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균석
(Kyunsuk Choi)
1iD
김주욱
(Joo-Uk Kim)
2iD
이기원
(Kiwon Lee)
2iD
서경주
(Kyoung-Ju Seo)
1iD
박영
(Young Park)
†iD
-
(Dept. of 3D Print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Korea.)
-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3D printing, Catenary System, Smart Manufacturing
1. 서 론
최근 연구되는 디지털 기반의 부품제작기술은 적층제조기술을 이용하여 기존의 제작공정과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 또한 단종 부품 등 철도차량의 유지보수 부품을 디지털 기반으로 제작하는 기술이 최근 보고되고 있다 (2). 전기철도의 전철전력설비는 철도운영을 위한 핵심설비로 전기적 에너지를 차량에 직접 전달하며 차량운행에 따른 고전압·고전류를 분담하고 이를 절연하는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3). 특히 차량의 팬터그래프와 전차선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기계적 진동이 발생되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강도가 요구된다 (4). 그러나 전철 부품은 종류가 다양하고 설계속도 별로 부품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건설 시 소량만 사용되는 품목이 있다. 또한 건설 중 선로의 환경과
설계변경에 따라 부품 형상의 수정을 위해 적층제조를 이용한 급속 제작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5). 디지털 기반의 적층제조기술은 시제품제작이나 부품의 형상검토를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전철 부품과 같은 금속재료의 제작기술에 대해서도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6). 전철 부품을 디지털 기반의 적층제조 기법으로 제작할 경우 국내는 기술기준에서 요구하는 기계적 강도와 전기적 특성까지 만족해야 하며 제작공정이 표준화되어
있어 현재까지 전철 부품의 적층제조기술 적용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전철 부품을 디지털 기반의 적층제조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부품의
설계사양에 따른 모델링과 제작에 따른 형상특성이 사전에 연구되어야 하며 이후 금속재료를 이용한 제조기술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7). 본 논문에서는 전기철도 전철 부품의 스마트 제조를 위한 디지털 적층제조기술 적용을 위해 전차선 클레비스형 단말 클램프를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적층제조는 SLA (Sterolithography Apparatus)을 이용하여 클레비스형 단말 클램프를 제작하고 3차원 모델링 결과와 부품의 주요
편차를 분석하였다.
2. 본 론
2.1 전기철도 전철 부품의 적층제조를 위한 기초 연구
본 논문에서는 전기철도 전철 부품의 스마트 제조를 위해 고속철도 전기철도 전차선로에서 오버랩이나 인류개소에서 애자를 연결할 때 사용되는 클레비스형
단말 클램프를 이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고속철도용 전차선로 클레비스형 단말 클램프는 한국철도시설공단 표준규격의 제조 및 가공에 따라 금속 주형
또는 로스트왁스 (Lost-Wax)법으로 주조하여야 한다 (8). 일반적으로 금속 주형 또는 로스트왁스법을 이용하여 금속 부품을 제작할 경우 원형 왁스를 주형재에 주입하고 소성 과정을 통해 왁스를 제거한 이후
금속을 주입하여 제작하는 공정이다 (9). 따라서 주조 또는 주형을 이용하여 패턴을 제작한 이후에 로스트왁스의 틀을 만드는 반면 적층제조기법을 이용할 경우 왁스패턴을 직접 제작할 수 있어
초기 제작이 불필요하다 (10). 적층제조기술이 적용될 경우 그림 2과 같이 몰드제작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 시킬 뿐만 아니라 철도 부품 등의 시제형상의 디자인을 수정하는 것이 쉽고 패턴 직접제조에 따라 복잡한 형상의
제작이 용이하다. 그림 2에 정밀주조에 필요한 기존공정과 적층제조 기술 공정을 비교하였으며 본 내용은 참고문헌을 통해 보고된 바 있다 (10). 본 논문에서는 적층제조기술을 적용한 적층제조 적용공정의 사전 단계로 한국철도시설공단 표준규격의 클레비스형 단말 클램프의 부도를 3차원 모델링하여
적층제조기법인 SLA를 이용하여 전철 부품을 제작하였다.
Fig. 1. A Picture of Clevis Termination Clamp on Catenary system
Fig. 2. An analysis competitive with conventional manufactur ing process and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s.
한국철도시설공단 표준규격에 나타난 클레비스형 단말 클램프의의 형상과 치수는 공칭 값에 따라 허용오차를 제한하고 있으며 동합금 주물의 치수 허용차는
10 mm 미만인 경우 ± 0.75 mm로 약 7.5% 정도의 오차 허용을 주고 있으나 크기에 따라 다르며 630 mm에서 1,000 mm의 경우
± 2 mm로 엄격하게 허용오차를 관리하고 있다(8). 특히 검수 시험에서 치수, 구조, 무게를 각각 검사하고 시료의 수량에 따라 검수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전철 부품의 적층제조 기 술 적용을 위해서는
그림 2에 나타난 적층제조 패턴과 전철 부품의 형상 비교가 필요하다. 그림 3에 본 논문에 적용된 SLA 장치의 제작 공정 계략도를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 적층제조를 위해 활용된 적층제조 기기는 Zrapid사의 SL300E로
SLA기반의 인쇄 레이어 두께는 0.1 mm 이다. 본 논문에서는 클레비스형 단말 클램프 제작을 위해 CAD (Computer-Aided Design)준비,
인쇄 공정 및 후처리 공정을 각각 진행하였고 단면단위로 CAD파일을 변환한 다음 적층제조를 수행하였다. 이후 클리닝 및 알콜세척을 수행하였고 지지물을
제거한 다음 UV (Ultraviolet)를 이용하여 후 경화하였다.
Fig. 3. Overview of SLA Process with slicing a model
2.2 전기철도 전철 부품의 디지털 기반 적층제조
Fig. 4. 3D printing of Clevis Termination Clamp
그림 4(a)에 클레비스형 단말 클램프의 모형제작을 위한 3차원 모델 사진을 나타내었다. 그림과 같이 클레비스형 단말 클램프의 주요 부품별 제작을 위해 3차원
CAD 프로그램으로 설계하고 모델링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그림 4(b)에 클레비스형 단말 클램프의 적층체조 결과 사진을 나타내었다. 그림과 같이 클레비스형 단말 클램프의 주요 부품인 쐐기, 클레비스 금구를 각각 제작하였으며
제작 이후 오차율 측정을 위해 별도의 가공은 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제작 시의 온도변화와 적증제조 장비의 성능에 따라 표면의 거칠기가 틀릴 수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수행하지 않았다.
Fig. 5. Competitive between 3D model and scanning results of Clevis Termination Clamp
적층제조한 단말 클램프를 3차원 하이브리드 스캐너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검출하였고, 3차원 모델링 결과와 비교하여 정밀도를 측정하였다. 그림 5는 3차원 스캔결과와 3차원 모델링 결과를 나타낸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3차원 영상처리 장치는 3차원 영상처리 영역은 275 × 250 mm로 속도는
480,000 수집/초이며 해상도는 50 ㎛이다.
SLA기법으로 제작된 클레비스형 단말 클램프 모형의 정밀성을 검증하기 위해 3차원 좌표측정기를 이용하여 최대 공차를 측정하였다. 그림 6와 표 1에 3차원 좌표측정기를 이용하여 제작된 클레비스형 단말 클램프의 측정을 위한 설명도와 측정결과를 각각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3차원 좌표측정기는
측정범위는 1,000 × 1,600 × 600 mm, 최대오차는 300 ㎛, 분해능은 0.2 ㎛이다. 표 1에서와 같이 편차는 최대 ± 500㎛ 이내로 규격에서 제시한 편차에 모두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적층제조기법인 SLA를 이용한 제작 기법은
우수 정밀도를 나타내어 향후 금속 기반의 전철 부품의 시제품과 적용성 검토를 위해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Fig. 6. Illustration of measured positions for Clevis Termination Clamp
Table 1. A standard acceptance criterion and measured diameters of Clevis Termination
Clamp
|
standard
|
Measured value
|
Deviation
|
size(㎜) a
|
38 ± 0.90
|
37.5007
|
-0.4993
|
size(㎜) b
|
106 ± 1.25
|
106.1277
|
+0.1277
|
size(㎜) c
|
32 ± 0.90
|
32.1835
|
+0.1835
|
size(㎜) d
|
33 ± 0.90
|
32.8207
|
-0.1793
|
size(㎜) e
|
30 ± 0.90
|
29.7975
|
-0.2025
|
size(㎜) f
|
10 ± 0.80
|
9.9689
|
-0.0311
|
size(㎜) g
|
36 ± 0.90
|
35.6794
|
-0.3206
|
size(㎜) h
|
20 ± 0.85
|
19.7731
|
-0.2269
|
size(㎜) i
|
8 ± 0.75
|
7.8914
|
-0.1086
|
size(㎜) j
|
28 ± 0.90
|
28.3007
|
+0.3007
|
size(㎜) k
|
19 ± 0.85
|
19.0202
|
+0.0202
|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전철 부품의 급속제작을 디지털 적층제조기술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철 부품의 전차선 클레비스형 단말 클램프의 2차원
기반의 설계도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또한 3차원 모델링을 기반으로 적층제조기법인 SLA를 이용하여 전철 부품 모형을 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클레비스형 단말 클램프제작을 모형제작을 위해 3차원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계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적층제조에 필요한 모델링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3차원 하이브리드 스캐너를 이용하여 형상을 분석한 결과 모델링 결과에 따라 적층제조에 의한 클레비스형 단말 클램프 시제품이 제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클레비스형 단말 클램프의 형상과 치수는 허용오차를 제한하고 있으며 동합금 주물의 치수 허용차는 최대 ± 2 mm이나 본 논문에서 적층제조
기법으로 제작한 시제품의 편차는 최대 ± 500㎛ 이내로 규격에서 제시한 편차에 모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을 통해 제시한 적층제조기술의
전철 부품 모델링은 향후 금속형태의 전철 부품을 연구하는데 기초연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특이 형상의 전철 부품을 제작하기 위한 사전 모델링
개발기술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본 금속 주조 공정에 적용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19년도 한밭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Y. H. Kim, 2019, The Study on Manufacturing as a Service Strategy based on 3D Printing
Technology, Journal of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Vol. 20, No. 5, pp. 141-159
M. S. Kim, 2017, Design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of Heat Exchanger in Air Compressor
for Railroad Vehicle by 3D Printing Proces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11, pp. 802-809
S. S. Kim, C. S. Park, 2008, High Speed Rail Measurement System of HSR-350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11, No. 2, pp. 115-119
Y. Y. Lee, S. H. Ryu, B. R. Kim, J. O. Lee, 2010.07, A Study of Overall Measurement
System for the Power dispersed High Speed Railway with 400km/h of Maximum Test Speed,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1785-1790
Yong Hyeon Cho, 2012. 10, Development of overhead contact line system for speed enhancement,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M. C. Kang, D. H. Ye, G. H. Go, 2016, International Development Trend and Technical
Issues of Metal Additive Manufacturing,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Vol. 34, No.
4, pp. 307-314
K. Lee, Y. Park, S. Y. Kwon, Y. H. cho, H. Jeong, 2014, Development of a Steady Arm
for the Maximum Speed of 400 km/h,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3, No. 12, pp. 1742-1746
Korea Railroad Standards, 2017, Clevis Termination Clamp – KRSA-3029-R3
B. M. Kim, 2019, A Study on the Plaster Metal Casting Technique Based on Lost Wax
- Based on Ro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Vol. 25, No. 2,
pp. 37-47
E. C. Jeon, M. S. Han, S. Y. Kim, T. H. KIm, 2007, Study on optimum condition establishment
by Mold fabracation of Vacuum Cast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Vol. 6, No. 4, pp. 65-70
저자소개
2003년 인하대학교 금속공학과 졸업(공학석사)
2017년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졸업(공학박사)
현재 한밭대학교 3D프린팅사업단 단장
2000년 고려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학사)
2016년 아주대학교 시스템공학과(공학박사)
2004년~현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1997년 RIT(미) 기계공학(공학석사) 졸업
2009년 성균관대 기계공학 졸업(공학박사)
현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2020년 한밭대학교 건축학과 졸업, 현재 동 대학원 건축학과 재학(석사)
2000년 성균관대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부 졸업(공학석사)
2004년 동대학원 동학과 졸업(공학박사), 현재 한밭대학교 전기시스템공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