phi}+\dfrac{\beta_{2}^{*}k_{2}^{*}}{\epsilon_{2}^{*}}$

식 (41)에서 Hurwitz polynomial이 되기 위한 $\beta_{2}^{*}$, $k_{2}^{*}$, $\epsilon_{2}^{*}$의 범위는 Routh-Hurwitz 판별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따라서 $\beta_{2}^{*}>0$, $k_{2}^{*}>0$, $\epsilon_{2}^{*}>0$이면 Hurwitz polynomial이며, 각 제어이득은 이를 만족하므로 식 (41)은 Hurwitz polynomial이다.

$E_{\phi}(\gamma_{2})$과 $A_{\phi}$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만족한다.

(42)
$E_{\phi}(\gamma_{2})^{-1}A_{\phi}E_{\phi}(\gamma_{2})=\gamma_{2}A_{\phi}(\gamma_{2})$

$A_{\phi}$가 Hurwitz 이므로 $A_{\phi}^{T}P_{\phi}+P_{\phi}A_{\phi}=-I$ 를 만족하며, 식 (41)을 $A_{\phi}$에 대한 식으로 이항 후 Lyapunov방정식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43)
$A_{\phi}(\gamma_{2})^{T}P_{\phi}(\gamma_{2})+P_{\phi}(\gamma_{2})A_{\phi}(\gamma_{2})= -\gamma_{2}^{-1}E_{\phi}(\gamma_{2})^{2}$

여기서 $P_{\phi}(\gamma_{2})=E_{\phi}(\gamma_{2})P_{\phi}E_{\phi}(\gamma_{2})$이다.

Lyapunov 함수 $V(\xi_{\phi})=\xi_{\phi}^{T}P_{\phi}(\gamma_{2})\xi_{\phi}$로 정의한 후, 이를 식 (38)의 궤적에 따라 미분하면 다음과 정리 가능하다.

(44)

$\dot V(\xi_{\phi})=-\gamma_{2}^{-1}(E_{\phi}(\gamma_{2})\xi_{\phi})^{T}E_{\phi}(\gamma_{2})\xi_{\phi}$

$= -\dfrac{1}{2}\gamma_{2}^{-1}(E_{\phi}(\gamma_{2})\xi_{\phi})^{T}E_{\phi}(\gamma_{2})\xi_{\phi}$

$-\dfrac{1}{2}\gamma_{2}^{-1}(E_{\phi}(\gamma_{2})\xi_{\phi})^{T}E_{\phi}(\gamma_{2})\xi_{\phi}$

$+2(E_{\phi}(\gamma_{2})\xi_{\phi})^{T}P_{\phi}E_{\phi}(\gamma_{2})D_{\phi}(t)$

식 (44)는 다음과 같은 부등식을 만족한다.

(45)
$$\begin{aligned} \dot{V}\left(\varepsilon_{\phi}\right) \leq-& \frac{1}{2} \gamma_{2}^{-1}\left\|E_{\phi}\left(\gamma_{2}\right) \xi_{\phi}\right\|^{2} \\ &-\frac{1}{2} \gamma_{2}^{-1}\left|E_{\phi}\left(\gamma_{2}\right) \xi_{\phi}\right|^{T}\left|E_{\phi}\left(\gamma_{2}\right) \xi_{\phi}\right| \\ &+2\left|E_{\phi}\left(\gamma_{2}\right) \xi_{\phi}\right|^{T}\left|P_{\phi}\right|\left|E_{\phi}\left(\gamma_{2}\right) D_{\phi}(t)\right| \\ =&-\frac{1}{2} \gamma_{2}^{-1}\left\|E_{\phi}\left(\gamma_{2}\right) \xi_{\phi}\right\|^{2} \\ &-\frac{1}{2} \gamma_{2}^{-1}\left|E_{\phi}\left(\gamma_{2}\right) \xi_{\phi}\right|^{T}\left\{\left|E_{\phi}\left(\gamma_{2}\right) \xi_{\phi}\right|\right.\\ &\left.-4\left|P_{\phi}\right|\left|E_{z}\left(\gamma_{2}\right) D_{\phi}(t)\right|\right\} \end{aligned}$$

식 (45)의 마지막 식은 다음과 같이 행렬의 형태로 풀어 쓸 수 있다.

(46)
$\left.\left | E_{\phi}(\gamma_{2})\xi_{\phi}\right |\right .-4\left | P_{\phi}\right |\left | E_{\phi}(\gamma_{2})D_{\phi}(t)\right |$ $=\begin{bmatrix}\left |\xi_{3}\right |\\\gamma_{2}\left |\xi_{4}\right |\end{bmatrix}-4\gamma_{2}\begin{bmatrix}\left | p_{\phi 2}\right |\left(\gamma_{2}d_{\phi}(t)\right)\\\left | p_{\phi 3}\right |\left(\gamma_{2}d_{\phi}(t)\right)\end{bmatrix}$

따라서 식 (46)을 바탕으로 $\xi_{3}$, $\xi_{4}$의 ultimate bound(UB)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47)
${UB}(\xi_{3}):=4\gamma_{2}^{2}\left | p_{\phi 2}\right |\overline{d}_{\phi}$ ${UB}(\xi_{4}):=4\gamma_{2}\left | p_{\phi 3}\right |\overline{d}_{\phi}$

따라서 roll에 관련 된 상태 $\xi_{3}$, $\xi_{4}$에 대하여 $\gamma_{2}$을 조절하면 시스템의 허용 한도 내에서 ultimate bound가 임의로 조절 가능하다.

동일한 방법으로 pitch, yaw의 제어 입력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48)
$U_{\theta}=\dfrac{I_{y}}{l}\left\{-\dfrac{\beta_{3}}{\gamma_{3}}{sat}\left(\dfrac{s_{\theta}}{\epsilon}_{3}\right)-\dfrac{\xi_{4}\xi_{8}(I_{z}- I_{x})}{I_{y}}\right\}$ $U_{\psi}=I_{z}\left\{-\dfrac{\beta_{4}}{\gamma_{4}}{sat}\left(\dfrac{s_{\psi}}{\epsilon_{4}}\right)-\dfrac{\xi_{4}\xi_{6}(I_{x}-I_{y})}{I_{z}}\right\}$

4. 실험결과

$\gamma_{j}$$(j=1,\: 2,\: 3,\: 4)$의 변화에 따른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고도 및 자세에 대하여 실험을 각각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 된 드론은 Parrot사의 AR.Drone 이며, 그림 2는 쿼드로터 실험 환경을 나타낸다.

그림 3. 쿼드로터 실험 환경

Fig. 3. Quadrotor experiment environment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fig3.png

$bold z$ position : 불확실한 무게 변화 및 외란에 대해 $\gamma_{1}$의 변화에 따른 고도 변화를 비교한다. 이때 질량 변화에 대한 성능 검증을 위해 호버링한 상태에서 쿼드로터 무게의 $18%$에 해당하는 $0.078$kg의 질량을 추가하였다. 그림 4는 $\gamma_{1}$의 변화에 따른 고도를 나타내며, 초기 이득은 $\beta_{1}^{*}=4$, $k_{1}^{*}=1$, $\epsilon_{1}^{*}=0.8$로 설정하였다. 추종하려는 고도는 $1$m이다.

그림 4. $\gamma_{1}$에 따른 고도 변화

Fig. 4. Behavior of altitude with respect to $\gamma_{1}$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fig4.png

그림 4의 그래프를 보면 $\gamma_{1}$이 작을수록 무게변화가 없는 4초에서 8초 사이에 추종하려는 높이와의 오차가 작은 모습을 보인다. 또한 무게 변화가 생긴 8초 이후를 보면 $\gamma_{1}$이 작아짐에 따라 무게 변화에 대해 추종 하려는 고도와의 오차가 작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보다 정확한 비교를 위해 $\gamma_{1}$의 변화에 따른 고도의 오차에 대한 그래프는 그림 4, 제어 입력에 대한 그래프는 그림 5와 같다. 및 입력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내면 그림 5와 같다. 이때 오차에 대해서는 호버링한 상태인 4초부터 12초 까지를 나타내었다.

그림 5 $\gamma_{1}$에 따른 추종 오차

Fig. 5 Tracking error of altitude with respect to $\gamma_{1}$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fig5.png

그림 6 $\gamma_{1}$에 따른 제어 입력

Fig. 6 Control input with respect to $\gamma_{1}$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fig6.png

Angle : $\gamma_{j}$$(j=2,\: 3,\: 4)$의 변화에 따른 자세 각의 변화를 보기 위해 초기 이득 $\beta_{j}=4$, $k_{j}=1$, $\epsilon_{j}=0.8$ $(j=2,\: 3,\: 4)$으로 두어 실험하였다. 그림 7은 각각 roll, pitch, yaw에 대한 실험 그래프를 나타낸다.

그림 7-9를 보면 $\gamma_{j}$$(j=2,\: 3,\: 4)$가 감소함에 따라 자세 각에 대한 오차가 줄어드는 것이 보인다. 보다 자세한 비교를 위해 그림 10-15에서 roll, pitch, yaw의 추종 오차에 대한 그래프와 제어 입력을 비교 하였다.

또한 $\gamma_{j}$$(j=1,\: 2,\: 3,\: 4)$에 따른 변화를 정량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정상상태에서의 평균 제곱 오차를 구한다. 평균 제곱 오차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으며, $i=(z,\:\phi ,\:\theta ,\:\psi)$, $j=(1,\:3,\: 5,\: 7)$이다.

그림 7 $\gamma_{2}$에 따른 roll의 각도 변화

Fig. 7 Behavior of roll angle with respect to $\gamma_{2}$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fig7.png

그림 8 $\gamma_{3}$에 따른 pitch의 각도 변화

Fig. 8 Behavior of pitch angle with respect to $\gamma_{3}$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fig8.png

그림 9 $\gamma_{4}$에 따른 yaw의 각도 변화

Fig. 9 Behavior of yaw angle with respect to $\gamma_{4}$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fig9.png

(48)
$e_{i=}\dfrac{1}{n}\left(\sum_{t=4}^{12}(\xi_{j}(t)-\xi_{jd}(t))^{2}\right)$

정상상태에서의 평균 제곱 오차를 구하기 위해 4초부터 12초까지의 구간에 대해 구하였으며, $n$은 해당 구간의 데이터 개수를 의미한다. 위의 식을 통해 얻은 평균 제곱 오차의 결과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그림 10 $\gamma_{2}$에 따른 roll의 추종 오차

Fig. 10 Tracking error of roll with respect to $\gamma_{2}$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fig10.png

그림 11 $\gamma_{3}$에 따른 pitch의 추종 오차

Fig. 11 Tracking error of pitch with respect to $\gamma_{3}$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fig11.png

그림 12 $\gamma_{4}$에 따른 yaw의 추종 오차

Fig. 12 Tracking error of yaw with respect to $\gamma_{4}$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fig12.png

따라서 $\gamma_{i}$$(i=1,\: 2,\:3,\:4)$의 조절에 따른 성능변화의 추이는 $z$축 높이, roll, pitch, yaw의 오차가 각각 $58.7%$, $78.4%$, $85.4%$, $81.8%$ 감소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3 $\gamma_{2}$에 따른 제어 입력

Fig. 13 Control input with respect to $\gamma_{2}$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fig13.png

그림 14 $\gamma_{3}$에 따른 제어 입력

Fig. 14 Control input with respect to $\gamma_{3}$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fig14.png

그림 15 $\gamma_{4}$에 따른 제어 입력

Fig. 15 Control input with respect to $\gamma_{4}$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fig15.png

5. 결 론

본 논문은 불확실한 무게 및 외란을 가지는 쿼드로터의 호버링 제어를 위해 $\gamma -$슬라이딩 평면을 이용한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제안하였다. 또한 Lyapunov 함수를 이용하여 폐루프 시스템을 분석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제안된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추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완전한 고도회복 및 경로 추종에 기반한 쿼드로터의 물체 운반에 관한 연구로 발전시킬 예정이다.

표 2 $\gamma_{i}$$(i=1,\: 2,\:3,\:4)$의 변화에 따른 추종 오차 비교

Table 2 Comparison of tracking errors with respect to $\gamma_{i}$$(i=1,\: 2,\:3,\:4)$

$\gamma_{i}=1$

$\gamma_{i}=0.8$

$e_{z}$

$0.0576$

$0.0238$

$e_{\phi}$

$5.9974\cdot 10^{-4}$

$1.2889\cdot 10^{-4}$

$e_{\theta}$

$2.7392\cdot 10^{-4}$

$0.4038\cdot 10^{-4}$

$e_{\psi}$

$20.0000\cdot 10^{-4}$

$3.6443\cdot 10^{-4}$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MSIT)

(No. NRF-2019R1F1A1040968).

References

1 
S. Sim, H. Kwon, H. Jung, 2016, A study on utilization of drone for public sector by analysis of drone industry,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ol. 15, No. 4, pp. 25-39DOI
2 
K. U Lee, J. B. Park, Y. H. Choi, 2014, Adaptive backstepping hovering control for a quadrotor with unknown parameters,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Vol. 20, No. 10, pp. 1002-1007DOI
3 
J. Yoon, J. Lee, 2015, Approximate multi-objective optimization of a quadcopter through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Vol. 39, No. 7, pp. 673-679DOI
4 
I.-H. Choi, M.-H. Park, H.-G. Kim, 2012, Non-linear adaptive attitude controller design of quadrotor UAV,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6, pp. 2421-2427DOI
5 
.-M. Kim and W.-B. Baek, 2016, Terminal sliding mode hovering control for quadrotor with input uncertainty,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 14, No. 2, pp. 7-12Google Search
6 
F. Muñoz, I. González-Hernández, S. Salazar, E. S. Espinoza, and R. Lozano, 2017, Second order sliding mode controllers for altitude control of a quadrotor UAS: Real-time implementation in outdoor environments, Neurocomputing, Vol. 233, pp. 61-71DOI
7 
S.-H. Jang, Y.-Y. Yang, H. Leeghim, 2020, Performance analysis for quadrotor attitude control by super twisting algorith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Vol. 48, No. 5, pp. 373-381DOI
8 
G. Perozzi, D. Efimov, J. M. Biannic, L. Planckaert, 2018, Trajectory tracking for a quadrotor under wind perturbations: sliding mode control with state-dependent gains, Journal of the Franklin Institute, Vol. 355, No. 12, pp. 4809-4838DOI
9 
J.-W. Lee, A.T. Nguyen, N. Xuan-Mung, S.-K. Hong, 2019, Quadrotor trajectory tracking control against uncertainties for autonomous landing task,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 Jeju, pp. 55-60DOI
10 
X. Wu, B. Xiao, Y. Qu, 2019, Modeling and sliding mode-based attitude tracking control of a quadrotor UAV with time-varying mass, ISA TransactionsDOI
11 
H. Ríos, J. González-Sierra, A. Dzul, 2017, Robust tracking output-control for a quad-rotor: A continuous sliding-mode approach, Journal of the Franklin Institute, Vol. 354, No. 15, pp. 6672-6691DOI
12 
A. Merheb, H. Noura, F. Bateman, 2017, Emergency control of AR drone quadrotor UAV suffering a total loss of one rotor, IEEE/ASME Transactions on Mechatronics, Vol. 22, No. 2, pp. 961-971DOI
13 
F. Golnaraghi, B.C. Kuo, 2010, Automatic control systems 9th eidition, First BookGoogle Search
14 
N. K. Khalil, 2002, Nonlinear systems, 3rd, Prentice Hall Inc.Google Search

저자소개

엄영철 (Yeong-Cheol Um)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au1.png

He received the B.S.E. degree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The Univ. of Dong-A, Korea in 2019,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a M.S. degree.

His research interests are nonlinear control problems including robust controls, Quadrotor, Autonomous driving control.

He is a member of KIEE and KROS.

최호림 (Ho-Lim Choi)
../../Resources/kiee/KIEE.2020.69.10.1474/au2.png

He received the B.S.E. degree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The Univ. of Iowa, USA in 1996, and M.S. degree in 1999 and Ph.D degree in 2004, from KAIST, respectively.

Currently, he is a professor at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Dong-A university, Busan.

His research interests are in the nonlinear control problems with emphasis on feedback linearization, gain scheduling, singular perturbation, output feedback, timedelay systems, time-optimal control.

He is a senior member of IE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