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Renewable Energy, PhotoVoltaic, Hosting Capacity, Forward-Backward Sweep Method

1. 서 론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온실가스 배출 감축은 필수적이며 2015년 채택된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따르면 가입국 195개 모두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 이에 맞추어 유럽 연합, 일본은 2050년까지 실질적인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Net-Zero) 달성을 선언하였으며 중국도 206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하였다. 국내에서는 2020년 10월에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발표하고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및 지원이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1-2). 또한 국내의 재생에너지 3020 정책으로 인하여 2030년까지 재생 에너지의 비중을 20%로 증가시켜야 하며 그에 따라 대규모의 재생 에너지들이 계통에 연계되고 있다. 재생 에너지 중 태양광 발전은 풍력과 함께 재생 에너지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따라서 태양광 발전은 재생 에너지 사업을 이끄는 중요한 발전원이다. 하지만 태양광 발전을 전력계통에 연계하기 위해서는 연계로 인한 악영향이 없어야 하며 적정 용량을 산정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발전의 전력계통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인 역전력 발생 여부, 과전압 발생 여부, 상시전압변동률을 고려하고 Forward-Backward Sweep 계산법을 통해 수용능력을 산정하였다. 또한 이를 ElectroMagnetic Transients Program(EMTP)를 이용하여 검증하고 특정 용량의 분산형 전원의 연계 가능여부를 평가하는 Tool을 개발하였다.

2. 고려해야 할 기술적 요인

태양광 발전의 수용능력이란 계통의 보강 없이도 전력품질의 하락이 되지 않도록 최대 연계 가능한 태양광 발전의 최대 용량을 의미한다(3). 태양광 발전의 수용능력을 제한하는 기술적 요인은 다양하며 그중 본 논문에서 고려한 요인은 다음과 같다.

2.1 역조류

연계된 태양광 발전량이 수요를 초과하는 경우 변압기를 거쳐 유틸리티 쪽으로 흘러가는 역조류가 발생할 수 있다(4). 이러한 역조류는 기존 단방향 기기들에게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보호협조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용능력을 산정할 때는 역조류의 발생 여부를 검토하여야 한다. 역조류의 발생 여부는 태양광 발전의 발전량과 부하량 사이의 대소관계 비교를 통하여 역조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태양광 발전량이 부하량보다 클 경우에는 역조류가 발생한다. 그리고 태양광 발전량이 부하량보다 작은 경우에는 역조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이를 아래의 식 (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S_{PV}>S_{Tr}\times$최소 부하율

여기서, $S_{PV}$ : 태양광 발전 용량

$S_{Tr}$ : 태양광 발전 연계 계통의 변압기 용량

2.2 과/저전압

많은 양의 태양광 발전이 발전을 하게 되면 역조류로 인한 전압상승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과전압이 발생할 수 있다(5-7). 일반적으로 전압은 0.95 [p.u.]에서 1.05 [p.u.]사이로 유지되어야 하므로 특히 과전압을 고려하여 수용능력을 제한해야 한다.

과전압을 설명하기 위한 모의 계통의 구성도는 아래의 그림 1과 같으며 상위계통과 하위계통 사이에 변압기가 존재한다. 최하위계통에 태양광 발전이 연계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계통 내 전력 조류를 표현하였다. I1과 I2는 상위계통에서 부하쪽으로 흐르는 전류로 전체 부하량에 태양광 발전 출력만큼을 뺀 수치만큼의 전류가 흐르며 선로 임피던스와 곱해져 전압강하가 발생한다. 이 때, 전압강하의 크기는 V1과 V2이다. I3은 태양광 발전 연계지점에서 상위계통 쪽으로 흐르는 전류를 나타내며 PV 출력량에서 부하량만큼을 뺀 수치만큼의 전류가 흐르며 선로 임피던스와 곱해져 전압상승이 발생한다. 이 때 전압상승의 크기는 V3이다. 결과적으로 전압 강하량과 태양광 발전이 연계된 지점에서의 전압의 크기는 다음의 식 (2)식 (3)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그림. 1. 역전력을 설명하기 위한 모의계통 구성도

Fig. 1. Schematic diagram to describe reverse power

../../Resources/kiee/KIEE.2021.70.8.1220/fig1.png

(2)
$V_{i}= I_{i}R_{i}\cos\theta_{i}+j I_{i}X_{i}\sin\theta_{i}$

(3)
$V_{R}= V_{S}-(V_{1}+V_{2}+V_{3})$

태양광 발전 연계점 전압의 허용범위가 ±5[%]이기 때문에 식 (2), (3)를 통해 계산된 태양광 발전 연계지점 전압이 허용범위 이내에 있어야 하며 수식적으로 정리하면 식 (4)로 나타낼 수 있다.

(4)
$0.95 <V_{R}=[V_{S}-\sum_{i=1}^{3}(\left |\dfrac{L_{i}\times P_{i}-PV}{\sqrt{3}\times V_{LL_{i}}}\times Z_{i}\right |)]<1.05$

여기서, $V_{R}$ : 태양광 발전 연계점 전압

$V_{S}$ : 유틸리티 측 전압

$PV$ : 태양광 발전 출력

$P_{i}$ : $i$ 번째 변압기 용량

$L_{i}$ : $i$ 번째 변압기의 부하율

$V_{{LL}_{i}}$ : $i$ 번째 구역의 선간전압

2.3 상시전압변동률

상시전압변동률이란 태양광 발전이 연계된 경우와 연계되지 않은 경우의 전압변동을 의미하며 한국전력공사 규정에 의하면 그 크기가 3%를 초과해서는 안된다(8). 과전압을 계산할 때와 마찬가지로 그림 1의 모의계통과 식 (3)를 활용하였다. 아래의 식 (5)와 같이 태양광 발전 출력이 0일 경우의 전압과 태양광 발전 출력이 있을 겨우의 전압을 비교하여 상시전압변동률을 계산하고 이를 규정 범위와 비교하였다.

(5)
$\left |\dfrac{V_{R}-V_{R0}}{V_{n}}\right |\times 100[\%]< 3[\%]$

여기서, $V_{R0}$ : 태양광 발전 출력이 0일 때 연계지점 전압

$V_{R}$ : 연계점 지점의 전압

$V_{n}$ : 공칭전압

3. Forward-Backward Sweep 방법을 활용한 수용능력 평가방법

3.1 Forward-Backward Sweep 방법

본 논문에서는 배전계통의 수용능력을 산정하기 위하여 Forward-Backward Sweep 방법을 활용한다. Forward-Backward Sweep 방법은 방사상 전력계통에서 활용될 수 있는 전력조류 해석방법 중 하나로서 계산하는 과정이 빠르고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9). 현재 국내 배전계통은 대부분 방사상 계통으로 국내 배전계통에 대한 수용능력을 빠르게 계산하기 위하여 가장 적합한 조류해석 방법이다. Forward-Backward Sweep 방법에 대한 자세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Backward Sweep 단계로 각 노드에 흐르는 전류를 계산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선로 전류를 계산하기 위한 각 노드전압은 반복계산법의 이전단계에서 계산된 노드전압($V_{n}^{(k-1)}$)이 활용되며 식 (6)과 같이 부하전류와 분산형 전원에 의한 전류의 합으로 계산된다.

(6)
$I_{n}^{(k)}=I_{L_{n}}+I_{DG_{n}}=\dfrac{V_{n}^{(k-1)}}{Z_{L}}-\dfrac{S_{DG_{n}}}{V_{n}^{(k-1)}}$

여기서, k : 반복계산 횟수

$I_{L_{n}}$ : 부하전류

$I_{DG_{n}}$ : n번 노드에 연계한 분산형 전원의 전류

$Z_{L_{n}}$ : 부하 임피던스

$S_{DG_{n}}$ : n번 노드에 연계한 분산형 전원의 용량

다음 단계로 주전원에서 가장 먼 노드에서부터 주전원방향으로 n번 노드와 n-1번 노드 사이의 선로전류를 계산한다. 이 때, 선로전류는 식 (7)과 같이 n번 노드 이후 선로전류와 n번 노드전류의 합으로 계산되며, 만약 n번 노드가 배전계통에 가장 마지막 노드라면 $I_{n,\:n+1}^{(k)}=0$이 된다. 이 과정까지가 Backward Sweep 단계에 해당한다.

(7)
$I_{n-1,\:n}^{(k)}=I_{n,\:n+1}^{(k)}+I_{n}^{(k)}$

다음단계는 Forward Sweep 단계로서 각 노드의 노드전압을 계산하게 된다. 앞서 계산된 선로전류를 활용하여 선로 전압강하에 의한 n번 노드의 노드전압을 계산하며, 주전원을 시작으로 주전원에서 가장 먼 쪽 노드로 향해가며 각 노드의 노드전압을 식 (8)과 같이 계산한다.

(8)
$V_{n}^{(k)}= V_{n-1}^{(k)}Z_{"l\in e"}I_{n-1,\:n}$

Forward sweep 단계가 끝나면 다시 계산한 마지막 노드전압으로 Backward sweep 단계를 시작한다. 모든 과정에 사용되는 값은 p.u.값을 이용하며 이 과정을 값들이 수렴할 때까지 반복한다.

3.2 수용능력 평가방법

배전계통의 수용능력은 2장에서 언급한 것처럼 역조류, 과/저전압 그리고 상시전압변동률 등의 기술적 요건에 의하여 결정되며, 이러한 기술적 요건들은 Forward -Backward Sweep 방법을 통해 빠르게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용량의 분산형 전원이 연계된 계통을 모의하고 Forward-Backward Sweep 방법을 활용해 기술적 요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함으로서 해당 용량의 분산형 전원에 대한 연계가능 유무를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활용하여 Forward-Backward Sweep 방법을 활용한 배전계통 수용능력 평가방법을 위한 툴을 개발하였다. 이 툴은 Exce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개발되었으며, 배전계통에 특정 용량의 태양광 발전원이 연계되었을 시 Forward-Backward Sweep 방법을 활용하여 역조류 존재여부, 과/저전압 여부 그리고 상시전압변동률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기준으로 배전계통의 수용능력을 평가하게 된다. 전체적인 수용능력 평가방법에 대한 알고리즘은 그림 2와 같이 나타난다.

그림. 2. 수용능력 평가방법 플로우차트

Fig. 2. Flowchart for Hosting Capacity Calculation Method

../../Resources/kiee/KIEE.2021.70.8.1220/fig2.png

4. 시뮬레이션 결과 및 분석

4.1 모의계통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검증하기 위한 모의계통은 그림 3과 같으며 154kV 송전선로부터 22.9kV, 6.6kV, 440V 계통이 변압기를 통하여 연계되어 있다. 또한 440V는 220V로도 변환될 수 있으며 따라서 모의계통은 총 2개이다. 부하량은 총 1.35[MVA]이며 태양광 발전은 가장 하위계통에 설치하였다.

4.2 제안하는 수용능력 계산 방법과 EMTP 시뮬레이션 결과 비교

표 1은 태양광 발전 설치 용량에 따른 제안하는 태양광 수용능력 계산 방식 및 EMTP의 결과를 비교한 표이다. 오차율이 모두 0.01% 이하임을 확인하였다.

그림. 3. 모의계통 (154/22.9/6.6/440(220)V 계통)

Fig. 3. Test system (154/22.9/6.6/440(220)V)

../../Resources/kiee/KIEE.2021.70.8.1220/fig3.png

표 1. 제안하는 방법과 EMTP의 결과 비교

Table 1. Comparison between proposed method and EMTP

PV

연계점 전압[p.u]

상시전압변동률[%]

[kVA]

Proposed

EMTP

오차율

[%]

Proposed

EMTP

오차율

[%p]

미연계

0.9820

0.9820

0

0

0

0

50

0.9836

0.9836

0

0.0016

0.0016

0

100

0.9852

0.9852

0

0.0033

0.0032

0.0001

150

0.9868

0.9868

0

0.0049

0.0049

0

200

0.9884

0.9883

0.01

0.0065

0.0064

0.0001

250

0.9899

0.9899

0

0.0080

0.0080

0

300

0.9914

0.9914

0

0.0096

0.0096

0

350

0.9929

0.9930

0.01

0.0111

0.0111

0

400

0.9944

0.9944

0

0.0126

0.0126

0

450

0.9959

0.9959

0

0.0142

0.0141

0.0001

표 2. 제한요인에 따른 EMTP, 제안하는 방법 간 비교

Table 2. Comparison between proposed method and EMTP according to constraints

연계점 전압

항목별 최대 연계 가능한 수용능력[kW]

역전력

과전압(1.05p.u.)

상시전압변동률

EMTP

Proposed

오차

[%]

EMTP

Proposed

오차

[%]

EMTP

Proposed

오차

[%]

220V

225

225

0

800

800

0

270

260

3.70

440V

450

450

0

2860

2850

0.35

1030

1020

0.97

표 2는 각 제한요인별 태양광 발전의 전력계통 수용능력을 검토한 결과 EMTP와 제안하는 방법 간 최대오차를 보여주며 모의계통에서의 수용능력 계산 결과를 비교 및 검토하였다. 역전력 기준 최대 오차는 0%이며 과전압 기준 최대 오차는 0.35%로 최대 10kW의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상시전압변동률 기준 최대 오차는 3.7%로 과전압과 마찬가지로 최대 10kW의 차이를 보였다.

4.3 태양광 발전 연계점 전압에 따른 수용능력의 변화 분석

표 3, 4는 440V 및 220V 계통에 태양광 발전을 연계한 경우 태양광 발전 출력에 따른 전압 및 상시 전압변동률 계산 결과이며 각 440V, 220V 계통에 대하여 태양광 발전의 수용능력은 과전압에 의해 3[MVA], 0.4[MVA]로 제한되었다. 상시 전압변동률에 의해서는 각 0.9[MVA], 0.4[MVA]로 제한되었다.

표 3. 태양광 발전 용량에 따른 전압 및 상시 전압변동률(440V 연계)

Table 3. Voltage, steady-state voltage fluctuation rate according to PV capacity (440V)

PV

[MVA]

154/22.9/6.6/0.44kV 계통

전압[p.u.]

상시 전압변동률[%]

0.5

0.9980

1.61

1

1.0119

3.02

1.5

1.0244

4.30

2

1.0354

5.42

3

1.0537

7.28

표 4. 태양광 발전 용량에 따른 전압 및 상시 전압변동률 (220V 연계)

Table 4. Voltage, steady-state voltage fluctuation rate according to PV capacity (220V)

PV

[MVA]

154/22.9/6.6/0.44kV 계통

전압[p.u.]

상시 전압변동률[%]

0

0.9718

0

0.2

0.9955

2.44

0.4

1.0166

4.61

0.7

1.0441

7.44

0.9

1.0601

9.09

그림 4는 154/22.9/6.6/0.44kV 계통에서 태양광 발전 연계점의 전압에 따른 태양광 발전 수용능력 변화를 나타낸다. 연계점의 전압이 클수록 수용능력이 증가하며 상시전압변동률이 과전압보다 태양광 발전 수용능력을 제한하는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4. 태양광 발전 연계점 전압에 따른 수용능력 변화

Fig. 4. Hosting Capacity according to PCC of PV

../../Resources/kiee/KIEE.2021.70.8.1220/fig4.png

5. 결 론

탄소중립 추진전략, 재생에너지 3020 정책을 통해 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예정이며 전력계통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연계 가능한 수용능력을 산정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역조류, 과전압, 상시전압변동률을 고려하고 Forward-Backward Sweep 계산법을 활용하여 분산형 전원의 연계 가능 여부를 평가하는 Tool을 개발하였다. 제안하는 수용능력 계산방법과 EMTP 시뮬레이션 결과 비교를 통해 오차율이 거의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계점의 전압이 클수록 수용능력이 증가하며 상시전압변동률이 과전압보다 태양광 발전 수용능력을 제한하는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MSIP) (No. 2018R1A2A1A05078680).

References

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7, Renewable Energy 3020 Implementation PlanGoogle Search
2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2020, 2050 Carbon Neutral Strategy of the Republic of KoreaGoogle Search
3 
Ji-Soo Kim, Gyu-Jung Cho, Hosung Jung, Chul-Hwan Kum, 2020, A study on the Hosting Capacity of Power Systems,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9, pp. 31-36Google Search
4 
H. Mortazavi, H. Mehrjerdi, M. Saad, S. Lefebvre, D. Asber, L. Lenoir, 2015, A monitoring Technique for Reversed Power Flow Detection with High PV Penetration Level,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6, No. 5, pp. 33-40DOI
5 
S. Alyami, Y. Wang, C. Wang, J. Zhao, B. Zhao, 2014, Adaptive Real Power Capping Method for Fair Overvoltage Regulation of Distribution Networks with High Penetration of PV Systems,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5, No. 6, pp. 2729-2738DOI
6 
F. Olivier, P. Aristidou, D. Ernst, T. Van Cutsem, 2016, Active Management of Low-Voltage Networks for Mitigating Overvoltages Due to Photovoltaic Units,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7, No. 2, pp. 926-936DOI
7 
R. Tonkoski, L. A. C. Lopes, T. H. M. El-Fouly, 2011, Coordinated Active Power Curtailment of Grid Connected PV Inverters for Overvoltage Prevention, IEEE Transactions on Sustainable Energy, Vol. 2, No. 2, pp. 139-147DOI
8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2021, Technology Standards for Distributed Generation Interconnected with Distributed SystemGoogle Search
9 
J. Nanda, M. S. Srinivas, M. Sharma, S. S. Dey, L. L. Lai, 2000, New Findings on Radial Distribution System Load Flow Algorithms, Power Engineering Society Winter Meeting, Vol. 2, pp. 1157-1161DOI

저자소개

Ho-Young Kim
../../Resources/kiee/KIEE.2021.70.8.1220/au1.png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in 2020.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master program.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transients, distributed energy resource.

Ji-Soo Kim
../../Resources/kiee/KIEE.2021.70.8.1220/au2.png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in 2016.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combined master’s and doctorate program.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transients, wind power generation and distributed energy resource.

Jin-Sol Song
../../Resources/kiee/KIEE.2021.70.8.1220/au3.png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in 2017.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combined master’s and doctorate program.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istributed generation and power system protection.

Gwang-Su Shin
../../Resources/kiee/KIEE.2021.70.8.1220/au4.png

He received a B.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2019.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combined master’s and doctorate program of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protection and power system transients.

Chul-Hwan Kim
../../Resources/kiee/KIEE.2021.70.8.1220/au5.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in 1982, 1984, and 1990, respectively.

In 1990, he joined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as a Full-Time Lecturer. He was a Visiting Academic with the University of Bath, Bath, U.K., in 1996, 1998, and 1999.

He has been a Professor with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since 1992, where he is currently the Director of the Center for Power Information Technology.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protec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for protection and control, modeling/ protection of underground cable, and electromagnetic transients program 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