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제작 사양 및 시험 요건
실차기반 적용시험의 목적은 정거장 급속충전 방식 전동차의 핵심장치인 철도차량 급속 충방전 시스템이 철도차량에서 요구되는 특성을 충족하고 있는지 현장에서
실제 차량을 활용하여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작비용, 시험차량 상태 등을 고려하여 철도차량 급속 충방전 시스템의 출력 및 에너지저장 용량을
선정하였다. 표2에 실차기반 적용시험을 위해 제작하고 조합시험(8)을 완료한 철도차량 급속 충방전 시스템의 제작 사양을 나타내었다.
실차기반 적용시험을 위해 활용한 시험차량은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개발된 차세대 전동차이며 6량 1편성(3M3T)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장시험 노선은
대불 시험선(일로역-대불역 구간, 단선 12km)이다.
철도차량 급속 충방전 시스템이 철도차량 특성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우선 가속, 제동을 포함한 일반 전동차 운행패턴에 정거장 급속충전 방식의
특성을 추가하여 주행시험하고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전동차를 개조해야 한다. 또한 전동차의 일반적인 동작 시퀀스와 개발한 철도차량 급속 충방전
시스템의 특성을 모두 반영한 새로운 차량 동작 시퀀스를 개발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실차기반 적용시험 방법을 정립해야 하는데 이는 개발 시스템과 차량 기동 및 운행 전반에 대한 지식을 상호 연계하여 활용해야 하는
어려운 과정이다. 하지만 효율적이고 안전한 시험의 척도가 되기 때문에 실차기반 적용시험에서는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중요한 요건이 된다.
표 2. 철도차량 급속 충방전 시스템 제작사양
Table 2. Fast charge/discharge system fabrication specification
Item
|
Specification
|
DC/DC converter
|
Control Method
|
Charge: CC/CV with balancing control
Discharge: DC link voltage control
|
Output Power
|
Actual vehicle test: 450 [kW]
(Max. 600 [kW])
|
Topology
|
ISIO(3 series) with 2 phase interleaved
|
Output Voltage
|
Energy storage pack: 470 [V/Group]
DC link: 1500 [V]
|
Switching Frequency
|
10 [kHz]
|
Control Voltage
|
DC 100 [V]
|
Cooling Method
|
Forced air cooling
|
Energy storage pack
|
Storage Capacity
|
Total 3.14 [kWh]
|
Cell Balancing Method
|
Passive balancing
|
3.2 시험 차량 개조
차세대 전동차는 AC/DC 겸용 전동차이고 시험노선은 AC 25kV 운영노선이므로 차세대 전동차 내부의 AC/DC 컨버터를 활용하여 운행시험을 진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그림 11에 차량 개조 항목 및 철도차량 급속 충방전 시스템을 차량 내부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내었다. 제작된 철도차량 급속 충방전 시스템은 1개이며 차량 연계
용량에 따른 제약을 고려하여 주간제어기(Mascon) 노치에 따른 차량 견인력/제동력 등을 개량하였다. 또한 시험 차량의 제어로직을 수정하여 새로
추가된 철도차량 급속 충방전 시스템과 연계 동작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시험자가 시퀀스 안전성을 확인하면서 시험진행을 주도할 수 있고 개조 차량의 원상복귀시 편이성을 도모하기 위해 별도 I/F(Interface)
박스를 제작하였다. I/F 박스는 충전/방전 모드 상태를 스위치를 통해 차량에 전달하고 각종 신호 상태를 램프로 현시할 수 있어 장치간 연계동작에
대해 시험자가 직접 개입하고 다음 동작 확인 및 진행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장치이다.
한편, 에너지 저장팩, DC/DC 컨버터 등에서 과온, 고압, 저압, 고장 등의 감지로 인한 보호동작 발생은 모두 차량 종합제어장치(TCMS)로 전달이
되며 이때 차량은 안전을 위해 자동으로 운행을 정지하도록 하였다.
차량 내부에 설치된 철도차량 급속 충방전 시스템의 고압 인입부는 가장 먼저 LB 박스가 차량 AC/DC 컨터버와 고압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림. 11. 차량 개조항목 및 설치된 급속 충방전 시스템
Fig. 11. Vehicle modification items and installed fast charge/discharge system
LB 박스는 컨버터 내 필터 커패시터의 소프트 충전을 위해, 충전저항과 보조 접촉기로 구성된 보조충전부 및 주접촉기로 구성된 주충전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조 접촉기가 닫히면 충전저항을 통해 필터 커패시터는 서서히 충전되며 보조 접촉기 투입 후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충전된 필터 커패시터 측 전압이
기준을 만족하면 주접촉기가 닫히고 보조접촉기는 차단되는 순서로 소프트 충전을 구현한다. BDC 박스는 3직렬 구조에 따른 IGBT 소자를 이용하였으며
내부에 컨트롤 박스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Coil 박스는 인덕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대 400A 이상의 순시전류를 흘릴 수 있다.
에너지 저장팩들은 다수 슈퍼커패시터 셀과 셀 밸런싱 및 보호를 위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으로 구성된 3그룹의 SC BOX들로 구성되어 있다. 장치간
연계를 위한 고압배선은 안전을 위해 의자 밑에 위치한 덕트 내부를 통과하도록 하였다.
그림. 12. 데이터 취득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성
Fig. 12. Data acquisition and monitoring system configuration
실차기반 적용시험 모니터링을 위해 데이터 취득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그림 12와 같이 구성하였다.
차량, DC/DC 컨버터, 에너지 저장팩 등에서 취득된 데이터는 차량 운행상태 화면 및 급속 충방전 시스템 화면을 통해 요약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 운행상태 화면은 차량속도, 차량상태, 주행거리 등을 보여주며 급속 충방전 시스템 화면은 DC/DC 컨버터 및 에너지 저장팩의 상태 등을 보여준다.
또한 상세 화면을 별도 구성하여 셀 온도, 셀 밸런싱 동작상태, 셀 전압 편차 등을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3.3 제안 시험 방법 및 결과
정거장 급속충전 방식의 특성을 고려한 철도차량 급속 충방전 시스템 기본동작 시퀀스를 그림 13에 나타내었다.
그림. 13. 철도차량 급속 충방전 시스템 기본동작 시퀀스
Fig. 13. Fast charge/discharge basic operation sequence
그림 13의 충전모드를 살펴보면 가장 먼저 정거장 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팬터그래프 등)와 전차선($V_{L i n e}$)과의 연결유무를 확인하다. 연결이
된 상태(Line On)에서 필터 커패시터단 전압 $V_{FC}$와 전차선 전압 입력인 $V_{L i n e}$이 같은 값이 되면 벅 컨버터가 동작한다.
이후 그룹별 에너지 저장팩의 충전전압이 지령치에 도달하면 충전을 종료한다.
방전모드의 경우, 전차선과의 접촉이 없는 상태(Line Off )에서 역행(가속) 지령신호를 입력받으면 에너지 저장팩 방전을 통해 에너지가 공급되고
양방향 컨버터는 부스팅 컨버터 상태로 방전을 시작한다. 이때 인버터와 연결된 DC링크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터 커패시터단 전압을 1500V로
전압제어 하며 1500V를 초과하는 필터 커패시터단 전압이 형성되면 회생모드로 절체된다. 컨버터 부스트 동작 및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슈퍼커패시터 전압
범위를 고려하여 각 그룹 에너지 저장팩 전압이 최소 250V 이하가 되면 방전을 종료한다. 충전 혹은 방전 모드에서 제어종료 후에는 컨트롤 박스 내
제어기는 초기화되어 아이들(idle) 상태가 된다. 이는 충전 및 방전 상태가 아이들(idle) 상태 없이 절체가 진행되면 큰 과도상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수송시스템의 안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적용하였다.
그림 14는 실제 차량 동작을 위해 기본동작 시퀀스를 개량한 정거장 급속충전 방식 전동차 동작 시퀀스를 보여주고 있다. 관련 장치별로 차량, 추진제어 전력변환장치(AC/DC
컨버터, 추진 인버터), DC/DC 컨버터로 구분되게 표기하였다.
그림. 14. 정거장 급속충전 방식 전동차 동작 시퀀스
Fig. 14. Station-fast-charging railway vehicles operation sequence
전동차의 일반적 동작 시퀀스 및 개발한 철도차량 급속 충방전 시스템의 특성을 반영하여 고안된 정거장 급속충전 방식 전동차 동작 시퀀스를 모두 반영하여
제안하는 실차기반 적용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철도차량 기동 확인
∙ 차량 키 투입
∙ 역전기 전진모드 및 제어전원 투입
∙ 전동차 집전장치 상승
∙ 전차선 전압 확인 및 주회로차단기(MCB) 투입
∙ 주변압기를 거친 전차선 전원이 AC/DC 컨버터에 인가 중인지 확인
∙ 추진 인버터와 DC/DC 컨버터는 제어기만 동작 중인 상태로 기동 대기
② 충전모드 시작 확인
∙ 충전을 위해 주간제어기(Mascon)를 제동 위치로 이동
∙ AC/DC 컨버터 기동 상태 확인
∙ 직류단 전압이 세팅 값까지 상승되었는지 센싱
∙ 추진 인버터 입력단 고속차단기(HSCB) 접점 닫힘
③ 충전모드 동작 확인
∙ 급속 충방전 시스템의 DC/DC 컨버터는 DC링크인 직류단 전압을 감시하며 대기 중인 상태에서 충전시작 가능한 직류단 전압에 도달하면 충전모드
진입
∙ 에너지 저장팩으로 에너지 급속충전 시작
∙ 종합제어장치(TCMS)로 충전 중을 알리는 정보 전달(모니터링 장치에서 확인)
④ 충전완료 확인
∙ 충전완료 시 DC/DC 컨버터 스위칭 동작 정지
∙ 충전완료 상태를 종합제어장치(TCMS)로 전달(모니터링 장치에서 확인)
∙ 기관사가 충전완료 확인 후 주간제어기를 중립으로 이동
∙ 종합제어장치는 AC/DC 컨버터 스위칭 정지 및 HSCB 접점 열림 상태 확인
∙ 주회로차단기를 차단한 후 집전장치 하강
∙ 종합제어장치는 집전장치 하강 후 상태정보를 DC/DC 컨버터로 전달
⑤ 방전모드(주행) 동작 확인
∙ DC/DC 컨버터는 방전모드 개시 상태정보를 종합제어장치로 전달(모니터링 장치에서 확인)
∙ 기관사가 방전모드 개시 확인 후 주간제어기를 역행위치로 이동하면 추진 인버터가 직류단 전압을 감시하며 조건 충족 시 기동하여 견인전동기 제어 시작
∙ 속도가 올라가며 무가선 주행 시작
⑥ 보호동작 확인(필요시)
∙ 전동차가 일정속도 이상의 주행 중에 에너지 저장팩의 저전압을 감지하면 종합제어장치에 신호를 전달하여 기관사에게 경고메시지 표출
⑦ 회생제동 동작 확인
∙ 기관사가 주간제어기를 제동위치로 이동하면 회생제동이 시작되며 발생하는 회생에너지를 에너지 저장팩에 충전하기 위해 DC/DC 컨버터는 방전모드 중에서도
직류단 전압을 지속적 감시
∙ 방전모드 중 직류단 전압이 세팅 값 이상으로 상승하면DC/DC 컨버터는 충전모드로 전환하여 회생에너지를 저장
∙ 직류단 전압이 다시 세팅 값 이하로 하강하면 DC/DC 컨버터는 방전모드로 전환하여 추진 인버터에 전력공급
∙ 단, DC/DC 컨버터의 충전모드와 방전모드 전환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오차 및 직류단 전압 유동 등의 요인으로 인해 의도하지 않은 충/방전
모드 전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일정 구간 변동제한폭을 두는 히스테리시스 형태 적용 필요
⑧ 재충전 준비 기동 확인
∙ 정거장에 정차 후 집전장치 상승
∙ 종합제어장치에서 집전장치 상승신호와 차량 정지상태를 검지하는 영속도 릴레이(ZVR) 신호를 논리AND 하여 조건 만족시 DC/DC 컨버터로 재충전
준비 신호 전달
시험노선에서 정거장 급속충전 방식에 대한 실차기반 적용시험을 위해 급속충전-가속-(타행)-제동 순으로 운행을 하면서 그림 15와 같이 운행데이터를 모니터링하였다.
그림. 15. 실차기반 적용시험 모니터링
Fig. 15. Applicability test monitoring
철도차량 급속 충방전 시스템 기본동작 시퀀스와 달리 실차기반 적용시험에서는 급속충전 시작점인 그룹별 에너지 저장팩 초기전압을 약 330V, 에너지
저장팩 저전압 감지 시점(보호동작)을 약 300V로 적용하였다. 에너지 저장팩 전압에 따라 DC/DC 컨버터의 부스트 전압에 제한이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 보호를 위하여 에너지 저장팩 전압이 정해진 값 이하가 되면 기관사에게 알람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기관사가 저전압 알람을 확인한
후 제동을 체결하게 되므로 기관사 반응속도 등 운영마진을 고려하여 250V 보다 다소 높은 300V로 기준 전압값을 설정하였다.
제작된 철도차량 급속 충방전 시스템의 파워출력 및 에너지 저장팩 용량에 따라 시험차량은 충전 소요시간 약 43초, 최고속도 약 21km/h, 최대
이동거리 약 340m의 특성을 보였다. 다만 최고속도 및 이동거리는 시험노선 구간별 구배, 곡률반경, 레일상태 등에 따라 조금씩 변할 수 있다. 또한
충전소요 시간도 제어변수 설정값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그림. 16. 철도차량 급속 충방전 시스템 동작 파형
Fig. 16. Fast charge/discharge system operation waveform
그림 16은 실차기반 적용시험에 따른 철도차량 급속 충방전 시스템의 동작 파형을 보여주고 있다. 오실로스코프 채널 수량 제한으로 인해 주요 파형만 선별 취득하여
나타내었다. $V_{SC1}$은 그룹1 에너지 저장팩 전압이며 $i_{SC1}$, $i_{SC2}$는 그룹1 및 그룹2 에너지 저장팩 전류이다.
정거장으로 가정한 위치에서 약 300A로 급속 충전하는 동안 에너지 저장팩 전압이 상승하는 것을 동작 파형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룹별 에너지 저장팩을
470V까지 충전을 완료한 후 차량이 역행(가속)을 시작하면 에너지 저장팩 내의 에너지가 줄어들고 전압은 떨어진다. 저전압 감지 시점 이후 회생제동시
발생하는 회생 에너지 저장으로 인해 그룹별 에너지 저장팩 전압이 다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운행시험 동안 밸런싱 제어에 의해
3개 그룹의 필터 커패시터 전압인 $V_{FC1}$, $V_{FC2}$, $V_{FC3}$가 모두 500V로 평형을 이루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