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Korea.)
  2.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orea.)



Electrical Safety Level, MCDA, AHP, Safety Level Assessment Program

1. 서 론

기존에 전기설비의 안전상태에 대한 평가기준은 적합(합격)/부적합(불합격)으로만 평가하여 분류하였기 때문에, 전기설비의 상태를 고려한 세분화된 전기재해 예방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 전기설비의 안전상태를 지수화, 계량화, 등급화 하려는 연구가 지속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특고압 전기설비의 안전등급 기준안이 개발되었다(1,2). 그러나, 최근 개발된 안전등급 기준안에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는 설비들의 평가 요소가 제외되어 있어서 평가에 한계가 있었고, 안전등급 평가 프로그램도 엑셀 매크로 기반으로만 개발되어 있어서 현장 적용에 제한적이었다(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비별 평가항목, 평가요소, 환경영향 요소 등의 평가방법을 개선한 22.9kV급 특고압 전기설비의 안전등급 평가 기준안을 만들고 이를 PC 및 스마트폰에서도 모두 사용가능한 웹기반 소프트웨어로 개발하여 안전진단 업무 등 현장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2. 이론적 배경

위험성 평가기법과 관련된 국제표준인 ISO 31010에서는 31가지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분석 기법에 따라 리스크 식별, 리스크 분석, 리스크 판정에 적합한 기법도 있고 적합하지 않은 기법도 있다(3). 이러한 위험성 평가기법 중 MCDA(다기준 의사결정분석; Multi-Criterial Decision Analysis)기법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의 중요도를 결정하고 해당 가중치를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리스크식별, 리스크분석, 리스크판정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MCDA기법들중의 하나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 계층분석과정)기법은 평가요소간 구조파악 및 정량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서 본 연구에서 가중치 도출시 활용되었다.

AHP의 일반적인 구조는 그림 1과 같다. 그림 1은 Criteria가 4가지, Alternative가 3가지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의사결정 대안을 결정하기 위해 설문조사에 의해서 평가항목간 가중치를 도출한 후 가장 점수가 높은 대안을 선택하여 결정한다.

여기서, Alternative #1, #2, #3 각각에 대한 평가점수 A1, A2, A3는 다음의 식(1)과 같다(4,5).

표 1. MCDA 평가 프로세스(ISO 31010)

Table 1. Process of MCDA(ISO 31010)

Step

Process

1

목표를 정의한다.

2

각 목표와 관련된 특성(기준 또는 성과 측정)을 결정한다.

3

속성을 계층 구조로 구성한다.

4

기준에 따라 판정할 옵션을 개발한다.

5

기준의 중요도를 결정하고 해당 가중치를 할당한다.

6

기준과 관련하여 대안을 판정한다. 이것은 점수 매트릭스로 나타낼 수 있다.

7

다중 단일 특성 점수를 단일 집계 다중 특성 점수로 결합한다.

8

결과를 판정한다.

그림. 1. AHP의 일반적인 구조

Fig. 1. General structure of AHP

../../Resources/kiee/KIEE.2020.69.12.1989/fig1.png

그림. 2. 대안이 없는 경우 AHP 구조

Fig. 2. Structure of AHP in case of no alternatives

../../Resources/kiee/KIEE.2020.69.12.1989/fig2.png

(1)
$\begin{bmatrix}A_{1}\\A_{2}\\A_{3}\end{bmatrix}=\begin{bmatrix}W_{11}&W_{21}&W_{31}&W_{41}\\W_{12}&W_{22}&W_{32}&W_{42}\\W_{13}&W_{23}&W_{33}&W_{43}\end{bmatrix}\begin{bmatrix}W_{1}\\W_{2}\\W_{3}\\W_{4}\end{bmatrix}$

표 2. 식 (2), 식 (3), 그림 3에 사용된 기호 정의

Table 2. Definition of Symbols used in Eqn. (1), (2), Fig. 3

기호

정의(정식설비)

S

정식설비 안전도 평가점수

α($W_{α}$)

인입선 평가점수(가중치)

β($W_{β}$)

개폐기 평가점수(가중치)

γ($W_{γ}$)

MOF 평가점수(가중치)

δ($W_{δ}$)

차단기 평가점수(가중치)

ε($W_{ε}$)

변압기 평가점수(가중치)

ζ($W_{ζ}$)

전력퓨즈 평가점수(가중치)

η($W_{η}$)

피뢰기 평가점수(가중치)

θ($W_{θ}$)

보호계전기 평가점수(가중치)

ι($W_{ι}$)

변성기 평가점수(가중치)

기호

정의(약식설비)

S′

약식설비 안전도 평가점수

α′($W_{α}$′)

인입선 평가점수(가중치)

β′($W_{β}$′)

개폐기 평가점수(가중치)

γ′($W_{γ}$′)

MOF 평가점수(가중치)

ζ′($W_{ζ}$′)

전력퓨즈 평가점수(가중치)

ε′($W_{ε}$′)

변압기 평가점수(가중치)

η′($W_{η}$′)

피뢰기 평가점수(가중치)

ι′($W_{ι}$′)

변성기 평가점수(가중치)

그림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만약 의사결정 대안을 결정하지 않더라도, 평가항목간 가중치만을 도출하여 평가대상을 정량화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항목간 중요도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고객별 전기설비의 안전등급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3. 특고압전기설비 안전등급 평가기준안

3.1 평가기준안의 구조

개선된 22.9kV급 특고압전기설비의 안전등급 기준안은 정식설비인 경우와 약식설비인 경우로 구분하여 개발되었다. 그림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식설비인 경우 대항목을 9종으로 선정하였으며, 약식설비인 경우는 7종을 대항목으로 선정하였다. 환경영향 평가요소 항목은 수전장소에 따른 영향도 고려하였으며, 대항목별 환경영향요소 적용시 전기안전평가요소와 환경영향요소를 가중치를 각각 부여하여 적용하도록 개선하였다. 가중치 도출은 AHP기법을 활용하였으며, 개선안에는 세부평가요소도 별도로 가중치를 도출하여 보다 정확한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평가기준안 대항목에 대한 구조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정식설비는 식(2), 약식설비는 식(3)와 같다. 식(2)식(3)에 사용된 기호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대상 설비에 대한 평가점수가 계산되면 표 3에 따라 안전등급을 판정한다.

(2)
$S=\alpha\times W_{\alpha}+\beta\times W_{\beta}+\gamma\times W_{\gamma}+\delta\times W_{\delta}+\epsilon\times W_{\epsilon}+\zeta\times W_{\zeta} $ $+\eta\times W_{\eta}+\theta\times W_{\theta}+\iota\times W_{\iota}$

(3)
$S^{'}=\alpha^{'}\times W_{\alpha}^{'}+\beta^{'}\times W_{\beta}^{'}+\gamma^{'}\times W_{\gamma}^{'}+\zeta^{'}\times W_{\zeta}^{'}+\epsilon^{'}\times W_{\epsilon}^{'} $ $+\eta^{'}\times W_{\eta}^{'}+\iota^{'}\times W_{\iota}^{'}$

그림. 3. 22.9kV급 특고압전기설비 평가기준안의 구조

Fig. 3. tructure for Safety Assessment of 22.9kV Class Electrical Installations

../../Resources/kiee/KIEE.2020.69.12.1989/fig3.png

표 3. 안전도 평가점수에 따른 등급정의

Table 3. Safety Level Classification according to Safety Score

등급

평가점수

등급정의

A등급

90이상

100이하

∙설비가 최고의 신뢰성이 있는 상태임

∙유지관리, 안전관리에 철저한 상태

∙현상태 유지를 위해서는 주기적 관리 필요

B등급

80이상

90미만

∙전반적으로 설비가 양호한 상태임

∙미흡한 부분에 대해서는 보완 필요

C등급

70이상

80미만

∙설비 유지관리가 보통의 상태

∙일부 부적합 요소는 즉시 보완 필요

D등급

60이상

70미만

∙설비의 노후 또는 신뢰성이 낮은 상태

∙다수의 부적합이 발견되어 즉시 개선 필요

E등급

60미만

∙설비 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상태

∙부적합 요소는 즉시 개선 필요

그림 4그림 3의 대상설비 9종 중 인입선의 세부 평가기준의 계층적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개폐기, MOF, 차단기, 변압기, 전력퓨즈, 피뢰기, 보호계전기, 변성기 등 나머지 8종도 유사한 구조로 세부 평가기준을 개발하였다. 그림 4에서 $Oh_{1}$ ~ $Oh_{5}$는 가공인입선의 경우 전기적요소 평가 소항목을 나타내며, $Ug_{1}$ ~ $Ug_{5}$는 지중인입선의 경우 전기적요소 평가 소항목을 나타낸다. $Oh_{11}$ ~ $Oh_{12}$, $Oh_{21}$ ~ $Oh_{25}$, $Ug_{21}$ ~ $Ug_{25}$는 각각 $Oh_{2}$, $Ug_{2}$의 평가 세부항목을 나타낸다. $E_{α1}$ ~ $E_{α5}$는 환경적 요소의 평가 소항목(사용기간, 부하율, 수전장소, 지역, 업종)을 나타내며, $E_{α31}$ ~ $E_{α33}$은 $E_{α3}$의 평가 세부항목을 나타낸다. 그림 4에 사용된 기호를 표 4표 5에 정의하였다.

그림. 4. 인입선 세부항목 평가 구조

Fig. 4. Structure for Safety Assessment of Incoming Wire

../../Resources/kiee/KIEE.2020.69.12.1989/fig4.png

표 4. 그림 4에 사용된 기호 정의(인입선의 전기적 평가요소)

Table 4. Definition of Symbols used in Fig. 4(Electrical factors assessment of incoming line)

기호

정의(가공인입선)

$Oh_{1}$($W_{Oh1}$)

외관상태(가중치)

$Oh_{11}$~$Oh_{12}$

($W_{Oh11}$~$W_{Oh12}$)

외관상태 세부항목 평가점수(가중치)

$Oh_{2}$($W_{Oh2}$)

설치상태 평가점수(가중치)

$Oh_{21}$~$Oh_{25}$

($W_{Oh21}$~$W_{Oh25}$)

설치상태 세부항목 평가점수(가중치)

$Oh_{3}$($W_{Oh3}$)

절연상태 평가점수(가중치)

$Oh_{4}$($W_{Oh4}$)

접지상태 평가점수(가중치)

$Oh_{5}$($W_{Oh5}$)

절연내력 평가점수(가중치)

기호

정의(지중인입선)

$Ug_{1}$($W_{Ug1}$)

외관상태(가중치)

$Ug_{2}$($W_{Ug2}$)

설치상태 평가점수(가중치)

$Ug_{21}$~$Ug_{25}$

($W_{Ug21}$~$W_{Ug25}$)

설치상태 세부항목 평가점수(가중치)

$Ug_{3}$($W_{Ug3}$)

절연상태 평가점수(가중치)

$Ug_{4}$($W_{Ug4}$)

접지상태 평가점수(가중치)

$Ug_{5}$($W_{Ug5}$)

절연내력 평가점수(가중치)

표 5. 그림 4에 사용된 기호 정의(인입선의 환경적 평가요소)

Table 5. Definition of symbols used in Fig. 4(Environmental factors assessment of incoming line)

기호

정의(인입선의 환경적 평가요소)

$E_{α1}$($W_{Eα1}$)

사용기간에 따른 영향 평가점수(가중치)

$E_{α2}$($W_{Eα2}$)

부하율에 따른 영향 평가점수(가중치)

$E_{α3}$($W_{Eα3}$)

수전장소에 따른 영향 평가점수(가중치)

$E_{α31}$~$E_{α33}$

($W_{Eα31}$~$W_{Eα33}$)

수전장소에 따른 영향 세부항목 평가점수(가중치)

$E_{α4}$($W_{Eα4}$)

지역에 따른 영향 평가점수(가중치)

$E_{α5}$($W_{Eα5}$)

업종에 따른 영향 평가점수(가중치)

3.2 평가요소의 가중치 도출 방법

AHP 기법에 의해 평가 대상 요소의 가중치 도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평가요소간 쌍대 비교를 한다. 쌍대비교는 평가자에게 설문을 통해 진행되며, 평가 요소간 중요도는 일반적으로 9점 척도로 한다. 쌍대비교 횟수는 평가대상 요소수가 n개일 때 최대 n(n-1)/2회 비교하며, 최소 n-1회 비교한다. 평가가 끝나면 n×n의 쌍대비교행렬을 만들고, 이 행렬의 고유벡터(eignenvector)와 최대 고유값(eigenvalue)을 구한다. 이 때 고유벡터의 총합을 1로 정규화한 벡터가 평가 요소의 가중치가 되며, 일관성비율(Consistency Ratio)이 0.1을 초과하는 설문조사 데이터는 일관성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다시 설문을 받거나 데이터로 채택하지 않는다. 만약, 설문조사 평가 대상자가 다수로 구성이 되어 있다면 일관성비율이 0.1이하가 되는 인원을 대상으로 쌍대비교 결과 값을 기하평균에 의해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쌍대비교 행렬을 만든다. 이 때 만든 쌍대비교 행렬의 고유벡터를 구한후, 고유벡터 요소의 총 합을 1로 정규화시킨 벡터를 종합 가중치로 채택한다(4-7).

위의 가중치 도출과정에 사용된 주요 수식은 다음과 같다. 만약 A가 n×n 쌍대 비교행렬, x를 n×1의 고유벡터, $\lambda_{\max}$가 최대 고유값이면, 다음의 수식 (4)가 성립된다.

(4)
$A x=\lambda_{\max}x$

수식 (4)의 우측항을 좌측으로 넘기면 식(5)가 유도된다.

(5)
$(A -\lambda_{\max}I)x=0$

여기서, I는 Identity 행렬이다. 식(5)에서 0이 아닌 고유벡터가 존재하려면 식(6)에 나타낸 바와 같이 $A -\lambda_{\max}I$ 행렬의 determinant가 0이 되어야 한다.

(6)
$\det(A -\lambda_{\max}I)=0$

식(6)에서 $\lambda_{\max}$를 구할 수 있으며, $\lambda_{\max}$를 구한 후 식(4)에 대입함으로써, 고유벡터 x를 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설문조사 결과의 일관성 비율을 0.1이하인지 확인하여야 한다. 일관성 비율을 CR은 식(7)과 같이 정의된다.

(7)
CR=CI/RI

여기서, CI(Consistency Index: 일관성 지수)는 식(8)을 통해서 구하며, RI(Random Index: 랜덤 지수)는 Saaty가 제시한 표 6을 적용하여 구한다(4-7).

(8)
$CI =\dfrac{\lambda_{\max}-n}{n-1}$

표 6. Saaty가 제시한 Random Index

Table 6. Random Indices from Saaty

n

3

4

5

6

7

8

9

10

RI

0.58

0.9

1.12

1.24

1.32

1.41

1.45

1.49

3.3 평가요소의 가중치 분석 결과

22.9kV급 특고압 전기설비의 평가기준안에 대해 AHP기법에 의해 평가요소간 가중치를 도출하기 위해 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평가요소간 설문조사표는 9점척도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가중치 도출을 위한 설문조사 문항은 총 41가지이다. 설문조사시 비일관성비율(Consistency Ratio)이 0.1을 초과하는 데이터는 제외하였다.

그림 5그림 3그림 4에 나타낸 가중치의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5. AHP기법에 의한 가중치 도출 결과

Fig. 5. Weights calculation results by AHP method

../../Resources/kiee/KIEE.2020.69.12.1989/fig5-1.png../../Resources/kiee/KIEE.2020.69.12.1989/fig5-2.png../../Resources/kiee/KIEE.2020.69.12.1989/fig5-3.png../../Resources/kiee/KIEE.2020.69.12.1989/fig5-4.png

그림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식 수전설비의 대항목의 가중치는 변압기($W_{ε}$: 0.2848), 인입선($W_{α}$: 0.2009), 차단기($W_{δ}$: 0.1977), 보호계전기($W_{θ}$: 0.0887), 전력퓨즈($W_{ζ}$: 0.0671), 개폐기($W_{β}$: 0.0581), MOF($W_{γ}$: 0.0394), 피뢰기($W_{η}$: 0.0355), 변성기($W_{ι}$: 0.0277)의 순서로 도출되었으며, 약식설비 대항목의 가중치는 변압기($W_{ε}$´: 0.2786), 인입선($W_{α}$´: 0.2229), 전력퓨즈($W_{ζ}$´: 0.1416), 변성기($W_{ι}$´: 0.1057), 피뢰기($W_{η}$´: 0.1011), 개폐기($W_{β}$´: 0.0965), MOF ($W_{γ}$´: 0.0536)의 순서로 도출되었다. 환경영향 평가요소의 가중치는 사용기간($W_{Eα1}$: 0.4335), 부하율($W_{Eα2}$: 0.3172), 수전장소($W_{Eα3}$: 0.1422),지역($W_{Eα4}$: 0.0581), 업종($W_{Eα5}$: 0.0490)의 순서로 도출되었으며, 환경영향 요소중 수전장소($E_{α3}$)는 세부항목이 있으며 세부가중치는 외부영향($W_{Eα31}$: 0.7977), 설치상태($W_{Eα32}$: 0.1261), 보호시설($W_{Eα33}$: 0.0762)의 순서로 도출되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개폐기, MOF, 차단기, 변압기, 전력퓨즈, 피뢰기, 보호계전기, 변성기의 세부평가요소의 가중치와 세부 가중치를 쌍대비교행렬의 고유벡터를 통해 값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값을 기반으로 안전등급 평가 기준안 및 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4. 특고압 안전등급 평가 프로그램 개발

4.1 특고압 안전등급 평가 프로그램

22.kV급 특고압 전기설비의 안전등급 기준안의 현장적용을 위해 안전등급평가 프로그램을 소프트웨어 형태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소프트웨어는 웹기반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스마트폰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개발된 소프트웨어는 구글 크롬 웹브라우저에서 최적화되어 있으며, 별도의 설치가 필요 없도록 개발되었다. 또한 고객별로 ID와 패스워드를 별도로 부여하여, 측정데이터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과 호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동일한 설비의 수가 여러대일 경우 평가가 가능하도록 개발하였으며 이에 따른 설비별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산출된 안전등급 데이터의 보고서는 PDF서식으로 출력 및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안전등급 평가절차를 그림 6에 나타내었다.

그림. 6. 특고압 전기설비 안전등급 평가 프로그램

Fig. 6. High voltage safety level assessment program

../../Resources/kiee/KIEE.2020.69.12.1989/fig6-1.png../../Resources/kiee/KIEE.2020.69.12.1989/fig6-2.png

4.2 시뮬레이션

개발된 프로그램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현장과 유사한 데이터를 입력하여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데이터 입력에 의한 등급 평가는 표 7에 나타낸 항목을 입력하여 등급평가를 수행하였다.

표 7. 특고압 안전등급 평가 프로그램 입력항목의 수(정식수전설비)

Table 7. The number of entry items of high voltage safety assessment program (Regular type installations)

구분

입력항목

항목수

인입선

전기적요소

가공인입선인 경우

10

지중인입선인 경우

9

환경적요소

7

개폐기

전기적요소

인입구 개폐기인 경우

7

고장구간개자동개폐기인 경우

14

환경적 요소

7

MOF

전기적 요소

7

환경적 요소

7

차단기

전기적 요소

7

환경적 요소

7

변압기

전기적요소

몰드변압기인 경우

12

유입변압기인 경우

15

환경적 요소

7

전력퓨즈

전기적 요소

4

환경적 요소

7

피뢰기

전기적요소

피뢰기

11

서지흡수기

7

환경적 요소

7

보호계전기

전기적 요소

7

환경적 요소

7

변성기

전기적요소

계기용 변압기

6

계기용 변류기

6

환경적 요소

7

합 계

185

그림. 7. 특고압 전기설비 안전등급 평가 시뮬레이션

Fig. 7. Simulation of high voltage safety level assessment

../../Resources/kiee/KIEE.2020.69.12.1989/fig7.png

시뮬레이션 결과 표 3에서 정의된 등급 상태에 따른 등급구분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7은 평가등급 평가결과의 예로서, 최초 평가시 다수의 부적합이 발생되어 설비의 노후 또는 신뢰성이 낮아 평가 등급이 D등급이었으나, 부적합요소를 보완하여 일부 미흡하나 전반적으로 설비가 양호한 상태인 B등급으로 개선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5. 결 론

22.9kV급 특고압 전기설비의 안전등급 평가 기준안은 기존에 일부 연구가 되었으나, 대상설비의 범위가 주요 특고압 전기설비 5종(인입선, 개폐기, MOF, 차단기, 변압기)으로 제한되어 설비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피뢰기 등의 설비요소 평가가 제외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고압전기설비의 안전등급 평가에 중요한 대상설비를 추가하고, 환경영향요소 등 평가요소 및 구조를 수정하여 기존에 개발된 기준안을 개선하였다. 평가대상설비는 정식설비인 경우 주요 특고압설비 9가지를 대상으로 개발하였으며, 약식설비인 경우 7가지를 대상으로 개발하였다. 환경영향요소는 ‘사용기간’, ‘부하율’, ‘수전장소’, ‘지역’, ‘업종’의 5가지 요소로 평가 항목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평가기준안은 가중치가 대항목 및 소항목인 경우에만 도출하였으나, 개선된 평가 기준안은 대항목 및 소항목 뿐만 아니라 세부항목의 가중치도 AHP기법을 활용하여 도출하여 보다 정밀한 평가가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개발된 평가기준(안)의 현장적용을 위해 평가기준(안) 및 알고리즘을 웹기반 소프트웨어로 구현하여 PC 및 스마트폰에서 안전등급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 및 프로그램을 현장과 유사한 데이터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안전등급 평가프로그램은 전기설비의 안전등급 판정에 적용이 가능하여 특고압 전기설비의 진단 등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References

1 
D. W. Kim, Y. B. Lim, S. H. Cho, J. T. Kim, S. I. Lee, J. H. Kim, 2014, Development of a Safety Assessment Model of Electrical Installations using AHP, The 20th ICEE, Vol. 66, No. 1, pp. 819-822Google Search
2 
D. W. Kim, Y. B. Lim, K. Y. Lee, H. W. Moon, 2017, Assessment System of Safety Level of High Voltage Electrical Facilities Considering Environmental Factors, Transactions of the KIEE, Vol. 66, No. 1, pp. 249-254DOI
3 
IEC/ISO 31010, 2009, Risk management-Risk assessment techniques, Edition 1.0, pp. 11-89Google Search
4 
A. Ishizaka, P. Nemery, 2013,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John Wiley & Sons, Ltd, pp. 16-50Google Search
5 
T. L. Saaty, 2010, Principia Mathematica Decernendi: Mathematical Principles of Decision Making, RWS Publications, pp. 101-129Google Search
6 
A. Ishizaka, A. Labib, 2011, Review of the main developments i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Vol. 38, No. 11, pp. 14336-14345DOI
7 
T. L. Saaty, K. Peniwati, 2012, Group Decision Making: Drawing out and Reconciling Differences, RWS Publications, pp. 147-166Google Search

저자소개

Dong-Woo Kim
../../Resources/kiee/KIEE.2020.69.12.1989/au1.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in 1996 and 1998.

He is currently a head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since 2001.

E-mail : klove@kesco.or.kr

Young-Bae Lim
../../Resources/kiee/KIEE.2020.69.12.1989/au2.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in 1994.

He received the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in 1998 and 2007.

He is currently a senior researcher in the Electricity Policy and Disaster Research Center of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ince 2020.

E-mail : lifewizard@keri.re.kr

Jae-Hyeon Mun
../../Resources/kiee/KIEE.2020.69.12.1989/au3.png

He received the B.Des. degree in visual com- munication design from Hanbat National Uni- versity, Daejeon, Korea, in 2006.

He is currently a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since 2018.

E-mail : rebo@kesco.or.kr

Ki-Yeon Lee
../../Resources/kiee/KIEE.2020.69.12.1989/au4.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Korea, in 2002 and 2004.

He received the Ph.D. degree in IT Applied System Engineering fro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llabukdo, Korea, in 2020.

He is currently a head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since 2004.

E-mail : Ikycj@kesco.or.kr

Dong-Ju Chae
../../Resources/kiee/KIEE.2020.69.12.1989/au5.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in 2008 and 2011.

He is currently a senior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since 2014.

E-mail : chaedju@kesco.or.kr

Seung-Taek Lim
../../Resources/kiee/KIEE.2020.69.12.1989/au6.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6 and 2018.

He is cur- rently a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since 2018.

E-mail : jstyim@kesco.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