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희
(Kyeong-Hee Cho)
1iD
김응상
(Eung-Sang Kim)
2iD
이동규
(Dong-Kyu Lee)
2iD
이문수
(Munsu Lee)
2iD
박준호
(June Ho Park)
†iD
-
(Dep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
(Digital Energy System Research Center,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outh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PV Measuring Data Analysis, PV Fault Diagnosis, PV O&M Program, PV Field Test
1. 서 론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가운데, 재생에너지 보급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전 세계 발전설비
중 재생에너지의 누적 비중은 33%로 증가하였고, 원별 비중은 태양광, 풍력, 수력, 바이오 순으로 태양광이 100GW로 재생에너지 중 55%를 차지하고
있다(1). 국내의 경우, 재생에너지3020 이행계획에 따르면, 2030년 까지 발전 설비용량을 63.8GW 까지 확대하여, 발전량의 20%를 재생에너지로
공급할 예정이다(2). 또한, 제 3차 에너지기본계획에 따르면, 204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최대 35%까지 확대할 계획이며, 재생에너지 중 태양광의 공급 잠재량이
193GW로 가장 많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3). 이처럼 태양광발전설비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효과적인 운영,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현재 국내 설치된 PV의 누적 용량은 총 12GW이며 설치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지만, PV의 유지관리사업에 대한 시장에 관한 투자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즉, 고장진단 및 복구를 위한 유지관리 프로그램 개발과 추가 센서 설치는 경제성이 떨어져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지 않았다. 하지만 PV
평균수명을 약 20년으로 보았을 때, 수명연한에 이른 설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거나 이를 방치할 경우 수용률이 낮아지고
운영 수익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핵심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PV 고장진단에 관한 리뷰논문에 따르면, PV 노후화로 인한 발전기
효율저하에 대한 손실이 매우 크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4).
PV 고장 원인은 오랜 운영으로 인해 발전 출력이 감소되는 노후화, 기계적 결함에 의한 성능 저감, 화재로 인한 안전고장의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그 중 기계적 결함은 과전압, 저전류, 과전압, 저전압, 통신오류, IGBT오류, 과주파수, 저주파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고장이 발생할
경우, 인버터 자체의 보호 로직에 의하여 자동으로 전력을 차단하고 4분 뒤 재 기동하므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장진단을 하기는 고장데이터를 수집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인버터 자체에서 진단하지 못하는 고장을 분석하여, 이를 기술 및 경제적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고장진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기존 PV 유지관리 프로그램 개발 관련 연구로는 태양광발전설비의 점검지침을 모바일 앱 기반으로 개발한 연구(5), 데이터를 기반으로 태양광모듈 및 설비를 진단하는 프로그램을 구축한 연구가 있다(6). 또한, PV의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들이 있으나 통신방식이나 프로그램 개발에 중점을 두었으며[7~8], 신경 회로망을 이용하여 고장을
진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한 연구가 있으나 50W 용량의 실험실 규모의 테스트라는 한계가 있다(9). 최근에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PV 데이터 기반으로 성능을 분석하고 고장을 진단 및 예측하는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V의 계측데이터를 1년간 수집하고 고장데이터를 추출하여 고장패턴을 학습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고장을 진단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모니터링, 고장진단, 데이터 분석의 세 가지 기능으로 구성되었으며, 고장진단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고장 유형을
판단하는 기능을 탑재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실제 PV 12기, 총 436kW에 연계하여 1년간 운영한 결과화면을 제시하였다.
PV별 용량 및 효율은 표 1과 같다.
표 1 PV별 용량
Table 1 Capacity and inverter efficiency for each PV
PV#
|
용량[kW]
|
효율[%]
|
PV#
|
용량[kW]
|
효율[%]
|
PV1
|
60
|
92
|
PV7
|
24
|
90
|
PV2
|
38
|
90
|
PV8
|
16
|
90
|
PV3
|
29
|
90
|
PV9
|
36
|
90
|
PV4
|
41
|
90
|
PV10
|
51
|
92
|
PV5
|
31
|
90
|
PV11
|
46
|
90
|
PV6
|
31
|
90
|
PV12
|
33
|
90
|
그림 1 PV시스템의 구성 및 계측 항목
Fig. 1 Configuration and Measurement contents of PV system
2. PV 실 계측데이터 분석
PV는 태양에너지를 태양전지로 흡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며, 태양전지 모듈, 접속반, 인버터로 구성되어 있다. 보유하고 있는 태양광의
사양은 아래의 표와 같고 각 PV의 계측항목은 그림 1과 같으며 1초간격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2.1 PV 정상작동일 데이터 패턴
PV 계측항목에 따른 출력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정상작동일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측항목 전체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분석한 결과 발전량에 대한
계측항목별 PV고장에 영향을 주는 상관계수는 그림 2와 같다. PV 고장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항목은 접속반의 전류, 경사면일사량, 인버터 불꽃, 모듈온도가 있었다.
그림 2 발전전력에 대한 계측항목별 상관계수 결과
Fig. 2 Analysis results of correlation coefficient by measurement contents for power
generation
그림 3 1년간 태양광발전량 일간 그래프 누적 (a) PV10, (b) PV12
Fig. 3 Daily cumulative power graph for one year of (a) PV10 (b) PV12
또한 PV 10과 PV 12 그룹의 1년간 정상작동일 출력데이터를 겹쳐서 그리면 그림 3과 같으며, 대략적인 정상출력 패턴을 파악할 수 있었다.
2.2 PV 고장일 데이터 패턴
고장데이터 패턴 분석을 위하여 실제 PV에서 발생하는 고장종류에 따른 발생횟수를 그림 4와 같이 산정하였으며, 몇 가지 큰 고장에 대한 일간 그래프를 그림 5 ~ 7번으로 나타내었다.
그림 4 인버터의 고장종류별 고장 횟수
Fig. 4 Number of faults according to type of inverter fault
지난 1년간 인버터에서 발생한 고장횟수는 총 281회였고 각각의 고장종류에 대한 고장데이터 특징과 고장지속시간을 분석하였다. 전압, 전류, 주파수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인버터는 보호로직에 의해 바로 전원을 차단하기 때문에 데이터는 0kW로 계측된다. 따라서 고장종류를 판별하거나 예지하기 위한 실제
고장데이터를 얻기는 어려웠다. 또한 발생한 고장의 경중에 따라 대개는 4분 뒤에 복구되거나 다음날 복구가 되므로 특별한 복구방법이 없었고 큰 고장의
경우 A/S를 요청하였다.
그림 5 PV 10 과전류 고장 데이터
Fig. 5 Over-current fault data graph of PV 10
실증기간동안 고장지속시간이 가장 길었던 고장을 분석하였을 때 과전류에 의한 고장이 가장 많았다. 그림 5와 같이 PV 10의 과전류 고장 발생시 일간 1분 간격 그래프를 살펴보았을 때, 일사량이 급격하게 변동하면서 인버터가 꺼졌고 전압그래프가 상승하였다.
이 고장은 A/S가 늦어져 30일간 지속되었다.
그림 6번도 PV 12의 과전류 고장 발생시 일간 1분 간격 그래프이다. PV 12는 오전에 건물 사이의 음영에 의하여 일사량에 비해 출력이 낮게 나왔으며
갑자기 인버터가 종료되어 익일 재 기동되었다.
그림 6 PV 12 과전류 고장 데이터
Fig. 6 Over-current fault data graph of PV 12
그림 7은 PV 10의 고장 발생시 일간 1분 간격 그래프이며 PCS에서 발생한 고장신호는 없었다. 일사량이 없는 오후 4시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전압의 변화가
있었으며 결국 인버터가 종료되었다.
그림 7 PV 10 알람 없었던 고장 데이터
Fig. 7 Fault data without alarm of PV10
고장일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계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단할 수 있는 고장종류는 발전량이 0kW인 고장, 발전량 감소, 통신 고장, 센서 계측값
범위 초과의 네 가지 특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발전량이 0kW인 고장은 인버터가 보호기능에 의하여 전압, 전류, 전력, 주파수가 표준 범위를 벗어날 경우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한 경우이다. 다음으로
일사량대비 인버터 출력이 크게 줄어든 경우 스트링(채널)고장이나 효율 저하를 의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응답값이 없을 경우 통신오류로 진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기센서와 불꽃센서의 계측값이 화재 발생 상황을 테스트하여 얻는 계측값보다 클 경우 화재로 진단할 수 있다. 고장데이터 분석 결과를
표로 정리하면 표 2와 같다.
표 2 고장종류별 데이터 특징
Table 2 Characteristic of data according to fault type
고장 종류
|
데이터 특징
|
관련 계측항목
|
인버터
고장
|
일조시간에 인버터 전력이 0kW로 계측됨
|
인버터 전력
|
스트링
고장
|
스트링별 전력이 0kW로 계측되거나 일사량 대비 인버터 전력 급격하게 감소함
|
스트링 전력 또는 일사량, 인버터 전력
|
통신오류
|
통신응답이 Null인 경우
|
통신응답
|
화재
|
화재를 모의하여 테스트한 설정값을 넘는 경우
|
연기센서, 불꽃센서
|
2.3 PV 고장데이터 학습
기존에 발전량과 일사량의 선형 특성을 이용하여 스트링고장과 인버터고장을 각각 SVM(Support Vector Machine)기법을 이용하여 분류한
논문을 참고하여(10),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고장을 동시에 진단하며, 정상, 스트링고장, 인버터고장의 1시간 간격 데이터에 1 ~ 3으로 라벨링하고, 학습하여 두 개의
분류선을 산정하면 그림 8과 같다.
그림 8 정상, 인버터고장, 스트링고장 분류를 위한 Support vector산정 결과
Fig. 8 Support vector learning results for classification of normal, inverter fault
and string fault
3. PV 고장진단 프로그램
앞에서 설명한 PV 실 계측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PV 고장진단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프로그램은 닷넷(.net)을 사용하여 개발되었으며 프로그램의
구현된 기능들과 전체 구조도를 설명하고자 한다.
3.1 프로그램 구조
PV 고장진단 프로그램의 기능을 정리하면 그림 9와 같으며, 모니터링, 고장진단, 계측데이터 분석의 세 가지 기능으로 구현되었다.
그림 9 PV 유지관리 프로그램 기능
Fig. 9 Functions of PV fault diagnosis program
먼저 PV 계측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여, 입력된 데이터는 PV의 상시 모니터링, 고장진단, 데이터분석에 사용된다. 첫 번째, 모니터링 기능은 실시간
발전량과 고장여부를 표시하여 운영자가 발전기상태를 확인하고 고장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두 번째, 고장진단 기능에서는 과거 계측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장 데이터를 추출하고 기계학습기법으로 고장분류기를 생성하여 인버터 또는 스트링고장을 진단한다. 세 번째, 데이터분석 기능은 인버터 양단의 DC전력
대비 AC전력을 이용하여 인버터효율을 계산하고, 일사량 대비 발전량을 이용하여 가용용량을 계산하여 수명을 예측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프로그램의 각 기능별 화면 구조도를 그림 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10 프로그램 화면 구조도
Fig. 10 Program pages structure diagram
3.2 화면 기능 소개
프로그램을 설치한 뒤 로그인을 하면 아래의 그림 11과 같이 모니터링 화면을 조회할 수 있다. 상시 모니터링 화면은 각 발전기별 정격용량, 현재 발전량, 고장진단 결과를 한눈에 조회할 수 있어 운영자가
관제화면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그림 11 상시 모니터링 화면
Fig. 11 Real-time system overview page
또한 발전기별 세부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 운영데이터 조회화면 그림 12와 같이 구현하였다. 발전기 번호와 운영기간을 선택하여 계측값을 조회할 수 있다.
그림 12 계측데이터 조회 화면
Fig. 12 Measured PV data history page
또한, 고장이력 화면을 그림 13과 같이 구현하여 인버터에서 계측된 고장 신호와 2.3절에서 설명한 SVM을 이용한 스트링 고장에 대한 이력을 누적하여 기록하였다.
그림 13 고장 이력 화면
Fig. 13 Fault event history page
인버터에서 자체 로직에 의하여 통신오류, 과전류, 과전압, 과주파수, 저주파수, IGBT고장이 기록되었고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스트링고장, 화재, 통신오류가
기록된다.
인버터 효율 분석 화면은 그림 14와 같고 가로축은 운영일수, 세로축은 인버터 효율인 그래프로 구현하였다. 각 PV 그룹별로 선 색을 달리하여 동시에 비교할 수 있고 인버터효율은 인버터
AC측 전력에 DC측 전력을 나누어 백분율로 산정한다.
그림 14 운영일수별 인버터효율 분석 화면
Fig. 14 Inverter Efficiency Analysis page
3.3 프로그램 실증
개발된 프로그램의 실증을 위하여 실제 PV 12개 그룹, 총 용량 436kW를 연계하였으며, 실제 1년간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증 결과를 분석하여 그
효용성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림 15는 고장지속시간 계산결과 화면이며 선택한 기간 동안 발생한 PCS 출력이상 및 발전효율 관련 고장들을 종합하여 조회할 수 있다. 각 고장이벤트에 대한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기록하여 고장지속시간(MTTR, Mean Time to Repair)을 계산하고 고장기간의 누적 일사량을 저장하였다.
그림 15 고장지속시간 계산결과 화면
Fig. 15 MTTR calculation results page
2019년 7월부터 2020년 9월까지 1년 3개월 동안 PV를 운영하였을 때 고장은 281건 발생하였고 각각의 고장종류별 고장횟수, MTTR, 손실전력량
및 손실비용은 표 3 ~ 4와 같다.
표 3 고장종류별 1년간 손실비용
Table 3 Power loss cost by type of faults
고장종류
|
발생횟수
|
MTTR
|
손실 발전량
[kWh]
|
손실 비용
[원]
|
인버터
고장
|
AC 과전류
|
42
|
477시간 54분 40초
|
2,482.1
|
829,153.8
|
AC 과전압
|
3
|
3분 36초
|
497.3
|
166,138.7
|
AC 저전압
|
16
|
10시간 29분 1초
|
41.7
|
13,939.1
|
IGBT #1 오류
|
3
|
-
|
-
|
-
|
과주파수
|
95
|
6시간 15분 0초
|
45.7
|
15,263.4
|
저주파수
|
122
|
13시간 14분 14초
|
68.8
|
22,970.9
|
스트링고장
|
-
|
-
|
-
|
-
|
합계
|
281
|
499시간 3분 9초
|
3,135.6
|
1,047,466.0
|
표 4 PV 위치별 1년간 손실 비용
Table 4 Power loss cost for each PV
PV#
|
고장횟수
|
MTTR
|
손실 발전량
[kWh]
|
손실 비용
[원]
|
PV1
|
13
|
9시간 52분 7초
|
32.8
|
10,963.9
|
PV2
|
4
|
19분 36초
|
3.3
|
1,115.5
|
PV3
|
151
|
80시간 42분 36초
|
641.5
|
214,296.0
|
PV4
|
8
|
9시간 54분 14초
|
133.6
|
44,618.4
|
PV5
|
4
|
2시간 49분 55초
|
11.7
|
3,918.6
|
PV6
|
5
|
2시간 31분 19초
|
5.2
|
1,742.1
|
PV7
|
2
|
10분 42초
|
0.1
|
37.6
|
PV8
|
1
|
1시간 51분 27초
|
0.1
|
47.2
|
PV9
|
7
|
9시간 29분 42초
|
67.9
|
22,692.7
|
PV10
|
66
|
377시간 56분 5초
|
2,142.6
|
715,730.9
|
PV11
|
17
|
5시간 53분 51초
|
15.2
|
5,077.4
|
PV12
|
3
|
6시간 24분 57초
|
81.5
|
27,225.7
|
합계
|
281
|
499시간 3분 9초
|
3,135.6
|
1,047,466.0
|
예상 손실 발전량은 아래의 식과 같이 산정할 수 있다. 인버터의 용량과 효율은 제품 사양서에 적힌 표 1의 값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여기서, $\hat P[k Wh]$ : 손실 발전량
$P_{R}[k W]$ : PV의 정격 용량
$S_{i}[W/m^{2}]$ : $i$시점의 경사면 일사량
$\eta_{PV}[\%]$ : PV 인버터 효율
표 3 ~ 4의 연간 손실 비용은 손실발전량과 판매단가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PV를 건물옥상에 설치하여 발전사업으로 사용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손실비용은
계통한계가격(System Marginal Price, SMP)과 공급인증서가격(Renewable Energy Certificate, REC)의 평균
단가를 이용하여 식 (2)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C_{loss}$ : 연간 손실 비용
$P_{loss}$ : 연간 손실 발전량
$P_{SMP}$ : SMP 평균 단가
$P_{REC}$ : REC 평균 단가
$\omega$ : REC 가중치
2019년 SMP와 REC의 1년간의 단가를 이용하였고(11), SMP와 REC 평균 단가는 각각 90.74[원/kWh], 162.21[원/kWh]이고, 100kW미만 건물옥상에 설치하는 경우의 REC 가중치
1.5를 대입하여 계산하여 1년간 12그룹 PV의 손실 비용은 1,047,466원으로 구할 수 있었다. 즉, 1년간의 PV 자체 고장으로 인한 발전량
판매 감소 손실 비용이 약 105만원으로 예상된다.
표 3 ~ 4의 고장 횟수를 분석해보면 주파수 이상에 의한 고장이 가장 많았고 고장 지속시간은 과전류 고장이 가장 길었다. 스트링 고장이나 효율 저하는 신규 발전기이므로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PV 용량별 위치별로 고장종류나 발생횟수가 차이가 나며 특히 PV10의 고장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손실 발전량을 계산하여 경제적 손실을 산정할 수 있고, 고장 종류 또는 위치에 따라 산정된 손실비용을 바탕으로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유지보수 여부 및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1년 이상의 실 계측데이터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유지관리 비용을 저감하기 위한 PV 고장진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닷넷으로 개발하였으며 고장 학습 및 진단 로직은 MATLAB Toolbox로 DLL파일을 생성하여 탑재하였다.
PV는 인버터 자체 보호가 잘 되어있어 전압, 전류, 주파수에 대한 보호 로직에 의하여 정상출력범위를 벗어날 경우 운전을 멈추어 대부분의 고장을 사전에
차단하였다. 고장이 일어나기 전에 인버터 전원이 꺼져 데이터가 0kW로 계측됨에 따라 실 고장데이터를 얻거나 특징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V의 효율 측면의 고장 즉, 일사량대비 발전량 그래프의 선형 특성을 이용하여 고장을 분류하였고 분류선을 이용하여 효율저하 고장을 추가로
진단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화면별 기능을 소개하였고 실제 1년 3개월 동안의 운영기록을 이용하여 고장종류 및 PV그룹별 고장 발생횟수, MTTR, 손실전력량,
손실비용을 계산하여 제시하였다. 프로그램에서 계산된 손실비용은 운영자에게 제공되어, 운영자가 시스템 유지관리 작업을 진행할 때, 누적 고장횟수와 손실비용에
따라서 보수작업 우선순위 결정이나 손실발전량의 심각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향후 진행할 연구로는 PV 수명이 다할 때까지 계측데이터를 계속 수집하여 PV 운영일수에 따른 효율저하를 분석할 예정이며, PV별 위치나 환경에 따른
고장발생 특징을 파악하고 데이터기반 고장진단기법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ETEP)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MOTIE) of the Republic
of Korea (No.20173010013610).
References
2019, Renewables Global Status Report(Paris : REN21 Secretariat), REN21
Dec. 12, 2017, Renewable Energy 3020 Implementation Plan,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9, The 3rd Basic Energy Plan,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pp. 33, 54
L. B. Isidoro, G. M. Pablo, L. Miguel, G. C. Jose, 2018, Impact of Energy Losses Due
to Failures on Photovoltaic Plant Energy Balance, Energies, Vol. 11, No. 363
H. E. Lim, J. Y. Kim, May 201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Application for
Maintenance of Photovoltaic Device (2kW), KEAE, Vol. 18, No. 1, pp. 108-109
H. S. Lim, J. S. Jung, D. J. Chae, S. K. Cho, S. J. Hong, May 2017, A study on development
of electrical safety diagnosis program for photovoltaic system, KIIEE Annual Conf.,
pp. 167
C. J. Kim, J. K. Kim, K. S. Jang, Oct 2015, An Implementation of Realtime Remote-Monitoring
System for Distributed Photovoltaic Power Plants, JKIICE, Vol. 19, No. 10, pp. 2450-2456
G. H. Kim, Oct 2016, The Intelligent Solar Power Monitoring System based on Smart
Phone, JKIICE, Vol. 20, No. 10, pp. 1949-1954
H. C. Cho, K. Y. Sim, Sep 2010, Ubiquitous Networking based Intelligent Monitoring
and Fault Diagnosis Approach for Photovoltaic Generator Systems, The trans. KIEE,
Vol. 59, No. 9, pp. 1673-1679
K. H. Cho, H. C. Jo, E. S. Kim, H. A Park, J. H. Park, 2020, Failure Diagnosis Method
of Photovoltaic Generator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JEET, Vol. 15, No. 4, pp.
1669-1680
Korea Power Exchange homepage, www.kpx.or.kr
저자소개
She received the M.S. degree from th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in 2012.
She is currently pursuing the Ph.D. degree in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Pusan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She is also working with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Gwangju, South
Korea.
Her research interests include distributed resource, microgrid operation algorithm
and fault diagnosis method.
He received the M.S. and PhD from the Soongsil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1991,
1997.
He is also working with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Gwangju, South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renewable energy, energy storage system,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icrogrid design and operation.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information display from Kyung-Hee University, South
Korea in 2018 and his M.S. in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from Chung-Ang
University, Seoul in 2020.
He is also working with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Gwangju, South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the analysis, optimization, and design of nextgeneration
electrical machines.
He received his B.S in Political Science from Korea University, South Korea in 2009.
He received M.S and PhD in Energy Science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outh Korea
in 2020.
He is currently a Post-doctoral researcher in the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in 1978, 1980, and 1987, respectively, all in electrical engineering.
He is currently a Professor at the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intelligent systems applications to power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