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 차 측정치를 이용한 점검용 UAV의 측위센서를 설계해보자. 이를 위해, 먼저 GPS 신호불량 위치에 놓인 송신기와 점검용 UAV에 탑재된 수신기
어레이 간 상대위치 및 거리 차 측정치와의 관계를 선형 불확정 측정방정식으로 모델링 한다. 다음으로, 상대위치 및 상대거리로 구성된 상태변수 간의
기하학적 상관관계로 도출되는 제약조건을 이용한 측위 알고리듬의 설계 방법이 제시된다.
3.1 선형 불확정 측정모델
그림 2의 상대기하로부터, 기준 및 $j$번째 수신기의 수신신호를 이용하여 산출된 거리 차 $r_{j}$는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이때, 송신기와 $j$번째 수신기 간 거리 $d_{t,\:j}$는 아래와 같다.
여기서 $h$는 송신기와 수신기 어레이 간의 높이를 의미한다.
식(4)와 동일한 방법으로, 기준 수신기에서 $j$번째 수신기까지의 거리 $d_{j,\:0}$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식(3)의 양변을 제곱한 후 식(4)를 대입하면 다음 선형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h_{j}= -2\begin{bmatrix}(x_{j}-x_{0}) & (y_{j}-y_{0}) & d_{t,\:0}\end{bmatrix}$.
거리 차 측정치 (2)를 유도한 선형 관계식 (6)에 대입 후 정리하여 선형 불확정 회귀방정식 (7)이 유도된다.
여기서
$\widetilde h_{j}\equiv -2\begin{bmatrix}(x_{j}-x_{0}) & (y_{j}-y_{0}) & \widetilde
r_{j}\end{bmatrix}$,
$\Delta h_{j}\equiv -2\begin{bmatrix}0 & 0 & \delta r_{j}\end{bmatrix}$, $v_{j}\equiv
2\widetilde r_{j}\delta r_{j}-\delta r_{j}^{2}-\sigma_{r,\:j}^{2}$.
위 식에서, $j$번째 수신기의 측정잡음 $v_{j}$에 대한 공분산 $R_{j}$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모든 수신기에 대해 불확정 선형 회귀방정식 (7)이 만족되므로, 회귀방정식들을 종합하면 $k$ 시점에서 다음과 같은 불확정 선형 측정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태변수 $\ symbol{x}$, 측정치 벡터 $\ symbol{y}$, 측정잡음 벡터 $\ symbol{v}$ 및 관련 행렬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symbol{x} \equiv\begin{bmatrix}(x_{t}-x_{0}) & (y_{t}-y_{0}) & d_{t,\:0}\end{bmatrix}^{T}$,
$\ symbol{y} =\begin{bmatrix}\vdots \\\widetilde r_{j}^{2}- d_{j,\:0}^{2}-\sigma_{r,\:j}^{2}\\\vdots\end{bmatrix}$,
$ v =\begin{bmatrix}\vdots \\ v_{j}\\\vdots\end{bmatrix}$,
$H\equiv\begin{bmatrix}\vdots \\ h_{j}\\\vdots\end{bmatrix}$, $\widetilde H =\begin{bmatrix}\vdots
\\\widetilde h_{j}\\\vdots\end{bmatrix}$, $\Delta H\equiv\begin{bmatrix}\vdots \\\Delta
h_{j}\\\vdots\end{bmatrix}$
불확정 선형 측정방정식 (9)에서 $\widetilde H_{k}$는 거리 차 측정치로 구성된 측정행렬을 의미하며, 아래와 같이 실제 상황에서 알
수 없는 측정행렬의 참값 $H_{k}$와 통계적 속성을 갖는 파라미터 불확실성 $\Delta H_{k}$로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식(8), (9)를 이용하여 측정잡음 벡터 $\ symbol{v}_{k}$와 파라미터 불확실성 $\Delta H_{k}$의 통계적 속성을 아래와 같이 유도할 수 있다.
고안된 거리 차 측정센서의 수신기 배치 구조로부터, 파라미터 불확실성 $\Delta H_{k}$와 측정잡음 벡터 $\ symbol{v}_{k}$ 간의
상호상관을 의미하는 식(14)를 다음과 같이 근사할 수 있다.
3.2 기하학적 제약조건을 고려한 강인 가중 최소자승 기법
선형 불확정 시스템 (9)에서 통계적 파라미터 불확실성 $\Delta H_{k}$를 인위적으로 무시할 경우, 공칭 최소자승(NoLS: nominal
least-squares) 추정이론 기반의 측위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점검용 UAV의 운용환경을 감안할 때, 거리차 측정치의 SNR(signal
to noise ratio)이 낮아질 소지가 다분하다. 이 경우, 측정행렬 $\widetilde H_{k}$에 내포된 통계적 파라미터 불확실성 $\Delta
H_{k}$의 영향이 커져 NoLS 기반 측위기법의 성능 저하가 불가피하다(18).
표 1. 강인 가중 최소자승 추정기법[17]
Table 1. Robust weighted least-squares estimation approach
Measurement model
|
$\ symbol{y}_{k}=\begin{bmatrix}\widetilde H_{k}-\Delta H_{k}\end{bmatrix}\ symbol{x}_{k}+
\ symbol{v}_{k}$
|
Known statistics
|
$E\left\{\ symbol{v}_{k}\right\}= \ symbol{0}$, $E\left\{\Delta H_{k}\right\}= \ symbol{0}$,
$W_{k}= E\left\{\Delta H_{k}^{T}R_{k}^{-1}\Delta H_{k}\right\}$, $V_{k}= E\left\{\Delta
H_{k}^{T}R_{k}^{-1}\ symbol{v}_{k}\right\}$
|
Estimate
|
$P_{k}=\left(\sum_{i=0}^{k}\left(\widetilde H_{i}^{T}R_{i}^{-1}\widetilde H_{i}- W_{i}\right)\right)^{-1}$,
$\ symbol {\hat{x}}_{k}= P_{k}\sum_{i=0}^{k}\left(\widetilde H_{i}^{T}R_{k}^{-1}\
symbol{y}_{i}- V_{i}\right)$
|
이에 대한 해법으로 RWLS 추정이론을 활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17). 표 1에 정리된 바와 같이 RWLS 알고리듬은 설계변수 $W_{k}$와 $V_{k}$을 이용하여 통계적 파라미터 불확실성 $\Delta H_{k}$가 야기하는
추정오차를 제거한다. 이때, 우수한 추정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정확한 설계변수의 사용이 전제되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 상황에서는 거리 차 측정잡음
분산 $\sigma_{r,\:j}^{2}$을 정확히 알 수 없다. 이는 설계변수 $W_{k}$의 불완전성 뿐만 아니라 RWLS 기반 측위 알고리듬의
성능저하를 초래한다(17).
이제, 송수신기 간 상대위치와 상대거리로 정의된 상태변수 간의 기하학적 상관관계로부터 도출된 제약조건을 이용하여 설계변수 $W_{k}$의 불완전성을
추정 및 보상하는 방법을 생각해보자. $j$번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거리 차 측정잡음 $\delta r_{j}$가 서로 비상관이라면, RWLS 추정기의
설계 파라미터 $W$는 식(13)과 같이 거리 차 측정잡음 분산 $\sigma_{r,\: j}^{2}$에 의해 그 값이 결정되며, 편의상 이를 아래와 같이 다시 쓸 수 있다.
식(16)에서, 행렬 $W$는 (3,3) 성분 이외에는 모든 성분이 0인 회소행렬 (sparse matrix)이므로, 불완전한 설계변수 $W$와 이상적인 설계변수
$W^{o}$ 간에 다음과 같은 관계가 존재한다고 가정해도 무방하다.
식(17)에서, $\gamma$는 $W$의 불완전성을 모델링하기 위해 도입된 미지계수이다.
이상적인 설계변수 $W^{o}$와 불완전한 설계변수 $W$를 각각 사용하여 계산된 추정치 $\hat x_{k}^{o}$와 $\hat x_{k}$을
고려해보자.
식(17)을 식(18)에 대입한 후 결과 식을 정리하면, 이상적인 설계변수 $W^{o}$를 사용하여 계산된 추정치 $\hat x_{k}^{o}$를 불완전한 설계변수 $W$와
이를 사용하여 계산된 추정치 $\hat x_{k}$의 함수로 다시 쓸 수 있다.
한편, 식(9)의 상태변수 $ x$는 다음 등식을 만족시킨다.
여기서
$M =\begin{bmatrix}1 & 0 & 0 \\ 0 & 1 & 0 \\ 0 & 0 & -1\end{bmatrix}$.
제약조건(hard constraint) 식(21)을 이용하면 설계변수 $W$의 불완전성을 보상하는 파라미터 $\gamma$를 산출할 수 있다.
Theorem 1 상태변수 간의 기하학적 상관관계를 정의하기 위한 제약조건 (21)은 미지계수 $\gamma$로 정의된 $\lambda$에 대한 2차
방정식으로 변환된다.
여기서
$c_{0}= \hat x_{k}^{T}M \hat x_{k}$,
$c_{1}= \hat x_{k}^{T}\left(M P_{k}W_{k}+ W_{k}P_{k}M\right) \hat x_{k}$,
$c_{2}= \hat x_{k}^{T}\left(W_{k}P_{k}M P_{k}W_{k}\right) \hat x_{k}$
이며, $p_{33}$은 추정오차 공분산행렬 $P_{k}$의 (3,3) 성분이다.
Proof.
식(20)의 이상적인 추정치 $ \hat x^{o}$를 기하학적 제약조건 (21)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행렬 $\left(I -\gamma k P_{k}W\right)$를 대각화하면,
여기서
$P_{k}=\begin{bmatrix}p_{11} & p_{12} & p_{13}\\ * & p_{22} & p_{23}\\ * &
* & p_{33}\end{bmatrix}$, $S =\begin{bmatrix}1 & 0 & p_{13}/p_{33}\\ 0 & 1
& p_{23}/p_{33}\\ 0 & 0 & 1\end{bmatrix}$,
$D = I -\gamma k\dfrac{1}{w}W P_{k}W^{T}$.
위 식에서 대각행렬 $D$의 역행렬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lambda\equiv\gamma k /| D |$로 정의하면, 식(20)으로부터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이제, 식(26)을 식(23)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lambda$에 대한 2차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c_{0}= \hat x_{k}^{T}M \hat x_{k}$, $c_{1}= \hat x_{k}^{T}\left(M P_{k}W_{k}+
W_{k}P_{k}M\right) \hat x_{k}$$
$$c_{2}= \hat x_{k}^{T}\left(W_{k}P_{k}M P_{k}W_{k}\right) \hat x_{k}$$.
식(22)의 설계변수 보상치 $\hat\gamma$을 활용한 C-RWLS(constrained RWLS) 측위 알고리듬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Remark 3. 식(17)에 정의된 $\gamma$는 설계변수 $W$에 대한 모델링 오차를 정의하기 위한 미지계수 이다. 따라서, 모델링 오차가 크지 않다는 전제 하에 이차방정식
(27)의 해 중, 절대값이 가장 작은 해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설계변수는 거리 차 측정오차 분산의 가중 합으로 정의되므로 유효한 실수
해는 $\gamma > -1$을 만족해야 한다.
Remark 4. 측정잡음 벡터 $ v_{k}$의 분산 $R_{k}$는 추정기의 대역폭을 좌우하는 가중행렬일 뿐이며, 추정오차 평균 관점에서 제안된
표적 측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즉, 임의로 설정된 $R_{k}$에 대해 설계변수가 정상적으로 산출된다면, 제안된 C-RWLS 추정치는
여전히 상태변수의 참값으로 거의 확실히 수렴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