쿼드로터 출력 값과 제어기 이득 값의 관계를 분석하여 오버슈트, 정착 시간, 최종 수렴범위 등 출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득 값 조절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출력 값과 이득 값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쿼드로터 시스템의 출력을 분석한다. 또한 관측기의 출력을 분석하여 관측기 이득 값과 제어기
이득 값 사이의 관계를 알 수 있다. 관측기 이득 값과 제어기 이득 값의 관계를 이용하여 관측기에 의한 오차를 무시할 수 있는 이득 값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4.1 제어기 이득과 시스템 출력과의 관계
높이 및 각도 시스템 식의 행렬 구조가 같다. 따라서 높이 시스템을 분석하면 각 각도 시스템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높이 시스템의 출력을 라플라스
변환 시키면 다음과 같다.
식(17)을 $\Xi_{1}(s)$에 관한 식으로 정리하면 다음 식과 같다.
식(18)의 $\Xi_{1}(s)$를 $\xi_{1}(t)$로 만들어 주기 위해서 역 라플라스 변환을 한다. 역 라플라스 변환을 하기 편하게 식을 바꿔주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Xi_{s_{1}}(s)$는 시스템의 출력을 라플라스 변환 시킨 값이고, $\Xi_{d_{1}}(s)$는 외란을 라플라스
변환 시킨 값이다.
여기서 $a,\: b,\: c$ 그리고 $d$는 다음과 같다.
식(19)에서 $k_{2}^{2}/ 4 +k_{1}$의 부호에 따라 역 라플라스의 결과가 달라진다.
따라서 시스템 출력을 얻기 위해 아래와 같이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계산한다.
(Case 1. $bold\dfrac{k_{2}^{2}}{4}+k_{1}<0$인 경우) : 먼저 시스템 출력 식을 구하기 위해 $\Xi_{s_{1}}(s)$를
역 라플라스 변환 한다.
식(21)을 역 라플라스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삼각함수의 합성 공식을 사용하면
식(23)이 된다.
외란에 의한 출력 식을 구하기 위해 $\Xi_{d1}(s)$를 역 라플라스 변환 한다.
여기서 $a,\:b,\:c,\:d$는 (20)과 같다. (25)를 역 라플라스 변환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삼각함수의 합성 공식을 사용하여 정리하면 외란 출력
식(27)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gamma_{2}$와 $\gamma_{3}$는 다음과 같다.
출력 식 $\bar{y}(t)$$=$$\bar{y}_{s}(t)+\bar{y}_{d}(t)$는 다음과 같다.
(Case 2. $bold\dfrac{k_{2}^{2}}{4}+k_{1}>0$인 경우) : Case 1과 마찬가지로 $\Xi_{s1}(s)$와 $\Xi_{d1}(s)$를
역 라플라스 하여 구한 출력 식$\bar{y}(t)$$=$$\bar{y}_{s}(t)+\bar{y}_{d}(t)$는 다음과 같다.
(Case 3. $bold\dfrac{k_{2}^{2}}{4}+k_{1}=0$인 경우) : Case 1과 마찬가지로 $\Xi_{s1}(s)$와 $\Xi_{d1}(s)$를
역 라플라스 하여 구한 출력 식 $\bar{y}(t)$$=$$\bar{y}_{s}(t)+\bar{y}_{d}(t)$는 다음과 같다.
4.2 관측기 이득과 시스템 출력과의 관계
$x_{1}$은 센서를 통해 값을 받아오기 때문에 $\hat\xi_{1}$사용되지 않고 따라서 $e_{1}(t)$는 출력 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센서로 받아오지 못하는 $\hat\xi_{2}$의 오차 값인 $e_{2}(t)$를 분석하기 위해 식(11)을 라플라스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식(32),(33)을 연립하여 $E_{2}(s)$에 관한 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식(34)에서 $\dfrac{l_{1}^{2}}{4}+l_{2}$의 부호에 따라 역 라플라스 변환의 결과가 달라진다. 관측기의 성능 $e_{2}(t)$를 얻기
위해 아래와 같이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계산한다.
(Case 1. $bold\dfrac{l_{1}^{2}}{4}+l_{2}<0$인 경우) : 식(34)를 역 라플라스 변환 하여 간단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a_{1},\: b_{1},\: c_{1}$, 그리고 $\gamma_{4}$는 다음과 같다.
정착시간(settling time)을 줄이기 위해서는 $e$의 지수의 크기인 $|a_{1}|$이 커져야 하고, $a_{1}$이 음수여야 한다. 앞의
안정성 분석에서 $l_{i}$는 모두 음수를 만족하여야 한다고 했기 때문에 $|l_{1}|$이 커지면 된다.
(Case 2. $bold\dfrac{l_{1}^{2}}{4}+l_{2}>0$인 경우) : Case 1과 마찬가지로 역 라플라스 변환 하여 간단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a_{2},\: b_{2},\: c_{2},\:$ 그리고 $d_{2}$는 다음과 같다.
정착시간을 줄이기 위해 $|b_{2}|$와 $|d_{2}|$중 작은 수를 커지게 하면 된다. $|b_{2}|$와 $|d_{2}|$중 $|b_{2}|$가
더 작은 숫자이기 때문에 $|b_{2}|$를 키우려면 $\sqrt{\dfrac{l_{1}^{2}}{4}+ l_{2}}$이 0에 가까워지면 된다. 즉
$|l_{1}|$이 작아지거나 $|l_{2}|$가 커지게 된다.
(Case 3. $bold\dfrac{k_{2}^{2}}{4}+k_{1}=0$인 경우) : Case 1과 마찬가지로 역 라플라스 변환 하여 간단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a_{3},\: b_{3}$는 다음과 같다.
정착시간을 줄이기 위해 $|b_{3}|$가 커져야 한다. 즉 $|l_{1}|$이 커지면 된다.
4.3 관측기 이득 조절 요소와 제어기 이득 조절 요소의 관계
제어기의 수렴 속도보다 관측기의 수렴 속도가 빨라 관측기의 오차가 제어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면 관측기의 오차 값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수렴
속도에 관여하는 지수함수의 지수 값을 비교하여 관측기 식의 지수 값 중 가장 큰 값과 제어기 식의 지수 값 중 가장 작은 값 중 관측기 식의 지수
값이 더 작으면 모든 관측기의 수렴 속도가 모든 제어기의 수렴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식(29),(30),(31)에서 $e_{2}(t)$를 생략할 수 있다.
식(35),(37),(39)에서 관측기의 수렴 속도에 관여하는 수식인 $a_{1},\: b_{2},\: d_{2}$ 그리고 $c_{3}$은 다음과 같다. $b_{2}$와 $d_{2}$중
크기가 작은 값이 수렴속도에 관여하기 때문에 크기가 큰 $d_{2}$는 무시한다.
식(29),(30),(31)에서 $e$의 지수 승에 있는 시스템 출력의 수렴 속도에 관여하는 수식은 다음과 같다.
식(42) 중 가장 작은 값보다
식(41) 중 가장 큰 값이 더 작으면 모든 경우의 부등식에서 제어기의 수렴 속도보다 관측기의 수렴 속도가 더 빠르다.
식(42) 중 가장 작은 값과
식(41) 중 가장 큰 값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식(43)을 $\epsilon_{L_{1}}$에 관한 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식(44)와 같이 관측기의 수렴 속도가 제어기의 수렴속도보다 빨라지게 되면 관측기와 제어기의 오차인 시스템 출력의 $e_{2}(t)$값은 아주 작은 값이 되어
시스템의 출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e_{2}(t)$를 0으로 근사화 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다음 장에서 라플라스
변환을 이용하여 분석한 출력 식을 이용하여 오버슈트, 정착 시간, 최종 수렴범위를 줄이기 위한 이득 값의 변화에 대해 정리하였다. 정리된 이득 값의
변화를 표로 나타내고 제어 이득 값 및 이득 조절 요소 선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4.4 제어 이득 값 및 이득조절요소 선택 알고리즘 제안
(Case 1. $bold\dfrac{k_{2}^{2}}{4}+k_{1}<0$인 경우) : 출력 식은 식(29)이다. 이 식을 간단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a_{4},\: b_{4},\: c_{4},\: d_{4}$그리고 $e_{4}$는 다음과 같다.
식(46)에서 $a,\: b,\: c,\: d$는
식(20)과 같다.
식(45)에서 오버슈트(Overshoot)는 sine함수가 관여하기 때문에 오버슈트를 줄이기 위해서는 sine 함수의 최댓값인 변수 $b_{4}$와 $d_{4}$의
값이 줄어들어야 한다. 수렴속도는 지수함수가 관여하기 때문에 정착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지수함수의 변수 $|a_{4}|$의 값이 커지면 된다. 이때
$a_{4}$는 음수여야 한다. 따라서
식(45)의 오버슈트, 정착 시간, 최종 수렴범위를 줄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오버슈트 줄이기 : 오버슈트를 줄이기 위해서는 식(45)에서 $b_{4}$와 $d_{4}$의 값을 줄여야 한다. 이때 $\xi_{1}(0)$의 값이 1보다 크면 $k_{2}$의 크기를 줄여야 오버슈트의
크기가 작아지고 $\xi_{1}(0)$의 크기가 1보다 작거나 같으면 $k_{2}$의 크기를 키워야 오버슈트의 크기가 작아진다. 또 다른 방법으로
$k_{1}$의 크기를 키워 $b_{4}$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epsilon_{K_1}$이 작아지면 오버슈트를 줄일 수 있다.
정착 시간 줄이기 : 정착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e$의 지수의 크기인 $|a_{4}|$가 커져야 하고, 음수여야 한다. 앞의 안정성 분석에서 $k$는
모두 음수를 만족하여야 한다고 했다. 따라서 $|k_{2}|$가 커지면 된다. 또한 $\epsilon_{K_{1}}$이 작아지면 정착시간을 줄일 수
있다.
최종 수렴범위 줄이기 : 최종 수렴범위는 정상상태일 때의 오차 범위를 나타낸다. 정상상태의 출력을 구하기 위해 최종치정리를 하면 지수함수를 포함한
식은 0으로 수렴하고, 식(45)의 뒷부분 식만 남게 된다. 따라서 $k_{1}$이나 $k_{2}$의 크기가 커지면 최종 수렴범위를 줄일 수 있다.
(Case 2. $bold\dfrac{k_{2}^{2}}{4}+k_{1}>0$인 경우) : 출력 식은 식(30)이다. 이 식을 간단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a_{5},\: b_{5},\: c_{5},\: d_{5}$와 $f_{5}$는 다음과 같다.
식(48)에서 $a,\: b,\: c,\: d$는
식(20)과 같다.
식(47)의 오버슈트, 정착 시간, 최종 수렴범위를 줄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오버슈트 줄이기 : 오버슈트를 줄이기 위해 $a_{5}$와 $c_{5}$의 값이 작아야 한다. 이때 수식의 앞부분을 보면 $\xi_{1}(0)$의
값이 1보다 크면 $|k_{2}|$를 줄여야 $a_{5}$와 $c_{5}$의 크기가 작아지고 $\xi_{1}(0)$의 값이 1보다 작거나 같으면 $|k_{2}|$를
키워야 $a_{5}$와 $c_{5}$의 크기가 작아진다. 또한 $\xi_{1}(0)$의 크기와 관계없이 $|k_{1}|$을 키우면 $a_{5}$와
$c_{5}$의 크기가 줄어든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x_{d}\le 1$일 때는 $|k_{1}|$또는 $|k_{2}|$를 키우고, $x_{d}>1$일
때는 $|k_{1}|$을 키우거나 $|k_{2}|$를 줄이면 된다. 또한 $\xi_{1}(0)>0$일 때 $\epsilon_{K_{1}}$가 작아지고,
$\xi_{1}(0)<0$일 때 $\epsilon_{K_{1}}$가 커지면 오버슈트를 줄일 수 있다.
정착 시간 줄이기 : 식(47)은 지수함수의 덧셈이므로 정착시간은 각 지수함수의 정착시간 중 느린 값을 따라간다. 따라서 정착시간을 줄이기 위해 $|b_{5}|$와 $|d_{5}|$중
작은 값인 $|b_{5}|$의 값이 커져야 한다. $|b_{5}|$가 커지기 위해서는 $\sqrt{k_{2}^{2}/4+k_{1}}$이 0에 가까워지면
된다. $k_{1}$가 $-k_{2}^{2}/4$의 값과 비슷하게 잡으면 된다. 또한 $\epsilon_{K_{1}}$가 작아지면 정착시간을 줄일
수 있다.
최종 수렴범위 줄이기 : 최종 수렴범위는 정상상태일 때의 오차 범위를 나타낸다. 정상상태의 출력을 구하기 위해 최종치정리를 하면 지수함수를 포함한
식은 0으로 수렴하고, 식(47)의 뒷부분 식만 남게 된다. 따라서 $k_{1}$이나 $k_{2}$의 크기가 커지면 최종 수렴범위를 줄일 수 있다.
(Case 3. $bold\dfrac{k_{2}^{2}}{4}+k_{1}=0$인 경우) : 출력 식은 식(31)이다. 이 식을 간단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a_{6}$,$b_{6}$그리고 $c_{6}$는 다음과 같다.
오버슈트 줄이기 : 오버슈트를 줄이기 위해서 변수 $a_{6}$의 크기가 작아야 한다. $a_{6}$가 작아지기 위해서 $k_{2}$의 크기가 작아지면
된다. 또한 $\epsilon_{K_{1}}$가 작아지면 오버슈트를 줄일 수 있다.
정착 시간 줄이기 : 정착 시간을 줄이기 위해 $|b_{6}|$가 커져야 한다. 또한 $\epsilon_{K_{1}}$가 작아지면 정착시간을 줄일
수 있다.
최종 수렴범위 줄이기 : 최종 수렴범위는 정상상태일 때의 오차 범위를 나타낸다. 정상상태의 출력을 구하기 위해 최종치정리를 하면 지수함수를 포함한
식은 0으로 수렴하고, 식(49)의 뒷부분 식만 남게 된다. 따라서 $k_{1}$이나 $k_{2}$의 크기가 커지면 최종 수렴범위를 줄일 수 있다.
위의 경우들을 정리하여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표 1과 표 2는 각각 제어기의 이득 값 선택 방법을 정리한 표와 이득 조절 요소를 선택 하는 방법을 정리한 표이고 표 3은 관측기의 이득 값 조절 방법을 정리한 표이다. 식(44)는 높이 제어기의 $\epsilon_{K_{1}}$과 $\epsilon_{L_{1}}$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이다. 이 식을 높이 제어기뿐만 아니라
롤($\phi$), 피치($\theta$), 요($\psi$) 제어기에도 적용할 수 있게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 때 $(p,\:i,\:j)=(1,\:1,\:2),\:(2,\:3,\:4),\:(3,\:5,\:6),\:(4,\:7,\:8)$이다.
특성 방정식과 폐루프 시스템이 Hurwitz가 되는 식을 이용하여 이득 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극 배치 기법이라고 한다. 극 배치 기법을 이용하여 이득
값을 설정하기 위해 특성방정식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이 때 특성방정식의 근을 $\lambda_{i}=(-a_{i},\: -b_{i})$라고 가정한다.
이렇게 구한
식(52)를
식(15)와 비교하면 $k_{i}$의 값이 $-a_{i}b_{i}$이고, $k_{j}$의 값이 $-(a_{i}+b_{i})$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식(16)과
식(52)를 이용하여 $l_{i}$의 값이 $-a_{i}b_{i}$이고, $l_{j}$의 값이 $-a_{i}b_{i}$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득 값을
이용하여 출력성능을 조절하기 위한 순서도는
그림 1와 같다.
표 1. 제어 이득 값 선택 방법 정리($(i,\:j)=(1,\:2),\:(3,\:4),\:(5,\:6),\:(7,\:8)$)
Table 1. Adjustment of the control gain
($(i,\:j)=(1,\:2),\:(3,\:4),\:(5,\:6),\:(7,\:8)$)
Case
Category
|
$\dfrac{k_{j}^{2}}{4}+k_{i}<0$
|
$\dfrac{k_{j}^{2}}{4}+k_{i}>0$
|
$\dfrac{k_{2}^{j}}{4}+k_{i}=0$
|
Overshoot
|
$|\xi_{i}(0)|\le 1$
|
$|\xi_{i}(0)| > 1$
|
$|\xi_{i}(0)|\le 1$
|
$|\xi_{i}(0)| > 1$
|
$|k_{j}|$↓
|
$|k_{i}|$↑ or $|k_{j}|$↑
|
$|k_{i}|$↑ or $|k_{j}|$↓
|
$|k_{i}|$↑ or $|k_{j}|$↑
|
$|k_{i}|$↑
|
Settling time
|
$|k_{j}|$↑
|
$k_{i}\cong -\dfrac{k_{j}^{2}}{4}$
|
$|k_{j}|$↑
|
Ultimate bound
|
$|k_{i}|$↑or $|k_{j}|$↑
|
표 2. $\epsilon_{K}_{p}$ 선택 방법 정리
($(p,\:i,\:j)=(1,\:1,\:2),\:(2,\:3,\:4),\:(3,\:5,\:6),\:(4,\:7,\:8)$)
Table 2. Adjustment of the $\epsilon_{K}_{p}$
($(p,\:i,\:j)=(1,\:1,\:2),\:(2,\:3,\:4),\:(3,\:5,\:6),\:(4,\:7,\:8)$)
Case
Category
|
$\dfrac{k_{j}^{2}}{4}+k_{i}<0$
|
$\dfrac{k_{j}^{2}}{4}+k_{i}>0$
|
$\dfrac{k_{j}^{2}}{4}+k_{i}=0$
|
Overshoot
|
$\epsilon_{K_{1}}$↓
|
$|\xi_{i}(0)|\ge 0$
|
$|\xi_{i}(0)|<0$
|
$\epsilon_{K_{1}}$↑
|
$\epsilon_{K_{1}}$↓
|
$\epsilon_{K_{1}}$↑
|
Settling time
|
$\epsilon_{K_{1}}$↓
|
$\epsilon_{K_{1}}$↓
|
$\epsilon_{K_{1}}$↓
|
표 3. 관측 이득 값 선택 방법 정리
($(i,\:j)=(1,\:2),\:(3,\:4),\:(5,\:6),\:(7,\:8)$)
Table 3. Adjustment of the observe gain
($(i,\:j)=(1,\:2),\:(3,\:4),\:(5,\:6),\:(7,\:8)$)
Case
Category
|
$\dfrac{l_{i}^{2}}{4}+l_{j}<0$
|
$\dfrac{l_{i}^{2}}{4}+l_{j}>0$
|
$\dfrac{l_{i}^{2}}{4}+l_{j}=0$
|
Settling time
|
$|l_{i}|$↑
|
$|l_{i}|$↓ or $|l_{j}|$↑
|
$|l_{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