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artment of Mechanical and Control Engineering, Handong Global Univ., South Korea)
  2. (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KAIST, South Korea)



Multi-radar system, optimal placement, decentralized filter, Fisher information, differential Riccati equation

1. 서 론

다중 레이더 시스템(MRS: multi-radar system)은 대공방어체계를 뒷받침하는 핵심 센서 자원 중 하나이다. 이는 MRS가 단일 레이더 기반의 표적추적 시스템에 비해 넓은 탐지영역, 표적 조기탐지, 안정적인 추적성능 등 다양한 이점을 지니기 때문이다 (1). 잘 알려져 있듯이 MRS의 성능은 개별 레이더의 사양뿐만 아니라 표적과 레이더 간의 상대기하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경향이 있다 (2). 즉, 실제 상황에서 MRS가 최적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표적과의 예상 교전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복수 레이더 배치를 최적화해야 한다 (3). 하지만, 복수 레이더 배치 문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최적화 과정에서 목적함수로 사용되는 MRS 표적추적 성능지표의 정량화 방법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해결 과제로 남아있다.

지금까지 센서 최적 배치를 위한 표적추적 성능지표 산출 연구는 표적의 이동 여부에 따라 두 갈래로 진행되어 왔다. 먼저 센서 네트워크 기반 정지표적 측위 시스템에서는 주로 2차원 평면 상에서 선형(collinear) 혹은 환형(cicular)으로 센서를 등간격 배치하는 문제가 고려되었다 (4-7). 이 연구들은 표적추적 필터가 불편향(unbiased)이라는 가정 하에, 추적필터의 성능한계를 나타내는 CRLB(Cramer Rao lower bound)가 FIM(Fisher information matrix)에 의해 정의된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8). 이 경우, 센서 잡음특성과 배치간격의 함수로 표현되는 FIM의 행렬식(determinant), 즉 표적 정보량을 최대화함으로써 복수 센서 최적 배치간격을 손쉽게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센서를 특정 형태로 배치할 수 없거나, 표적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직교좌표계 상에서 모델링된 표적 운동방정식과 극좌표계 측정방정식을 고려하여 비선형 표적추적 필터를 설계한 후, 그 추정오차 공분산을 복수 레이더 배치에 활용하는 방안이 검토되었다 (9,10). 칼만 추적필터의 FIM은 DRE(differential Riccati equation)에 의해 계산되는 추정오차 공분산의 역행렬로 정의할 수 있다 (4). 하지만, 비선형 추적필터의 경우 측정함수의 자코비안이 갖는 시변 특성으로 인해 DRE의 해석 해 산출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복수 레이더를 최적 배치하기 위해 결정변수인 레이더 위치를 계속 변경하면서 수치적으로 계산된 표적정보량을 비교분석하는 과정을 무수히 반복해야 한다 (9). 만일, 표적 개수 변화, 레이더 운용조건(안테나 조향 방향, 탐지범위 등)이 추가 고려되면 문제의 복잡도가 크게 증가하므로 수치기법에 기초한 배치최적화 알고리듬의 적용은 더욱 어려워진다. 이러한 이유로, 일각에서 1-step 최적화에 의한 센서 배치 방법이 제시되었다 (10). 이 방법은 한 주기 동안의 정보량 증분에 관한 해석 해를 목적함수로 삼아 이를 최대화하는 센서 위치를 매 시점 새롭게 결정하는 방식을 취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센서가 매 시점 갱신된 최적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플랫폼에 탑재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실용성과 확장성이 크게 떨어진다.

전술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MRS가 트랙 간 융합을 통해 표적궤적을 추정한다는 가정 하에 폐쇄형 표적추적 성능지표 산출 방법을 고안한다. 먼저, 시선각(방위각, 고각)의 함수로 표현되는 좌표변환 연산을 통해 표적 정보량이 보존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레이더의 비선형 추적필터를 등가적인 시선좌표계 상대거리 및 시선각 필터로 분해한다. 등가 추적필터의 DRE에 대응하는 제차 Hamiltonian 방정식 및 대수변환 관계를 고려함으로써, 오차공분산의 해석 해가 유도됨을 증명한다. 최종적으로 이를 다시 역변환함으로써, 비선형 추적필터의 오차공분산이 레이더 위치와 측정잡음 분산의 함수로 기술됨을 보인다. 제안한 MRS의 폐쇄형 성능지표를 활용할 경우, 복수 레이더 배치 최적화 문제의 정식화가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에 소요되는 연산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을 통해 얻어진 성능지표와 실제 MRS 추적필터에서 획득된 표적 정보량 간의 유사성을 검증한다. 복수 레이더 배치 최적화 예제를 통해 제안한 기법의 유용성을 확인한다.

2. 배치 최적화를 위한 성능지표 산출 문제

2.1 MRS 정보융합 구조와 표적추적 성능지표

MRS의 표적추적 성능지표 산출을 위해 그림 1의 비집중형 정보융합 필터 구조가 MRS에 사용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림 1 비집중형 정보융합 구조

Fig. 1. Decentralized data fusion architecture

../../Resources/kiee/KIEE.2021.70.9.1381/fig1.png

참고로 비집중형 정보융합 구조는 복수의 레이더에서 획득된 측정치를 한꺼번에 처리하는 집중형 정보융합 구조보다 통신 부담이 적고 레이더 측정치 비정렬 오차에 둔감하여 다표적 동시추적 능력이 요구되는 MRS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11).

개별 레이더에는 상대거리 및 시선각(방위각, 고각) 측정치로부터 지역트랙, 즉 직교좌표계 표적 상태변수 추정치 및 오차공분산을 계산하는 비선형 추적필터가 내장되어 있다. 반면, 융합센터는 각 레이더가 제공하는 표적트랙들을 확률적으로 융합하여 표적궤적(융합트랙)을 최종 산출한다 (12).

(1)
$\hat x_{f}= P_{f}\left[\sum_{j = 1}^{N_{R}}P_{j}^{-1}\hat x_{j}\right],\:P_{f}=\left[\sum_{j = 1}^{N_{R}}P_{j}^{-1}\right]^{-1}$

여기서 $\hat x_{f},\: P_{f}$는 융합트랙 추정치 및 추정오차공분산, $\hat x_{j},\: P_{j}$는 $j$번째 레이더에서 제공한 지역트랙 추정치 및 추정오차공분산, $N_{R}$은 융합 대상 레이더의 대수를 의미한다.

정보량 분배 원리에 따라 MRS의 표적추적 성능지표는 다음과 같이 융합필터의 표적정보량으로 계산 가능하다 (12).

(2)
$I_{f}=\left | P_{f}^{-1}\right | =\left |\sum_{j=1}^{N_{R}}P_{j}^{-1}\right |$

식 (2)로부터, 표적추적성능 극대화 관점에서 볼 때 복수 레이더 배치 최적화 문제의 목적함수는 개별 레이더 추적필터의 오차공분산 행렬에 의해 정의된다. 만일 추적필터 오차공분산을 결정변수인 복수 레이더 위치로 기술할 수 있다면 최적화 문제를 다루기 쉬운 형태로 정식화 할 수 있다. 이렇게 최적화 문제의 목적함수가 정의되면 GRAPS(Greedy Randomized Adaptive Search Procedure) 등 다양한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그 최적 해를 산출할 수 있다 (13). 따라서, 복수 레이더 배치 최적화의 열쇠는 사실상 추적필터의 오차공분산의 해석 해 산출 여부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2.2 추정오차 공분산의 해석 해 산출 문제

이제, MRS의 표적추적 성능지표 (2)의 산출 과정에 내포되어 있는 문제를 살펴보자. 각 레이더에 내장된 비선형 표적추적 필터 설계를 위한 표적 상대기하는 그림 2와 같다.

그림 2 좌표계 정의

Fig. 2 Definitions of coordinates systems

../../Resources/kiee/KIEE.2021.70.9.1381/fig2.png

그림에서 $j$번째 레이더의 위치는 $R_{j}=[x_{j}y_{j}z_{j}]^{T}$, 표적의 상대거리는 $r_{j}$, 방위각과 고각은 $a_{j}$와 $e_{j}$이다. 사용된 좌표계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 관성좌표계 ($I$-frame)

표적 운동이 기술되는 기준 좌표계로, 편의상 융합센터를 원점으로 하는 NED(north-east-down) 좌표계로 설정한다.

■ 시선좌표계 ($L_{j}$-frame)

$j$번째 레이더로부터 표적을 연결하는 시선벡터를 $X^{L_{j}}$축으로 하는 오른손 좌표계이다. $I$-frame에서 $L_{j}$-frame으로의 좌표변환행렬은 방위각 $a_{j}$ 및 고각 $e_{j}$을 이용하여 정의된다.

(3)
$C_{I}^{L_{j}}\equiv R_{y}(e_{j})R_{z}(a_{j})$

여기서 $R_{\chi}(\epsilon)$은 $\chi$축을 중심으로 $\epsilon$만큼 회전시키는 회전변환행렬(rotation matrix)을 의미한다.

$I$-frame에서 표적이 등가속도 운동을 한다고 가정하면 표적 운동은 1차 마코프 프로세스로 모델링된다.

(4)
$\dot x(t)=F x(t)+ w(t)$

여기서 $I$-frame 표적 위치, 속도, 가속도 벡터를 각각 $R_{t}=[x_{t}y_{t}z_{t}]^{T},\:$ $V_{t}=[\dot x_{t}\dot y_{t}\dot z_{t}]^{T}$, $A_{t}=[\ddot x_{t}\ddot y_{t}\ddot z_{t}]^{T}$ 라 하면, 표적 상태변수 $x$와 시스템 행렬 $F$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x =\begin{bmatrix}R_{t}\\ V_{t}\\ A_{t}\end{bmatrix},\:F=\begin{bmatrix}0^{3\times 3}& I^{3\times 3}& 0^{3\times 3}\\ 0^{3\times 3}& 0^{3\times 3}& I^{3\times 3}\\ 0^{3\times 3}& 0^{3\times 3}& 0^{3\times 3}\end{bmatrix}$

또한, white jerk 표적 기동모델에 사용된 $w$는 분산이 $Q$인 영평균 백색잡음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Q =\begin{bmatrix}0^{3\times 3}& 0^{3\times 3}& 0^{3\times 3}\\ 0^{3\times 3}& 0^{3\times 3}& 0^{3\times 3}\\ 0^{3\times 3}& 0^{3\times 3}&q I^{3\times 3}\end{bmatrix},\:q = diag([q_{x},\: q_{y},\: q_{z}])$

한편, $j$번째 레이더의 측정치 $z_{j}=\begin{bmatrix}\widetilde r_{j}&\widetilde a_{j}&\widetilde e_{j}\end{bmatrix}^{T}$는 다음 비선형 방정식을 만족한다.

(5)
$z_{j}=h(x)+ V(t)$

여기서 비선형 측정함수 $h(\bullet)$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h(\bullet)=\begin{bmatrix}\sqrt{\left(x_{j}- x_{t}\right)^{2}+\left(y_{j}- y_{t}\right)^{2}+\left(z_{j}- z_{t}\right)^{2}}\\\tan^{-1}\left(\dfrac{y_{j}- y_{t}}{x_{j}- x_{t}}\right)\\\tan^{-1}\left(\dfrac{-\left(z_{j}- z_{t}\right)}{\sqrt{}}\left(x_{j}- x_{t}\right)^{2}+\left(y_{j}- y_{t}\right)^{2}\right)\end{bmatrix}$

또한, 측정잡음 $V(t)$는 평균이 $0$이고 분산이 $R(t)$인 백색 정규잡음 $V(t)\sim N(0,\:R(t))$으로 가정한다. 이때, 레이더 수신단 열잡음(thermal noise) 특성에 의해 측정잡음 분산 $R(t)$는 다음과 같이 모델링된다 (14).

$R(t)=diag\left(\left[\sigma_{r}^{2},\: r_{j}^{4}\sigma_{a}^{2},\: r_{j}^{4}\sigma_{e}^{2}\right]\right)$

표적 상태변수 $x$와 가용측정치 $z_{j}$ 사이의 통계적 비선형성을 다루기 위해서는 시스템 모델 (4) 및 (5)에 대한 비선형 추적필터 설계가 불가피하다. 운동방정식 (4) 및 측정방정식 (5)를 시스템 모델로하는 EKF(extended Kalman filter)의 추정오차 공분산 $P(t)$는 다음 DRE에 의해 계산된다.

(6)
$\dot P(t)=FP(t)+P(t)F^{T}-P(t)H(t)^{T}R^{-1}(t)H(t)P(t)+Q$

여기서 자코비안 행렬 $H(t)$는 배치 최적화 문제에서 고려되는 표적의 예상궤적 $x^{\ast}$를 중심으로 산출된다.

$\left . H(t)=\dfrac{\partial h(x)}{\partial x}\right |_{x = x^{\ast}}$

참고 1. 행렬 $H(t)$와 $R(t)$의 시변 특성으로 인해 수치기법에 의해서만 DRE (6)의 해를 산출할 수 있다. 수치기법을 통해 표적추적 성능지표 (2)를 산출하면 복수 레이더 배치 문제의 복잡도와 최적해 산출에 소요되는 연산량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은 레이더의 운용조건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에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그림 3과 같이 표적이 이동함에 따라 FOV(field of view)가 중첩되는 장거리 레이더의 개수와 시점이 달라지면 성능지표 산출을 위해 풀어야 하는 시변 DRE의 조합이 매번 변화하므로, 배치문제 정식화가 용이하지 않다. 만일, 시변 DRE (6)의 해석 해를 활용할 수 있다면 전술한 문제들을 해소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그림 3 레이더 FOV를 고려한 MRS 성능지표 산출

Fig. 3 Calculation of the MRS performance measure considering radar's FOV

../../Resources/kiee/KIEE.2021.70.9.1381/fig3.png

3. 좌표변환을 활용한 표적정보량의 닫힌 해 산출

3.1 비선형 추적필터의 등가모델

본 절에서는 DRE (6)의 해석 해 산출을 위해 $I$-frame에서 설계된 비선형 추적필터에 대한 $L$-frame 등가모델을 도입한다. 이를 위해, 먼저 $I$-frame 및 $L$-frame 표적 상태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자. 수식 기술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j$번째 레이더 관련 변수의 첨자를 생략한다. $L$-frame 표적위치벡터 $R^{L}=\begin{bmatrix}r&0&0\end{bmatrix}^{T}$는 개별 레이더를 기준으로 정의된 $I$-frame표적 상대위치벡터 $R^{I}$와 다음 관계를 갖는다.

(7)
$R^{I}\equiv R_{t}- R_{j}= C_{L}^{I}R^{L}=\begin{bmatrix}x&y&z\end{bmatrix}^{T}$

식 (7)을 미분하면 $I$-frame 표적 속도 (8)을 얻을 수 있다.

(8)
$\dot R^{I}=\dot C_{L}^{I}R^{L}+C_{L}^{I}\dot R^{L},\:\dot C_{L}^{I}=C_{L}^{I}\Omega_{IL}^{L}$

식 (8)에서 $\Omega_{IL}^{L}$는 $I$-frame에 대한 $L$-frame의 회전각속도 $bold\omega_{IL}^{L}$에 의해 정의되는 왜대칭행렬(skew-symmetric matrix) 이다.

$bold\omega_{IL}^{L}\equiv\begin{bmatrix}w_{x}\\w_{y}\\w_{z}\end{bmatrix}=\begin{bmatrix}-\dot a s(e)\\\dot e \\\dot a c(e)\end{bmatrix}$, $\Omega_{IL}^{L}\equiv[\omega_{IL}^{L}]_{\times}=\begin{bmatrix}0&-w_{z}&w_{y}\\w_{z}&0&-w_{x}\\-w_{y}&w_{x}&0\end{bmatrix}$

여기서 $c(\eta)\equiv\cos(\eta)$, $s(\eta)\equiv\sin(\eta)$ 이다.

표적속도 (8)을 $L$-frame으로 변환하면, 다음 식을 얻는다.

(9)
$C_{I}^{L}\dot R^{I}=\dot R^{L}+\Omega_{IL}^{L}R^{L}=\begin{bmatrix}\dot r \\ r\dot a c(e)\\ -r\dot e\end{bmatrix}$

마찬가지 방법으로 식 (8)을 미분한 후 $L$-frame으로 좌표변환 하면 코리올리 가속도 방정식이 유도된다.

(10)
$C_{I}^{L}\ddot R^{I}=\Omega_{IL}^{L}\Omega_{IL}^{L}R^{L}+\dot\Omega_{L}^{I}bold\dot R^{L}+2\Omega_{IL}^{L}bold\dot R^{L}+\ddot R^{L}$,

여기서 장거리 레이더로 구성된 MRS의 특성 상 표적 방위각 및 고각 변화율은 크지 않으므로($vert\dot e vert\ll 1,\: vert\dot a vert\ll 1$) $\dot\Omega_{IL}^{L}$ 계산에 필요한 $\dot\omega_{IL}^{L}$는 다음과 같이 근사된다.

$bold\dot\omega_{IL}^{L}=\begin{bmatrix}-\ddot a s(e)-\dot a\dot e c(e)\\\ddot e \\\ddot a c(e)-\dot a\dot e s(e)\end{bmatrix}\approx\begin{bmatrix}-\ddot a s(e)\\\ddot e \\\ddot a c(e)\end{bmatrix}$

식 (7), (9)(10)을 종합하면, $I$-frame 표적 상태변수($R^{I}$, $\dot R^{I}$, $\ddot R^{I}$)는 변환관계 $\Delta(a,\: e)$를 이용하여 상대거리 및 시선각(방위각, 고각)의 함수로 표현된다.

(11)
$\begin{bmatrix}R^{I}\\\dot R^{I}\\\ddot R^{I}\end{bmatrix} \simeq\Gamma\begin{bmatrix}R^{L}\\\dot R^{L}+\Omega_{IL}^{L}R^{L}\\\dot\Omega_{IL}^{L}R^{L}+2\Omega_{IL}^{L}\dot R^{L}\end{bmatrix} =\Delta(a,\: e)bold\eta(r,\: a,\: e)$,

여기서 $diag(bold\xi)$를 벡터 $bold\xi$의 성분을 대각성분으로 가지는 대 각행렬, $\oplus$를 직교합(direct sum) 연산자로 정의하면

$bold\eta =\begin{bmatrix}r,\:&0,\:&0,\:&\dot r ,\:&r\dot a ,\:&r\dot e ,\:&0,\:&r\ddot a +2\dot r\dot a ,\:&-r\ddot e -2\dot r\dot e\end{bmatrix}^{T},\:$ $\Gamma = C_{L}^{I}\oplus C_{L}^{I}\oplus C_{L}^{I}$, $\Delta =C_{L}^{I}D\oplus C_{L}^{I}D\oplus C_{L}^{I}D,\:$ $D = diag\left(\begin{bmatrix}1,\:&c(e),\:&1\end{bmatrix}\right)$, $M\oplus N equiv\begin{bmatrix}M & 0 \\ 0 & N\end{bmatrix}$

참고 2. 식 (11)은 $I$-frame 표적 상태변수 추정문제가 본질적으로 $L$-frame 상대거리 및 시선각 추정문제와 동치 임을 의미한다. 만일 상대거리 및 시선각 추정필터의 추정오차 공분산의 해석 해를 구할 수 있다면 위의 변환관계를 역으로 활용하여 비선형 표적추적 필터의 정보량을 손쉽게 산출할 수 있다. 즉, 수치기법의 도움 없이 비선형 추적필터 오차공분산 계산을 위한 DRE (6)의 해를 얻을 수 있다.

식 (11)로부터 $L$-frame 상에서 표적 동특성 방정식은 다음과 갈이 기술된다.

(12)
$\begin{bmatrix}\dot r \\\ddot r\end{bmatrix}=\begin{bmatrix}0&1\\0&0\end{bmatrix}\begin{bmatrix}r \\\dot r\end{bmatrix}+\begin{bmatrix}0\\u_{r}\end{bmatrix}$

(13)
$\begin{bmatrix}\dot\lambda \\\ddot\lambda\end{bmatrix}=\begin{bmatrix}0&1 \\0 &-2\dot r /r\end{bmatrix}\begin{bmatrix}\lambda \\\dot\lambda\end{bmatrix}+\begin{bmatrix}0\\1/r\end{bmatrix}u_{\lambda}$, $u_{\lambda}=\begin{cases} u_{a}&(\lambda =a)\\ -u_{e}&(\lambda =e) \end{cases}$

여기서 시선각 $\lambda$는 방위각 $a$ 혹은 고각 $e$를 의미하며, $L$-frame 표적 가속도 $\begin{bmatrix}u_{r}&u_{a}&u_{e}\end{bmatrix}^{T}= D^{-1}C_{I}^{L}\ddot R^{I}$으로 정의된다.

상대거리 및 시선각 추정기 설계 기법은 기존 연구들을 통해 이론적으로 잘 정립되어 왔다 (15). 장거리 표적추적 시, 시선방향 표적가속도 $u_{r}$은 매우 작게 유지되므로$(vert\ddot r vert\ll1)$ 이를 영평균 백색 정규잡음 $w_{r}$로 간주해도 무방하다. 이와 달리 시선벡터에 수직한 표적의 횡가속도는 무시할 수 없으므로 이를 white jerk 등으로 모델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식 (12)(13)으로부터 다음 상태공간 방정식을 얻는다.

■ 상대거리 추정을 위한 상태공간 방정식

(14)
$\begin{cases} \dot x_{r}(t)= F_{r}x_{r}(t)+ G_{r}w_{r}\\ y_{r}(t)=H_{r}x_{r}(t)+v_{r} \end{cases}$

여기서

$x_{r}=\begin{bmatrix}r\\\dot r\end{bmatrix},\: F_{r}=\begin{bmatrix}0 & 1 \\ 0 & 0\end{bmatrix},\: G_{r}=\begin{bmatrix}0 \\ 1\end{bmatrix},\: H_{r}=\begin{bmatrix}1 \\ 0\end{bmatrix}^{T}$

$y_{r}=\widetilde r ,\:w_{r}\sim N(0,\:q_{r}^{2}),\:v_{r}\sim N(0,\:R_{r}),\:R_{r}=\sigma_{r}^{2}$

■ 시선각 추정을 위한 상태공간 방정식

(15)
$\begin{cases} \dot x_{\lambda}(t)= F_{\lambda}(t)x_{\lambda}(t)+ G_{\lambda}w_{\lambda}\\ y_{\lambda}(t)=H_{\lambda}x_{\lambda}(t)+v_{\lambda}(t) \end{cases}$

여기서

$x_{\lambda}=\begin{bmatrix}\lambda \\\dot\lambda \\ u_{\lambda}\end{bmatrix},\: F_{\lambda}=\begin{bmatrix}0 & 1 &0 \\ 0 & -2\dot r /r &-1/r \\ 0 & 0 & 0\end{bmatrix},\: G_{\lambda}=\begin{bmatrix}0 \\ 0 \\1\end{bmatrix},\: H_{\lambda}=\begin{bmatrix}1 \\ 0\\ 0\end{bmatrix}^{T}$

$y_{\lambda}=\widetilde\lambda ,\:w_{\lambda}\sim N(0,\:q_{\lambda}^{2}),\: v_{\lambda}\sim N(0,\:R_{\lambda}(t)),\: R_{\lambda}(t)=r^{4}\sigma_{\lambda}^{2}$

따라서, 비선형 추적필터의 $L$-frame 등가모델이 식 (14)~(15)에 대한 선형 칼만필터가 된다. 참고 2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비선형 추적필터의 오차공분산은 DRE (16) 및 (17)의 해와 변환관계 (11)을 역으로 활용하여 산출 가능하다.

(16)
$$\dot P_{r}(t)=F_{r}P_{r}(t)+P_{r}(t)F_{r}^{T}$$ $$-P_{r}(t)H_{r}^{T}R_{r}^{-1}H_{r}P_{r}(t)+G_{r}Q_{r}G_{r}^{T}$$

(17)
\begin{align*} \dot P_{\lambda}(t)=F_{\lambda}(t)P_{\lambda}(t)+P_{\lambda}(t)F_{\lambda}^{T}(t)\\ -P_{\lambda}(t)H_{\lambda}^{T}R_{\lambda}^{-1}(t)H_{\lambda}P_{\lambda}(t)+G_{\lambda}Q_{\lambda}G_{\lambda}^{T} \end{align*}

3.2 등가모델을 활용한 표적 정보량 산출

폐쇄형 MRS 표적추적 성능지표를 산출하기에 앞서, 등가 표적추적 필터의 추정오차공분산의 해석 해를 산출하자.

정리 1. DRE (16)을 만족하는 상대거리 추정필터의 추정오차 공분산 $P_{r}$은 다음 형태를 갖는다.

(18)
$$P_{r}^{(1,\:1)}=\sqrt{2}R_{r}L_{r}(1+ K_{1}(t)-K_{2}(t))/\Psi(t)$$ $$P_{r}^{(1,\: 2)}=P_{r}^{(2,\:1)}(t)= R_{r}L_{r}^{2}(1 - K_{1}(t)+ K_{3}(t))/\Psi(t)$$ $$P_{r}^{(2,\:2)}=\sqrt{2}R_{r}L_{r}^{3}(1 + K_{1}(t)+ K_{2}(t))/\Psi(t)$$

여기서 $P_{r}^{(i,\:j)}$는 상대거리 추정오차 공분산의 $(i,\:j)$번째 성분, $L_{r}=(Q_{r}/R_{r})^{1/4}$는 기동지표(maneuvering index)를 의미한다. 식 (18)에 사용된 변수들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Psi =1-K_{1}-K_{2}-4Ce^{-\sqrt{2}L_{r}t}$

$K_{1}=(A^{2}+B^{2}- 2C^{2})e^{-2\sqrt{2}L_{r}t}$

$K_{2}= 2\sqrt{A^{2}+B^{2}}e^{-2\sqrt{2}L_{r}t}c(\sqrt{2}L_{r}t -\tan^{-1}(B/A))$

$K_{3}= 2\sqrt{A^{2}+B^{2}}e^{-2\sqrt{2}L_{r}t}s(\sqrt{2}L_{r}t -\tan^{-1}(B/A))$

$A =\sqrt{2}Q_{r}L_{r}\left(P_{r}^{(2,\:2)}(0)-P_{r}^{(1,\:1)}(0)L_{r}^{2}\right)/\alpha$

$B = Q_{r}^{2}- 2Q_{r}L_{r}^{2}P_{r}^{(1,\: 2)}(0)+L_{r}^{4}|P_{r}(0)|/\alpha$

$C = L_{r}^{4}|P_{r}(0)|-Q_{r}^{2}/\alpha$

\begin{align*}\alpha =Q_{r}^{2}+2Q_{r}L_{r}^{2}P_{r}^{(1,\:2)}(0)+ L_{r}^{4}|P_{r}(0)| \\ +\sqrt{2}Q_{r}L_{r}(P_{r}^{(2,\:2)}(0)+P_{r}^{(1,\:1)}(0)L_{r}^{2})\end{align*}

증명.

식 (14)에 대한 다음 제차 Hamiltonian 방정식을 생각해보자.

(19)
$\begin{bmatrix}\dot x_{r}(t)\\\dot bold\lambda_{r}(t)\end{bmatrix}=\Pi_{r}\begin{bmatrix}x_{r}(t)\\ bold\lambda_{r}(t)\end{bmatrix}$

여기서 $\Pi_{r}$는 Hamiltonian 행렬을 의미한다. $\Pi_{r}$의 불안정 고유치 및 고유벡터들로 구성된 행렬을 각각 $M$과 $W$라 하면 다음 식이 만족된다.

\begin{align*}\Pi_{r}& =\begin{bmatrix}F_{r}^{T}&-H_{r}^{T}R_{r}^{-1}H_{r}\\-G_{r}Q_{r}G_{r}^{T}&-F_{r}\end{bmatrix}\\& =W\begin{bmatrix}-M &0\\0&M\end{bmatrix}W^{T},\: W=\begin{bmatrix}W_{11}& W_{12}\\ W_{21}& W_{22}\end{bmatrix}\end{align*}

Sweep method를 적용하여 식 (19)를 풀면 DRE (16)의 해석 해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16).

(20)
$P_{r}(t)=(W_{21}+W_{22}V(t))(W_{11}+W_{12}V(t))^{-1}$

여기서

$V(t)=-e^{-Mt}\left(\left(W_{22}-P_{r}(0)W_{12}\right)\left(W_{21}-P_{r}(0)W_{11}\right)\right)e^{-Mt}$

정리 2. 접근속력(closing velocity)의 시변화율을 무시할 수 있다면$(-\ddot r\approx 0)$ DRE (17)의 해, 즉 시선각 추정필터의 추정오차 공분산 $P_{\lambda}$의 해석 해는 다음과 같다.

(21)
$$P_{\lambda}^{(1,\: 1)}= -\sigma_{\lambda}^{2}r^{3}\dot r\kappa$$ $$P_{\lambda}^{(1,\: 2)}= -\sigma_{\lambda}^{2}r^{2}\dot r^{2}\kappa(\kappa -3)/2$$ $$P_{\lambda}^{(1,\: 3)}= -\sigma_{\lambda}^{2}r^{2}\dot r^{3}\kappa(\kappa -3)(\kappa -5)(\kappa -8)/(4(2\kappa -9))$$ $$P_{\lambda}^{(2,\: 2)}= -\left(\dfrac{4}{5}r^{3}P^{(1,\:3)}_{\lambda}+\dfrac{2r^{6}}{5\sigma_{\lambda}^{2}\dot r}P^{(1,\:1)}_{\lambda}P^{(1,\:3)}_{\lambda}+\dfrac{r^{2}}{5\sigma_{\lambda}^{3}\dot r}P^{(1,\:2)}_{\lambda}\right)$$ $$P^{(2,\:3)}_{\lambda}= -r^{3}\dot r(\kappa -2)P^{(1,\:3)}_{\lambda}$$ $$ P^{(3,\:3)}_{\lambda}= -r^{2}\dot r^{2}(\kappa^{2}-9\kappa +12)P^{(1,\:3)}_{\lambda}/2$$ $$

여기서 $P_{\lambda}^{(i,\:j)}$는 시선각 추정오차 공분산의 $(i,\:j)$번째 성분, $L_{\lambda}\equiv q_{\lambda}^{2}/(\sigma_{\lambda}^{2}\dot r^{6})$을 의미하며 $\kappa$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delta_{0}=\sqrt[2]{3(64L_{\lambda}+225)^{2}(27L_{\lambda}^{2}+320L_{\lambda}- 2304)}$

$\delta_{1}=\sqrt[3]{4(1728L_{\lambda}^{2}-69435L_{\lambda}+277472)+12\delta_{0}}$

$\delta_{2}=\sqrt[2]{777 +6\delta_{1}+ 672(97-15L_{\lambda})/\delta 1}$

$\delta_{3}=\sqrt[2]{-\delta_{2}^{2}+2231+ 54(64L_{\lambda}+225)/\delta_{2}}$

$\kappa =\begin{cases}\left(-\sqrt{35 + 2(\delta_{2}+\delta_{3})/3}+9\right)/2& (\dot r > 0)\\\left(\sqrt{35 + 2(\delta_{2}+\delta_{3})/3}+9\right)/2&(\dot r < 0)\end{cases}$

증명.

DRE (17)은 시변행렬 $F_{\lambda}$ 및 $R_{\lambda}$에 의해 기술되므로 정리 1의 방법으로 해를 얻을 수 없다. 대신 시불변행렬 $\overline{P}_{\lambda}$와 시변 오차공분산 $P_{\lambda}(t)$ 간의 대수변환관계를 생각해보자.

(22)
$$r^{3}\equiv P_{\lambda}^{(1,\:1)}(t)/\overline{P}_{\lambda}^{(1,\:1)},\:$$ $$r^{2}\equiv P_{\lambda}^{(1,\:2)}(t)/\overline{P}_{\lambda}^{(1,\:2)}=P_{\lambda}^{(1,\:3)}(t)/\overline{P}_{\lambda}^{(1,\:3)}$$ $$r\equiv P_{\lambda}^{(2,\:2)}(t)/\overline{P}_{\lambda}^{(2,\:2)}=P_{\lambda}^{(2,\:3)}(t)/\overline{P}_{\lambda}^{(2,\:3)}=P_{\lambda}^{(3,\:3)}(t)/\overline{P}_{\lambda}^{(3,\:3)}$$

만일 $\ddot r\approx 0$라면, 식 (22)를 DRE (17)에 적용하여 시불변행렬 $\overline{P}_{\lambda}$에 대한 ARE(algebraic Riccati equation)을 얻을 수 있다.

(23)
$0=\overline{A_{\lambda}}\overline{P_{\lambda}}+\overline{P_{\lambda}}\overline{A_{\lambda}}^{T}-\overline{P_{\lambda}}\overline{C_{\lambda}}\overline{R}_{\lambda}^{-1}\overline{C_{\lambda}}\overline{P_{\lambda}}+\overline{B_{\lambda}}Q_{\lambda}\overline{B_{\lambda}}^{T}$

여기서 관련 행렬들은 다음과 같다.

$\overline{A_{\lambda}}= -\begin{bmatrix}3\dot r / 2 &-1&0\\0& 5\dot r / 2 &1\\0&0&\dot r /2\end{bmatrix},\:\overline{B_{\lambda}}=\begin{bmatrix}0\\0\\1\end{bmatrix},\:\overline{C_{\lambda}}=\begin{bmatrix}1\\0\\0\end{bmatrix}^{T},\:\overline{R}^{-1}_{\lambda}=\sigma_{\lambda}^{2}$

상수 $\kappa$에 대해 $\overline{P}_{\lambda}^{(1,\: 1)}/\sigma_{\lambda}^{2}equiv -\dot r\kappa$로 정의하면 ARE (23)의 해석 해를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24)
$$\overline{P}_{\lambda}^{(1,\: 1)}= -\sigma_{\lambda}^{2}\dot r\kappa$$ $$\overline{P}_{\lambda}^{(1,\: 2)}= -\sigma_{\lambda}^{2}\dot r^{2}\kappa(\kappa -3)/2$$ $$\overline{P}_{\lambda}^{(1,\: 3)}= -\sigma_{\lambda}^{2}\dot r^{3}\kappa(\kappa -3)(\kappa -5)(\kappa -8)/(4(2\kappa -9))$$ $$\overline{P}_{\lambda}^{(2,\: 2)}= -\left(\dfrac{4}{5}\overline{P}^{(1,\:3)}_{\lambda}+\dfrac{2}{5\sigma_{\lambda}^{2}\dot r}\overline{P}^{(1,\:1)}_{\lambda}\overline{P}^{(1,\:3)}_{\lambda}+\dfrac{1}{5\sigma_{\lambda}^{3}\dot r}\overline{P}^{(1,\:2)}_{\lambda}\right)$$ $$\overline{P}^{(2,\:3)}_{\lambda}= -\dot r(\kappa -2)\overline{P}^{(1,\:3)}_{\lambda}$$ $$ \overline{P}^{(3,\:3)}_{\lambda}= -\dot r^{2}(\kappa^{2}-9\kappa +12)\overline{P}^{(1,\:3)}_{\lambda}/2$$ $$

식 (24)의 결과에 대수변환관계 (22)의 역연산을 취하면 DRE (17)의 해석 해 (21)이 유도된다 (자세한 과정은 (14) 참조).

이제, 정리 1~2의 결과와 변환관계 (11)을 역으로 활용하면 비선형 추적필터의 오차공분산 해석 해를 계산할 수 있다.

정리 3. $j$번째 레이더에 내장된 비선형 추적필터에서 산출된 표적위치추정 오차공분산의 해석 해는 다음과 같다.

(25.a)
\begin{align*} P_{R_{j}}^{(1,\:1)}= P_{x} &= P_{r}^{(1,\:1)}c^{2}(a)c^{2}(e)\\&+ P_{a}^{(1,\:1)}r^{2}c^{2}(e)s^{2}(a)+ P_{e}^{(1,\:1)}r^{2}c^{2}(a)s^{2}(e) \end{align*}

(25.b)
\begin{align*} P_{R_{j}}^{(2,\:2)}=P_{y} &= P_{r}^{(1,\:1)}c^{2}(e)s^{2}(a)\\&+ P_{a}^{(1,\:1)}r^{2}c^{2}(e)c^{2}(a)+ P_{e}^{(1,\:1)}r^{2}s^{2}(a)s^{2}(e) \end{align*}

(25.c)
$P_{R_{j}}^{(3,\:3)}=P_{z}= P_{r}^{(1,\:1)}s^{2}(e)+ P_{e}^{(1,\:1)}r^{2}c^{2}(e)$

증명.

상태추정치 $\hat bold\chi$를 참값 $bold\chi$과 추정오차 $\delta bold\chi$의 합 $\hat bold\chi = bold\chi +\delta bold\chi$으로 쓸 수 있으므로, 식 (11)에 등가 시선좌표계 추정치를 대입하면 $I$-frame 상태추정치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6)
$\left[\begin{array}{l}\hat{R}^{\prime} \\ \hat{\boldsymbol{R}}^{I} \\ \widehat{\ddot{R}}^{I}\end{array}\right]=\Delta(\hat{a}, \hat{e}) \eta(\hat{r}, \hat{a}, \hat{e})$

식 (26)의 1차 테일러 급수를 전개하면, 시선좌표계 추정오차를 이용해 $I$-frame 표적 상태변수 추정오차를 근사할 수 있다.

(27)
$\delta x\approx J\begin{bmatrix}\delta x_{r}&\delta x_{a}&\delta x_{e}\end{bmatrix}^{T}$, $J =\dfrac{\partial x}{\partial\left(\begin{bmatrix}x_{r}^{T}& x_{a}^{T}& x_{e}^{T}\end{bmatrix}\right)}$

선형 필터구조를 갖는 등가 시선좌표계 추적필터는 영평균 추정오차 특성을 만족하므로 식 (27)을 이용하여 $I$-frame 표적 상태변수 추정오차 공분산을 식 (28)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28)
$P_{x}= E\left[(\delta x)(\delta x)^{T}\right]= J\left(P_{r}\oplus P_{a}\oplus P_{e}\right)J^{T}$

여기서 $P_{x}$는 비선형 추적필터의 추정오차 공분산을 의미한다.

$I$-frame 표적위치 추정오차 공분산 ${P_{R}}_{j}$를 추출하면 식 (29)을 얻는다. 이때,

(29)
$P_{\boldsymbol{R}_{j}}=J_{\boldsymbol{R}_{j}} \cdot \operatorname{diag}\left(P_{r}^{(1,1)} P_{a}^{(1,1)} P_{e}^{(1,1)}\right) \cdot J_{\boldsymbol{R}_{j}}^{T}$

여기서

$J_{\boldsymbol{R}_{j}}=\left[\begin{array}{ccc}c(a) c(e) & -r s(a) c(e)-r c(a) s(e) \\ s(a) c(e) & r c(a) c(e) & -r s(a) s(e) \\ -s(e) & 0 & -r c(e)\end{array}\right]$

식 (25)는 제안한 기법에 의해 산출된 비선형 추적필터의 위치 오차공분산이 레이더의 측정잡음 분산과 레이더 위치의 함수로 기술된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 식 (18), (21) 로부터 상대거리 추정오차공분산 $P_{r}$은 레이더의 거리 측정잡음분산 $\sigma_{r}^{2}$, 시선각 추정오차공분산 $P_{e},\: P_{a}$는 모두 각도 측정잡음분산 $\sigma_{\lambda}^{2}$과 표적 상대거리 $r$ 및 상대거리 변화율 $\dot r$의 함수이다. 마찬가지로 표적 상대기하와 관련된 변수들($r,\: a,\: e$)은 모두 레이더 위치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지므로 정리 3의 결과는 복수 레이더 배치 문제를 정식화하는 데 매우 유용한 형태이다.

정리 4. $N_{R}$개의 레이더로 구성된 MRS의 융합필터로부터 획득된 표적위치 정보량의 상한 $I_{R_{f}}^{\max}(t)$, 즉 표적추적 성능지표는 각 레이더에서 획득된 표적위치 정보량 ${I_{R}}_{j}(t)$의 합에 의해 결정된다.

(30)
$I_{\boldsymbol{R}_{f}}(t)=\left|\sum_{j=1}^{N_{R}} P_{\boldsymbol{R}_{j}}^{-1}(t)\right| \leqq \sum_{j=1}^{N_{R}} I_{\boldsymbol{R}_{j}}(t) \equiv I_{\boldsymbol{R}_{f}}^{\max }(t)$

여기서 ${I_{R}}_{j}(t)$는 식 (20)의 $P_{r}$과 식 (21)로 계산되는 행렬 $P_{\lambda}= P_{a}= P_{e}$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31)
$I_{\boldsymbol{R}_{j}}(t)=\left|P_{\boldsymbol{R}_{j}}^{-1}\right|=\frac{1}{P_{r_{j}}^{(1,1)}(t) P_{e_{j}}^{(1,1)}(t) P_{a_{j}}^{(1,1)}(t) r_{j}^{4}(t) c^{2}\left(e_{j}(t)\right)}$

증명.

레이더에 내장된 비선형 표적추적 필터의 추정오차 공분산은 양한정(positive definite)이므로 다음 부등식이 만족된다.

(32)
$\left|\sum_{i=1}^{N_{R}} P_{\boldsymbol{R}_{j}}^{-1}\right| \leqq \sum_{i=1}^{N_{R}}\left|P_{\boldsymbol{R}_{j}}^{-1}\right|=\sum_{i=1}^{N_{R}} I_{\boldsymbol{R}_{j}}$

식 (2)으로부터 MRS 융합센터에서 최종적으로 획득되는 표적위치정보량의 상한 $I_{R_{f}}^{\max}(t)$은 개별 레이더표적 정보량 ${I_{R}}_{j}(t)$의 단순 합이다. 정의에 따라 ${I_{R}}_{j}(t)=\left | P_{R_{j}}^{-1}\right |$이므로 정리 3의 식 (25)를 대입한 후 그 결과를 정리하면 식 (31)을 얻는다.

정리 4는 MRS의 표적추적 성능지표를 해석적 방법에 의해 정량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식 (30)은 레이더 배치 후보지, 레이더 운용조건이 달라지더라도 손쉽게 계산 가능하므로 일반화된 MRS 배치문제의 목적함수 산출에 매우 유리하다.

4. 모의실험 및 결과분석

제안 기법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모의실험을 수행한다. 레이더가 표적을 원활하게 탐지·추적하려면 빔 조사를 방해하는 주변 장애물이 없어야 하므로 실제 상황에서 배치 가능한 위치는 매우 제한적이다. 이를 감안하여 그림 4와 같이 표적 궤적과 MRS를 구성하는 복수의 장거리 레이더를 배치 할 수 있는 후보지(site) 4개를 임의 선정하였으며, 후보지별 표적 상대거리 및 상대거리 변화율 참값은 그림 5에 도시하였다.

그림 4 표적 궤적 및 레이더 배치가능 위치

Fig. 4 Target trajectory and candidates of radar sites

../../Resources/kiee/KIEE.2021.70.9.1381/fig4.png

그림 5 표적-레이더 배치 가능 위치 간 상대거리/상대거리 변화율

Fig. 5 Target-radar relative geometry at each radar site

../../Resources/kiee/KIEE.2021.70.9.1381/fig5.png

그림 1의 융합구조에 따라 각 레이더는 EKF를 통해 생성된 지역트랙을 MRS의 융합센터로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주요 파라미터들은 표 1에 정리하였다. 제안한 기법에 의한 정보량 분석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비교대상으로 두 가지 방법, 즉 DRE 식 (6)의 수치 해와 실제 추적필터 추정치의 오차공분산을 비교 대상으로 삼았다. 모든 결과는 2.5[GHz] 클럭의 i7-11700 CPU가 탑재된 컴퓨터를 이용한 200회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획득되었다.

표 1 모의실험 조건

Table 1 Simulation conditions

item

parameters

레이더

$R_{1,\: ...,\: 4}^{I}=\begin{bmatrix}0\\0\\0\end{bmatrix},\: \begin{bmatrix}-133.6\\ 96.4\\ 0.0\end{bmatrix},\: \begin{bmatrix}196.1\\201.1\\ 0.0\end{bmatrix},\: \begin{bmatrix}95.0\\173.4\\ 0.0\end{bmatrix}[k m] $

$\sigma_{r}=30.0[m],\:\sigma_{a}=\sigma_{e}=1[m rad](at200[k m])$

표적

\begin{align*} & R^{I}_{t}(0)&=\begin{bmatrix} 445.3,\:& -170.2,\: 0.0\end{bmatrix}^{T}[k m]\\ & R^{I}_{t}(126.8)&=\begin{bmatrix} 214.5,\:& 135.5,\: 0.0\end{bmatrix}^{T}[k m]\\ & V^{I}_{t}(0)&=\begin{bmatrix}-1104.4,\:& -987.0,\:& -1015.3\end{bmatrix}^{T}[m/s] \end{align*}

추적필터

$Q_{r}=(30.0[m/s])^{2},\: Q_{a}=Q_{e}=\left(20[m/s^{3}]\right)^{2}$

먼저 제안한 방법을 통해 계산된 결과가 개별 레이더에 구현된 비선형 추적필터의 오차공분산을 얼마나 잘 모사하는지, 그 유사성을 검증한다. 1번 후보지에 레이더가 배치된 경우, 표적 위치추정오차의 표준편차는 그림 6과 같다.

그림 6 표적 위치추정오차 표준편차 (site #1)

Fig. 6 Standard deviation of the target position estimation error (site #1)

../../Resources/kiee/KIEE.2021.70.9.1381/fig6.png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듯, 대부분의 구간에서 제안한 기법과 비교대상 기법 모두 동일한 오차공분산 계산결과를 제공한다. 식 (26)에 의하면 상대거리가 줄어들수록 표적 정보량이 급격히 증가하므로, 장거리 표적추적이 이루어지는 필터 초기 수렴구간에서 관찰되는 차이가 복수 레이더 배치 최적화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참고로, 1번 후보지에서는 접근속력 변화율이 다른 후보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므로, 3.1절의 상대거리 추적필터 설계를 위한 기본가정$(|\ddot r |\ll 1)$에 다소 위배된다. 이렇듯 불리한 여건에도 불구하고 제안 기법은 안정적으로 실제 EKF의 오차공분산을 모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 레이더 배치 최적화 문제에 제안한 기법이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한다. 문제를 단순화하기 위해 MRS가 두 대의 장거리 레이더로 구성되어 그림 4에 도시된 후보지 중 한 곳에 배치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가능한 레이더 배치 후보지 조합은 총 6가지이다. 각 조합에 대해 정리 4를 이용하여 융합 정보량을 계산한 결과는 그림 7과 같다.

그림 7 융합 표적 정보량

Fig. 7 Amount of the fused target information

../../Resources/kiee/KIEE.2021.70.9.1381/fig7.png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융합정보량의 최대치로 정규화 한 값을 도시하였다. 그림 7로부터 제안한 기법과 수치기법을 통해 획득된 융합정보량이 유사한 경향성이 보임을 알 수 있다. 다만, 4번 후보지가 포함된 조합들(C3,C5,C6)에 대해 두 방법에 의한 융합정보량 분석 결과가 약간의 차이를 지닌다. 이는 4번 후보지에 배치된 레이더가 표적궤적의 연장선 인근에 놓여있어 오차공분산 산출의 민감도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표 2에 정리한 바와 같이 융합정보량 순위에는 변동이 없으므로 배치 최적화 결과 측면에서 용인가능한 수준의 차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제안기법을 이용하더라도 MRS 배치 최적화 문제의 정식화가 가능함을 암시하는 것이다.

표 2 융합 표적정보량 순위

Table 2 Ranking of fused target information amount

경우의 수

배치 위치

정보량 순위

C1

(site #1, site #2)

6

C2

(site #1, site #3)

2

C3

(site #1, site #4)

4

C4

(site #2, site #3)

3

C5

(site #2, site #4)

5

C6

(site #3, site #4)

1

참고 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안 기법은 최적 배치문제 해결에 소요되는 연산량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모의실험에 사용된 두 방법의 정보량 산출 평균 소요시간은 표 3에 정리한 바와 같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한 기법에 소요된 시간은 기존 기법의 약 36.6% 수준에 불과하다. 만일, 표적 혹은 레이더 개수가 증가하거나 참고 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레이더 운용조건 변화를 반영할 필요가 있는 상황에서는 제안한 기법의 연산량 감소 효과가 더욱 부각될 것으로 판단된다.

표 3 정보량 산출 소요 시간

Table 3 Required average computation time

제안 기법(해석 해)

기존 기법(수치 해)

0.0696[sec]

0.1851[sec]

4. 결 론

MRS(multi-radar system)의 표적추적성능을 극대화 하기 위해, 복수 레이더 배치 최적화에 사용되는 폐쇄형 표적추적 성능 지표 산출 방법이 제시되었다. 표적 정보량이 필터 설계에 사용된 좌표계와 상관없이 보존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관성좌표계 비선형 추적필터와 등가적인 시선좌표계 추적필터 간 변환관계가 도출되었다. 등가 표적추적필터의 추정오차공분산 행렬 계산에 필요한 리카티 미분방정식의 해석 해를 유도한 후, 역변환을 통해 MRS에서 획득되는 표적 정보량의 닫힌 해를 산출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산출된 성능지표는 복수 레이더의 위치와 측정잡음 분산으로 기술되어 배치 최적화 문제 정식화에 매우 유리하다. 모의실험을 통해 수치기법에 의존하는 기존 방법 대비 배치 문제의 복잡도와 최적해 산출에 소요되는 연산량 부담이 크게 감소됨을 보였다. 제안 기법은 표적추적 대상 레이더의 개수와 사양 변화, 가시범위 제한이 존재하는 상황에도 적용 가능한 실용성과 확장성을 지니고 있어 향후 MRS 구축과 체계적인 성능평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국방과학연구소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연구로서, 관계부처에 감사드립니다 (UD190022CD).

References

1 
A. Farina, F.A. Studer, 1985, Radar data processing, Research Studies Press, Vol. 3Google Search
2 
S. Martínez, F. Bullo, 2006, Optimal sensor placement and motion coordination for target tracking, Automatica, Vol. 42, No. 4, pp. 661-668DOI
3 
R. Rajagopalan, R. Niu, C. K. Mohan, P. K. Varshney, A. L. Drozd, 2008, Sensor placement algorithms for target localization in sensor networks, IEEE Radar Conf., pp. 1-6DOI
4 
S.H. Kim, J.H. Park, W. Yoon, W.S. Ra, I.H. Whang, 2017, A note on sensor arrangement for long-distance target localization, Signal Processing, Vol. 133, pp. 18-31DOI
5 
A.N. Bishop, B. Fidan, B.D. erson, K. Doğançay, P.N. Pathirana, 2010, Optimality analysis of sensor- target localization geometries, Automatica, Vol. 46, No. 3, pp. 479-492DOI
6 
A. N. Bishop, P. Jensfelt, 2009, An optimality analysis of sensor-target geometries for signal strength based localization, Int. Conf. Intelligent Sensors, Sensor Network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p. 127-132DOI
7 
S.C. Herath, P.N. Pathirana, G.L. Williams, 2012, Optimal sensor placement in range based localization for linear arrays, IEEE Int. Conf. Robotics & Biomimetics, pp. 2225-2230DOI
8 
J.S. Abel, Speech, Optimal sensor placement for passive source localization, Int. Conf. AcousticsDOI
9 
C. Yang, L. Kaplan, E. Blasch, M. Bakich, 2013, Optimal placement of heterogeneous sensors for targets with Gaussian priors, IEEE Trans. Aero. Electr. Sys., Vol. 49, No. 3, pp. 1637-1653DOI
10 
K. Yoo, J. Chun, 2020, Analysis of Optimal Range Sensor Placement for Tracking a Moving Target, IEEE Communications Letters, Vol. 24, No. 8, pp. 1700-1704DOI
11 
S. Blackman, R. Popoli, 1999, Design and analysis of modern tracking systems, Artech HouseGoogle Search
12 
H.F. Durrant-Whyte, 1987, Consistent integration and propagation of disparate sensor observations, The Int. J. Robotics Research, Vol. 6, No. 3, pp. 3-24Google Search
13 
Y.Y. Li, C.C. Wang, G.Q. Qi, A.D. Sheng, 2020, Closed‐form formula of Cramer–Rao lower bound for 3D TOA target localisation, Electr. Lett., Vol. 56, No. 1, pp. 43-45Google Search
14 
W.S. Ra, I.H. Whang, 2011, Time-varying line-of-sight rate estimator with a single modified tracking index for RF homing guidance, Int. J. Control, Automat. Sys., Vol. 9, No. 5, pp. 857-866DOI
15 
S.S. Blackman, 1986, Multiple-target tracking with radar applications, DedhamGoogle Search
16 
F.L. Lewis, D. Vrabie, V.L. Syrmos, 2012, Optimal control, John Wiley & SonsGoogle Search

저자소개

조형찬(Hyung-Chan Cho)
../../Resources/kiee/KIEE.2021.70.9.1381/au1.png

2020년 한동대학교 기계제어공학부(공학사),

2020년~현재 동 대학원 기계제어공학과 석사과정.

관심분야는 이종센서 정보융합, 자율이동체 유도제어 등.

정보영(Boyoung Jung)
../../Resources/kiee/KIEE.2021.70.9.1381/au2.png

2019년 한동대학교 기계제어공학부(공학사),

2021년 동 대학원 기계제어공학과(공학석사),

2021년~현재 한동대학교 첨단기계기술연구소 전임연구원,

관심분야는 상태추정이론, 표적추적필터, 센서융합 등.

서의석(Ui-Suk Suh)
../../Resources/kiee/KIEE.2021.70.9.1381/au3.png

2015년 한동대학교 기계제어공학부(공학사),

2017년 동대학원 기계제어공학과(공학석사),

2019년~현재 동대학원 기계제어공학과 박사과정.

관심분야는 자동표적인식, 정보융합필터, 자율이동체 제어 등.

김영원(Young-Won Kim)
../../Resources/kiee/KIEE.2021.70.9.1381/au2.png

2014년 한동대학교 기계제어공학부(공학사),

2016 년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공학부(공학석사),

2016년~ 2018년 한화 주임연구원,

2019년~현재 동대학원 항공우주공학부 박사과정.

관심분야는 비행체 유도제어, 최적제어 등

나원상 (Won-Sang Ra)
../../Resources/kiee/KIEE.2021.70.9.1381/au5.png

1998년 연세대학교 전기공학과(공학사),

2000년, 2009년 동 대학원 전기컴퓨터공학과(공학석사), 전기전자공학과(공학박사).

2000년~2009년 국방과학연구소 유도조종부 선임연구원.

2009년~현재 한동대학교 기계제어공학부 교수.

2015년, 2019년 영국 Cranfield University 방문교수.

관심분야는 상태추정 및 정보융합 이론, 레이더 표적 식별 및 추적, 자율이동체 유도조종기법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