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artment of Mechanical and Control Engineering, Handong Global University, South Korea.)
  2. (School of Mechanical and Control Engineering, Handong Global University, South Korea)



Geometric constraint, relative location estimator, UAV inspection applications

1. 서 론

변전소는 발전시설에서 생산된 전력을 수용가에 공급하기 위하여 대도시 및 국가산단 공급 말단에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주요 전력시설 중 하나이다. 수송 배분된 전력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서는 변전설비의 보전 기술이 필수적인데, 이는 변전설비 고장 시 전력계통의 대규모 정전과 같은 막대한 경제적 손실 및 사회적 파장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1,2). 따라서, 전력망 운용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변전설비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경년열화 및 노후화로 인한 결함 위치를 스스로 파악함으로써 고장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무인 자율점검 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송/배전 설비는 광범위한 감시환경, 복잡한 구조물, 고전압/전류로 인한 안전문제 등으로 인해 유인 점검이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휴대용 설비진단 장치를 탑재한 무인비행체 (UAV: unmanned aerial vehicle)를 활용한 전력설비 및 고압선로를 점검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1-5). 설비 점검에 활용되는 UAV는 송전탑 등 주요 설비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비행경로를 설정하고, 이로부터 점검대상 주변을 선회하며 임무를 수행한다(6,7). 불행하게도, 변전소와 같이 많은 설비가 좁은 지역에 밀집되어 있는 경우 철골 구조물들로 인해 UAV의 비행제어에 필수적인 GPS의 수신신호 장애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7). 또한, 고압선로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간혹 UAV에 탑재된 지자기계에 간섭을 일으켜 자세오차를 유발하거나, 지상관제국(GCS: ground control system)과의 통신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8,9). 따라서, 전력설비 점검용 UAV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환경적 영향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며, 특히 GPS 음영지역에서도 UAV 비행제어를 위한 가장 기본적 정보인 항법정보의 안정적 확보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GPS 비가용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점검용 UAV에 영상센서를 탑재한 후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과 같은 지도기반 보정항법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다(10-12). 이 방법은 센서로부터 UAV에 대한 점검대상 설비의 각위치(angular position) 측정치를 획득한 뒤, 확장칼만필터(EKF: extended Kalman filter)와 같은 비선형 추정기법을 적용하여 관심설비 주변의 지도와 UAV의 위치를 산출한다(13). 하지만, 영상센서 운용 시 UAV의 진동으로 인해 영상품질이 저하되거나, 영상센서 자체의 해상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위치산출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14,15). 여기에 더해, 방대한 영상데이터 처리로 인한 계산량 증가, 비선형 측위필터의 불만족스러운 수렴특성 등은 SLAM 기법의 주요 단점들로 지적되고 있다(16).

그림. 1. 무인비행체 변전설비 점검: GPS 비가용 환경

Fig. 1. UAV-based electrical substation inspection: non-GPS environment

../../Resources/kiee/KIEE.2021.70.3.526/fig1.png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GPS 비가용 환경에서 변전설비 점검용 UAV에 항법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측위센서의 설계 개념을 제시한다. 제안한 보조항법 센서는 GPS 신호 불량 지역에 위치한 송신기와 UAV에 탑재된 십자형 수신기 어레이로 구성된다. 수신기 어레이에서 제공된 도래시간 차 (혹은 거리 차) 형태의 피동(passive) 측정치와 UAV의 상대위치는 서로 비선형 관계를 가지므로, 측위센서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소위 피동 비선형 상태추정 문제를 다루어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거리 차와 상대위치 간의 비선형 측정관계를 불확정 선형 측정방정식 형태로 모델링한 후, 여기에 최근 개발된 선형 강인 가중 최소자승(RWLS: robust weighted least-squares) 추정 기법을 적용한다(17). 제안한 접근법을 채택할 경우, 적은 계산량으로도 비선형 측위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형 추정기의 특성 상 안정적인 수렴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실제 상황에서는 RWLS 추정기의 설계 변수 계산에 사용되는 수신기 어레이의 거리 차 측정잡음 분산이 정확히 주어지지 않는 경우, RWLS의 성능이 저하될 소지가 있다(17).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수신기 어레이에 대한 UAV 상대위치 및 상대거리가 갖는 상관식을 추가적인 제약조건으로 활용하는 C-RWLS(constrained robust weighted least-squares) 추정기법이 설계된다. 제안된 기법은 선형 순환 추정기 구조를 갖고 있어 측위센서의 실시간 구현에 적합하다. 제안된 측위센서 설계 개념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초음파 어레이를 활용하여 센서 하드웨어를 구현하고,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분석한다.

2. 거리 차 측정센서 구성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측위센서 하드웨어의 구성은 그림 2와 같다. 십자형 수신기 어레이는 UAV에 탑재되어 기준 수신기(Rx #0)로부터 $d$만큼 떨어져 있는 $j$번째 수신기(Rx #$j$)의 도래시간 차 정보 $\Delta t_{j}$를 제공한다. 만일, 송신신호의 전파속도 $c$가 주어진다면, 이를 거리 차 $r_{j}$로 환산할 수 있다.

그림. 2. 거리 차 피동 측정센서: 십자형 수신기 어레이

Fig. 2. Passive sensor for measuring range difference: cruciform receiver array

../../Resources/kiee/KIEE.2021.70.3.526/fig2.png

그림. 3. 거리 차 피동 측정센서: 신호처리 과정

Fig. 3. Passive sensor for measuring range difference: block diagram of signal processing

../../Resources/kiee/KIEE.2021.70.3.526/fig3.png

(1)
$r_{j}\equiv c · \Delta t_{j},\: j=1,\: 2,\: ...,\: 4.$

사전에 위치가 정확히 알려져 있는 송신기에서 방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도래시간 차 $\Delta t_{j}$를 획득하기 위한 수신기 어레이의 신호처리부는 그림 3과 같다. 각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는 증폭기와 비교기를 거쳐 기준 수신기의 수신 신호와의 위상 차(혹은 도래시간 차)를 산출하기 위한 구형파($z_{0},\: z_{j}$)로 변환된다. 다음으로, 논리회로를 통해 도래시간 차를 의미하는 전압신호($z_{o} · z_{j}$)가 추출된다. 추출된 신호는 MCU(micro- processor unit)에서 거리 차 정보 $r_{j}$로 변환되어 측위 알고리듬의 입력으로 사용된다. 실제 신호처리부에서 측위를 위해 제공되는 거리 차 측정치 $\widetilde r_{j}$는 아래와 같이 참값 $r_{j}$와 정규분포를 따르는 측정잡음 $\delta r_{j}$의 합으로 표현된다.

(2)
$\widetilde r_{j}= r_{j}+\delta r_{j},\:\delta r_{j}\sim N(0,\:\sigma_{r,\:j}^{2})$

여기서 $\sigma_{r,\:j}^{2}$은 거리 차 측정잡음의 분산을 의미한다.

Remark 1. 고안된 거리 차 센서의 측정잡음 $\delta r_{j}$는 측정환경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지므로, 실제 상황에서는 사전에 주어진 측정잡음 분산 $\sigma_{r,\:j}^{2}$이 변화한다. 이는 측정치의 사전정보가 정확하다는 전제 하에 설계되는 측위 알고리듬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주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Remark 2. 부정확한 측정잡음 분산 $\sigma_{r,\:j}^{2}$의 사용에 따른 측위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 중 하나는 가용한 부가 정보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상대위치의 기하학적 상관관계로 유도되는 제약조건을 활용하여 측정잡음 분산의 부정확성을 실시간으로 보상하는 방법이 제시된다.

3. 점검용 UAV의 거리 차 측정치 기반 측위 알고리듬 설계

거리 차 측정치를 이용한 점검용 UAV의 측위센서를 설계해보자. 이를 위해, 먼저 GPS 신호불량 위치에 놓인 송신기와 점검용 UAV에 탑재된 수신기 어레이 간 상대위치 및 거리 차 측정치와의 관계를 선형 불확정 측정방정식으로 모델링 한다. 다음으로, 상대위치 및 상대거리로 구성된 상태변수 간의 기하학적 상관관계로 도출되는 제약조건을 이용한 측위 알고리듬의 설계 방법이 제시된다.

3.1 선형 불확정 측정모델

그림 2의 상대기하로부터, 기준 및 $j$번째 수신기의 수신신호를 이용하여 산출된 거리 차 $r_{j}$는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3)
$r_{j}= d_{t,\:j}- d_{t,\:0},\: j=1,\: 2,\: ...,\: 4.$

이때, 송신기와 $j$번째 수신기 간 거리 $d_{t,\:j}$는 아래와 같다.

(4)
$d_{t,\:j}=\sqrt{(x_{t}-x_{j})^{2}+(y_{t}-y_{j})^{2}+ h^{2}}$

여기서 $h$는 송신기와 수신기 어레이 간의 높이를 의미한다.

식(4)와 동일한 방법으로, 기준 수신기에서 $j$번째 수신기까지의 거리 $d_{j,\:0}$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5)
$d_{j,\:0}=\sqrt{(x_{j}-x_{0})^{2}+(y_{j}-y_{0})^{2}}$

식(3)의 양변을 제곱한 후 식(4)를 대입하면 다음 선형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6)
$r_{j}^{2}- d_{j,\:0}^{2}= h_{j}\begin{bmatrix}x_{t}-x_{0}\\ y_{t}-y_{0}\\ d_{t,\:0}\end{bmatrix}$

여기서

$h_{j}= -2\begin{bmatrix}(x_{j}-x_{0}) & (y_{j}-y_{0}) & d_{t,\:0}\end{bmatrix}$.

거리 차 측정치 (2)를 유도한 선형 관계식 (6)에 대입 후 정리하여 선형 불확정 회귀방정식 (7)이 유도된다.

(7)
$\widetilde r_{j}^{2}- d_{j,\:0}^{2}-\sigma_{r,\: j}^{2}=\begin{bmatrix}\widetilde h_{j}-\Delta h_{j}\end{bmatrix}\begin{bmatrix}x_{t}-x_{0}\\y_{t}-y_{0}\\d_{t,\:0}\end{bmatrix}+ v_{j}$

여기서

$\widetilde h_{j}\equiv -2\begin{bmatrix}(x_{j}-x_{0}) & (y_{j}-y_{0}) & \widetilde r_{j}\end{bmatrix}$,

$\Delta h_{j}\equiv -2\begin{bmatrix}0 & 0 & \delta r_{j}\end{bmatrix}$, $v_{j}\equiv 2\widetilde r_{j}\delta r_{j}-\delta r_{j}^{2}-\sigma_{r,\:j}^{2}$.

위 식에서, $j$번째 수신기의 측정잡음 $v_{j}$에 대한 공분산 $R_{j}$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8)
$R_{j}\equiv var\left\{v_{j}\right\}= 2\sigma_{r,\:j}^{2}(2r_{j}^{2}+\sigma_{r,\:j}^{2})$

모든 수신기에 대해 불확정 선형 회귀방정식 (7)이 만족되므로, 회귀방정식들을 종합하면 $k$ 시점에서 다음과 같은 불확정 선형 측정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9)
$$ \ symbol{y}_{k}=H_{k} \ symbol{x}_{k}+\ symbol{v}_{k}=\left[\tilde{H}_{k}-\Delta H_{k}\right] \ symbol{x}_{k}+\ symbol{v}_{k} $$

여기서 상태변수 $\ symbol{x}$, 측정치 벡터 $\ symbol{y}$, 측정잡음 벡터 $\ symbol{v}$ 및 관련 행렬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symbol{x} \equiv\begin{bmatrix}(x_{t}-x_{0}) & (y_{t}-y_{0}) & d_{t,\:0}\end{bmatrix}^{T}$,

$\ symbol{y} =\begin{bmatrix}\vdots \\\widetilde r_{j}^{2}- d_{j,\:0}^{2}-\sigma_{r,\:j}^{2}\\\vdots\end{bmatrix}$, $ v =\begin{bmatrix}\vdots \\ v_{j}\\\vdots\end{bmatrix}$,

$H\equiv\begin{bmatrix}\vdots \\ h_{j}\\\vdots\end{bmatrix}$, $\widetilde H =\begin{bmatrix}\vdots \\\widetilde h_{j}\\\vdots\end{bmatrix}$, $\Delta H\equiv\begin{bmatrix}\vdots \\\Delta h_{j}\\\vdots\end{bmatrix}$

불확정 선형 측정방정식 (9)에서 $\widetilde H_{k}$는 거리 차 측정치로 구성된 측정행렬을 의미하며, 아래와 같이 실제 상황에서 알 수 없는 측정행렬의 참값 $H_{k}$와 통계적 속성을 갖는 파라미터 불확실성 $\Delta H_{k}$로 표현할 수 있다.

(10)
$\widetilde H_{k}= H_{k}+\Delta H_{k}$

한편, 식(8), (9)를 이용하여 측정잡음 벡터 $\ symbol{v}_{k}$와 파라미터 불확실성 $\Delta H_{k}$의 통계적 속성을 아래와 같이 유도할 수 있다.

(11)
$E\left\{\ symbol{v}_{k}\right\}= 0^{4\times 1}$, $E\left\{\Delta H_{k}\right\}= 0^{4\times 3}$

(12)
$R_{k}\equiv var\left\{ v_{k}\right\}= diag(\begin{bmatrix}\cdots & R_{j} & \cdots\end{bmatrix})$

(13)
$W_{k}\equiv E\left\{\Delta H_{k}^{T}R_{k}^{-1}\Delta H_{k}\right\}= diag\left(\begin{bmatrix}0 & 0 & \sum_{j=1}^{4}\dfrac{2}{2 r_{j}^{2}+\sigma_{r,\:j}^{2}}\end{bmatrix}\right)$

(14)
$V_{k}\equiv E\left\{\Delta H_{k}^{T}R_{k}^{-1}\ symbol{v}_{k}\right\}=\begin{bmatrix}0 & 0 & -\sum_{j=1}^{4}\dfrac{2 r_{j}}{2 r_{j}^{2}+\sigma_{r,\:j}^{2}}\end{bmatrix}^{T}$

고안된 거리 차 측정센서의 수신기 배치 구조로부터, 파라미터 불확실성 $\Delta H_{k}$와 측정잡음 벡터 $\ symbol{v}_{k}$ 간의 상호상관을 의미하는 식(14)를 다음과 같이 근사할 수 있다.

(15)
$V_{k}\approx 0^{3\times 1}$

3.2 기하학적 제약조건을 고려한 강인 가중 최소자승 기법

선형 불확정 시스템 (9)에서 통계적 파라미터 불확실성 $\Delta H_{k}$를 인위적으로 무시할 경우, 공칭 최소자승(NoLS: nominal least-squares) 추정이론 기반의 측위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점검용 UAV의 운용환경을 감안할 때, 거리차 측정치의 SNR(signal to noise ratio)이 낮아질 소지가 다분하다. 이 경우, 측정행렬 $\widetilde H_{k}$에 내포된 통계적 파라미터 불확실성 $\Delta H_{k}$의 영향이 커져 NoLS 기반 측위기법의 성능 저하가 불가피하다(18).

표 1. 강인 가중 최소자승 추정기법[17]

Table 1. Robust weighted least-squares estimation approach

Measurement model

$\ symbol{y}_{k}=\begin{bmatrix}\widetilde H_{k}-\Delta H_{k}\end{bmatrix}\ symbol{x}_{k}+ \ symbol{v}_{k}$

Known statistics

$E\left\{\ symbol{v}_{k}\right\}= \ symbol{0}$, $E\left\{\Delta H_{k}\right\}= \ symbol{0}$,

$W_{k}= E\left\{\Delta H_{k}^{T}R_{k}^{-1}\Delta H_{k}\right\}$, $V_{k}= E\left\{\Delta H_{k}^{T}R_{k}^{-1}\ symbol{v}_{k}\right\}$

Estimate

$P_{k}=\left(\sum_{i=0}^{k}\left(\widetilde H_{i}^{T}R_{i}^{-1}\widetilde H_{i}- W_{i}\right)\right)^{-1}$, $\ symbol {\hat{x}}_{k}= P_{k}\sum_{i=0}^{k}\left(\widetilde H_{i}^{T}R_{k}^{-1}\ symbol{y}_{i}- V_{i}\right)$

이에 대한 해법으로 RWLS 추정이론을 활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17). 표 1에 정리된 바와 같이 RWLS 알고리듬은 설계변수 $W_{k}$와 $V_{k}$을 이용하여 통계적 파라미터 불확실성 $\Delta H_{k}$가 야기하는 추정오차를 제거한다. 이때, 우수한 추정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정확한 설계변수의 사용이 전제되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 상황에서는 거리 차 측정잡음 분산 $\sigma_{r,\:j}^{2}$을 정확히 알 수 없다. 이는 설계변수 $W_{k}$의 불완전성 뿐만 아니라 RWLS 기반 측위 알고리듬의 성능저하를 초래한다(17).

이제, 송수신기 간 상대위치와 상대거리로 정의된 상태변수 간의 기하학적 상관관계로부터 도출된 제약조건을 이용하여 설계변수 $W_{k}$의 불완전성을 추정 및 보상하는 방법을 생각해보자. $j$번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거리 차 측정잡음 $\delta r_{j}$가 서로 비상관이라면, RWLS 추정기의 설계 파라미터 $W$는 식(13)과 같이 거리 차 측정잡음 분산 $\sigma_{r,\: j}^{2}$에 의해 그 값이 결정되며, 편의상 이를 아래와 같이 다시 쓸 수 있다.

(16)
$W =\begin{bmatrix}0 & 0 & 0 \\ 0 & 0 & 0 \\ 0 & 0 & w\end{bmatrix}$, $w =\sum_{j=0}^{4}\dfrac{2\sigma_{r,\: j}^{2}}{R_{j}}$

식(16)에서, 행렬 $W$는 (3,3) 성분 이외에는 모든 성분이 0인 회소행렬 (sparse matrix)이므로, 불완전한 설계변수 $W$와 이상적인 설계변수 $W^{o}$ 간에 다음과 같은 관계가 존재한다고 가정해도 무방하다.

(17)
$W =\dfrac{1}{1+\gamma}W^{o}$

식(17)에서, $\gamma$는 $W$의 불완전성을 모델링하기 위해 도입된 미지계수이다.

이상적인 설계변수 $W^{o}$와 불완전한 설계변수 $W$를 각각 사용하여 계산된 추정치 $\hat x_{k}^{o}$와 $\hat x_{k}$을 고려해보자.

(18)
$P_{k}^{o}=\left(\sum_{i=0}^{k}\left(\widetilde H_{i}^{T}R_{i}^{-1}\widetilde H_{i}- W_{i}^{o}\right)\right)^{-1}$, $\hat x_{k}^{o}= P_{k}^{o}\sum_{i=0}^{k}\left(\widetilde H_{i}^{T}R_{i}^{-1} y_{i}\right)$

(19)
$P_{k}=\left(\sum_{i=0}^{k}\left(\widetilde H_{i}^{T}R_{i}^{-1}\widetilde H_{i}- W_{i}\right)\right)^{-1}$, $\hat x_{k}= P_{k}\sum_{i=0}^{k}\left(\widetilde H_{i}^{T}R_{i}^{-1} y_{i}\right)$

식(17)식(18)에 대입한 후 결과 식을 정리하면, 이상적인 설계변수 $W^{o}$를 사용하여 계산된 추정치 $\hat x_{k}^{o}$를 불완전한 설계변수 $W$와 이를 사용하여 계산된 추정치 $\hat x_{k}$의 함수로 다시 쓸 수 있다.

(20)
$\hat x_{k}^{o}=\left(I -\gamma k P_{k}W\right)^{-1}\hat x_{k}$

한편, 식(9)의 상태변수 $ x$는 다음 등식을 만족시킨다.

(21)
$(x_{t}-x_{0})^{2}+(y_{t}-y_{0})^{2}-d_{t,\:0}^{2}+ h^{2}= 0$ $\to x^{T}M x + h =0$

여기서

$M =\begin{bmatrix}1 & 0 & 0 \\ 0 & 1 & 0 \\ 0 & 0 & -1\end{bmatrix}$.

제약조건(hard constraint) 식(21)을 이용하면 설계변수 $W$의 불완전성을 보상하는 파라미터 $\gamma$를 산출할 수 있다.

Theorem 1 상태변수 간의 기하학적 상관관계를 정의하기 위한 제약조건 (21)은 미지계수 $\gamma$로 정의된 $\lambda$에 대한 2차 방정식으로 변환된다.

(22)
$c(\lambda)=\sum_{m=0}^{2}c_{m}\lambda^{m}= 0$, $\lambda\equiv\dfrac{\gamma k}{1 -\gamma k w p_{33}}$

여기서

$c_{0}= \hat x_{k}^{T}M \hat x_{k}$,

$c_{1}= \hat x_{k}^{T}\left(M P_{k}W_{k}+ W_{k}P_{k}M\right) \hat x_{k}$,

$c_{2}= \hat x_{k}^{T}\left(W_{k}P_{k}M P_{k}W_{k}\right) \hat x_{k}$

이며, $p_{33}$은 추정오차 공분산행렬 $P_{k}$의 (3,3) 성분이다.

Proof.

식(20)의 이상적인 추정치 $ \hat x^{o}$를 기하학적 제약조건 (21)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3)
$ \hat x_{k}^{T}\left(I -\gamma P_{k}W\right)^{-T}M\left(I -\gamma P_{k}W\right)^{-1} \hat x_{k}= 0$

행렬 $\left(I -\gamma k P_{k}W\right)$를 대각화하면,

(24)
$I -\gamma k P_{k}W = S D S^{-1}$

여기서

$P_{k}=\begin{bmatrix}p_{11} & p_{12} & p_{13}\\ * & p_{22} & p_{23}\\ * & * & p_{33}\end{bmatrix}$, $S =\begin{bmatrix}1 & 0 & p_{13}/p_{33}\\ 0 & 1 & p_{23}/p_{33}\\ 0 & 0 & 1\end{bmatrix}$,

$D = I -\gamma k\dfrac{1}{w}W P_{k}W^{T}$.

위 식에서 대각행렬 $D$의 역행렬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25)
$D^{-1}= I +\dfrac{\gamma k}{| D |}\dfrac{1}{w}W P_{k}W^{T}$, $| D | = 1 -\gamma k w p_{33}$

$\lambda\equiv\gamma k /| D |$로 정의하면, 식(20)으로부터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26)
$\left(I -\gamma k P_{k}W\right)^{-1}= I +\lambda P_{k}W$

이제, 식(26)식(23)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lambda$에 대한 2차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27)
$c(\lambda)= \hat x_{k}^{T}\left(I+\lambda P_{k}W\right)^{T}M\left(I+\lambda P_{k}W\right) \hat x_{k}=\sum_{m=0}^{2}c_{m}\lambda^{m}= 0$

여기서

$$c_{0}= \hat x_{k}^{T}M \hat x_{k}$, $c_{1}= \hat x_{k}^{T}\left(M P_{k}W_{k}+ W_{k}P_{k}M\right) \hat x_{k}$$

$$c_{2}= \hat x_{k}^{T}\left(W_{k}P_{k}M P_{k}W_{k}\right) \hat x_{k}$$.

식(22)의 설계변수 보상치 $\hat\gamma$을 활용한 C-RWLS(constrained RWLS) 측위 알고리듬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28)
$$P_{k}^{c}=\left(\sum_{i=0}^{k}\left(\widetilde H_{i}^{T}R_{i}^{-1}\widetilde H_{i}-(1+\hat\gamma)W_{i}\right)\right)^{-1}$$, $$ \hat x_{k}^{c}= P_{k}^{c}\sum_{i=0}^{k}\left(\widetilde H_{i}^{T}R_{i}^{-1} y_{i}\right)$$

Remark 3. 식(17)에 정의된 $\gamma$는 설계변수 $W$에 대한 모델링 오차를 정의하기 위한 미지계수 이다. 따라서, 모델링 오차가 크지 않다는 전제 하에 이차방정식 (27)의 해 중, 절대값이 가장 작은 해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설계변수는 거리 차 측정오차 분산의 가중 합으로 정의되므로 유효한 실수 해는 $\gamma > -1$을 만족해야 한다.

Remark 4. 측정잡음 벡터 $ v_{k}$의 분산 $R_{k}$는 추정기의 대역폭을 좌우하는 가중행렬일 뿐이며, 추정오차 평균 관점에서 제안된 표적 측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즉, 임의로 설정된 $R_{k}$에 대해 설계변수가 정상적으로 산출된다면, 제안된 C-RWLS 추정치는 여전히 상태변수의 참값으로 거의 확실히 수렴하게 된다.

4. 성능분석

4.1 실험환경 및 조건

제안된 제약조건을 고려하는 측위센서 설계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표 2에 요약된 실내 실험환경을 구축하여 모의실험 및 실제 실험을 수행하였다. 거리 차 측정센서 고안 시, 실제로는 변전설비 환경을 고려하여 전자파 간섭영향이 미미한 RF 안테나를 이용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실 레벨에서의 GPS 보조 측위센서 설계기법 검증에 초점을 맞추어, 그림 2와 같이 초음파 수신기 어레이가 십자 배열되며 그림 3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아날로그 회로와 MCU가 포함된 거리 차 측정센서 PCB를 제작하였다. 제안된 측위센서 설계 알고리듬은 RF 송수신기를 채택한 거리 차 센서에도 동일한 설계 개념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야외 환경에서의 실험수행 및 결과 분석은 추후 연구에서 다룬다.

표 2. 실험환경 구성

Table 2. Configuration of experiment environment

구분

내용

송수신기

품명

초음파센서 (328ST/SR160)

수신기 간격

$d = 16$ [mm]

측정치 획득

Arduino MKR1000 WIFI

UAV

품명

Parrot ANAFI Thermal

체공 높이

$h = 2.6$ [m]

참값 획득방법

Optitrack

([mm]급 정밀 모션캡처 장비)

표 3. 모의실험 및 실제실험 조건

Table 3. Simulation and experimental conditions

item

parameter

noise statistics

$\sigma_{r,\:j}^{2}=(0.01\times 10^{-3}[{m}])^{2}$

initial

values

∙OWLS, RWLS, C-RWLS

$ x_{|0}=\begin{bmatrix}x_{t}+ N(0,\: 0.05^{2})\\ y_{t}+ N(0,\: 0.05^{2})\\ d_{t,\:0}+ N(0,\: 0.05^{2})\end{bmatrix}$$[{m}]$,

$P_{0}= diag(\begin{bmatrix}0.01^{2} & 0.01^{2} & 2\times 0.01^{2}\end{bmatrix})$$[{m}^{2}]$

∙EKF

$ x_{|0}=\begin{bmatrix}x_{t}+ N(0,\: 0.05^{2})\\ y_{t}+ N(0,\: 0.05^{2})\end{bmatrix}$$[{m}]$,

$P_{0}= diag(\begin{bmatrix}0.01^{2} & 0.01^{2}\end{bmatrix})$$[{m}^{2}]$

number of trials

simulation

experiments

200

50

다음으로, 상용 UAV인 Parrot ANAFI Thermal에 고안된 수신기 어레이를 탑재하여 그림 4와 같이 다양한 테스트 지점에서 초음파 송신기와의 높이 $h=2.6[{m}]$으로 체공하는 환경을 구축하였다. 이로부터, 기준 위치에 고정시킨 송신기와 총 9개의 UAV 위치에서 거리 차 측정치를 획득하였다. 또한, 송신기와 UAV 간 절대위치 참값 획득을 위해 위치정보 수 [mm] 급 사양의 정밀 모션캡처 시스템인 Optitrack을 활용하였다.

제안된 C-RWLS 측위 기법과의 정량적인 성능비교를 위해 실제 상황에서는 구현할 수 없는 최적 가중 최소자승 (optimal weighted least-squares, OWLS) 및 기존 RWLS 측위 기법의 UAV 위치 추정치가 제시된다. 수렴특성을 통해 실시간 구현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EKF 기반 측위필터를 비교대상으로 삼았다(19). 실험조건은 표 3에 정리하였으며, 초기치에 기술된 $N(a,\:b)$는 정규분포의 평균 $a$ 및 분산 $b$를 뜻한다.

그림. 4. 성능분석을 위한 UAV 위치(테스트 지점)

Fig. 4. Test points for performance analysis

../../Resources/kiee/KIEE.2021.70.3.526/fig4.png

그림. 5. $\hat\gamma$ 추정성능

Fig. 5. Performance of $\hat\gamma$ estimate

../../Resources/kiee/KIEE.2021.70.3.526/fig5.png

4.2 시뮬레이션 결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시한 $\gamma$ 추정 방법과 C-RWLS 측위기법의 유용성을 확인한다. 그림 5로부터, 설계변수의 불완전성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제안된 제약조건을 이용하는 설계변수 보상 알고리듬을 통해 최대 추정오차의 RMSE가 0.007 이내의 값을 가지고 있어 거의 확실히 보상항 참값 $\gamma$를 산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불완전한 설계변수 $W$가 사용된 경우의 측위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그림 4에서 UAV가 테스트 지점 #7에 위치하고 있을 때 미지계수 $\gamma$에 대한 표적 위치$(x_{t},\: y_{t})$ 추정오차는 그림 6과 같다. $\gamma$의 크기, 즉 추정기 설계변수의 불완전성이 커질수록 기존 RWLS의 위치추정치 RMSE가 최대 18[mm]까지 증가하나, 제안된 C-RWLS 측위 알고리듬은 모든 $\gamma$에 대하여 추정오차가 거의 제거되어 이론적으로 최적 측위성능을 제공하지만 실제로는 구현이 불가능한 OWLS 결과와 유사한 수준을 지닌다. 이는 C-RWLS 측위 알고리듬이 설계변수 $W$의 불완전성을 적절히 보상하여 측위성능을 개선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그림. 6. 설계별수 불완전성에 따른 측위성능 변화

Fig. 6. Localization performance variation due to the imperfect design parameter

../../Resources/kiee/KIEE.2021.70.3.526/fig6.png

그림. 7. 테스트 지점별 측위성능

Fig. 7. Localization performance at various test points

../../Resources/kiee/KIEE.2021.70.3.526/fig7.png

그림. 8. 7번 테스트 지점에 대한 위치추정치 수렴특성

Fig. 8. Convergence property at Test Point #7

../../Resources/kiee/KIEE.2021.70.3.526/fig8.png

다음으로, 그림 4의 테스트 지점들에서 $\gamma = 0.3$일 때의 측위 성능은 그림 7에 도시한 바와 같다. EKF의 경우 선형 추정기와 달리 모든 지점들에 대해 큰 측위오차를 보인다. 기존 RWLS 기법의 측위오차는 EKF에 비해 약 2배 가량 개선된 3~5 [mm] 수준을 유지하지만, 설계변수 불확실성($\gamma = 0.3$)으로 인해 측위성능 제고에 한계를 보인다. 이와 달리, 제안된 C-RWLS 측위 알고리듬은 모든 테스트 지점들에 대하여 이상적인 추정치(OWLS)와 유사한 결과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그림. 9. 테스트 지점별 측위성능 (실험결과)

Fig. 9. Localization performance at various test points (experimental results)

../../Resources/kiee/KIEE.2021.70.3.526/fig9.png

그림. 10. 7번 테스트 지점에 대한 수렴특성 (실험결과)

Fig. 10. Convergence property at Test Point #7 (experimental result)

../../Resources/kiee/KIEE.2021.70.3.526/fig10.png

각 측위 알고리듬의 수렴특성은 그림 8에서 확인 가능하다. EKF는 비선형 측정방정식의 사용으로 인해 매우 느린 수렴특성을 보이는 반면, 3.1절의 불확정 선형 측정방정식을 사용하는 RWLS 및 C-RWLS 측위기법은 상대적으로 매우 빠른 수렴 특성을 보인다. 이는 측위 알고리듬 구성 시, 선형 추정기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수렴속도 향상 측면에서 매우 유리함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4.3 실험 결과

그림 2의 십자형 수신기 어레이로부터 획득된 거리 차 측정치를 이용하여 실제 실험을 수행하였다. 4.1절의 실험 조건을 토대로 실제 UAV에 초음파 어레이로 구현한 거리 차 센서를 탑재한 뒤, 그림 7그림 8과 동일한 테스트 지점에서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그림 9그림 10에 나타내었다.

그림 9로부터 EKF가 테스트 지점별로 6~12 [mm] 수준의 RMSE를 지녀 시뮬레이션 결과(그림 7)와 거의 대등한 경향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EKF의 수렴특성 역시 시뮬레이션 결과(그림 8)과 마찬가지 특성을 보인다. RWLS 측위 기법은 시뮬레이션 결과와 달리 위치측정치에 2~5 [mm] 정도의 편향오차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실험상황에서 RWLS 추정기의 설계변수 $W$에 사용된 거리차 측정치의 분산 $\sigma_{r,\:j}^{2}$이 실제와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반면, 제안된 C-RWLS 측위 알고리듬은 모든 테스트 지점들에 대하여 RWLS 대비 약 80% 가량의 측위 성능개선이 이루어진다. 더욱이, 제안된 기법은 불완전한 설계변수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위치 측정치가 매우 빠른 수렴속도와 안정적인 추정성능을 제공한다(그림 10). 이상의 결과로부터, 제안된 측위 알고리듬이 GPS 비가용 상황에서 전력설비 점검용 UAV의 안정적 임무수행에 필수적인 보조 측위센서의 설계 및 개발을 위한 실용적 해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5. 결론 및 향후계획

본 논문에서는 변전설비의 환경적 영향이 초래하는 GPS 비가용 환경에서 점검 UAV의 안정적인 임무수행을 위한 새로운 유형의 보조 측위센서 설계 개념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GPS 신호 불량 지역에 놓인 송신기와 점검 UAV에 탑재된 십자형 수신기 어레이 하드웨어 및 거리 차 측정치를 이용한 C-RWLS 측위 알고리듬의 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거리 차 측정치의 측정잡음 분산을 정확히 알 수 없는 실제 상황에서도 우수한 측위 성능을 보장하며, 선형 추정기 구조를 지니고 있어 실시간 구현에 적합하다. 모의실험 및 실내 환경에서 수행된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된 보조 측위센서 설계 개념이 지니는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추후, 지자기센서 간섭에 대응하기 위해, 복수 송신기를 이용하여 전력설비 점검 UAV의 자세각을 추정할 수 있는 보완된 C-RWLS 측위 알고리듬을 연구할 계획이다(20).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한국전력공사의 2019년 착수 사외공모 기초연구 사업에 의해 지원되었음 (R19XO01-51).

References

1 
S. Jordan, 2018, State-of-the-art technologies for UAV inspections, IET Radar, Sonar & Navigation, Vol. 12, No. 2, pp. 151-164DOI
2 
J. Y. Park, 2020, Drone Technology for Inspection and Diagnosis of Overhead Power Transmission Lines,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9, No. 4, pp. 4-8Google Search
3 
S. Babak, M. Myslovych, R. Sysak, Sep 2016, Module structure of UAV-based computerized systems for remote environment monitoring of energy facilities, In 2016 17th International Conference Computational Problems of Electrical Engineering (CPEE), Vol. ieee, pp. 1-3DOI
4 
K. Takaya, H. Ohta, V. Kroumov, K. Shibayama, M. Nakamura, Oct 2019, Development of UAV System for Autono- mous Power Line Inspection, In 2019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Theory, Control and Computing (ICSTCC), Vol. ieee, pp. 762-767DOI
5 
M. Rezinkina, O. Rezinkin, I. Karpaliuk, V. Grabko, May 2020, Control and Monitoring of Power Transmission Lines Condition over Wide Area with the Help of UAVs, In 2020 IEE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ergy Smart Systems (ESS), Vol. ieee, pp. 172-175DOI
6 
Y. Ham, K. K. Han, J. J. Lin, M. Golparvar-Fard, 2016, Visual monitoring of civil infrastructure systems via camera- equipped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a review of related works, Visualization in Engineering, Vol. 4, No. 1, pp. 1DOI
7 
S. T. Kim, J. Y. Park, J. K. Lee, J. W. Ham, M. H. Choi, 2018, Patrol Monitoring Plan for Transmission Towers with a Commercial Drone and its Field Tests,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Vol. 4, No. 2, pp. 115-123DOI
8 
J. W. Ham, S. T. Kim, J. K. Lee, J. Y. Park, I. H. Choi, 2017, Development of GPS Coordinate Measurement Device for Planning Waypoints of Power Line Inspection Drone, In 2017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pp. 523-524Google Search
9 
B. Li, Z. Fei, Y. Zhang, 2018, UAV communications for 5G and beyond: Recent advances and future trends, IEEE Internet of Things Journal, Vol. 6, No. 2, pp. 2241-2263DOI
10 
I. Cvišić, J. Ćesić, I. Marković, I. Petrović, 2018, SOFT‐SLAM: Computationally efficient stereo visual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for autonomous unmanned aerial vehicles, Journal of field robotics, Vol. 35, No. 4, pp. 578-595DOI
11 
X. Hu, M. Wang, C. Qian, C. Huang, Y. Xia, M. Song, Aug 2018, Lidar-based SLAM and autonomous navigation for forestry quadrotors, In 2018 IEEE CSAA Guidance, Vol. Navigation and Control Conference (CGNCC), No. IEEE, pp. 1-6DOI
12 
H. Bavle, La Puente P. De, J. P. How, P. Campoy, 2020, VPS-SLAM: Visual Planar Semantic SLAM for Aerial Robotic Systems, IEEE Access, Vol. 8, pp. 60704-60718DOI
13 
J. Nikolic, M. Burri, J. Rehder, S. Leutenegger, C. Huerzeler, R. Siegwart, Mar 2013, A UAV system for inspection of industrial facilities, In 2013 IEEE Aerospace Conference, Vol. ieee, pp. 1-8DOI
14 
C. Teuliere, E. Marchand, L. Eck, 2014, 3-D model-based tracking for UAV indoor localization, IEEE Transactions on cybernetics, Vol. 45, No. 5, pp. 869-879DOI
15 
E. Mingkhwan, W Khawsuk, Jan 2017, Digital image stabiliza- tion technique for fixed camera on small size drone, In 2017 Third Asian Conference on Defence Technology (ACDT) IEEE, pp. 12-19DOI
16 
J. Wang, J. Huang, R Cheng, July 2018, Automatic Reading System for Analog Instruments Based on Computer Vision and Inspection Robot for Power Plant, In 2018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delling, Identification and Control (ICMIC), Vol. ieee, pp. 1-6DOI
17 
U. S. Suh, Y. Lee, W. S. Ra, T. W. Kim, 2018, Robust Bearing Angle Error Estimation for Mobile Robots with a Gimballed Ultrasonic Seeker,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5, No. 7, pp. 5785-5795DOI
18 
K. H. Choi, W. S. Ra, S. Y. Park, J. B. Park, 2014, Robust least squares approach to passive target localiza- tion using ultrasonic receiver array,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1, No. 4, pp. 1993-2002DOI
19 
R. Zhang, F. Höflinger, L. Reindl, 2013, TDOA-based localization using interacting multiple model estimator and ultrasonic transmitter/receiver, IEEE Transactions on Instru- mentation and Measurement, Vol. 62, No. 8, pp. 2205-2214DOI
20 
K. Y. Choi, H. S. Cheon, J. B, Park, T. S. Yoon, 2013, Position and Heading Estim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 neers, Vol. 62, No. 3, pp. 387-394DOI

저자소개

서의석(Ui-Suk Suh)
../../Resources/kiee/KIEE.2021.70.3.526/au1.png

2015년 한동대학교 기게제어공학부 공학사,

2017년 동대학원 기계제어공학과 공학석사,

2019년~현재 동대학원 기계제어공학과 박사과정.

관심분야는 자동표적인식, 정보융합필터, 자율이동체 항법 및 제어 등

이찬석(Chan-Seok Lee)
../../Resources/kiee/KIEE.2021.70.3.526/au2.png

2021년 한동대학교 기계제어공학부 공학사,

2021년 동대학원 기계제어공학과 석사과정.

관심분야는 자동표적인식, Situational Awareness, 자율이동체 항법 및 제어 등

김태완(Tae-Wan Kim)
../../Resources/kiee/KIEE.2021.70.3.526/au3.png

2021년 한동대학교 기계제어공학부 학사과정.

관심분야는 무인비행체 항법 및 제어 등

나원상(Won-Sang Ra)
../../Resources/kiee/KIEE.2021.70.3.526/au4.png

1998년 연세대학교 전기공학과(공학사),

2000년, 2009년 동 대학원 전기컴퓨터공학과(공학석사), 전기전자공학과(공학박사).

2000년~2009년 국방과학연구소 유도조종부 선임연구원.

2009년~현재 한동대학교 기계제어공학부 교수.

2015년 Cran- field University 방문교수.

관심분야는 상태추정 및 정보융합 이론, 표적추적필터, 자율이동체 유도조종기법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