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Korea.)



Hosting Capacity, Economic Evaluation, B/C Ratio, Solar Photovoltaic Generator

1. 서 론

재생에너지 3020 정책과 더불어 전력계통에서 신재생 에너지의 보급용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국내 태양광 발전기의 보급용량은 2018년 약 8 GW에서 2020년 6월 기준 약 16 GW로 증가했으며, 2022년에는 약 29 GW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1,2). 계통 인프라가 부족한 상태에서 태양광 발전기의 대량 보급은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대기 물량을 야기하였다. 이러한 접속대기 물량을 해소하기 위해 분산전원 접속 기준을 개선하여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기준이 확대 되었다(3).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용량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기술과 설비가 투자되어야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계통의 접속 허용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술과 설비가 연구되었다(4,5). 참고문헌(5)에서는 스마트인버터의 전압-무효전력 제어방식으로 과전압을 억제함으로써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용량이 14 MW까지 증가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배전사업자의 관점에서 경제적으로 타당한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용량을 산정하기 위해 경제성 평가를 수행한다. 경제성 평가를 위한 시나리오는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용량이 기존의 10 MW에서 12 MW로 증가된 것과 추후의 용량이 증가할 것을 고려해 14 MW까지 증가한 것으로 선정한다. 경제성 평가 결과를 통하여 배전사업자의 관점에서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용량 증대를 위한 경제성 평가의 기반을 마련한다.

이후에는 경제성 평가 절차에 따라 배전사업자의 관점에서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용량 증대를 위한 경제성 평가와 불확실한 비용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민감도 분석을 진행한다.

2.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용량 증대를 위한 배전사업자 관점에서의 경제성 평가 절차

미국의 EPRI(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와 유럽의 JRC(Joint Research Center)에서 수행한 스마트그리드의 비용·편익분석에서는 시나리오 설정과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을 기반으로 분석을 수행한다. 투자목표를 이루기 위해 투입된 자산들의 성과지표를 평가하고, 이것을 경제적인 가치로 산출한 것을 편익으로 간주한다. 산출된 편익과 투자비용을 비교함으로써 경제적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EPRI와 JRC에서 수행한 스마트그리드 비용·편익 분석절차를 참고하여 Fig. 1과 같이 경제성 평가를 진행한다(6).

배전사업자의 관점에서 경제적으로 타당한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용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시나리오를 설정한다. 동일한 자산이라도 적용되는 계통에 따라 편익효과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 평가를 위한 계통의 조건을 설정한다. 경제성 평가절차에서 비용은 투자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투입된 자산으로 설정하고, 투자에 따른 성과를 정량화된 경제적 가치로 계산한 것을 편익으로 설정한다. 산출된 비용과 편익을 비용편익 비율(Benefit-Cost Ratio, B/C Ratio)방법을 통하여 경제성 평가 결과를 확인한다(7). 경제성 평가를 위해 미래의 상황을 가정하며, 이때 미래비용의 불확실성을 보완하기 위해 민감도 분석을 시행한다.

그림 1 경제성 평가절차

Fig. 1 The economic evaluation process

../../Resources/kiee/KIEE.2020.69.11.1675/fig1.png

3.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용량 증대를 위한 배전사업자 관점에서의 경제성 평가

경제성 평가를 진행할 시나리오는 배전사업자가 추가설비를 투입하여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기준 용량을 12 MW와 14 MW까지 확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용량 증대를 위한 비용은 스마트인버터의 투자로 가정한다.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용량이 초과된 상태에서 신규 태양광 발전기의 접속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변전소로부터 신설선로의 건설이 필요하다. 설비의 투자로 기존 선로에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용량이 증대된다면 신설선로 건설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시나리오의 편익은 회피된 신설선로 건설을 위한 비용으로 가정한다.

3.1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용량 증대를 위한 편익 및 비용 정량화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용량 증대를 위한 비용과 편익을 정량화하기 위해 공통으로 사용되는 항목은 할인율과 경제성 평가기간이다. 실질할인율은 참고문헌(8)에 따라 4.5%로 가정하고, 물가상승률은 참고문헌(9)의 2019년 기준 0%를 가정한다. 따라서 실질할인율과 물가상승률을 고려하여 경제성 평가에 사용되는 할인율은 4.5%를 가정한다. 경제성 평가기간은 태양광 발전기의 평균 수명을 고려하여 25년으로 가정한다(10).

선정된 시나리오의 편익은 회피된 신설선로의 비용이다. 신설선로의 비용 구성은 건설비용과 배전설비의 교체비용, 경제성 평가 기간 동안의 운영유지비용으로 구성됨을 가정한다. 신설선로의 km당 단가를 구하기 위하여 설비들의 km당 설치대수를 구한다. km 당 설치대수는 전주의 경우 표준경간을 50 m, 수동개폐기와 자동개폐기는 각각 0.5 km/대, 1 km/대로 가정한다(11,12). 차단기, 리클로저, RTU(Remote Terminal Unit)는 가상 배전계통 조건에 따라 km당 설치대수로 산출한다. 배전설비의 km당 설치대수에 배전설비의 단가를 적용하여 km당 가상 배전계통의 신설선로 건설비 단가를 구한다. 신설선로의 운영 중 배전설비의 교체비용을 구하기 위하여 경제성 평가 기간 동안 배전설비의 수명을 고려한다. 보호기기와 통신기기인 자동·수동개폐기, RTU, 차단기, 리클로저의 수명을 15년으로 가정한다. 단가상승률을 고려하여 교체되는 설비들의 km당 배전설비 교체비용을 구한다. 신설선로의 연간 운영유지비용을 산정하기 위하여 참고문헌(13,14)의 2018년 기준 유지보수 예산 집행실적으로 사용된 14,418억원과 2018년 배전선로 길이 493,331 km를 통하여 km당 신설선로의 연간 운영유지비용을 구한다. Table 1은 배전선로의 설비 목록이며, Table 2는 신설선로 비용을 구성하는 항목들의 km당 단가이다.

표 1 배전선로의 설비목록

Table 1 The list of facilities for distribution lines

설비 목록

세분류

건주공사

일반용(16 m)

전선공사

ACSR 95mm2

ACSR 160mm2

자동, 수동개폐기

가스절연

차단기

폴리머절연

리클로저

폴리머절연

RTU

2코어모뎀

배전지능화용 광케이블

가공

표 2 신설선로 비용구성의 km당 단가

Table 2 Unit price per km for the cost factors of distribution lines

항목

비용 단가(천원/km)

건설비용

162,317

배전설비 교체비용

76,852

연간 배전선로 유지비용

2,923

신설선로의 건설비용을 구하기 위하여 길이가 24 km인 신설선로의 건설을 가정한다. 현재가치화 한 신설선로의 총 비용을 산출하기 위하여 수식 (1)을 제시한다.

(1)
\begin{align*} \cos T_{N,\: L i n e}=Construction_{t=-B}\times km\times(1+i)^{B}\\ +\sum_{t=1}^{N^{'}}\dfrac{RE_{k\times t,\: L i n e equipment}\times km}{(1+i)^{k\times t}}\\ +\sum_{t=1}^{N}\dfrac{OM_{t,\: L i n e}\times km}{(1+i)^{t}} \end{align*}

여기서, $N$은 경제성 평가 기간(년), $\cos T_{N ,\: L i n e}$은 $N$년 동안의 신설선로의 총 비용(원), B는 배전선로의 공사기간(년), $Construction_{t=-B}$는 선로의 건설비용 단가(원/km), $km$는 선로의 길이, $i$는 할인율, $k$는 배전설비의 수명주기, $RE_{k\times t,\: L i n e eqipment}$는 $k\times t$시점의 설비의 교체비용 단가(원/km), $N^{'}=QUOTIENT(N,\:k)$, $OM_{t,\: L i n e}$는 $t$시점의 신설선로의 운영유지비용 단가(원/km)를 의미한다. (단, $QUOTIENT(N,\:k)$는 $\dfrac{N}{k}$의 몫을 반환한다.)

경제성 평가 기간은 25년, 배전선로의 공사기간은 참고문헌(15)에 따라 1년, 할인율은 4.5%, 선로의 길이는 24 km와 신설선로 구성항목의 비용 단가를 수식 (1)에 적용하여 현재가치화 된 신설선로의 총 비용을 계산한다. 현재가치화 된 신설선로의 총 비용은 Table 3에 제시한다.

표 3 현재가치화 된 신설선로 총 비용

Table 3 The total cost of distribution line that calculated in present value

선로의 투자비용 목록

비용(천원)

현재가치화 된 건설비용

4,071,872

현재가치화 된 15년 시점

배전설비 교체비용

456,752

현재가치화 된 경제성 평가 기간의 총 운영유지비용

1,040,080

현재가치화 된 신설선로의 총 비용

5,568,703

시나리오의 비용은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용량을 10 MW에서 12 MW와 14 MW까지 확대하기 위한 추가 설비의 비용이다. 분산전원의 경우 과전압의 문제로 수용 가능한 분산전원의 계통 한계 접속 용량이 존재한다(5).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용량 증대를 위해 적용되는 설비는 전압-무효전력 제어(Volt-Var Curve, VVC)로 전압제어가 가능한 스마트인버터를 가정한다(5,16,17). 계통 접속 허용용량이 12 MW와 14 MW까지 확대될 경우 스마트인버터가 설치된 태양광 발전기의 대수는 수식 (2)를 통하여 구한다(5).

(2)
$VVC-peneration[\%]=\dfrac{N_{vvc-pv}}{N_{pv}}\times 100$

여기서, $VVC-peneration$은 스마트인버터 탑재율, $N_{vvc-pv}$는 스마트인버터가 설치된 태양광 발전기의 수, $N_{pv}$는 태양광 발전기의 수를 의미한다.

계통 접속 허용용량이 12 MW, 14 MW인 경우 태양광 발전기의 수를 구하기 위하여 참고문헌(1)의 2018년 신재생 에너지 보급용량 조사를 참고한다. 계통 접속 허용용량이 12 MW, 14 MW인 경우 약 10%, 17%의 스마트인버터 탑재율을 통하여 스마트인버터가 설치된 태양광 발전기의 수를 구한다(5). Table 4는 계통 접속 허용용량이 12 MW와 14 MW로 확대 될 경우 태양광 발전기의 용량별 $N_{vvc-pv}$와 $N_{pv}$이다.

태양광 발전기의 용량과 동일한 스마트인버터의 설치로 가정하여 경제성 평가를 진행한다. 인버터의 단가는 학습현상이 존재하여 누적생산량이 증가 할수록 원가가 감소하지만, 2017년부터는 인버터의 가격수렴성이 나타난다(18,19). 따라서 스마트인버터의 가격동향은 인버터와 동일하다 가정하여 스마트인버터의 신규설치 시 원가하락은 고려하지 않는다. 스마트인버터의 투자비용은 설치비용, 폐기비용, 유지비용으로 가정한다. 수식 (3)은 스마트인버터의 총 비용 산출방법이다.

표 4 계통 접속 허용용량에 따른 태양광 발전기의 용량별 $N_{vvc-pv}$와 $N_{pv}$

Table 4 $N_{vvc-pv}$ and $N_{pv}$ for each solar PV generator capacity range according to the hosting capacity [단위: 대]

태양광 발전기의 용량 범위(kW)

계통 접속 허용용량

12MW

14MW

용량

범위 별 $N_{pv}$

용량

범위 별 $N_{vvc-pv}$

용량

범위 별 $N_{pv}$

용량

범위 별 $N_{vvc-pv}$

1

20

0

23

0

1~3

193

1

225

3

3~10

9

0

11

0

10~50

16

2

18

4

50~100

45

11

53

22

100~500

7

8

8

15

500~1000

3

7

4

14

293

29

342

58

(3)
\begin{align*} \cos T_{N,\:\in verter}=\sum_{t=0}^{N^{'}}\dfrac{\in STALL_{y\times t,\:\in verter}}{(1+i)^{y\times t}}\\ +\sum_{t=1}^{N^{'}}\dfrac{DISPOSAL_{y\times t,\:\in verter}}{(1+i)^{y\times t}}\\ +\sum_{t=1}^{N}\dfrac{OM_{t,\:\in verter}}{(1+i)^{t}} \end{align*}

여기서, $N$은 경제성 평가 기간(년), $\cos T_{N,\:\in verter}$는 $N$년 동안의 스마트인버터의 총 비용, $y$는 스마트인버터의 수명, $i$는 할인율, $N^{'}=QUOTIENT(N,\:y)$, $\in STALL_{y\times t,\:\in verter}$는 $y\times t$ 시점의 스마트인버터의 설치비용, $DISPOSAL_{y\times t,\:\in verter}$는 $y\times t$시점의 스마트인버터 폐기비용, $OM_{t,\:\in verter}$는 $t$시점의 스마트인버터 유지비용이다. (단, $QUOTIENT(N,\:y)$는 $\dfrac{N}{y}$의 몫을 반환한다.)

스마트인버터의 폐기비용은 참고문헌(20)의 기준에 따라 설치비의 50%, 스마트인버터의 연간 운영 유지비용은 설치비용의 2% 스마트인버터의 수명은 7년으로 가정하여 수식 (3)에 적용한다. Table 5는 수식 (3)을 통하여 구한 계통 접속 허용용량 별 스마트인버터의 비용과 Table 3의 편익을 적용한 비용편익 비율이다.

계통 접속 허용용량이 증가할 경우 편익효과로 정의된 회피한 신설선로의 투자비용은 선로의 길이에만 영향을 받게 되어 동일한 선로의 편익효과는 계통 접속 허용용량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발생된다. 계통 접속 허용용량이 14 MW인 경우 수식 (2)를 통하여 구한 스마트인버터를 설치한 태양광 발전기의 수가 많아져 스마트인버터의 비용이 12 MW보다 많게 작용하여 비용편익 비율이 더 작게 나온 것을 알 수 있다. 10 MW에서 증가한 현재 계통 접속 허용용량인 12 MW 경우 배전사업자의 관점에서 비용편익 비율이 1보다 커 경제성이 있지만, 추후 연계용량 증가를 고려한 14 MW인 경우 비용편익 비율이 1보다 작아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계통 접속 허용용량별 스마트인버터의 비용과 비용편익 비율

Table 5 The cost of Smart inverter and B/C Ratio according to the hosting capacity

계통 접속 허용용량

12MW

14MW

스마트인버터의

초기 설치비용(t=0~7)

11.38억원

22.59억원

스마트인버터의

첫 번째 교체비용(t=7~14)

12.10억원

24.02억원

스마트인버터의

두 번째 교체비용(t=14~21)

5.55억원

11.02억원

스마트인버터의

세 번째 교체비용(t=21~25)

3.13억원

6.21억원

스마트인버터의 총 비용

32.18억원

63.85억원

신설선로 건설 회피 비용

55.68억원

비용편익 비율

1.730

0.872

3.2 민감도 분석

경제성 평가는 미래의 값을 추정하여 진행되기 때문에 미래비용의 불확실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민감도 분석을 시행한다. 민감도 분석을 진행할 사항은 Table 6에 제시한다.

표 6 민감도 분석 사항

Table 6 The sensitivity analysis factors

민감도 분석 사항

세부 가정사항

스마트인버터의

폐기비용 변화

설치비용의 50%, 40%, 30% 가정

배전선로의 연간 운영유지비용 단가의 변화

2,305 천원/km, 2,923 천원/km,

3,868 천원/km

배전선로의 길이 변화

5km, 15km, 24km, 30km

참고문헌(18)에 제시된 다른 배전설비의 폐기비용의 변동성이 30%부터 50%까지 존재하기 때문에 스마트인버터의 폐기비용을 설치비용 대비 50%, 40%, 30%로 가정하여 경제성 평가를 진행한다. 스마트인버터의 폐기비용 변화에 따른 계통 접속 허용용량별 총 비용과 Table 3의 편익 결과를 적용한 비용편익 비율은 Table 7에 제시한다.

표 7 스마트인버터의 폐기비용변화에 따른 계통 접속 허용용량 별 총 비용과 비용편익 비율

Table 7 Total cost and B/C Ratio for each hosting capacity according to changes in disposal cost of smart inverter

계통 접속 허용용량

12MW

14MW

설치비용대비 폐기비용 비율

설치비용대비 폐기비용 비율

30%

40%

50%

30%

40%

50%

스마트인버터의 초기 설치비용(t=0~7)

11.3억원

11.3억원

11.3억원

22.5억원

22.5억원

22.5억원

스마트인버터의 첫 번째 교체비용(t=7~14)

10.6억원

11.3억원

12.1억원

21.0억원

22.5억원

24.0억원

스마트인버터의 두 번째 교체비용(t=14~21)

5.0억원

5.2억원

5.5억원

9.9억원

10.4억원

11.0억원

스마트인버터의 세 번째 교체비용(t=21~25)

2.9억원

3.0억원

3.1억원

5.8억원

6.0억원

6.2억원

스마트인버터 총 비용

29.9억원

31.0억원

32.1억원

59.4억원

61.6억원

63.8억원

신설선로 건설 회피 비용

55.6억원

비용편익 비율

1.859

1.792

1.730

0.936

0.903

0.872

설치비용 대비 폐기비용에 관계없이 스마트인버터의 첫 번째 설치기간에 발생하는 비용은 폐기비용을 포함하지 않아 계통 접속 허용용량 별로 동일하게 적용된 것을 알 수 있다. 계통 접속 허용용량이 14 MW인 경우 설치비용 대비 폐기비용이 30%가 되어도 비용편익 비율이 1보다 작아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13,14)에서 발표한 2014, 2017, 2018년 기준 유지보수 예산 집행실적과 2014, 2017, 2018년 배전선로 길이를 비교하여 배전선로의 연간 운영유지비의 단가가 2,305 천원/km, 2,923 천원/km 3,868 천원/km일 경우 경제성 평가를 수행한다. 배전선로의 연간 운영유지비용 비용단가 변화에 따른 편익과 Table 5의 스마트인버터의 총 비용을 적용하여 구한 비용편익 비율은 Table 8에 제시한다.

계통 접속 허용용량이 14 MW인 경우 선로의 연간 운영유지비용 단가에 상관없이 비용편익 비율이 1보다 작아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8 배전선로 운영유지비용 변화에 따른 계통 접속 허용용량 별 총 편익과 비용편익 비율

Table 8 Total benefit and B/C Ratio for each hosting capacity according to changes the annual operating and maintenance cost ratio of distribution lines

배전선로의 연간 운영유지 비용 단가(천원/km)

2,305

2,932

3,868

총 편익(천원)

총 비용(천원)

5,348,956

5,568,703

5,905,289

계통 접속 허용용량

12MW

3,218,207

1.662

1.730

1.834

14MW

6,385,889

0.837

0.872

0.924

표 9 배전선로 길이 변화에 따른 계통 접속 허용용량 별 총 편익과 비용편익 비율

Table 9 Total benefit and B/C Ratio for each hosting capacity according to changes the length of distribution line

신설선로 길이

5 km

15 km

24 km

30 km

총 편익(천원)

총 비용(천원)

1,197,693

3,498,225

5,568,703

6,949,022

계통 접속 허용용량

12 MW

3,218,207

0.372

1.087

1.730

2.159

14 MW

6,385,889

0.187

0.547

0.872

1.088

또한 배전 선로의 연간 운영유지 비용 단가에 따른 비용편익 비율의 변화가 작은 것을 통하여 연간 운영유지 비용 단가가 민감도가 낮은 경제성 평가 항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신설배전선로의 비용은 거리에 따라 종속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회피된 신설배전선로의 길이변화에 따른 편익을 구한다. 가상 배전선로의 길이에 따른 총 편익과 Table 5의 스마트인버터의 총 비용을 적용하여 구한 비용편익 비율은 Table 9에 제시한다. 계통 접속 허용용량이 12 MW인 경우 15 km 이상의 선로에서 비용편익 비율이 1보다 커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통 접속 허용용량이 14 MW인 경우 30 km 이상의 선로에서 비용편익 비율이 1보다 커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감도 분석 결과, 배전사업자의 관점에서 경제적으로 타당한 투자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계통 접속 허용용량이 12 MW와 14 MW인 경우 선로의 길이가 최소 15 km, 30 km 이상의 지역을 고려하여야하고, 그 다음으로는 스마트인버터의 폐기비용이 경제성 평가 결과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결 론

배전사업자의 관점에서 경제적으로 타당한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용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나리오는 태양광 발전기의 기존 계통 접속 허용용량이 10 MW에서 12 MW로 증가 된 것과 향후 용량이 증가할 것을 고려하여 14 MW로 증가한 것을 선정하였다.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용량 증대 시 배전사업자 관점에서의 편익요소는 태양광 발전기 계통 접속 허용용량 증대로 인하여 회피된 신설선로의 비용, 비용요소는 태양광 발전기 접속 허용용량 증대를 위한 설비의 비용으로 가정하였다. 설비는 전압-무효전력 제어를 통하여 과전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인버터로 가정하였다. 또한 미래비용의 불확실성을 평가하기 위해 스마트인버터의 폐기비용과 배전선로의 운영유지비용, 배전선로의 길이를 민감도 분석의 사항으로 결정하였다. 경제성 평가 결과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용량이 12 MW일 경우 대부분의 민감도 결과에서 경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선로의 길이가 15 km미만 일 경우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용량이 14 MW로 증가 될 경우 대부분의 민감도 분석 결과에서 경제성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선로의 길이가 30 km 이상인 경우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14 MW로 계통 접속 허용용량이 증대될 경우 배전사업자는 경제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배전선로의 길이가 긴 지역부터 사업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인버터 외에도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설비 등을 연구하여 다양한 투자조건을 고려한다면 합리적인 계통 접속 허용용량 증대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Grant number: R18XA04).

References

1 
Korea energy corporation, Statistical data, https://www.knrec.or.kr/pds/statistics.aspx (Accessed 09 Aug. 2020)Google Search
2 
Electric newspaper, Load forecasting and operational difficulties due to unmetered solar energy, http://m.electimes.com/article.php?aid=1594879553202000002, (Accessed 07 Aug. 2020)Google Search
3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 news / an explanantion, https://www.motie.go.kr/motie/ne/presse/press2/bbs/bbsView.do?bbs_seq_n=162706&bbs_cd_n=81. (Accessed 09 Aug. 2020)Google Search
4 
Y. Kim, H. Myung, N. Kang, C. Lee, M. Kim, S. Kim, 2018, Operation plan of ESS for increase of acceptable product of renweable energy to power system, The transactio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egineers, Vol. 67, No. 11, pp. 1401-1407DOI
5 
H. Lee, K. Yoon, J. Shin, J. Kim, S. Yun, 2020, A study on volt-var curve of smart inverter to improve hosting capacity, The transactio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egineers, Vol. 69, No. 9, pp. 1312-1317Google Search
6 
D. Go, W. Back, 2014, Domestic and foreign smart grid economic analysis methodologies and implications,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Google Search
7 
G. Kim, 2016, Engineering economics, KM Kyung Moon Sa, 2nd, pp. 481-492Google Search
8 
2018, Korea Development Institute, A Study on the Modification and Complementation of General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of Public Enterprises and Quasi-Government AgenciesGoogle Search
9 
E-country indicator, producer price index,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61 (Accessed 17 Oct. 2020)Google Search
10 
2018, 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Agency, Renewable Power Generation CostsGoogle Search
11 
Mar. 2000,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Power distribution working relationshipGoogle Search
12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Switchgear and breaker and related materialsGoogle Search
13 
Electric power statistics information system, Power distribution facility, http://epsis.kpx.or.kr. (Accessed 09 Aug. 2020)Google Search
14 
Green post korea, The forest fires are caused by the absence of nuclear power plants, http://www.greenpos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388(Accessed 09 Aug. 2020)Google Search
15 
Jul. 2019, Korea development bank,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of solar and wind power generation industry in koreaGoogle Search
16 
S. Mohan, S. Hasan, Y. Gebremariam, R. K. Varma, Jul 2019, Increasing hosting capacity of PV solar systems using smart Inverter volt-var control, 2018 20th National power systems conference (NPSC)DOI
17 
Dec. 2016,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Common functions for smart Inverters 4th EditionGoogle Search
18 
S. Hwang, H. Kim, J. Won, Nov 2005, Estimation of equipment’s cost of new & renewable energy based on learning curve,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65-167Google Search
19 
May. 2018,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Q4 2017/Q1 2018 solar industry updateGoogle Search
20 
May. 2018, Korea Electro technical Association, standard item calculation, http://sec.kea.kr/front/estimate/selectEstimateTextPage.do#none(Accessed 17 Oct. 2020)Google Search

저자소개

Su-Hwa Woo
../../Resources/kiee/KIEE.2020.69.11.1675/au1.png

She received her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20.

Currently, she is pursuing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 shiningpon@naver.com

Bo-Sung Kwon
../../Resources/kiee/KIEE.2020.69.11.1675/au2.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eonan, Korea, in 2018.

Currently, he is pursuing Ph.D. degree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 bosung1994@naver.com

Dong-Jin Bae
../../Resources/kiee/KIEE.2020.69.11.1675/au3.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20.

Currently, he is pursuing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 ehdwls7191@naver.com

Chan-Ho Moon
../../Resources/kiee/KIEE.2020.69.11.1675/au4.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20.

Currently, he is pursuing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 mch9293@naver.com

Kyung-Bin Song
../../Resources/kiee/KIEE.2020.69.11.1675/au5.png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Yonsei University, Korea, in 1986 and 1988, respectively.

He received his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exas A&M University, College Station, Texas in 1995.

He is currently a full Professor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load forecasting, load modeling, power system operation and power system economics.

E-mail : kbsong@ss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