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진
(Joungjin Seo)
1iD
김영록
(Youngroc Kim)
2iD
차한주
(Hanju Cha)
†iD
-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
-
(Hex Power system Co. Ltd.)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Stat observer, Repetitive control, Reactive power, Ripple voltage
1. 서 론
최근 심각해진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사업이 활발해지며 자연스레 풍력, 태양광 등 친환경적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에 맞춰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분야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에너지에 대한 지식과 인식이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며 국내외에서
기존의 화력이나 원자력발전소가 아닌 저압계통에 풍력 발전이나 태양광 발전, 소형 열병합 발전 등 중소규모의 전원을 분산 배치하는 분산전원 도입이 증가하고
있다. 저압계통에 분산전원의 연계가 증가됨에 따라 기존의 저압계통 운영 방식으로는 과도한 분산전원 수용으로 인해 전기품질 저하, 규정 전압 이탈,
단락용량 증대, 단독운전에 의한 계통운영의 안전성 저하 등 문제가 생기게 된다. 그 결과 저압계통 전원품질 개선을 위해 저압계통에 무효전력 및 전압조정이
가능한 무효전력 보상을 통한 배전선로 안정화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1). 그러나 저압 배전선로에서 전압보상기의 전력 변환기는 단상 시스템에서 계통 측의 전류와 전압의 차이로 인해 DC 링크에 120Hz인 2고조파가 발생하게
되고 이 DC 링크 전압 리플이 포함되어있는 전압을 전압제어 루프의 피드백 성분으로 사용하게 되면 전류 지령치 자체의 왜곡으로 인하여 전류제어에 영향이
가게 되고 그 결과 전력 품질이 악화되는 영향을 미치게 된다(2)-(3). 그 외로 IGBT 스위칭으로 생기는 고조파 성분, 데드타임으로 인한 전류파형 왜곡 등의 영향으로 인해 계통 전류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
때문에 DC 링크 리플 저감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저역통과필터와 밴드스탑 필터를 사용하였다(4). 그러나, 전원전압이나 부하전류가 불평형한 조건내에서 배전용 정지형 보상기가 동작할 때 순시 유효전력 및 직류단 커패시터 전압에서 발생되는 전원전압
주파수의 2배에 해당하는 리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한 저역통과필터는 차단주파수가 낮아 배전용 정지형 보상기의 동특성에 제약을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5).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식은 기존의 방법들과 달리 전압제어 시 120Hz성분 리플 저감을 위해 상태관측기를 사용하고 전류제어 시 홀수차 고조파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반복제어기를 사용하여 리플 저감 특성과 전류 파형 개선에 큰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기좌표계 d축 전류제어를 통해 무효전력 제어를 하고, q축으로 전압제어를 사용하고 있다. 전압제어기 피드백 성분에서 120Hz 전압
리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상태관측기를 사용하였고, 홀수차 저차 고조파 성분을 보상하기 위한 반복제어기가 PI 제어기와 병렬로 연결된 구조를 제안하였다.
상태관측기와 반복제어기를 적용하여 고조파 보상에 따른 전류 파형이 개선됨을 시뮬레이션과 실험으로 제안한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2. 무효전력 보상기 구조 및 제어 알고리즘
2.1 무효전력 보상기 구조
Fig. 1 Reactive power compensator system configuration
Fig. 2 The proposed reactive power compensation structure
그림 1은 본 논문에서 구현한 계통연계형 단상 무효전력 보상기 구조이다. DC 링크 커패시터, IGBT를 사용한 단상 풀 브릿지 인버터, 필터는 계통에 공급되는
전류 개선의 효과를 보기위해 LCL 필터를 사용하였다. V는 DC 단 커패시터 전압, I은 LCL 필터의 인덕터 L의 전류이고 I는 인덕터 L의 전류
그리고 V는 계통전압, I는 계통 전류이며 I와 같다.
2.2 무효전력 보상기 제어 알고리즘
그림 2는 제안한 배전선로 안정화를 위한 단상 무효전력 보상기 구조이다. 무효전력제어 방식은 동기좌표계 d축과 q축 전류제어를 통해 d축은 무효전력 제어와
q축은 DC 링크 전압제어를 수행한다. DC 링크 전압제어 시 DC 링크 전압주파수의 2배인 120Hz 리플 성분을 보상하기 위해 상태관측기에서 나온
출력 값이 전압제어 피드백성분으로 적용되었고 저차 홀수차 고조파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d축, q축 PI 제어기에 병렬로 반복제어기가 연결되어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제어기는 동기 좌표계에서 구성되며 계통 전류를 인가받아 d축 정지좌표계인 I로 사용하며 I는 전역통과필터(All Pass Fillter)를
사용하여 위상을 90˚ 지연시켜 q축 정지좌표계 성분인 I로 변환하고 I, I를 동기좌표계로 변환하여 I, I로 변환한다. d축 전류 지령치인 I는
단상 전력 계산식으로 계산되어 PI제어를 통해 I는 I를 추종함으로써 무효 전력성분을 제어한다. d축과 q축 성분을 디커플링 한 후의 제어기의 출력인
V, V를 정지 좌표계로 변환하여 전압의 지령치를 생성하게 된다.
2.3 DC 링크 리플보상 제어
저압 배전선로에서 전압보상기의 전력 변환기는 단상 시스템에서 계통 측의 전류와 전압에 의해 DC 링크에 120Hz인 2고조파가 발생하게 되고 이 전원전압
주파수의 2배인 120Hz를 제거한 DC 링크 전압 피드백 값으로 받기 위한 상태관측기이다. DC 단의 커패시터 전압 V는 전원전압의 두 배의 주파수인
120Hz 고조파가 발생하므로, DC 전압은 평균치인 V와 120Hz 고조파 성분인 v의 합으로 구성된다. 상태 방정식을 만들기 위해 평균치 V,
120Hz 고조파 성분에 더하여 v에 90˚ 뒤지는 고조파 성분 v을 추가하여 상태변수를 구성한다. 이 때 상태변수 v와 v의 주파수 $\omega_{120}$는
2·π·120 rad/sec 이다. 식 (1)은 상태변수를 미분하여 상태관측기 방정식으로 구현한 식이고, 식 (1)을 이용하여 그림 3의 상태관측기 블록도를 구현하였다. 식 (2)에서 비례이득을 간단하게 구하기 위해 오차 특성방정식의 근을 3중근 $\alpha $로 만들어 주어 식 (3)과 같이 비례이득 값을 산출하였다. $w_{120}$은 DC 링크 전압주파수의 2배인 120Hz이다(6). 상태관측기의 비례이득을 조정하여 평균값과 리플 성분에 대해 추종하여 제어기 보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g. 3 DC link voltage state observer
상태관측기의 출력은 DC 링크 전압의 평균값을 추종하는 $\hat V_{AVG}$, DC 링크 전압의 리플 값인 $\hat v_{120Hz}$, 리플
값의 90° 지연된 값인 $\hat v_{120Hz-90}$가 계산되며, 세 가지 출력 중 DC 전압유지를 위해 DC 링크 전압의 피드백 성분으로
사용되는 것은 V이다. 수식 (1)의 비례이득 값인 $k=\begin{bmatrix}k_{1}&k_{2}&k_{3}\end{bmatrix}^{T}$은
상태방정식의 오차 특성방정식의 근에서 구할 수 있으며, 오차 특성방정식은
이다.
비례 이득을 간단히 구하기 위해 오차 특성방정식의 근을 3중근 $\alpha $로 하면
이다. 본 논문에서는 $\alpha $의 값 200으로 설정하였으며, 비례 이득으로 k1=555.6, k2=44.4, k3=-880을 사용하여 루엔버거
관측기를 구현하여, DC 링크 전압의 피드백 성분으로 $\hat V_{AVG}$를 사용하였다.
2.4 전류 리플보상 제어
그림 4는 무효전력을 안정하게 주입하기 위해 제안한 반복제어기가 적용된 무효전력 제어 블록도이다. 기본파 성분은 PI 제어기를 통해 제어하고 저차 고조파
성분을 보상하기 위해 반복제어기가 PI 제어기에 병렬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1). 반복제어기는 동기좌표계에서 구현되어 정지좌표계 홀수차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게 되고 이산시간 함수부로 구현된다. 고조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저역통과필터의
식은 식 (4), 시간지연 함수부는 식 (5)과 같이 나타내며, 이를 적용하면 반복제어기 전달 함수인 식 (6)와 같이 도출된다. $z^{-N/2}\therefore N=f_{s}/f_{o}$ 여기서 N은 시간지연 단위 k은 반복제어기 이득 값, z는 시간지연
보상을 위한 값이다.
Fig. 4 Block diagram of reactive power compensator applied repetitive control
3. 시뮬레이션 및 실험 결과
3.1 시뮬레이션
그림 5는 배전선로용 무효전력 보상기 시뮬레이션 회로도이다. DC 링크 커패시터, LCL 필터와 IGBT를 사용한 단상 풀 브릿지 구조로 되어 있으며 표 1은 시스템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Table 1 Simulation parameter
Parameter
|
Value
|
DC Voltage (Vdc)
|
500V
|
Switching frequency
|
10.2kHz
|
L1 filter
|
600uH
|
C filter
|
15uF
|
L2 filter
|
200uH
|
DC link capacitor (Cdc)
|
375uF
|
Grid voltage (Vg)
|
220V
|
Grid frequency
|
60Hz
|
Fig. 7 Simulation results of repetitive control (a) I2 waveform before application
(20A/div) (b) I2 waveform after application (20A/div)
그림 6은 상태관측기 적용 후에 DC 전압제어 피드백성분으로 들어가게 되는 VAVG, DC 링크전압인 Vdc와 계통전류인 I2의 시뮬레이션 파형이다.
Fig. 5 Simulation schematic
보상 전 DC 링크전압 즉, DC 링크전압 리플은 66V의 리플 크기를 가지고 있는 Vdc를 약 2V의 상태관측기 출력인 VAVG를 전압제어기 피드백
성분으로 대체하여 주입하였다. 그림 7(a), (b)은 반복제어기 적용 전, 적용 후에 따른 계통전류 I2의 파형이다. 리플 저감 특성으로 인하여 계통전류인 I2의 THD가 보상 전 약 9%에서 반복제어기로
보상 후 약 3%로 저감되었다.
Fig. 6 Simulation of state observer for DC voltage ripple compensation (Vdc 20V/div,
I2 20A/div)
3.2 실험 결과
배전선로용 무효전력 보상기의 실험 장치는 그림 8와 같이 시뮬레이션과 동일한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구성하였으며 그림 9(a)은 상태관측기 보상 후에 DC 전압제어 피드백 성분으로 사용되는 상태관측기 출력 성분인 $\hat V_{AVG}$ 와 DC 링크전압인 V이고 offset
–500을 주어 파형을 측정하였다. 각각 V는 20V/div로 약 66V의 리플 값을 가지고 있고, V는 1V/div로 약 2V의 리플 값을 가지고
있다.
Fig. 9 Experimental results of observer (a) Observer output waveform (b) I2 waveform
after application
Fig. 10 Experimental results of repetitive control (a) I2 waveform before application
(b) I2 waveform after application
그림 9(b)은 계통전류 I의 실험 파형이다. 무효전력 성분으로 인하여 2차 고조파 성분은 존재하지만 전압제어 피드백이 리플이 감소된 값인 V가 피드백 값으로
주입됨으로써 계통 전류 THD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Fig. 8 Hardware configuration
그림 10(a)은 반복제어기 적용 전, 그림 10(b)은 반복제어기 적용 후 계통전류 I 파형이다. 상태관측기는 적용하지 않았으며, 반복제어기 적용 전 파형은 저차 홀수차 고조파성분으로 인해 계통전류의
파형이 심하게 왜곡 되었으나 적용 후에는 반복제어기로 인해 저차 홀수차 고조파가 제거되어 반복제어기 적용 전 THD 9%에서 적용 후 약 2%로 전류
파형이 크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4. 결 론
본 논문은 상태관측기와 반복제어기를 사용하여 저압 배전선로 전압 안정화 구현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본 논문의
알고리즘 성능을 검증하였다. 단상 시스템에서 생기는 120Hz DC 링크 전압 리플 영향을 줄이기 위해 상태관측기의 출력 값으로 V 평균값을 추종하는
$\hat V_{AVG}$ 를 전압제어기 피드백 성분으로 넣어주어 DC 링크전압인 V의 리플 영향이 보상 전 66V에서 보상 후 2V까지 감소하여
리플 영향 저감 효과를 확인하였다. 계통 전류의 저차 고조파 보상을 위한 반복제어기는 PI 제어기와 병렬로 연결된 구조를 적용하였고, 반복제어기가
동기좌표계에서 구현되어 정지좌표계에서 저차 홀수차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대한 수식은 이산시간 함수로 구현하였다. 상태관측기와
반복제어기를 모두 적용한 경우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해 THD가 9%에서 2%로 향상된 결과를 보여줌으로서 제안한 상태관측기와 반복제어기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ETEP)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MOTIE) of the Republic
of Korea (No. 20209810300140).
References
W. Sim, J. Jo, Y. Kim, 2020.04, Reactive Power Control of Single-Phase Reactive Power
Compensator for Distribution Line,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25, No. 2, pp. 73-78
R. Majumder, Apr 2013, Reactive power compensation in singlephase operation of microgrid,
IEEE Trans. Ind. Electron., Vol. 60, No. 4, pp. 1403-1416
J. Yoon, Y. Kim, S. Kim, Jul 2010, Evaluation of influence of system on SVC installation
operation,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9,
No. 7, pp. 1187-1193
Y. Oh, K. Jung, M. Kim, J. Kim, C. Kim, 2017.9, Development of a Coordinated Voltage
Regulation Scheme in Distribution Networks with Multiple Distributed Generation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6, No. 9,
pp. 1309-1316
S. Lee, E. kim, H. Kim, S. Bo, D. Lee, 2015.6, The Comparison of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SVC and STATCOM for Compensating the Reactive Power in the Jeju Power,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5, No. 3, pp. 49-56
H. Su, J. Choi, 200808, Instantaneous Active/Reactive Power Compensation of Distribution
Static Compensator using State Observe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7, No. 8, pp. 1377-1382
저자소개
He received the B.S. degree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onic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in 2019.
Currently he is studying M.S. degree at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He received the B.S,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in 1991, 1993.
Since 2001, he has worked for Hex Power System Co. Ltd.
He received the B.S. degre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8;
the M.S. degree from the Pohang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hang, Korea,
in 1990; and the Ph.D. degree from Texas A&M University, College Station, TX, USA,
in 2004, all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1990 to 2001, he was at LG Industrial Systems, Anyang, Korea, where he was engaged
in the development of power electronics and adjustable speed drives.
Since 2005, he has been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