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호
(Dong-Ho Lee)
1iD
최용은
(Yong-Eun Choi)
1iD
박원찬
(Weon-Chan Park)
1iD
김재문
(Jae-Moon Kim)
1iD
강정원
(Jeong-Won Kang)
†iD
-
(Dept. of Transportation System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Transpo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Return Current on Adjacent Line, AT Feeding System, Protection, Ground fault, Overcurrent relay
1. 서 론
국내 철도산업은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철화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더불어 일반철도를 비롯한 고속철도 등 전기를 공급받아 운행하는
철도차량이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으며, 전기철도차량이 운행되는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철도급전 계통은 안정된 전원을 운행되는 철도차량에 공급하기 위해
복잡하게 구축되고 있다. 즉 운영되고 있던 전철변전소가 전차선로에 전원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때 인근 전철변전소를 통해 연장급전을 하거나 상선과
하선이 귀선로를 공유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급전계통이 복잡해짐에 따라 사고 시 고장점 표정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2차 사고로도 이어지고
있다.
AT 급전계통에서 전차선로의 지락사고 발생 시 동일모선에 연결된 사고 전차선로를 제외한 나머지 건전 상 전차선로의 단권변압기(Auto Transformer,
AT)로 사고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 전류를 타 귀선전류라 한다. 그러나 현재 전철제어반에서는 변전소의 단권변압기에 나타나고 있는 타 귀선전류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변전소에서 근거리의 지락사고 발생 시 과도한 타 귀선전류로 인해 단권변압기가 소손되는 2차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1)(2).
본 논문에서는 변전소를 중심으로 급전계통별로 나타나는 타 귀선전류를 파악하고 이를 정량화하였다. 정량화된 타 귀선전류를 토대로 전차선로의 지락사고
시 과도한 사고전류로부터 급전계통을 보호할 방법을 연구하였다. 즉 타 귀선전류를 기록하여 타 귀선전류에 의한 단권변압기의 전기적 충격에 대해 사전조치를
강화함으로서 급전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보호방안을 제안하였다.
2. 본 론
2.1 타 귀선전류
전기철도 AT급전계통에서 부하전류가 변전소→전차선→전기차량→레일→변전소 등의 경로로 흐른다. 이때 AT의 중성선으로 흐르는 전류를 귀선전류라 한다(3).
전동차 부하 또는 지락사고 발생 시 부하전류(사고전류 포함)가 부하가 있는 전차선로의 AT로 귀선(歸線)되는 전류를 자(自) 귀선전류라 하고 타 전차선로의
AT로 귀선되는 전류를 타(他) 귀선전류라 한다. 복선 이상의 전차선로에서는 타 귀선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AT 급전계통의 특성상 동일 모선에 같은
방향의 전차선로가 많을수록 타 귀선전류가 많아지게 된다. 즉 전차선로가 많을수록 자기 부하전류의 자(自) 귀선율은 작아지는 반면에 타(他) 귀선율은
커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자 귀선율은 그림 1에서 AT 급전계통의 부하전류 중에서 부하가 있는 전차선로_AT1의 중성선으로 귀선되는 전류의 비(比)로 식 (1)과 같이 나타낸다.
타 귀선율은 그림 1에서 AT 급전계통의 부하전류 중에서 부하가 없는 전차선로의 전차선로_AT2의 중성선으로 귀선되는 전류의 비(比)로 식 (2)와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I_{AT2}는 타 귀선전류이다.
부하전류와 자 귀선전류 및 타 귀선전류의 흐름은 그림 1과 같다.
그림. 1. 부하전류와 귀선전류의 흐름도
Fig. 1. The flow of load current and return current on adjacent line
$\begin{aligned}
여기서 \enspace & \\
& I_{55MB}\text{는 MTr 2차측 권선전류/55[kV],} \\
& I_{L}\text{는 부하전류/27.5[kV],}\\
& I_{AT 1}\text{는 하선의 자 귀선전류/27.5[kV],}\\
& I_{AT 2}\text{는 F2상선 타 귀선전류/27.5[kV],} \\
& I_{F 1AF}\text{는 하선 AF전류/55[kV],}\\
& I_{F 1TF}\text{는 하선 TF전류/55[kV],}\\
& I_{F 2AF}\text{는 상선 AF전류/55[kV],}\\
& I_{F 2TF}\text{는 상선 TF전류/55[kV]}
\end{aligned}$
2.2 일반선 복선 구분소 타이(Tie) 급전계통 타 귀선전류
그림 2와 같은 복선 급전계통에서 A-SS의 하선에서 SP 타이(Tie)차단기가 개방되어 상·하선 분리급전 상태에서 지락사고가 발생하여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5,946[A]의 사고전류와 4,780[A]의 귀선전류, 1,166[A]의 타 귀선전류가 계측되었다. 따라서 타 귀선율은 19.61%이다.
이때 복선 전차선로의 사고전류와 타 귀선전류의 흐름은 그림 2와 같다.
그림. 2. 상하선 분리급전 시 사고전류의 흐름
Fig. 2. The flow of fault current when the upper and lower line feeding system are
separated
SP 타이(Tie)차단기 개방 및 투입 시의 사고전류 분포 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일반선 복선전차선로의 실제사고 시 타 귀선율
Table 1. Return current ratio on adjacent line in case of fault at general double
catenary
구 분
|
사고선로(A-SS_F1)
|
타 귀선전류
|
전차선
전압
Ucat[V]
|
사고
전류
Ig[A]
|
전차선
ITF
[A]
|
자귀선
전류
IRB[A]
|
자
귀선율
(%)
|
타
귀선율
(%)
|
전류합
IADJ
(A)
|
SP_Tie
개방 시
|
17,646
|
5,946
|
3,556
|
4,780
|
80.4
|
19.6
|
1,166
|
SP_Tie
투입 시
|
16,417
|
6,946
|
4,492
|
4,908
|
70.7
|
29.3
|
2,038
|
2.3 타 귀선전류로부터 급전계통 단권변압기 보호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AT급전계통에서 타 귀선전류의 영향을 배제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과도한 타 귀선전류로부터 AT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림 3과 같이 상·하선 각각의 사고(부하)전류로부터 급전계통을 보호하는 계전기(P.Ry-F1, P.Ry-F2)와 타 귀선전류로부터 AT를 보호할 과전류
계전기(OCR : Overcurrent Relay)를 설치한다.(2) 즉 AT 1차측 전류, 즉 TF와 AF에 흐르는 각각의 전류를 계측하여 AT에 가해진 전기적·기계적 충격을 확인하고 과도한 타 귀선전류가 발생하는
지락사고 시에 차단기를 트립시켜 AT를 보호한다.
OCR은 한시요소(51)와 순시요소(50)를 설정하여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한다. 한시요소는 일반적인 타 귀선전류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순시요소는
과도한 타 귀선전류가 흐를 때 AT를 보호하기 위한 차단기 트립용으로 사용한다. 즉 한시요소는 과전류 정정의 픽업전류를 설정하고 트립 요소는 설정하지
않는다. 반면에 순시요소는 픽업전류와 트립 전류를 모두 설정한다.
그림. 3. 타 귀선전류에 대한 과전류 계전기 결선
Fig. 3. The connection of overcurrent relay on return current on adjacent line (1)
2.3.1 타 귀선전류에 의한 OCR 동작원리
전차선로의 지락사고 발생 시 사고 전차선로(F1)의 보호계전기는 CT의 교차결선에 의해 사고전류를 정확히 인식하여 급전차단기를 트립시켜 AT와 급전계통을
보호한다. 그러나 동시에 정상부하(F2)의 보호계전기는 타 귀선전류가 흐르게 되지만 CT의 교차결선으로 사고전류를 상쇄시키므로 급전차단기를 트립시키지
못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과전류 계전기를 급전보호용 계전기와 직렬로 연결하여 타 귀선전류를 계측하여 필요시 급전차단기를 트립시켜 정상적인 전차선로의
AT를 보호한다.
과전류계전기를 그림 3과 같이 TF_CT 2차를 보호계전기의 CT_ITF와 OCR의 I1과 직렬로 연결하고 AF_CT 2차를 보호계전기의 CT_IAF와 OCR의 I2를
직렬로 연결한다.
사고 전차선로의 보호계전기는 임피던스 계전기(21)와 순시 과전류계전기(50)가 동작하여 차단기를 트립시켜 사고선로와 AT를 보호한다. 이때 정상
전차선로의 보호계전기는 타 귀선에 의한 부하전류를 “0”에 가까운 값으로 인식하여 동작하지 않지만 과전류 계전기는 방향에 무관하게 동작하기 때문에
I1, I2가 각각 AT 1차 측의 TF전류와 AF전류를 계측한다. 그 결과 정상 전차선로의 보호계전기(P.Ry-F2)는 동작하지 않지만 타 귀선전류보호용
과전류계전기가 AT1차 측(55[kV])에 흐르는 전류를 인식하여 과전류 보호요소(51, 50)를 동작시켜 타 귀선전류를 기록하고 과도한 타 귀선전류에는
급전용 차단기를 트립시켜 건전상의 AT를 보호한다.
표 2. 지락사고 시 보호계전기의 요소와 기능
Table 2. The element and functions of protective relay in case of ground fault
구 분
|
급전보호계전기
트립요소(21, 50)
|
타귀선 보호계전기
보호요소(50, 51)
|
지락사고
부하
|
동작
급전차단기 트립
|
*급전보호계전기 후비보호기능
*사고전류 픽업→트립
|
정상 부하
|
부(不)동작
급전차단기 트립 안됨
|
*타 귀선전류→픽업(51)
*과도한 타 귀선전류→트립(50)
|
$\begin{aligned}
여기서 \enspace & \\
& \text{21 : 임피던스 보호계전기(거리계전기),} \\
& \text{50 : 순시 과전류 보호계전기,}\\
& \text{51 : 한시 과전류 보호계전기}
\end{aligned}$
2.3.2 OCR 정정
타 귀선전류 보호용 OCR의 한시요소는 AT정격전류의 4배(4In)에서 정한시 0.1초로 정정하고 순시요소는 AT정격전류의 7배(7In)에서 정한시
0.1초로 정정한다(2).
(1) OCR 한시요소(51)의 정정기준
전철변전소 급전반의 OCR 한시요소(51) 정정 시 MTR 정격전류(IMMn:M상 정격전류, IMTn:T상 정격전류)의 150%를 기준으로 한다.
이를 AT정격전류와 비교해 보면 아래와 같다.
스코트변압기(각각 20MVA) M상 또는 T상의 정격전류을 계산하면
$I_{MMn}=\dfrac{20000}{55}=363.6[A], \enspace I_{MTn}=\dfrac{20000}{55}=363.6[A]$
급전반 OCR의 한시요소($51_{IFEED}$)는
$51I_{FEED}=363.3\times 1.5=545[A]$
이고 이를 AT의 정격전류(IATn)와 비교해 보면
$I_{ATn}=\dfrac{7500}{55}=136[A], \enspace 4I_{ATn}=4\times 136=544[A]$
여기서,
$51I_{FEED}=545[A]$는 $4I_{ATn}=544[A]$와 비슷한 값이 된다.
그러므로 타 귀선전류 보호용 OCR의 한시요소는 AT정격전류의 4배로 정정한다.
(2) OCR 순시요소(50)의 정정기준
변전소 타 귀선전류 보호용 OCR 순시요소(50)는 AT의 단락강도(7.5In)를 고려하여 그보다 작은 AT정격전류의 7배(7In)로 정정한다.
(3) OCR 정정 예
전철변전소의 AT용량은 10[MVA]와 7.5[MVA]로 대별된다. 따라서 AT용량 10[MVA], 7.5[MVA]에 대한 각각의 정격전류는 182[A],
136[A]가 된다.
7.5[MVA] AT인 경우 OCR 한시(51)와 순시(50)의 정정 값은 CT비가 800/5A 이므로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begin{aligned}
& 51I_{7.5MVA}=136\times 4=544[A]\\
& 51TAP_{7.5MVA}=\dfrac{544}{CT 1차}I_{N}=\dfrac{544}{800}I_{N}=0.68I_{N}\\
& 50I_{7.5MVA}=136\times 7=952[A]\\
& 50TAP_{7.5MVA}=\dfrac{952}{CT 1차}I_{N}=\dfrac{952}{800}I_{N}=1.19I_{N}
\end{aligned}$
그리고 10[MVA] AT인 경우는 OCR 한시(51)와 순시(50)의 정정 값은 CT비가 1200/5A 이므로 다음과 같다.
$\begin{aligned}
& 51I_{10MVA}=182\times 4=728[A]\\
& 51TAP_{10MVA}=\dfrac{728}{CT 1차}I_{N}=\dfrac{728}{1200}I_{N}=0.67I_{N}\\
& 50I_{10MVA}=182\times 7=1,\:274[A]\\
& 50TAP_{10MVA}=\dfrac{1274}{CT 1차}I_{N}=\dfrac{1274}{1200}I_{N}=1.06I_{N}
\end{aligned}$
표 3. 타 귀선보호용 OCR 정정표
Table 3. The OCR correction to protection return current on adjacent line
용량
|
51TAP**MVA
한시(51) Pickup
|
51TAP**MVA
순시(50) 트립
|
TAP
|
LEVER
|
TAP
|
LEVER
|
7.5
[MVA]
|
0.68*In
|
Definite 0.1sec
|
1.19*In
|
Definite 0.1sec
|
10
[MVA]
|
0.67*In
|
Definite 0.1sec
|
1.06*In
|
Definite 0.1sec
|
2.3.3 타 귀선전류 검증
(1)한시요소(51) 동작의 예
표 1에서 상선의 타 귀선전류(IADJ)는 1,166[A]이다. 이를 AT의 1차 전류($I_{ATPri}$)로 환산하면
$I_{AT Pri}=\dfrac{I_{ADJ}}{2}=\dfrac{1,\:166}{2}=583[A]$ 이고,
$51I_{7.5MVA}=0.68I_{N}=544[A]$ 이므로
그림 4에서 타 귀선전류(585[A])가 51 정정값(544[A])보다 크므로 계전기가 동작해 타 귀선전류를 기록하므로 AT에 가해진 전기적 충격을 확인할
수 있다. 즉 51기능이 동작했으므로 차단기는 트립 되지 않고 급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림. 4. 타 귀선전류 검증시험 결과
Fig. 4. The result of verification test for return current on adjacent line
(2) 순시요소(50)의 동작 예
표 1에서 타 귀선전류(IADJ)는 2,038[A]이다. 이를 AT의 1차 전류($I_{ATPri}$)로 환산하면 $I_{AT Pri}=\dfrac{I_{ADJ}}{2}=\dfrac{2,\:038}{2}=1,\:019[A]$
이고, $50I_{7.5MVA}=1.19I_{N}=952[A]$ 이므로 타 귀선전류($I_{ATPri}$ =1,019[A])가 순시요소(50) 정정값(952[A])보다
크므로 계전기가 동작해 타 귀선전류를 기록하고 동시에 차단기를 트립시킴으로 AT를 보호하고 가해진 전기적 충격을 확인할 수 있다. 즉 50기능이 동작했으므로
차단기는 트립 되고 단전상태를 유지한다.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복선전기철도 AT급전계통에서 지락사고 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타 귀선전류의 영향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보호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고전류 분석을 통해 얻어진 타 귀선전류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류의 방향성과 무관하게 동작하는 과전류 계전기를 급전보호계전기와 직렬로
연결하여 타 귀선전류를 계측하게 하였다. 사고 시 실측된 타 귀선전류를 계전기 테스터를 이용해 검증시험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AT의 정격전류를
감안한 과전류 계전기 정정 값에 의해 계전기에 타 귀선전류가 기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T정격전류의 4배 이상의 타 귀선전류에는 기록만 남기고 AT정격전류의
7배 이상의 타 귀선전류에는 건전상의 차단기도 차단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건전상의 AT에 귀선되는 사고전류의 크기를 확인하여 AT에 가해지는 충격을 확인함은 물론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급전계통의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한국전력공사의 2019년 선정 기초연구개발과제 연구비에 의해 지원되었음 (과제번호: R19XO01-48)
References
Dong-Ho Lee, 2017, A Study on the Protection of the AT Feeding System From Absorbed
Current on Adjacent Line in the Vehicle Base Catenary,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566-1567
Dong-Ho Lee, 2018, A Study on the Protection of the AT Feeding System Considering
Absorbed Current Adjacent Line, Master’s Thesis
Nam-Wook Baek, Sang-Jin Lee, 2007, RAILROAD DICTIONARY, Golden Bell
저자소개
1990년 명지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2018년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교통시스템공학과 졸업(석사)
현재 동 대학원 교통정책교통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1990년~1998년 ㈜광명전기 설계부.
2001년~현재 ㈜호크마테크 대표
2019년 광주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졸업
현재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교통시스템공학과 석사과정
1994년 원광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2018년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교통시스템 공학과 졸업(석사)
현재 동 대학원 교통정책교통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1994~현재 서울교통공사 근무
1994년 성균관대 전기공학과 졸업
2000년 2월 동 대학원 졸업(공박)
2000년∼2004년 현대모비스㈜ 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2006년∼현재 국토교통부 철도기술 전문 위원
2004년 3월∼2012년 2월 한국철도대학 철도차량전기과 2013년 3월∼현재 한국교통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
2002년 02월 중앙대학교 졸업(공박)
2006년 03월~2007년 02월 California at Riverside 대학교 박사 후 과정
2007년 10월~2008년 02월 LG Siltron 선임연구원
2008년 03월~2013년 08월 한국교통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2013년 09월~현재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