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정적 압축 시험결과
그림. 5. 진변형률 30% 경우, 다양한 경도를 갖는 고무의 응력-변형률 선도
Fig. 5. Stress-strain curves of rubbers with various hardness in case of 30% true
strain
그림. 6. 듀로 경도 70의 경우, 고무의 세 번의 싸이클릭 시험의 응력-변형률 선도
Fig. 6. Stress-strain curves of three cyclic tests with case if duro 70 hardness
그림 5는 진변형률(true strain)이 최대 30%일 때, 다양한 경도(duro 40, 50, 60, 70)를 갖는 고무 소재의 정적 압축시험을 통해
얻은 공칭응력-변형률 선도이다. 이 경우, 10cyclic test를 행하였다. 이 그림에서 알 수 있는 것은 duro 경도가 높을수록 공칭응력-변형률
선도의 기울기가 큼을 알 수 있으며, 최대 진변형률이 30%일 경우, 식 (1)을 이용한 계산과 같이 공칭 변형률은 약 0.2592 정도임을 알 수 있다.
그림 6은 그림 5의 다양한 경도를 갖는 고무 소재 중, duro 70의 고무 소재에 대해 최대 진변형률 30%일 때 3 cyclic test로부터 얻은 공칭응력-변형률
선도이다. 이 경우, 첫 번째 cycle test(검은색 실선)후, 변형률은 원래의 시작 위치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이미 이론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Mullins effect’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 후, 2~3 cyclic test에서는 거의 반복되는 수렴 곡선을 보여주고
있다. 아주 짧은 시간의 충격이 가해지는 시스템에 대한 용도로 본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는 설계탄성계수와 스프링 상수를 구하는 데 있어 첫 번째 cycle
test 결과의 곡선을 사용할 수 있겠지만, 일반적인 진동문제의 소재로 사용할 경우에는 2 cycle 이후의 수렴되는 곡선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7과 8은 최대 진변형률(true strain)이 각각 30%와 50%일 때, 다양한 경도(duro 70, 80, 90)를 갖는 폴리우레탄 소재의 정적 압축시험을
통해 얻은 공칭응력-변형률 선도를 보여준다. 이 경우도 10cyclic test를 행하였으며, 이 그림들 각각의 경우에서도 duro 경도가 높을수록
공칭응력-변형률 선도의 기울기가 큼을 알 수 있으며, 최대 진변형률이 30%일 경우, 식 (1)을 이용한 계산과 같이 공칭 변형률은 약 0.2592, 50%일 경우 공칭변형률은 약 0.3935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그림 7의 경우는 변형률 변화율이 $\dot\epsilon_{T}=$0.0078/s, 그림 8의 경우는 $\dot\epsilon_{T}=$0.01/s이다.
그림. 7. 진변형률 30% 경우, 다양한 경도를 갖는 폴리우레탄의 응력-변형률 선도
Fig. 7. Stress-strain curves of Poly-urethanes with various hardness in case of 30%
true strain
그림. 8. 진변형률 50% 경우, 다양한 경도를 갖는 폴리우레탄의 응력-변형률 선도
Fig. 8. Stress-strain curves of Poly-urethanes with various hardness in case of 50%
true strain
그림 9는 진변형률(true strain)이 최대 30%일 때, 1st cycle은 배제한 상태의 고무 소재의 공칭응력-변형률 선도이다. 그림 10은 그림 9의 조건과 같지만, 그림 9의 시험한 소재를 1시간이 경과한 후 재시험해서 얻은 공칭응력-변형률 선도이다. 그림 9와 10의 비교에 있어서, 다양한 경도 그래프 모두에 대해 아주 경미한 기울기의 변화는 있지만 큰 변화는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많은 문헌에 의하면 고분자
소재는 하루 또는 수일이 지나면 1st cycle 후의 소성변형이 회복된다고 나타내고 있지만, 본 논문 실험에서와 같이 1시간 정도에서의 변화는 크게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9. 첫 번째 싸이클 없이, 진변형률 30% 경우, 다양한 경도를 갖는 고무의 응력-변형률 선도
Fig. 9. Stress-strain curves of rubbers with various hardness in case of 30% true
strain without 1st cycle
그림. 10. 첫 번째 싸이클 없이, 진변형률 30% 경우, 다양한 경도를 갖는 고무의 응력-변형률 선도(1시간 후, 재 시험)
Fig. 10. Stress-strain curves of rubbers with various hardness in case of 30% true
strain without 1st cycle (retest after an hour)
그림. 11. 진변형률 50% 경우, 듀로 경도 90의 폴리우레탄의 3싸이클릭 시험의 응력-변형률 선도
Fig. 11. Stress-strain curves of three cyclic tests of a poly-urethane with 50% true
strain in case of duro 90 hardness
그림 11은 duro 90인 폴리우레탄 소재의 3 cyclic test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cycle별로 분리하여 보면 1차 압축 시(loading)에는
높은 강성(검은 선)을 가지며, 복귀 시(unloading)에는 강성이 감소(softening)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2차 이후의 압축 시에는
강성이 감소된 상태에서 다시 압축되며(loading) 복귀 경로는 1차와 거의 같은 경로를 따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2. 진변형률 30% 경우, 듀로 경도 70의 폴리우레탄의 3싸이클릭 시험의 응력-변형률 선도
Fig. 12. Stress-strain curves of three cyclic tests of a poly-urethane with 30% true
strain in case of duro 70 hardness
그림 12는 duro 70의 폴리우레탄 소재를 최대 진변형률 30%로 압축 시험한 결과인데, 이 경우 1차 압축 시에만 Mullins 효과에 의한 강성 증대효과가
나타나며, 2번째 이후의 cycle에서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2번째 cycle 이후의 압축 데이터를 사용하여 비선형 모델에 대한 계수 $C_{10},\:
C_{01},\: C_{20}$ 구하고, 이 계수는 시험치와 모델을 이용하여 pseudo-inverse matrix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푸른 점선의
기울기는 스프링 상수(engi- neering stiffness) $k= E^{*}A / L$이며, $E^{*}=\Delta\sigma_{eng}/\Delta\epsilon_{eng}$가
되어 시험 결과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그림. 13. 진 변형률 30%의 경우, 듀로 경도 70의 폴리우레탄의 실험 및 수치해석 응력-변형률 선도 (2 싸이클에 근거함)
Fig. 13.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ress-strain curves of poly-urethane with 30%
true strain in case of duro 70 hardness(2nd cycle basis)
그림 13과 14는 그림 12의 2번째 압축 곡선을 비선형 모델로 계산하여 얻은 실험값과 수치해 모델의 응력-변형률 선도와 변형률-탄성계수 곡선이다. 그림14의 계수는 $C_{10}=1.3701,\:$ $C_{01}=-0.3223,\:$ $C_{20}=0.0565$이고, 그림 15에서 $k$와 $E^{*}$값은 각각 $k=41.7k N/m,\:$ $E^{*}=8.07MPa$로 나타났다.
그림. 14. 진 변형률 30%의 경우, 듀로 경도 70의 폴리우레탄의 변형률-영률 선도 (2 싸이클에 근거함)
Fig. 14. A strain-elasticity curve of poly-urethane with 30% true strain in case of
duro 70 hardness(2nd cycle basis)
그림. 15. 진변형률 30% 경우, 듀로 경도 40의 고무의 3싸이클릭 시험의 응력-변형률 선도
Fig. 15. Stress-strain curves of three cyclic tests of a rubber with 30% true strain
in case of duro 40 hardness
그림. 16. 진 변형률 30%의 경우, 듀로 경도 40의 고무의 실험 및 수치해석 응력-변형률 선도 (2 싸이클에 근거함)
Fig. 16.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ress-strain curves of a rubber with 30% true
strain in case of duro 40 hardness(2nd cycle basis)
그림 15의 고무의 경우도 폴리우레탄 소재와 모두 유사한 경향(cycle 별로 분리하여 보면 1차 압축 시(loading)에는 높은 강성(검은 선)을 가지며,
복귀 시(unloading)에는 강성이 감소(softening)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이후의 그림들에서도 알 수 있듯이, duro 경도에 무관하게
유사한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그림 16은 duro 40의 고무 소재에 있어, 2nd cycle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모델 값과 실험값을 비교한 공칭응력-변형률 선도이고, 그림 17은 이에 따른 수치해 모델의 탄성계수-공칭변형률 그래프를 보여준다. 그림 18은 duro 40의 고무 소재에 있어, 1st cycle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모델 값과 실험값을 비교한 공칭응력-변형률 선도이고, 그림 19는 이에 따른 수치해 모델의 탄성계수-공칭변형률 그래프를 보여준다. 그림 16에서 실험값과 수치해 모델 값의 경미한 차이는 실험에서는 1차 압축 후, 복귀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인 소성변형이 있었기 때문이며, 그림 18과 같이 1st cycle을 기준으로 했을 때는 수치해 모델과 실험값이 잘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 설계에는 2cycle 기준에 맞추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16에서 상수 값은 $C_{10}= -0.0642 ,\:$ $C_{01}= 0.3412 ,\:$ $C_{20}= -0.1817$인 값으로 나타났다. 한편,
그림 18에서는 $C_{10}= 0.8273 ,\:$ $C_{01}= 0.4396 ,\:$ $C_{20}= 0.1647$이다.
그림. 17. 진 변형률 30%의 경우, 듀로 경도 40의 고무의 변형률-영률 선도(2 싸이클에 근거함)
Fig. 17. A strain-elasticity curve of a rubber with 30% true strain in case of duro
40 hardness (2nd cycle basis)
그림. 18. 진 변형률 30%의 경우, 듀로 경도 40의 고무의 실험 및 수치해석 응력-변형률 선도 (1 싸이클에 근거함)
Fig. 18.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ress-strain curves of a rubber with 30% true
strain in case of duro 40 hardness(1st cycle basis)
그림. 19. 진 변형률 30%의 경우, 듀로 경도 40의 고무의 변형률-영률 선도(1 싸이클에 근거함)
Fig. 19. A strain-elasticity curve of a rubber with 30% true strain in case of duro
40 hardness (1st cycle basis)
5.2 응력이완 결과
고무 및 폴리우레탄 소재의 점탄성 성질과 동강성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응력이완 시험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그림 20은 듀로 경도 70의 폴리우레탄 재료의 relaxation test를 한 결과이다. 검은 선은 strain을 붉은 선은 stress를 나타낸다. 그림에
나타낸 바와 같이 strain을 증가시키다 멈춘 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stress의 감소를 계측하였다. $\dot e_{R}(t)$를 시험적으로
결정하기 위해서 그림 20과 같이 5개 구간에서 순간적으로 $\dot\epsilon(t)=0$가 되는 구간을 만들었다. 각 구간은 $\epsilon_{T}=$10%, 20%,
30%, 40%, 50%가 되는 지점이다. $\epsilon$ 또는 $\epsilon_{T}$가 일정한 구간에서 stress가 감소한다. 이 부분을
나타낸 그림이 그림 21이다. 압축 변형량이 작을수록 감쇠 폭이 커짐 ($\tau_{i}=\eta_{i}/E_{i}$가 작아짐)을 알 수 있다. Creep 해석과 같이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시험의 경우에는 매우 큰 (100 s이상) $\tau_{i}$가 필요하지만 그렇지 않은 충격문제 등에서는 매우 짧은 시간의 반응만 필요하므로
긴 시간은 무시한다. 시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e_{R}(t)$의 매개변수 $e_{i}$ 와 $\tau_{i}$는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으며,
MATLAB의 함수인 lsqcurvefit를 사용하였다.
그림. 20. 듀로 경도 70의 폴리우레탄의 응력-변형률 이완 시험($\dot\epsilon =0.18 /s$)
Fig. 20. Stress-strain relaxation test of a poly-urethane with duro 70 hardness
($\dot\epsilon =0.18 /s$)
그림. 21. 듀로 경도 70의 폴리우레탄의 정규화된 이완 선도
Fig. 21. Normalized relaxation curves of a poly-urethane with duro 70 hardness
표 2. 듀로 경도 70의 폴리우레탄의 이완 시험으로부터 얻어진 정규화된 탄성함수 $e_{R}(t)$
Table 2. Normalized modulus function $e_{R}(t)$ obtained from relaxation test of a
poly-urethane with duro 70 hardness
Hardness
(duro)
|
True
strain
($\epsilon_{T}$)
|
$e_{R}(t)$
|
70
(poly-urethane)
|
10%
|
$1-0.116[1-\exp(-3.2186t)]$
|
20%
|
$1-0.101[1-\exp(-2.3698t)]$
|
30%
|
$1-0.081[1-\exp(-1.4422t)]$
|
40%
|
$1-0.085[1-\exp(-1.7208t)]$
|
50%
|
$1-0.076[1-\exp(-1.3151t)]$
|
표 2는 duro 경도 70의 폴리우레탄 소재의 응력이완이 되는 부분만을 따로 나타낸 그림 21의 결과 그래프로부터 식 (45)의$e_{R}(t)=1-e_{1}[1-\exp(-t/\tau_{1})]$$=(1-e_{1})+e_{1}\exp(-t/\tau_{1})$을 나타낸 식들이다.
즉, 식 (45)의 $e_{1}$과 $\tau_{1}$을 구하여 정리한 식이다. 진변형률 10% ~ 50%에 따른 각각의 식이 나타나 있다.
그림. 22. 듀로 경도 50의 고무의 응력-변형률 이완 시험
Fig. 22. Stress-strain relaxation test of a rubber with duro 50 hardness
그림 22와 23은 각각 duro 경도 50의 고무 소재에 대한 응력이완 시험곡선과 정규화된 응력곡선을 $\epsilon_{T}=$10%, 20%, 30%, 40%,
50%에 대해 나타낸 그림들이다. 또한, 그림 24와 25는 각각 $\epsilon_{T}=$10%에 대해, 시간이 매우 짧은 구간(약 0~0.32 s)과 약간 긴 구간(약 0.3~9 s)에 대해 정규화된
응력곡선을 curve fitting한 그래프이다. 표 3은 $\epsilon_{T}=$10% ~ 50%의 각각에 대해 시간이 매우 짧은 구간(0~0.32 s)과 약간 긴 구간(0.3~9 s)에서 duro
50의 고무 소재에 대한 정규화된 modulus함수 $e_{R}(t)$ 식을 나타낸 표이다.
그림. 23. 듀로 경도 50의 고무의 정규화된 응력 이완 선도
Fig. 23. Normalized relaxation curves of a rubber with duro 50 hardness
그림. 24. 듀로 경도 50의 고무의 정규화된 응력의 커브 피팅($\epsilon_{T}$ = 10%,
0~0.32 s)
그림. 25. 듀로 경도 50의 고무의 정규화된 응력의 커브 피팅($\epsilon_{T}$ = 10%,
0.3~9 s)
Fig. 25. Curve fitting of normalized stress of a rubber during time 0.3~9 s (duro
50, $\epsilon_{T}$ = 10%)
표 3. 듀로 경도 50의 고무의 이완 시험으로부터 얻어진 정규화된 탄성함수 $e_{R}(t)$
Table 3. Normalized modulus function $e_{R}(t)$ obtained from relaxation test of a
rubber with duro 50 hardness
Hardness
(duro)
|
Time
|
True
strain
($\epsilon_{T}$)
|
$e_{R}(t)$
|
50
(rubber)
|
0~0.032 s
|
10%
|
$1-0.142[1-\exp(-6.650t)]$
|
20%
|
$1-0.089[1-\exp(-6.825t)]$
|
30%
|
$1-0.076[1-\exp(-6.607t)]$
|
40%
|
$1-0.073[1-\exp(-6.584t)]$
|
50%
|
$1-0.073[1-\exp(-6.722t)]$
|
0.3~9 s
|
10%
|
$1-0.239[1-\exp(-1.886t)]$
|
20%
|
$1-0.134[1-\exp(-2.515t)]$
|
30%
|
$1-0.118[1-\exp(-2.310t)]$
|
40%
|
$1-0.116[1-\exp(-2.224t)]$
|
50%
|
$1-0.117[1-\exp(-2.204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