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증 ESS는 운영방법에 따라 일별, 계절별, 연도별로 충ㆍ방전 스케줄과 충ㆍ방전량이 상이하므로, ESS의 고장 및 화재 발생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때 동일한 조건하에서 특성을 분석하기 어렵다. 그러나 지난 2019년 9월 24일 강원도 평창에서 발생한 ESS 화재사고를 검토해보면, 화재 발생
전 2019년 3월 셀 전압 편차 경고 알림(제조사의 고장진단 조건: 0.3V 이상 시 경고/0.5V 이상 시 고장) 및 2019년 6월 24일 방전
하한전압 고장 알림(제조사의 고장진단 조건 : 2.7V 이하 시 고장) 이후, 2019년 9월 24일 저전압, 고온, 전압 불균형과 함께 화재가 발생한
것을 보아, 제조사에서 설정한 고장진단 조건을 활용한다면 고장에 대한 예측을 통해 화재 발생 전 유지보수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조사에서 설정한 고장 조건에 따라 실증 데이터를 분석하고, 고장을 예측할 수 있는 항목을 선정하여 예측 유지보수에 활용해보고자
한다.
3.1 ESS 예측 유지보수를 위한 실증 데이터 분석
실증 ESS는 BMS에서 배터리 고장 진단을 수행하고 있다. 표 4와 같이 온도 이상, 전압 이상, 전류 이상, 통신 이상, SOC 이상과 같은 고장현상을 제조사에서 설정한 고장 기준에 따라 경고(Warning)
및 고장(Fault) 알림을 보내도록 설정 되어있다. 전압 진단 방법 중 DVW(Deviation Voltage Warning)와 DTF(Deviation
Voltage Fault)의 경우에는 셀 전압이 3.7V 이상일 때 모듈 별 셀 전압이 가장 큰 값과 셀 전압이 가장 낮은 값의 차가 0.3V 이상이면
배터리 고장을 경고하고, 0.5V 이상이면 배터리 고장으로 분류한다. 이 고장 진단 방법은 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경고를 알리기 때문에 사고에 대비하여
설비 보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예방 유지보수라고 할 수 있지만, 만약 경고 이후 고장이 발생하기 전까지 ESS를 더 운영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설비를 수리한다면 불필요한 점검 및 수리비용이 발생하게 되므로, ESS를 점검할 적절한 시기를 예측해 볼 필요가 있다.
표 4. BMS 고장 종류
Table 4. Fault type of BMS
Fault
|
Type
|
Explain
|
Temperature
|
DTW(Deviation Temperature Warning)
|
Tray temperature difference 8℃ over
|
DTF(Deviation Temperature Fault)
|
Tray temperature difference 10℃ over
|
OTW(Over Temperature Warning)
|
Module temperature 53℃ over
|
OTF(Over Temperature Fault)
|
Module temperature 58℃ over
|
UTW(Under Temperature Warning)
|
Module temperature 10℃ under
|
UTF(Under Temperature Fault)
|
Module temperature -10℃ under
|
Voltage
|
DVW(Deviation Voltage Warning)
|
Battery cell voltage deviation 0.3V over
|
DVF(Deviation Voltage Fault)
|
Battery cell voltage deviation 0.5V over
|
OVW(Over Voltage Warning)
|
Highest cell voltage 4.24V over
|
OVF(Over Voltage Fault)
|
Highest cell voltage 4.3V over
|
UVW(Under Voltage Warning)
|
Lowest cell voltage 2.7V under
|
UVF(Under Voltage Fault)
|
Lowest cell voltage 2.4V under
|
Current
|
OCCW(Over Charge Current Warning)
|
Rack charging current 196A over
|
OCCF(Over Charge Current Fault)
|
Rack charging current 217.8A over
|
ODCW(Over Discharge Current Warning)
|
Rack discharging current 196A over
|
ODCF(Over Discharge Current Fault)
|
Rack discharging current 217.8A over
|
OCPW(Over Charge Power Warning)
|
Rack/Bank charging power for 10 Seconds 110% over
|
OCPF(Over Charge Power Fault)
|
Rack/Bank charging power for 20 Seconds 120% over
|
ODPW(Over Discharge Power Warning)
|
Rack/Bank discharging power for 10 Seconds 110% over
|
ODPF(Over Discharge Power Fault)
|
Rack/Bank discharging power for 20 Seconds 120% over
|
Communication
|
PCS-BSC Com LOC
|
Communication failure between PCS and BSC for more than 20 seconds
|
BSC-RBMS Com LOC
|
Communication failure between BSC and RBMS for more than 10 seconds
|
RBMS-MBMS Com LOC
|
Communication failure between RBMS and MBMS for more than 3 seconds
|
SOC
|
High SOC
|
Charging rate exceeds normal range (100%)
|
Low SOC
|
Charging rate below normal range (0%)
|
ESS 고장 시점 예측을 위해 보유 데이터 항목을 기반으로 제조사에서 설정한 고장 종류 및 고장 기준을 활용하여 모듈 온도(OTW, OTF, UTW,
UTF), 셀 전압(DVW, DVF, OVW, OVF, UVW, UVF), 랙 전류(OCCW, OCCF, ODCW, ODCF), SOC(High SOC,
Low SOC) 데이터를 분석해 보았다. 데이터 분석 시 운영 중단 기간인 2019년 1월 18일부터 2019년 11월 4일까지는 제외하였으며, 셀
전압의 경우에는
표 5와 같이 데이터 보유 기간 중 계절별로 데이터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표 5. 데이터 분석 기간
Table 5. Analysis period of empirical data for ESS predictive maintenance
Module Temperature, Rack Current, SOC
|
Cell Voltage
|
Analysis Period
|
Analysis Period
|
Season
|
1/30/2018~1/17/2019
|
1/30/2018~2/12/2018
|
Winter 2018
|
4/23/2018~5/6/2018
|
Spring 2018
|
8/6/2018~8/19/2018
|
Summer 2018
|
10/28/2018~11/10/2018
|
Fall 2018
|
12/30/2018~1/12/2019
|
Winter1 2019
|
11/5/2019~3/14/2021
|
12/1/2019~12/14/2019
|
Winter2 2019
|
3/1/2020~3/14/2020
|
Spring 2020
|
5/1/2020~5/14/2020
|
Summer1 2020
|
8/2/2020~8/15/2020
|
Summer2 2020
|
10/5/2020~10/18/2020
|
Fall 2020
|
먼저, 운영 기간 동안의 모듈 온도는
그림 3과 같다. (a) 그림의 경우, 파란색 원은 1번 랙을 구성하는 모든 모듈(17개)의 평균 온도를 의미하며, 주황색 원은 전체 랙(4개)에 존재하는
모든 모듈(4개*17개=68개)의 평균 온도이다. 1번 랙들에 존재하는 모든 모듈의 평균 온도(파란색 원)는 전체 랙을 구성하는 모든 모듈의 평균
온도(주황색 원)와 거의 유사함을 볼 수 있다. (b) 그림의 경우, 파란색 원은 1번 랙을 구성하는 모듈 중 최대 온도 값을 의미하며, 주황색 원은
1번 랙을 구성하는 모듈 중 최소 온도 값을 뜻한다. 모듈 온도는 최대 53℃ 이상과 최소 10℃ 미만일 경우 각각 OTW(Over Temperature
Warning)와 UTW(Under Temperature Warning) 경고 알림을 발생하는데, 운영 기간 동안 배터리를 구성하는 모든 모듈의 온도는
경고 알림 기준을 벗어나지 않았다. 이는 BMS의 냉각제를 통해 10℃~30℃ 범위 내로 모듈 온도가 유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림. 3. 운영기간 동안의 모듈 온도
Fig. 3. Module temperature during operation period
운영 기간 동안의 셀 전압은
그림 4,
그림 5(a~d)와 같이 나타난다.
그림 4는 1번 랙을 구성하는 모든 셀 전압 중 가장 높은 셀 전압(파란색 원), 가장 낮은 셀 전압(주황색 원)을 보여주는데, 가장 높은 셀 전압이 OVW(Over
Voltage Warning) 기준인 4.24V를 초과하지 않았으며, 가장 낮은 셀 전압이 UVW(Under Voltage Warning) 기준인
2.7V 미만이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림. 4. 운영 기간 동안의 셀 전압
Fig. 4. Cell voltage during operation period
그림 4를 상세히 보면
그림 5와 같다.
그림 5(a~d)는 시간에 따른 최대 전압과 최소 전압의 편차를 보여주며, (a) 그림은 운영 초기인 2018년 1월, (b) 그림은 ESS 운영 중단 직전인 2019년
1월, (c) 그림은 ESS 운영 재시작 시점인 2019년 12월, (d) 그림은 운영 후기(보유 데이터 마지막 시점)인 2020년 10월의 하루이다.
(a)~(d) 그림 모두 동일 스케줄로, 오전에 ESS를 충전하고 9시부터 휴지를 수행하여 10시부터 방전을 수행하고 있으며, 충ㆍ방전량은 해당 일의
최적 운전계획에 따라 다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최대 전압과 최소 전압의 차이가 증가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특히 충전 이후 휴지구간을 살펴보면,
셀 밸런싱을 통해 셀의 내부 전압을 균일하게 맞출 수 있는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셀 전압 불균형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배터리 열화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11), 셀 전압 불균형이 더욱 심화되어 셀 전압 차 경고 및 고장인 DVW(Deviation Voltage Warning)와 DVF(Deviation
Voltage Fault)가 발생하게 된다면, 화재 및 폭발사고까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고장 알림 발생 이전에 고장 발생 일을 추정해 볼 필요성이
있다.
그림. 5. 시간에 따른 최대 셀 전압 및 최소 셀 전압
Fig. 5. Maximum cell voltage and minimum cell voltage over time
랙 전류의 경우에는
그림 6과 같다. 그림의 파란색 원은 1번 랙의 전류이며, 주황색 원은 모든 랙의 평균 전류를 의미하고, 양수인 구간은 충전 전류, 음수인 구간은 방전 전류를
의미한다. 랙 전류는 ESS 최적 운전계획에 따라 변동하였지만, 전류 이상 항목인 OCCW(Over Charge Current Warning)와 ODCW(Over
Discharge Current Warning) 기준인 ±196A를 초과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그림. 6. ESS 전류
Fig. 6. ESS current during operation period
SOC의 경우에는
그림 2와 같다. 전류와 마찬가지로 ESS 정부 지침 및 제조사의 권장 범위에 따라 최적 운전 계획을 수립하고 그에 따라 운전하고 있으므로, High SOC와
Low SOC 기준인 정상범위(100%-0%)를 벗어나지 않는다.
네 종류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모듈 온도, 셀 전압, 랙 전류, 배터리 SOC는 ESS 운전계획에 따라 제어가 수행되고 있으나, 셀 전압 편차의
경우에는 ESS 제어와 상관없이 편차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ESS 운영을 수행함에 따라 배터리가 열화되어 셀 전압 편차가 더욱 증가한다면, 향후에는
고장 및 화재까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셀 전압편차 모델링을 통해 고장발생 시점을 예측한다면 ESS 예측 유지보수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3.2 실증 전압 데이터를 활용한 ESS 예측 유지보수
본 절에서는 ESS 예측 유지보수를 위해 실증 전압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장 발생 시점을 추정해보고자 한다. 먼저, 배터리 셀 전압 차로 ESS 고장을
판단하는 DVW(Deviation Voltage Warning)와 DTF(Deviation Voltage Fault)의 기준에 따라, 셀 전압이 3.7V
이상일 때 1번 랙을 대상으로 전체 셀 중 최대 전압 값과 최소 전압 값의 편차를 계산해보았다. 그림 7과 같이, 셀 전압 편차는 ESS 전압 고장 기준인 0.5V와 경고 기준인 0.3V에는 도달하지 않았으나, 열화로 인해 시간에 따라 편차가 증가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그림. 7. 시간에 따른 셀 전압 편차 변화
Fig. 7. Cell voltage deviation variation over time
ESS의 고장 발생 시점을 예측하기 위해 학습, 검증, 테스트 데이터를 분류하고, 머신러닝 기법 중 하나인 회귀를 활용하여 학습 데이터를 대상으로
시간에 따른 셀 전압편차를 모델링한 뒤, 검증 데이터로 모델 별 예측 오차를 검토해보았다. 이 때, 학습 데이터는 2018년 1월 30일부터 2020년
3월 14일까지, 검증데이터는 2020년 5월 1일부터 2020년 10월 18일까지, 테스트 데이터는 2020년 10월 19일부터 운영 시작일인 2017년
12월의 10년 뒤인 2027년 12월 31일까지로 분류하였으며, 회귀는 단순선형회귀와 다중선형회귀(2차 다항식, 3차 다항식, 4차 다항식)를 사용하였다.
표 6은 검증 데이터로 셀 전압 편차를 예측하였을 때, 모델 별 예측 오차를 계산한 결과이다. 오차 계산에는 MAPE(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를 사용하였으며, 2차 다항식($y=0.006345x^{2}+0.01284x+0.02699$)을 사용하였을 때 가장 오차가 낮았음을 볼
수 있다.
표 6. 예측 모델 별 셀 전압 편차 예측 오차
Table 6. Cell voltage deviation prediction error by Forecasting model
Forecasting model
|
Error(MAPE)
|
Linear Regression
|
33.9718%
|
Quadric Polynomial
|
26.2800%
|
Cubic Polynomial
|
26.3303%
|
Fourth-order Polynomial
|
27.2716%
|
검증데이터의 결과에 따라, 2차 다항식을 셀 전압 편차를 예측하는 배터리 고장 곡선으로 선정하여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셀 전압 편차 변화를 예측해보았다.
이는
그림 8과 같으며, 향후에도 셀 전압 편차 변화가 배터리 고장 곡선과 같이 증가한다면, 셀 전압 편차 경고 발생 시점은 약 2024년 9월 13일 17시
41분, 고장 발생 시점은 2026년 11월 21일 3시 20분으로 추정된다. 예측 결과에 의하면 경고 이후 약 2년 2개월 뒤에 배터리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경고 알림 이후에도 ESS를 조금 더 운영한 뒤 보전에 대한 계획을 수립해도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렇지만, 해당 결과는 ESS
운영 초기부터 3년간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고장 발생 시점을 예측한 결과이기 때문에, 더 많은 운영 데이터를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배터리 고장 곡선을
수정할 필요가 있으며, 수정된 결과에 따라 고장 발생 이전에 설비 보전에 대한 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화재와 같은 사고에 대처 방안을 마련한다면, ESS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8. ESS 경고 및 고장 발생 시점 예측
Fig. 8. Warning and fault prediction for ESS predictive mainte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