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Mechatronics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Landing, solar panel, cleaning mobile robot, robot arm for drone

1. 서 론

최근에 에너지의 사용 증가로 인한 지구의 온난화가 세계 여러 곳에 기후의 재앙을 초래하자 각 나라마다 탄소를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화석에너지의 의존도를 줄이는 대체 에너지를 개발 및 사용하여 지구 온난화를 지연시키고 공기 오염을 줄여 환경을 지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자동차의 경우 내연기관에서 하이브리드로, 하이브리드에서 전기자동차로 변환하고 있으며 바람과 태양광을 통한 에너지를 재생하고자 많은 면적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신재생 에너지 중에서도 태양광 발전은 농가를 중심으로 매우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산비탈의 공간이나 밭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전기에너지를 수집하고 있다. 태양광에너지는 관리에 따라 발전량이 차이가 난다. 태양광 패널 표면에 쌓이는 먼지 또는 조류 분비물을 포함한 다양한 이물질은 발전량을 떨어뜨리므로 주기적인 청소가 필요한데 높고 넓은 산 위에 설치된 패널은 청소하기 매우 어렵다.

접근성이 어려운 곳의 청소를 위해 다양한 태양광 패널 청소로봇이 개발되었다. 태양광 패널에 레일을 달아 움직이며 청소할 수 있는 로봇, 태양광 패널 위를 주행하며 청소할 수 있는 이동로봇, 바퀴에 Suction mechanism을 사용한 로봇이 있다(1-5).

Ducted fan의 추력을 사용하여 벽에 붙을 수 있는 드론로봇이 개발되었다(6). 흡입력과 진공력을 사용한 로봇으로 벽면과 로봇 사이 공기 압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2겹의 Skirt mechanism을 사용하였다(7). 마찬가지로 진공력을 사용하고 넓은 Tracked wheel을 사용하여 창문이나 패널을 청소하는 임무를 수행하기도 한다(8-13). 따라서 대부분의 청소로봇은 기울어진 패널위를 움직이며 미끄러지지 않고 청소하는 이동로봇 형태이다.

그림 1은 드론이 청소로봇을 운반하여 태양광 패널의 기울어진 각도에 맞추어 착륙시키는 개념도이다.

그림. 1. 로봇팔 장착 드론 개념도

Fig. 1. Concept of a robot arm for a drone(RAD)

../../Resources/kiee/KIEE.2021.70.4.684/fig1.png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패널을 찾는 문제는 생략하고 착륙시 원격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착륙지점 선정 2) 패널각도 인식 3) 패널과 평행하도록 로봇팔의 위치제어 4) 청소로봇 패널에 안전하게 착륙 5) 청소 수행 6) 청소 완료 후 수거.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청소로봇을 드론이 직접 실어 나르는 로봇팔 설계와 제어에 대해 소개한다(13). 직접 드론으로 실험하기에 앞서 위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착륙의 안정성 실험을 위하여 X-Y 테이블을 사용하였다. 드론의 호버링을 통한 평면에서의 움직임을 X-Y 테이블로 대체하고 로봇 팔(robot arm for drone:RAD)을 제작하여 랜딩실험을 수행하였다. 로봇 팔이 Dr.SPC v2(Drone for Solar Panel Cleaner version 2)를 태양광 패널에 안전하게 올려놓기 위해 2자유도를 갖도록 설계 및 제작하였다. 로봇 팔은 두 쌍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기울어진 패널 각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각도 값에 따라 로봇 팔의 관절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로봇 팔 끝에는 전자석을 부착하고 Dr.SPC v2에는 강철판을 장착하여 붙었다 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로봇팔의 관절이 회전하는 경우에 전자석의 자력이 변화되므로 이에 맞는 강철판을 실험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로봇 팔에는 카메라가 달려있어 실시간으로 로봇 팔 끝을 통해 보이는 화면으로 X-Y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끝으로 드론이 청소로봇을 실어 나르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2. 본 론

2.1 시스템 설계 및 분석

2.1.1 전체 시스템

시스템은 그림 2처럼 총 3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는 드론을 대체하는 x-y 테이블이며, 두 번째는 로봇 팔로 드론에 장착되어 Dr.SPC v2와 전자석으로 탈부착할 수 있다. 그림 2처럼 태양광 패널 각도를 감지하고 로봇 팔 끝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은 이동 청소 로봇으로 패널 위에 안착하여 진공력으로 수직 항력을 높인 다음에 등판각을 갖는 태양광 패널 위에서 청소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X-Y 테이블은 등판각을 갖는 태양광 패널 위에 설치를 하였고 550 mm×550 mm를 움직일 수 있다. 그림 2는 X-Y 테이블에 설치된 로봇 팔과 Dr.SPC v2의 전체 개념도 모습이다.

그림. 2. 전체 시스템

Fig. 2. Overall system

../../Resources/kiee/KIEE.2021.70.4.684/fig2.png

2.1.2 Dr. SPC v2 시스템

Dr.SPC v2는 청소를 수행하는 이동로봇으로 Suction pad와 패널 사이의 공기 압력과 Suction pad의 높이를 제어하여 두 개의 Track wheel에 작용하는 수직 항력을 최대로 높여 약 29도 등판각을 갖는 태양광 패널을 주행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 위에서 움직이는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 마찰력이 높아진 Track wheel을 사용하면 Track이 wheel을 이탈함과 동시에 패널에 상처를 줄 수 있다. 해결 방법으로 Suction Pad를 낮추고 Track wheel을 패널로부터 띄운 후 Step motor를 사용하여 전체 몸체를 회전시키므로 헤딩각을 바꿀 수 있다. 로봇의 전체 무게는 대략 5kg 이내이며 그림 3은 Dr.SPC v2의 센서 및 모터 등 전체 모습이다(13).

그림. 3. Dr.SPC v2 시스템

Fig. 3. Dr.SPC v2 System

../../Resources/kiee/KIEE.2021.70.4.684/fig3.png

그림 4는 Dr.SPC v2의 내부 시스템 구조이다. 공기압 센서와 적외선 거리센서 데이터는 I2C통신을 통해 아두이노로 수신받고 SCI 직렬통신으로 DSP와 통신한다.

그림. 4. Dr.SPC v2 내부 시스템

Fig. 4. Dr.SPC v2 Internal System

../../Resources/kiee/KIEE.2021.70.4.684/fig4.png

이동로봇의 헤딩각을 측정하기 위한 Gyro sensor 역시 SCI 통신한다. Track wheel motor encoder에서 이동로봇이 이동한 위치를 알 수 있다. 센서에서 얻은 data와 제어 목적에 따라 계산된 값은 PWM으로 모터를 제어한다.

그림 5는 Dr.SPC v2의 제어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이동로봇의 헤딩각은 마찰력에 의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Sliding mode Control을 사용하였고 이동 로봇의 위치는 PD제어를 사용하였다(13). Suction pad 높이는 간단한 P(비례)제어를 하였고 내부 압력은 PD제어를 하였다.

그림. 5. Dr.SPC v2 제어 블록 다이어그램

Fig. 5. Control block diagram of Dr.SPC v2

../../Resources/kiee/KIEE.2021.70.4.684/fig5.png

표 1. Dr.SPC v2 시스템 변수

Table 1. Dr.SPC v2 System Parameters

Parameters

Definitions

Unit

$\psi$

Heading angle

radian

$x$

Mobile robot position

m

$h$

Suction pad height

m

$p$

Suction pad internal pressure

atm

그림. 6. 로봇 팔 시스템

Fig. 6. Robot arm system

../../Resources/kiee/KIEE.2021.70.4.684/fig6.png

2.2 로봇팔 시스템

2.2.1 로봇 팔 시스템 설계

로봇 팔은 상용 드론에 장착되어 로봇 팔 끝에 전자석이 달려 있어서 Dr.SPC v2를 태양광 패널로 옮길 수 있다. 로봇 팔은 2자유도로 첫 번째는 선운동하고 두 번째 조인트는 회전운동한다. 패널과의 접촉 힘을 측정하기 위해 첫번째 팔에 힘센서를 장착하였다. 로봇 팔에 두 쌍의 초음파 거리 센서가 있어 패널로부터의 로봇 팔의 거리 및 패널의 각도를 알 수 있다. 전자석이 있는 로봇 팔 끝은 Dr.SPC v2를 패널과 평행을 유지하도록 두 개의 초음파 센서로 감지한 태양광 패널의 각도를 받아 제어를 하고 리니어 모터를 사용하여 패널 위에 이동 로봇을 안착할 수 있다. 그림 6은 로봇 팔의 센서 및 모터 등 전체 모습이다.

2.2.2 로봇 팔 기구학

그림 7은 실제 드론에 달린 로봇 팔의 좌표이다. 2자유도를 나타내며 첫 번째 조인트는 리니어 모터를 사용하여 $L_{h}$변수의 선형 움직임을 두 번째 조인트는 첫 번째 링크 끝에 모터를 장착하여 회전하는 $\theta$변수를 만든다.

그림. 7. 로봇 팔 좌표

Fig. 7. Coordinates of robot arm

../../Resources/kiee/KIEE.2021.70.4.684/fig7.png

표 2. 로봇 팔 변수

Table 2. Robot arm parameters

Parameters

Definitions

Values(unit)

$L_{_{1}}$

Robot arm 1 link length

0.4(m)

$L_{_{2}}$

Robot arm 2 link length

0.08(m)

$L_{h}$

Linear motor distance

m

$\theta$

Joint 1 angle

radian

첫 번째 링크와 두번쨰 링크의 행렬을 통한 전체행렬은 다음과 같다.

(1)
$$ T_{0}^{2}=A_{0}^{1} A_{1}^{2}=\left[\begin{array}{cccc} \cos (\theta) & 0 & -\sin (\theta) & -L_{2} \sin (\theta) \\ 0 & 1 & 0 & 0 \\ \sin (\theta) & 0 & \cos (\theta) & L_{h}-L_{2} \cos (\theta)-L_{1} \\ 0 & 0 & 0 & 1 \end{array}\right] $$

링크 1인 $A_{0}^{1}$와 링크 2인 $A_{1}^{2}$를 곱해 $T_{0}^{2}$을 계산한다. 그림 8(a)는 로봇 팔 끝을 고정하고 리니어 모터를 변수로 했을 때 결과이며 그림 8(b)은 둘 다 변수로 했을 때 결과다.

그림. 8. 로봇 팔의 기구학

Fig. 8. Kinematics of Robot arm

../../Resources/kiee/KIEE.2021.70.4.684/fig8.png

2.2.3 로봇 팔 내부 시스템 구성

그림 9는 로봇 팔의 내부 시스템이다. 패널의 각도와 거리를 알 수 있는 두 개의 초음파 센서와 로봇 팔 끝 관절의 각도를 알 수 있는 자석 절대 엔코더, 리니어 모터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센서, 리니어 모터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센서가 있다. 센서에서 얻은 data와 제어 목적에 따라 계산된 값은 PWM으로 모터를 제어한다. 전자석은 PWM 신호를 사용하여 On/Off 할 수 있다.

그림. 9. 로봇 팔 내부 시스템

Fig. 9. Robot arm Internal System

../../Resources/kiee/KIEE.2021.70.4.684/fig9.png

2.2.4 로봇팔의 전자석 실험

그림 10은 로봇팔 끝의 전자석을 실험하는 모습이다. 전자석은 10Kg을 들 수 있다. 청소로봇이 5kg이므로 자력은 충분하다. 그림 10(b)는 실제 청소로봇을 들 수 있는 힘을 분석한 것으로 전자석의 힘의 크기가 충분하더라도 청소로봇의 철판의 두께와 면적이 충분하지 못하면 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맞는 철판의 두께와 면적을 실험적으로 찾아야 한다.

그림. 10. 로봇 팔 전자석 실험

Fig. 10. Experiment on electromagnet of Robot arm

../../Resources/kiee/KIEE.2021.70.4.684/fig10.png

2.2.5 로봇팔의 제어

그림 11은 로봇 팔의 제어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로봇팔의 모델을 사용하지 않는 선형제어기를 사용하였다. 리니어 모터 높이 제어는 PI 제어를 하였고 로봇 팔 끝 관절의 각도 제어는 PID 제어를 하였다. 각 변수의 오차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2)
$e_{\theta}=\theta_{d}-\theta$,$e_{h}= H_{d}- L_{h}$

여기서 $\theta_{d}$는 조인트 2의 기준각도이고 $\theta$는 실제 각도, $H_{d}$는 조인트 1은 기준 거리, $L_{h}$는 실제 움직인 거리이다.

각각의 오차를 줄여 줄 선형제어기를 설계한다(14).

(3)
$u_{H}=k_{ph}e_{h}+ k_{ih}\int e_{h}dt$ $u_{\theta}= k_{p\theta}e_{\theta}+ k_{i\theta}\int e_{\theta}dt + k_{d\theta}\dot e_{\theta}$

여기서 $k_{ph},\: k_{ih}$,$k_{p\theta},\: k_{i\theta},\: k_{d\theta}$제어기 이득값이다.

그림. 11. 로봇 팔 제어 블록 다이어그램

Fig. 11. Robot arm Control block diagram

../../Resources/kiee/KIEE.2021.70.4.684/fig11.png

그림 12그림 10에 나타난 시스템의 내부 구조이다. Esp32-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Wifi로 OS(Operation System)가 설치된 화면과 연결되고 보여준다. 사용자는 이 화면을 보면서 로봇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제어한다. 그림 19는 실제로 사용자가 보는 화면이다.

그림. 12. X-Y plotter 내부 시스템

Fig. 12. X-T plotter internal system structure

../../Resources/kiee/KIEE.2021.70.4.684/fig12.png

2.3 시스템 제작

2.3.1 로전체 시스템

그림 13은 제작된 로봇팔을 나타낸다. 드론 역할을 하는 X-Y 테이블에 부착된다. 드론의 진동을 실제로 나타내기 위해 X-Y 테이블에 로봇을 다소 느슨하게 체결하였다. 로봇팔의 양 끝에는 초음파 센서가 달려있어 패널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또한 거리를 통해 기울어진 각도를 검출한다. 첫 번째 링크에는 힘센서가 달려있어 첩촉힘을 측정하고 카메라가 있어 패널의 영상을 무선으로 송신한다.

그림. 13. 로봇 팔 전체시스템

Fig. 13. Overall system of robot arm

../../Resources/kiee/KIEE.2021.70.4.684/fig13.png

그림 14는 각 센서로 부터의 값을 표시한 것이다. 그림 14(b)를 보면 힘센서에서 측정된 접촉힘의 값이다. 패널을 보호하기 위해 조인트 1은 일정한 접촉힘을 유지하도록 제어하였다.

2.3.2 패널 위의 주행

이동 로봇은 그림 15의 제어 흐름도에 맞춰 주행을 한다. 드론이 이동 로봇을 태양광 패널 위에 안착할 때 드론의 회전 날개를 보호하기 위하여 이동 로봇은 태양광 패널 기준 좌측 위에서부터 움직이기 시작한다. 움직임이 시작되면 첫 번째로 헤딩각과 Suction pad 높이 offset을 초기화한다. 두 번째는 Suction pad를 태양광 패널과 맞닿을 수 있도록 내린다. 세 번째는 Suction pad 내부 압력 제어를 시행하고 0.96 atm 미만이면 높이를 올려 Track wheel에 작용하는 수직 항력을 증가시킨 후 주행 제어를 실시한다.

그림. 14. 센서 값

Fig. 14. Sensor data

../../Resources/kiee/KIEE.2021.70.4.684/fig14.png

그림. 15. Dr.SPC v2 시스템 제어 흐름도

Fig. 15. Dr.SPC v2 System control flow chart

../../Resources/kiee/KIEE.2021.70.4.684/fig15.png

주행 제어 중 Suction pad의 당기는 힘 때문에 Suction pad가 태양광 패널과 떨어질 수가 있어 만약 Suction pad 내부 압력이 1보다 커지면 모든 주행 제어를 멈추고 다시 Suction pad를 내려 반복 수행한다.

2.4 실험결과

2.4.1 로봇 팔의 각도 제어 실험

그림 16은 로봇팔과 청소로봇, 그리고 xy테이블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보여준다. 패널은 29도의 등판각을 나타내고 로봇 팔의 양 끝에 달린 초음파 센서를 통해 등판각을 측정한다. Dr.SPC v2는 로봇 팔의 전자석에 붙어 있으며 로봇팔은 랜딩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Dr.SPC v2를 태양광 패널과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조인트 2를 제어한 다음 조인트 1의 선형 움직임을 통해 착륙시킨다.

그림. 16. 전체 시스템

Fig. 16. Overall system

../../Resources/kiee/KIEE.2021.70.4.684/fig16.png

그림 17은 패널 기울기에 따른 로봇팔 관절 각도의 제어를 나타낸다.

그림. 17. 패널 각도에 따른 로봇 팔 관절 각도 제어

Fig. 17. Robot arm angle control according to panel angle

../../Resources/kiee/KIEE.2021.70.4.684/fig17.png

2.4.2 XY 테이블 움직임 실험

X-Y 테이블에 로봇 팔을 장착하고 사용자는 Esp32-카메라를 보면서 조이스틱을 통해 X-Y 테이블의 위치를 제어한다. 그림 18은 실제로 로봇팔이 장착된 x-y 테이블이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낸다. 그림 18(b)는 종점에 도착하여 Dr.SPC v2을 패널 위에 올려놓는 것을 나타낸다.

그림. 18. X-Y plotter 제어

Fig. 18. X-Y plotter control with Dr.SPC v2

../../Resources/kiee/KIEE.2021.70.4.684/fig18.png

그림 19는 로봇팔 끝의 카메라를 통한 영상을 보여준다. 그림 20(b)에 실제 시스템의 움직임이 나타나 있다.

그림. 19. Esp32-카메라를 통한 화면

Fig. 19. Screen with Esp32-cam

../../Resources/kiee/KIEE.2021.70.4.684/fig19.png

그림 20그림 18의 실험 결과를 그린 그림이다. 그림 20(a)은 패널을 측정한 각도에 따라 제어된 로봇 팔 관절 각도를 보여준다. 그림 20(b)은 XY 좌표에서 X-Y 테이블의 위치, Z 축 높이 그리고 관절각을 통해 기구학을 계산하여 로봇이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태양광 패널 기준 오른쪽 아래에서 왼쪽 위로 이동한 후 제어가 끝난다.

그림. 20. X-Y plotter 제어 실험 결과

Fig. 20. X-Y plotter control results

../../Resources/kiee/KIEE.2021.70.4.684/fig20.png

그림 21은 실제로 드론이 이동청소 로봇을 실어 나르는 모습이다.

그림. 21. 드론 탑재 이동 실험 결과

Fig. 21. Movement of Dr.SPC by a drone

../../Resources/kiee/KIEE.2021.70.4.684/fig21.png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청소로봇을 태양광 패널로 이동하기 위해 드론에 장착된 로봇 팔을 제작하였다. 실제 드론을 활용하여 이동 청소 로봇인 Dr.SPC v2를 태양광 패널 위로 옮기는 실험에 앞서 안정성을 위하여 X-Y 테이블을 사용하고 Dr.SPC v2를 태양광 패널 기준 왼쪽 위로 옮기는 실험을 하였다. 로봇팔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안정하게 기울어진 패널에 착륙할 수 있었다. 실제 사용자는 드론이 멀리 있다고 가정을 하여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수신받고 이를 보면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제 드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율주행을 통한 청소 패널 인식, 자율안전랜딩, 로봇의 청소 수행, 드론의 청소로봇 자율 수거 등 도전적인 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한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has been supported by KEPCO of Korea under the grant R19XO01-44 in 2019.

References

1 
Ecobright, http://www.ecobright.co.kr/Google Search
2 
ES-SPCR, http://www.solartodaymag.com/news/articlePrint.html?idxno=4724Google Search
3 
J. U. Shin, D. H. Kim, J. H. Kim, H. Myung, 2013, MAV Type Wall-Climbing Robot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ICROS, Vol. 2013, No. 5, pp. 393-394Google Search
4 
W. C. Myeong, K. Y. Jung, S. W. Jung, Y. H. Jung, H. Myung, 2015, Development of a Drone-Type Wall-Sticking and Climbing Robot, URAI, pp. 386-389DOI
5 
S. Y. Bae, S. H. Kim, J. H. Kim, H. S. Choi, C. Y. Cho, D. H Lee, D. H. Kim, 2019, Design and Controller Development of Drone Capable of Landing, Takeoff, and Travelling on a Vertical Wall, JICROS, Vol. 25, No. 12, pp. 1077-1084Google Search
6 
W. C. Myeong, H. Myung, Jan 2019, Development of a Wallclimbing Drone Capable of Vertical Soft Landing using a Tilt-rotor Mechanism, IEEE Access, Vol. 7, No. 1, pp. 4868-4879DOI
7 
M. I. Seo, M. H. Kim, J. H. Kim, D. H. Kim, 2020, Autonomous Driving System Design of Solar Panel Cleaning Robot Using Vacuum Adsorption Mechanism, Transactions of the KSME A, Vol. 44, No. 8, pp. 569-579Google Search
8 
P. Sekhar, R. S. Bhooshan, 2014, Duct fan based wall clim- bing robot for concrete surface crack inspection, Annual IEEE India Conference (INDICON), Pune, pp. 1-6DOI
9 
I. M. Koo, T. D. Trong, Y. H. Lee, 2013, Development of Wall Climbing Robot System by Using Impeller Type Adhesion Mechanism, Journal of Intelligent Robot System, Vol. 72, pp. 57-72DOI
10 
Q. Zhou, X. Li, Experimental comparison of drag- wiper and roller-wiper glass-cleaning robots, Industrial Robot, Vol. 43, No. 4, pp. 409-420DOI
11 
M. Vega-Heredia, R. Elara Mohan, Tan Yeh Wen, J. Siti Aisyah, A. Vengadesh, S. Ghanta, S. Vinu, 2019, Design and modelling of a modular window cleaning robot,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103, pp. 268-278DOI
12 
M. A. V. J. Muthugala, M. Vega-Heredia, A. Vengadesh, G. Sriharsha, M. R. Elara, 2019, Design of an Adhesion- Aware Façade Cleaning Robot, 2019 IEEE/RSJ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 (IROS), Macau, China, pp. 1441-1447DOI
13 
D. W. Kwon, S. Jung, 2021, Design, Development, and Experiment of a Solar Panel Cleaning Robot, The Tran- 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0, No. 2, pp. 395-401Google Search
14 
S. Jung, 2020, Introduction to Robotics, Kyo Moon SaGoogle Search

저자소개

권동욱(Dong-wook Kwon)
../../Resources/kiee/KIEE.2021.70.4.684/au1.png

2018년 충남대학교 물리학과 졸업.

2018년 충남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과 석사입학.

2021년 2월 충남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과 석사졸업예정.

관심분야는 드론 시스템, 로봇 설계 및 제어, 이동로봇

정 슬(Seul Jung)
../../Resources/kiee/KIEE.2021.70.4.684/au2.png

1988년 미국 웨인 주립대 전기 및 컴퓨터 공학과 졸업.

1991년 미국 캘리포니아대 데이비스 전기 및 컴퓨터 공학과 석사.

1996년 동 대학 박사 졸업.

1997년~현재 충남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과 교수.

관심분야는 지능제어 및 지능로봇 시스템, 밸런싱 시스템, 서비스 로봇, 자이로 구동기 응용, 드론, 로봇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