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경완
(Kyoung-Wan Koo)
1
한재섭
(Jae-Sup Han)
2
신부현
(Buhyun Shin)
3iD
김영식
(Youngshik Kim)
3
유봉조
(Bong-Jo Ryu)
†iD
-
(Dept. of ICT Automotive Engineering, Hoeseo University, Korea.)
-
(MTT Ltd. Korea.)
-
(Dept. of Mechanical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Temperature and flow distribution, Thermal dissipation design, LED lighting, Twisted type of heatsink, Solidworks-Flow simulation
1. 서 론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빛을 내는 다이오드 LED(Light Emitting Diode)는 1962년 미국의 일리노이 대학에서 개발된 이후,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 LED 조명은 요즈음 가정용 조명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체육시설, 야외 캠핑장, 지하차도 등에도 점점 그 수요가 확대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조명에 비해 장점이 더 많은 LED조명은 고출력 LED 조명에서는 그 특성과 신뢰성이 LED의 접합에서 발생하는 열 발생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LED 조명등에 열이 발생하면 수명 주기와 LED의 광속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최대한도로 열이 분산되도록 하는 방열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
LED의 열 방출에 대한 냉각 방법의 예는 첫째, LED가 속한 메탈 베이스 기판에 알루미늄이나 동(copper) 등으로 된 방열판을 이용하는 방법,
둘째, 히트 파이프(heat pipe)나 증기 챔버 (vapor chamber)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다.
Kim 등(1)은 다량의 저출력 칩을 이용하여, 히트 파이프 유무에 따른 접합부분 온도를 비교하였고, Choi 등(2)은 LED 조명기구를 제작하기 위한 메탈 PCB에 LED를 배치하여 열 해석 시뮬레이션을 행하였다.
Luo 등(3)은 고출력 LED 가로등에 있어 수평으로 위치한 방열판의 최적설계를 하였고, Hwang 등(4)은 기존 램프의 방열 성능실험을 통한 수치 모델을 이용하여 방열핀 형상, PCB 종류 및 LED 개수 등과 같은 설계인자들을 최적화하였다. 그 후,
Han 등(5)은 상용패키지 COMSOL을 이용하여 50W급 LED 조명기구의 열 해석을 행하였고, Park 등(6)은 고효율 LED 조명기구의 방열판에 히트 파이프를 일체형으로 내장시킨 복합 방열시스템을 열 해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계속되어 Lee 등(7)은 직관형 LED 조명의 한 종류인 T5 LED 형광등을 설계하고, 방열판의 형상에 따른 방열성능 비교 및 적절한 형상 설계방향을 제시하였다. 한편,
Jung 등(8)은 LED 조명용 히트싱크의 설계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LED 소자에 있어, 열로 변환되는 발열량을 계측하여 LED의 발열 특성을 파악하였다.
최근 Roh 등(9)은 200W급 COB LED를 이용하여 LED 방폭등의 방열 성능을 평가하였고, Choi 등(10)은 자동차 LED 전조등 방열판 형상에 따른 융합 연구를 하였다.
위의 대부분의 연구들은 저출력 LED나 고출력 LED 조명에 있어서, 히트 파이프나 기존의 평평한(flat) 방열판을 사용한 열 해석 또는 실험 논문들이다.
본 논문에서는 600W급 중출력 LED 조명등에 대해, 기존의 평평형(flat-type) 방열판을 변경하여, 비틀어진(twisted) 구조의 방열판을
설계하였으며, 방열판의 두께 변화에 따른 열 해석을 세 종류의 상온에서 수치 해석적으로 연구하였다.
2. 본 론
2.1 해석 모델
Fig. 1은 LED 등의 입체적인 3-D 모델링을 보여주고 있으며, Fig. 2-Fig. 4는 각각 윗면, 전면,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그림을 나타낸다.
그림. 1. 비틀린 방열판을 갖는 LED 등의 3-D 모델링
Fig. 1. 3D modeling of a LED lighting with twisted radiation plates
그림. 2. 비틀린 방열판을 갖는 LED 등의 상면
Fig. 2. Top view of a LED lighting with twisted radiation plates
그림. 3. 비틀린 방열판을 갖는 LED 등의 전면
Fig. 3. Front view of a LED lighting with twisted radiation plates
그림. 4. 비틀린 방열판을 갖는 LED 등의 측면
Fig. 4. Side view of a LED lighting with twisted radiation plates
본 논문의 LED 등의 구조는 그림 2-그림 4에서 알 수 있듯이, 각종 chip, 비틀린 방열판, Power 보드, DSP보드 등으로 구동제어기를 구성하고 있다. Fig. 5와 6은 열 온도 해석을 위한 LED 등의 고체격자 및 내부 유체 격자들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표 1은 유체격자, 고체격자 등 Fig. 5와 6에 나타난 격자 모델의 종류와 격자 수를 나타낸다. 총 격자 수는 1,889,757 격자가 사용되었다. 한편 해석 격자를 생성하기 전에 열 해석 결과에
영향이 적을 것이라 판단되는 미세 부품이나 형상에 대해서는 단순화시킴으로써, 과도한 수의 격자 생성을 피하였다. 또한, 표 1에서 irregular cell은 Fig. 5와 6의 고체 및 내부 유체격자를 생성하는 과정에 있어, 불규칙한 격자의 생성을 나타내는데 본 논문에서는 하나도 나타나지 않았다.
표 1. 해석을 위해 사용된 격자 종류와 격자 수
Table 1. Kinds and numbers of cells for analysis
Kinds of cells
|
Number of cells
|
Total cells
|
1,889,757
|
Fluid cells
|
1,374.641
|
Solid cells
|
515,116
|
Fluid cells contacted with solid parts
|
460,285
|
Irregular cells
|
0
|
2.2 지배방정식과 경계조건
본 논문에서는 기체 유동은 정상상태의 난류 유동으로써, 지배방정식은 식(1)-(3)으로 표현되는 연속방정식, 운동량 방정식, 난류 운동에너지 방정식과 식(4)-(5)의 난류 운동에너지 소산율 방정식으로 나타내진다. 한편, 난류 모델로서 표준 $k-\epsilon$ 모델을 사용하였다. 또한, 경계조건은 내부 및
외부 공기 초기 온도와 고체부분 초기 온도를 세 종류의 상온 15℃, 20℃, 25℃)로 하였다.
where, $i$ = 1,2,3
식(3)에서, $H=h+\frac{u_{i} u_{i}}{2}$ 이다.
식(1)-(5)에서, $\rho$는 밀도, $u_{i}$는 속도성분, $\tau_{ij}$는 점성 전단 응력 텐서, $\tau_{ij}^{R}$는 Reynolds
응력 텐서, $k$는 난류운동에너지, $\epsilon$는 소산율, $H$는 엔탈피를 나타낸다. 또한, $\partial /\partial t$는
시간 미분연산자, $\partial /\partial x_{i}$는 위치 미분연산자를 나타내며, $h$는 열전달계수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팬(fan)
등과 같이 외부와 내부 사이에 강제적인 유동을 유발하는 인자가 없으므로, 가열과정에 의하여 생기는 유체의 밀도변화 때문에 일어나는 유동 현상인 자연대류
열전달을 고려하기 위하여 자연대류를 일으키는 부력으로 중력을 택하였으며, 유동장은 정상 상태의 층류와 난류 유동으로 가정하였다.
3. 수치해석 결과 및 검토
본 논문에서는 3-D 모델링을 위해 상용 소프트웨어인 Solid- Works 2017을 사용하였으며, 수치 시뮬레이션을 위해서는 Solidworks-Flow
Simulation을 이용하였다. 표 2는 LED등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에 대한 재질과 물성치를 나타낸다.
표 2. LED 등의 구성요소의 물성치
Table 2. Specifications of components for a LED lighting
Components
|
Mate-
rials
|
Density
|
Specific heat $$J/k{g}^{\circ}K$$
|
Coefficient of thermal conductivity $$W/m^{\circ}K$$
|
Fin
|
Al
1050
|
2,705
|
900
|
227
|
LED plate
|
Al
ceramic
|
3,600
|
800
|
15
|
PCBcircuit
plate
|
-
|
2,707
|
896
|
3
|
Fig. 5-Fig. 7은 각각 15도 상온에서 두께 1(mm)를 갖는 방열판의 x-y-z 좌표상에서의 플롯 개략도, x-y 평면상에서의 온도분포, x-y평면상에서의 열
유동 분포를 보여준다. 최고온도는 71.23도로 나타났다. 그림들에서 1.0t라 함은 방열판 두께가 1(mm)임을 나타낸다.
Fig. 8-Fig. 9는 방열판 두께가 1.0(mm)인 경우, 각각 상온 20℃와 25℃에서의 온도분포를 보여준다. 그림들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상온 20℃와 25℃에서의
최고 온도 값은 각각 76.13℃와 79.74℃로 나타났다. 다만, Fig. 8은 y-z단면에서 잘라 본 그림이다.
그림. 5. x-y-z 좌표상의 플롯 개략도(15℃, 1.0t)
Fig. 5. Schematic plot of x-y-z coordinates(15℃, 1.0t)
그림. 6. 15℃ 상온에서 방열판 두께 t=1.0mm를 갖는 LED 등의 온도분포
Fig. 6.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 LED lighting at room temperature 15℃ (t=1.0
(mm))
그림. 7. 15℃ 상온에서 방열판 두께 t=1.0mm를 갖는 LED 등의 열 유동분포
Fig. 7. Thermal and flow distribution of a LED lighting at room temperature 15℃ (t=1.0
(mm))
Fig. 10-Fig. 11은 각각 15도 상온에서 두께 1.2(mm)의 방열판을 갖는 LED등의 x-y 평면상에서의 온도분포, x-y평면상에서의 열 유동 분포를 보여주는데,
그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고 온도는 69.64로 나타났다.
그림. 8. 20℃ 상온에서 방열판 두께 t=1.0mm를 갖는 LED등의 온도분포
Fig. 8.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 LED lighting at room temperature 20℃ (t=1.0
(mm))
그림. 9. 25℃ 상온에서 방열판 두께 t=1.0mm를 갖는 LED 등의 온도분포
Fig. 9.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 LED lighting at room temperature 25℃ (t=1.0
(mm))
그림. 10. 15℃ 상온에서의 방열판 두께 t=1.2mm를 갖는 LED등의 온도분포
Fig. 10.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 LED lighting at room temperature 15℃ (t=1.2(mm))
한편, Fig. 12와 Fig. 13은 방열판 두께가 1.2(mm)일 때, 각각 상온 20와 25에서의 온도 분포를 보여준다. 여기에서의 최고 온도 값은 각각 75.27와 78.42로
나타났다.
그림. 11. 15℃ 상온에서의 방열판 두께 t=1.2mm를 갖는 LED등의 열 유동분포
Fig. 11. Thermal and flow distribution of a LED lighting at room temperature 15℃ (t=1.2(mm))
그림. 12. 20℃ 상온에서 방열판 두께 t=1.2mm를 갖는 LED 등의 온도분포
Fig. 12.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 LED lighting at room temperature 20℃ (t=1.2(mm))
그림. 13. 25℃ 상온에서 방열판 두께 t=1.2mm를 갖는 LED등의 온도분포
Fig. 13. Thermal and flow distribution of a LED lighting at room temperature 25℃ (t=1.2(mm))
그림. 14. 15℃ 상온에서의 방열판 두께 t=1.5mm를 갖는 LED 등의 온도분포
Fig. 14.Temperature distribution of a LED lighting at room temperature 15℃ (t=1.5(mm))
그림. 15. 15℃ 상온에서의 방열판 두께 t=1.5mm를 갖는 LED 등의 열 유동분포
Fig. 15. Thermal and flow distribution of a LED lighting at room temperature 15℃ (t=1.5(mm))
그림. 16. 20℃ 상온에서 방열판 두께 t=1.5mm를 갖는 LED 등의 온도분포
Fig. 16.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 LED lighting at room temperature 20℃ (t=1.5(mm))
Fig. 14-Fig. 15는 각각 15도 상온에서 두께 1.5(mm)의 방열판을 갖는 LED등의 x-y 평면상에서의 온도분포, x-y평면상에서의 열 유동 분포를 보여주는데,
그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고 온도는 68.39℃로 나타났다. 한편, Fig. 16과 Fig. 17은 방열판 두께가 1.5(mm)일 때, 각각 상온 20℃와 25℃에서의 온도 분포를 보여준다. 여기에서의 최고 온도 값은 각각 74.05℃와 77.23℃로
나타났다.
그림. 16. 20℃ 상온에서 방열판 두께 t=1.5mm를 갖는 LED 등의 온도분포
Fig. 16.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 LED lighting at room temperature 20℃ (t=1.5(mm))
그림. 17. 25℃ 상온에서 방열판 두께 t=1.5mm를 갖는 LED 등의 온도분포
Fig. 17. Thermal and flow distribution of a LED lighting at room temperature 25℃ (t=1.5(mm))
6. 결 론
LED 등의 방열판 두께변화와 상온(15℃, 20℃, 25℃)에서의 온도변화에 따른 온도 및 열 유동해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 논문에서의 LED 등의 방열판은 heat pump 등을 사용한 방열시스템이 아니라, LED 등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LED 등의
단가를 낮추기 위해, 순수한 기계식 방열판을 사용하였으며, 비틀린 구조로 방열 면적을 증가시켜 열 흐름을 용이하게 설계하였다.
(2) 3종류의 방열판 두께 변화에 따른 온도 및 열 유동해석에서, 동일 상온에서 두께가 두꺼운 쪽이 방열 효과가 더 양호함을 나타내었지만, 두께
변화가 LED 등의 방열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크지는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3종류의 상온에서도 높은 상온의 경우가 방열효과는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References
L. Kim, J. H. Choi, M. W. Shin, 2007, Thermal Analysis of LED Array System with Heat
Pipe, Thermochimica Acta, Vol. 455, No. issues 1-2, pp. 21-25
K. Y. Choi, I. S. Eo, E. S. Suh, 2009, Temperature Analysis of LED Module which used
Metal PCB, Proceedings of the Summer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 trical
Engineers, Vol. , No. , pp. 1605-1606
X. Luo, W. Xiong, T. Cheng, S. Liu, 2009, Design and Optimization of Horizontally-Located
Plate Fin Heat Sink for High Power LED Street Lamp, Proceedings of IEEE 59th Electronic
Components and Technology Conference, Vol. , No. , pp. 854-859
S. H. Hwang, S. J. Park, Y. L. Lee, 2010, A Study of Optimal Design for a 10W LED
Lamp,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rperation Society, Vol. 11, No.
7, pp. 2317-2322
C. Han, K. N. Kang, I. S. Eo, 2010, Heat Analysis of 50W LED Lighting Fixtures, Proceedings
of the Summer Con- 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
No. , pp. 1607-1608
J. W. Park, H. R. An, 2012, Development of Complex Cooling Systems with Built-in Heat
Pipe for High Effi- ciency LED Lighting, Proceedings of the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Vol. , No. , pp. 691-692
D. S. Lee, C. O. Yang, J. Y. Kim, Y. S. Yang, M. H. Song, K. N. Park, 2012, Comparison
of Thermal Properties about Shape of Heat Sink used on T5 LED Lamp, Proceedings of
the Summer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217-1218
T. S. Jung, H. K. Kang, 2012, Evaluation on the Cooling Performance to Design Heat
Sinks for LED Lighting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Vol. 29, No. 7, pp. 778-784
G. P. Roh, J. M. Han, M. J. Moon, H. S. Hong, H. Y. Hong, N. C. Choi, 2015, A Study
on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of LED Explosion Proof Lighting using a 200W COB
LED, Proceedings of the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Technology
Engi- neers, pp. 171
G. G. Choi, J. U. Cho, 2017, Convergence Study due to the Configuration of Radiant
Heat Panel of Automotive LED Heat Lamp,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3, pp. 199-204
저자소개
Kyoung-Wan Koo Received the B. S. degree from Chungnam national univesity, Korea in
1983, and the Ph. D. degree from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sity, Korea
in 1992, all in elec- tronic engineering.
He is currently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ICT automobile engineering at Hoseo
university, Korea.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semi-conductor and electric automobiles.
Jae-Sup Han Received the B. S. degree from Hanbat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1988,
and M. S. degree from graduate school of Hanbat national uni- versity, Korea in 1999,
all in mechanical engi- neering.
He is currently a CEO at MTT Ltd..
His main research interests are cooling techni- ques of machine, and research development
of various kinds of LED lighting.
Buhyun Shin Received the B. S. degre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2001,
and Ph. D. degree from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 sity, Korea in 2007,
all in mechanical and aeronautical engineering.
He is currently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Korea.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modeling of Novel arc shaped SMA actuator and
design of linked 2-DOF IMPC actuator module.
Youngshik Kim received the M. S. and Ph. D. degree from the University of Utah, USA
in 2003 and 2008, respectively, all in mechanical engineering.
He is currently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Korea.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mobile robot, smart actuators, and bio-inspired
robot, and motion control.
Bong-Jo Ryu received the B. S. degree from Yonsei univesity, Korea in 1981, and the
M. S. and Ph. D. degree from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Korea in 1983 and
1988, respectively, all in mechanical engineering.
He is currently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Korea.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multi-body dynamics, vibration control of structures,
and stability analysis of struc- 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