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Korea.)



Newton-Raphson Method, Nodal Admittance Matrix, Power Flow Study, Scott or T Transformer

1. 서 론

최근 전력계통에서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불평형 계통에 대한 해석이 중요해지는 추세이다. 불평형 계통에 대한 여러 해석 방법 중에서 조류해석은 계통의 운영과 계획 단계에서 기반이 되는 해석 방법이다(1), (2). 전력계통은 통상적으로 다수의 발전기, 변압기, 송배전설비, 능동 및 수동 부하와 여러 부속 설비들로 구성되어 있다. 부하측에 대한 전력 공급은 계통을 구성하는 기기들의 과부하 없이 정해진 전압과 주파수 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신뢰성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 정상상태에서 계통의 전압과 전류 및 전력의 흐름을 계산할 수 있는 조류해석이 계통의 운영과 계획 단계에서 기반이 되는 이유이다. 신뢰성이 기반이 되어야 하는 조류해석의 오차는 주로 변압기에서 발생한다. 변압기에 대한 오차는 변압기의 실제 구조를 최대한 실증하면서, 변압기에 대한 이론을 기반으로 정확한 모델링하게 되면 오차를 줄일 수 있다(3). 조류해석에서 전력계통을 구성하는 대부분 기기의 모델링은 어드미턴스로 표현되며 조류해석에서의 어드미턴스 행렬은 계통구성도로 볼 수 있다(4)-(6). 계통을 구성하는 기기들을 어드미턴스 행렬로 표현하게 되면 Nodal Analysis에 따라 각 노드에 주입된 전류의 방정식인 Kirchhoff 방정식을 기반으로 모델링할 수 있기 때문이다(7)-(10). 변압기는 전기적 이론과 자기적 이론을 근거한 모델링을 통해 실증할 수 있다(11). 변압기 모델링에 대한 초기 연구는 논문(12)에서 제시되는 3상 변압기 모델링이며 현대 변압기 모델링의 근간이 된다. 그러나 논문(12)에서 제시한 방법에서 변압기의 상간 결합을 고려하지 않은 점은 결국 특이한 결선형태를 가진 변압기에 의해 조류해석의 결과값에 오차를 발생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임피던스 접지의 배치를 고려한 방법인 (13), (14)에 의해 해결되며, 특이한 결선형태를 가진 변압기의 모델링을 위해 확장되었다. 추후 다양한 결선형태의 3상 변압기에 대한 모델링이 제시되어왔다(15)-(18). 이와 같이 3상 변압기의 경우 다양한 결선이 존재하지만, 스코트 결선에 대해서는 모델링이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스코트 결선을 포함한 범용적인 모델링 방법이 적용된 모델링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3상 불평형 전력계통을 해석하기 위한 조류해석을 통해 제안하는 스코트 변압기 모델링의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3상 불평형 계통의 조류해석을 위한 방법(Gauss- Seidel method, Newton-Raphson method, Fast Decoupled Power Flow)중 계통의 모선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정확성, 신뢰성, 접근성 및 효율성이 다른 방법에 비해 뛰어난 Newton-Raphson method(19)를 MATLAB으로 구현하여 다른 전력계통 해석 툴과의 비교를 통해 검증한다.

2. Newton-Raphson method

Newton-Raphson method를 통한 조류해석은 다원의 비선형 연립방정식을 통해 산출된 전압을 기반으로 전류, 전력의 흐름 및 손실까지 계산할 수 있다(9). 초기값을 기반으로 전압의 크기와 위상각의 변화분을 업데이트하며 허용오차까지 일련의 과정을 반복한다. Newton-Raphson method는 그림 1과 같이 Nodal Analysis에서 시작된다.

그림. 1. 발전과 부하의 관계도[9]

Fig. 1. Diagram between generation and load[9]

../../Resources/kiee/KIEE.2021.70.12.1827/fig1.png

식(1)을 $n$개의 모선이 있는 계통에 대해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I=Y_{Bus}V$

(2)
$I_{i}=\sum_{j=1}^{n}Y_{ij}V_{j}$

이때, 모선 $i$에 전달되는 전력은 다음과 같다.

(3)
$S_{i}=P_{i}+j Q_{i}=V_{i}I_{i}^{*}$

(4)
$I_{i}=\dfrac{P_{i}-j Q_{i}}{V_{i}^{*}}$

식(4)식(2)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수식이 도출된다.

(5)
$\dfrac{P_{i}-j Q_{i}}{V_{i}^{*}}=V_{i}\sum_{j=1}^{n}y_{ij}-\sum_{j=1}^{n}y_{ij}V_{i},\: j\ne i$

식(5)를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누어 Power Mismatch Equation을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6)
$P_{i}=\sum_{j=1}^{n}\left | V_{i}\right |\left | V_{j}\right |\left | Y_{ij}\right |\cos(\theta_{ij}-\delta_{i}+\delta_{j})$

(7)
$Q_{i}=\sum_{j=1}^{n}\left | V_{i}\right |\left | V_{j}\right |\left | Y_{ij}\right |\sin(\theta_{ij}-\delta_{i}+\delta_{j})$

식(6)과 (7)을 Taylor Series로 정리하고 고차 부분을 무시하면 다음과 같은 Jacobian Matrix를 얻을 수 있다(9).

(8)
$\left[\begin{array}{c}\Delta P_{2}^{(k)} \\ \vdots \\ \Delta P_{n}^{(k)} \\ \Delta Q_{2}^{(k)} \\ \vdots \\ \Delta Q_{n}^{(k)}\end{array}\right]=\left[\begin{array}{ccc:ccc}\frac{\partial P_{2}^{(k)}}{\partial \delta_{2}} & \cdots & \frac{\partial P_{2}^{(k)}}{\partial \delta_{n}} & \frac{\partial P_{2}^{(k)}}{\partial|V|_{2}} & \cdots & \frac{\partial P_{2}^{(k)}}{\partial|V|_{n}} \\ \vdots & \ddots & & \vdots & \ddots & \\ \frac{\partial P_{n}^{(k)}}{\partial \delta_{2}} & & \frac{\partial P_{n}^{(k)}}{\partial \delta_{n}} & \frac{\partial P_{n}^{(k)}}{\partial|V|_{2}} & & \frac{\partial P_{n}^{(k)}}{\partial|V|_{n}} \\ \hdashline \frac{\partial Q_{2}^{(k)}}{\partial \delta_{2}} & \cdots & \frac{\partial Q_{2}^{(k)}}{\partial \delta_{n}} & \frac{\partial Q_{2}^{(k)}}{\partial|V|_{2}} & \cdots & \frac{\partial Q_{2}^{(k)}}{\partial|V|_{n}} \\ \vdots & \ddots & & \vdots & \ddots & \\ \frac{\partial Q_{n}^{(k)}}{\partial \delta_{2}} & & \frac{\partial Q_{n}^{(k)}}{\partial \delta_{n}} & \frac{\partial Q_{n}^{(k)}}{\partial|V|_{2}} & & \frac{\partial Q_{n}^{(k)}}{\partial|V|_{n}}\end{array}\right]\left[\begin{array}{c}\Delta \delta_{2} \\ \vdots \\ \Delta \delta_{n} \\ \Delta|V|_{2} \\ \vdots \\ \Delta|V|_{n}\end{array}\right]$

위의 Jacobian Matrix를 간단히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9)
$$ J=\left[\begin{array}{ll} \frac{\partial P}{\partial \delta} & \frac{\partial P}{\partial|V|} \\ \frac{\partial Q}{\partial \delta} & \frac{\partial Q}{\partial|V|} \end{array}\right] $$

이렇게 정의된 Jacobian Matrix는 고차부분을 무시하여 생긴 오차를 포함하므로 다음의 절차를 반복함으로써 그 오차를 허용 가능한 값 이내로 줄이면 전력 방정식을 만족하는 해를 구할 수 있다.

1) 초기치 오차계산

(10)
$\Delta P_{i}^{(k)}=P^{schedule d}-P_{i}^{(k)}$

(11)
$\Delta Q_{i}^{(k)}=Q^{schedule d}-Q_{i}^{(k)}$

2) Jacobian Matrix 계산. Jacobian Matrix을 모선 전압의 초기치 ($| V(0)|$,$\delta(0)$)를 통해 계산한다.

3) Jacobian Matrix의 역행렬 계산. 이전 항목에서 계산된 Jacobian Matrix의 역행렬을 이용하여 모선 전압의 새로운 값을 찾는다.

(12)
\begin{align*} [\begin{aligned}\Delta P\\\Delta Q\end{aligned}]=\left[\begin{aligned}J_{1}\\J_{2}\end{aligned}\begin{aligned}J_{3}\\J_{4}\end{aligned}\right][\begin{aligned}\Delta\delta \\\Delta | V |\end{aligned}] \end{align*}

(13)
\begin{align*} [\begin{aligned}\Delta\delta \\\Delta | V |\end{aligned}]=\left[\begin{aligned}J_{1}\\J_{2}\end{aligned}\begin{aligned}J_{3}\\J_{4}\end{aligned}\right]^{-1}[\begin{aligned}\Delta P\\\Delta Q\end{aligned}] \end{align*}

4) 모선 전압 크기와 위상 갱신. 다음의 모선 전압의 크기와 위상을 갱신한다.

(14)
$\delta^{(k+1)}=\delta_{i}^{(k)}+\Delta\delta_{i}^{(k)}$

(15)
$\left | V^{(k+1)}\right | =\left | V_{i}^{(k)}\right | +\Delta\left | V_{i}^{(k)}\right |$

5) 수렴 조건 확인. 수렴 조건이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이때 수렴하지 않으면 다시 1), 2), 3), 4)의 과정을 반복하고 수렴하면 조류해석을 마친다.

3. 스코트 변압기

국내 교류 전철변전소는 단상전압을 철도부하에 공급하기 위해 스코트 변압기를 활용하고 있다(20). 스코트 결선은 3상을 2상으로 변성하는 결선으로 그림 2와 같이 두 개의 변압기 뱅크로 이루어져 있다. 두 개의 변압기 뱅크는 각각 Main좌(M좌)와 Teaser좌(T좌)로 명명된다. 일반적인 변압기와 달리 M좌 1차측 권선의 중앙에서 T좌의 1차측 권선으로 탭이 연결되어있으며 해당 탭은 86.6%의 탭이다.

그림. 2. 스코트 결선 형태

Fig. 2. Scott or T connection diagram

../../Resources/kiee/KIEE.2021.70.12.1827/fig2.png

그림 2에서 $V_{a,\:b,\:c}^{p}$는 1차측의 노드 전압을, $V_{x1,\:x2}^{s}$는 2차측의 노드 전압을 의미한다. 각 측의 노드 전압에 의해 M좌와 T좌 변압기 권선에 권선 전압인 $V_{T,\:M}^{p,\:s}$이 유기된다.

스코트 결선을 원리는 각 권선에 유기되는 전압과 자기적 결합 그리고 위상각 벡터를 통해 표현된다.

(16)
$\left[\begin{array}{l}V_{A}=V \angle 0^{\circ} \\ V_{B}=V \angle-120^{\circ} \\ V_{C}=V \angle 120^{\circ}\end{array}\right] \rightleftharpoons\left[\begin{array}{l}V_{A B}=\sqrt{3} V \angle 30^{\circ} \\ V_{B C}=\sqrt{3} V \angle-90^{\circ} \\ V_{C A}=\sqrt{3} V \angle 150^{\circ}\end{array}\right]$

식(16)은 상전압과 선간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식이다. 이때 T좌 권선에 유기되는 전압은 $V_{A}$이고 M좌 권선에 유기되는 전압은 $V_{BC}$이다. T좌 권선에 유기되는 전압에 86.6\%의 탭이 적용되면 다음과 같다.

(17)
$\begin{aligned}V_{T}^{p}=\dfrac{1}{0.866}V_{A}=\sqrt{3}V\angle 0^{\circ}\\V_{M}^{p}=V_{BC}=\sqrt{3}V\angle -90^{\circ}\end{aligned}$

이를 위상각벡터도로 나타내면 그림 3과 같다.

그림. 3. 스코트 변압기의 위상각 벡터도

Fig. 3. Phase vector diagram of Scott or T transformer

../../Resources/kiee/KIEE.2021.70.12.1827/fig3.png

따라서 $V_{p}^{T}$과 $V_{p}^{M}$은 동일한 전압의 크기를 가지며 $90^{\circ}$의 위상차를 가진다. 이러한 원리로 스코트 결선은 3상 전력을 2상 전력으로 변성할 수 있다.

4. Nodal Admittance Matrix

Nodal Admittance Matrix란 선형 전력계통을 설명하는 행렬로 변압기를 모델링하여 조류해석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Nodal Admittance Matrix가 가지는 의미는 계통의 회로도 또는 계통도를 의미한다(4)-(6). 제안하는 Nodal Admittance Matrix는 Mesh Analysis를 기반으로 단위법인 per unit(p.u.)에서 구성된다. 따라서 어떠한 계통도 아래의 식으로 정립될 수 있다.

(18)
$I^{abc}=Y_{bus}^{abc}*V^{abc}$

식(18)을 행렬의 형태로 $n$개의 모선을 가지는 계통에 적용해본다면 다음과 같다.

(19)
$\begin{bmatrix}I_{1}^{abc}\\I_{2}^{abc}\\\vdots \\I_{n}^{abc}\end{bmatrix}=\begin{bmatrix}Y_{11}^{abc} & Y_{12}^{abc} & \cdots & Y_{1n}^{abc}\\Y_{21}^{abc} & Y_{22}^{abc} & \cdots & Y_{2n}^{abc}\\\vdots & \vdots & \ddot s & \vdots \\Y_{n1}^{abc} & Y_{n2}^{abc} & \cdots & Y_{nn}^{abc}\end{bmatrix}\begin{bmatrix}V_{1}^{abc}\\V_{2}^{abc}\\\vdots \\V_{n}^{abc}\end{bmatrix}$

where:

$I_{k}^{abc}$= k번째 모선에 주입된 3상 전류, (1 ≤ k ≤ n)

$V_{k}^{abc}$= k번째 모선의 3상 전압, (1 ≤ k ≤ n)

$Y_{kk}^{abc}$= k번째 모선에 연결된 모든 3상 선로의

어드미턴스 합, (1 ≤ k ≤ n)

$Y_{km}^{abc}$= k번째 모선과 m번째 모선 사이 3상 선로에 해당하는

어드미턴스의 음의 값, (1 ≤ k, m ≤ n, k≠m)

위의 행렬에서 $Y_{bus}$가 계통의 Nodal Admittance Matrix가 된다. 만약 k모선과 m모선이 전기적으로 연결 되어있지 않다면 $Y_{km}$과 $Y_{mk}$는 0이 된다. 변압기는 자기적 결합으로 이루어져있으므로 Nodal Analysis와 함께 Mesh Analysis에 의해 구성될 필요가 있다.

그림. 4. 자기적 결합이 고려된 선로

Fig. 4. Three-phase magnetically coupled lines

../../Resources/kiee/KIEE.2021.70.12.1827/fig4.png

Mesh Analysis는 그림 4와 같이 각 선로의 자기적 결합을 전압 방정식을 표현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그림 4를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20)
\begin{align*} V_{A}^{drop}=I_{A}Z_{A}+I_{B}Z_{AB}+I_{C}Z_{AC}\\ =\begin{bmatrix}Z_{A} & Z_{AB} & Z_{AC}\end{bmatrix}\begin{bmatrix}I_{A}\\I_{B}\\I_{C}\end{bmatrix} \end{align*}

식(20)에서 $V_{A}^{drop}$는 A상 선로의 전압이며 A상 선로에 의한 전압강하로 볼 수 있다. $V_{A}^{drop}$은 각 상의 선로에 대한 전류와 자기적 결합을 고려한 임피던스의 연산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식(20)을 토대로 계통의 모든 선로에 대한 방정식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은 행렬 방정식을 결정할 수 있다.

(21)
$V_{br}=Z_{pr}*I_{br}$

여기서 $I_{br}$은 선로에 흐르는 전류의 벡터이고, $Z_{pr}$는 Primitive Impedance Matrix이며, $V_{br}$은 계통에서 선로의 전압 벡터이다. 이를 Primitive Admittance Matrix인 $Y_{pr}$기준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2)
$I_{br}=Y_{pr}*V_{br}$

Mesh Analysis에 의하면 $Y_{pr}$과 $Y_{bus}$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23)
$Y_{bus}=C^{T}*Y_{pr}*C$

여기서 $C$는 계통의 Connection Matrix이다. 결과적으로 변압기에 대한 $Y_{bus}$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각 변압기에 대한 $Y_{pr}$과 $C$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4.1 Primitive Admittance Matrix

Primitive Admittance Matrix는 변압기의 임피던스와 자화 어드미턴스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2권선 변압기 기준으로 대부분의 변압기는 Nodal Analysis측면에서 그림 5와 같이 coupling-free 등가회로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림. 5. Wye-Delta 변압기 coupling-free 등가회로

Fig. 5. Wye-Delta transformer equivalent coupling-free circuit

../../Resources/kiee/KIEE.2021.70.12.1827/fig5.png

그림 5는 3상 변압기의 1차측 권선의 어드미턴스(=$Y_{p}$), 2차측 권선의 어드미턴스(=$Y_{s}$), 그리고 자화 어드미턴스(=$Y_{m}$)가 $V_{789}$의 노드에 연결되어있는 형태를 보이며 이를 식(5)의 형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4)
$\left[\begin{array}{c}I_{123} \\ \frac{I}{I_{456}} \\ \hdashline I_{789}\end{array}\right]=\left[\begin{array}{c:c:c}Y_{p} & 0 & -Y_{p} \\ \hdashline 0 & Y_{s} & -Y_{s} \\ \hdashline-Y_{p} & -Y_{s} & Y_{p}+Y_{s}+Y_{m}\end{array}\right]\left[\begin{array}{l}V_{123} \\ \hdashline V_{456} \\ \hdashline V_{789}\end{array}\right]$

식(24)는 3상의 행렬을 수식적 표현을 위해 편의상 단상으로 표현한 식이다. 식(24)에서 $Y_{pr}$의 (1,2)와 (2,1) 요소는 $V_{123}$의 노드와 $V_{456}$의 노드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어있지 않으므로 0임을 알 수 있다. $Y_{pr}$의 (3,3) 요소 즉, $V_{789}$의 노드는 $Y_{p}$, $Y_{s}$, 그리고 $Y_{m}$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Y_{p}$+$Y_{s}$+$Y_{m}$임을 알 수 있다. $V_{789}$의 노드는 변압기의 1차측 및 2차측 권선을 coupling-free circuit으로 표현하기 위해 생성한 가상의 노드이므로 Kron Reduction을 통해 소거하면 아래와 같다.

(25)
$\begin{aligned}\left[\begin{array}{l}I_{123} \\ I_{456}\end{array}\right]= & \left[\begin{array}{l:l}Y_{p}-\frac{\left(Y_{p}\right)^{2}}{Y_{p}+Y_{s}+Y_{M}} & -\frac{\left(Y_{p}\right)\left(Y_{s}\right)}{Y_{p}+Y_{s}+Y_{M}} \\ \hdashline-\frac{\left(Y_{s}\right)\left(Y_{p}\right)}{Y_{p}+Y_{s}+Y_{M}} & Y_{s}-\frac{\left(Y_{s}\right)^{2}}{Y_{p}+Y_{s}+Y_{M}}\end{array}\right]\left[\begin{array}{l}V_{123} \\ V_{456}\end{array}\right] \\= & \left[\begin{array}{l:l}Y_{p p} & Y_{p s} \\ \hdashline Y_{s p} & Y_{s s}\end{array}\right]\left[\begin{array}{l}V_{123} \\ \hdashline V_{456}\end{array}\right] \end{aligned}$

식(25)에서 $Y_{pp}$와 $Y_{ss}$는 각 측에 대한 자기 어드미턴스(self-admittance)이고, $Y_{ps}$와 $Y_{sp}$는 한 쌍의 측 사이에 대한 상호 어드미턴스(mutual-admittance)이다. 식(25)를 3상 변압기에 대해 확장하여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26)
$$ \left[\begin{array}{c} I_{1} \\ I_{2} \\ I_{3} \\ \hline I_{4} \\ I_{5} \\ I_{6} \end{array}\right]=\left[\begin{array}{ccc:ccc} Y_{m} & 0 & 0 & -Y_{m x} & 0 & 0 \\ 0 & Y_{p p} & 0 & 0 & -Y_{p x} & 0 \\ 0 & 0 & Y_{m p} & 0 & 0 & -Y_{z x} \\ \hdashline-Y_{s p} & 0 & 0 & Y_{z z} & 0 & 0 \\ 0 & -Y_{z p} & 0 & 0 & Y_{z z} & 0 \\ 0 & 0 & -Y_{z p} & 0 & 0 & Y_{z z} \end{array}\right]\left[\begin{array}{l} V_{1} \\ V_{2} \\ V_{3} \\ \frac{V_{4}}{V_{5}} \\ V_{6} \end{array}\right] $$

식(26)은 일반적인 3상 변압기에 대한 Primitive Admittance Matrix이다. 일반적인 3상 변압기는 통상적으로 3대의 단상 변압기 뱅크로 구성이 되어있다. 따라서 3대의 단상 변압기를 가진 변압기는 Primitive Admittance Matrix는 6 by 6인 행렬의 크기를 가진다. 이를 스코트 변압기에 대해 적용해보면 다음과 같다.

(27)
$\left[\begin{array}{c}I_{1} \\ I_{2} \\ 0 \\ \hline I_{4} \\ I_{5} \\ 0\end{array}\right]=\left[\begin{array}{ccc:ccc}Y_{p p} & 0 & 0 & -Y_{p s} & 0 & 0 \\ 0 & Y_{p p} & 0 & 0 & -Y_{p} & 0 \\ 0 & 0 & 0 & 0 & 0 & 0 \\ \hdashline-Y_{s p} & 0 & 0 & Y_{s s} & 0 & 0 \\ 0 & -Y_{p p} & 0 & 0 & Y_{s s} & 0 \\ 0 & 0 & 0 & 0 & 0 & 0\end{array}\right]\left[\begin{array}{c}V_{1} \\ V_{2} \\ 0 \\ \hline V_{4} \\ V_{5} \\ 0\end{array}\right]$

스코트 결선은 그림 2와 같이 2대의 단상 변압기 뱅크로 구성되어있으므로 식(27)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제안하는 스코트 변압기의 Primitive Admittance Matrix는 3상 포맷의 조류해석에 의해 6 by 6인 행렬의 크기를 유지한다.

4.2 Connection Matrix

Connection Matrix는 노드 전압을 권선 전압으로 표현하기 위한 행렬식이다. Mesh Analysis측면에서 변압기의 각 상은 자기적 결합이 되므로 Connection Matrix는 변압기의 결선 형태에 따라 다양하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Connection Matrix는 권선 전압의 크기를 단위법 기준 1p.u.로 가정한다. Connection Matrix에서 권선 전압을 1p.u.로 고려하여 모델링 했을 경우, 다양한 결선 형태의 조합에도 변압기의 결선 간 자기적 결합이 용이하다. 권선 전압을 1p.u.로 가정하지 않을 경우, 상전압과 선간전압 사이의 자기적 결합은 단위법 기준 전압의 크기 차이로 인해 정확한 모델링이 불가능하다. 이를 실증하며 스코트 변압기와 유사한 결선형태가 존재하는 기본적인 변압기는 Ungrounded wye-Delta 변압기이다.

그림. 6. Ungrounded wye-Delta 변압기 결선

Fig. 6. Ungrounded wye-Delta Transformer connection diagram

../../Resources/kiee/KIEE.2021.70.12.1827/fig6.png

그림 6은 3상 Ungrounded wye-Delta 변압기의 결선도이다. 앞서 말했듯, Connection Matrix를 구성하는 방법은 결선도를 기반으로 노드 전압과 권선 전압 사이의 관계식에서 시작된다.

(28)
$$ \begin{gathered} V_{1}=V_{a}^{\rho}-V_{n}, \quad V_{2}=V_{b}^{o}-V_{n}, \quad V_{3}=V_{c}^{o}-V_{n} \\ V_{4}=\frac{V_{a}^{o}-V_{b}^{o}}{\sqrt{3}}, V_{5}=\frac{V_{b}^{e}-V_{c}^{s}}{\sqrt{3}}, V_{0}=\frac{V_{c}^{0}-V_{a}^{o}}{\sqrt{3}} \end{gathered} $$

식(28)에서 $V_{1-6}$은 변압기 권선에 유기되는 권선 전압을, $V_{a,\:b,\:c}^{p,\:s}$는 노드 전압을, $V_{n}$은 중성점의 전압을 의미한다. $V_{n}$이 중성점의 전압이라고는 하나 Ungrounded wye이므로 접지된 중성점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권선 전압 중 $V_{1}$, $V_{2}$ 및 $V_{3}$은 Ungrounded wye 결선에 유기된 상전압이다. Ungrounded wye 결선의 노드 전압과 권선 전압 사이의 관계식을 행렬화하면 다음과 같다.

(29)
$$ \left[\begin{array}{c} V_{1} \\ V_{2} \\ V_{3} \\ V_{1}+V_{2}+V_{3} \end{array}\right]=\left[\begin{array}{cccc} 1 & 0 & 0 & -1 \\ 0 & 1 & 0 & -1 \\ 0 & 0 & 1 & -1 \\ -1 & -1 & -1 & 3 \end{array}\right]\left[\begin{array}{c} V_{a}^{p} \\ V_{b}^{p} \\ V_{c}^{p} \\ V_{n} \end{array}\right] $$

식(29)를 보면 행렬의 크기가 4 by 4인 행렬임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V_{n}$의 중성점이 접지 되지 않았으므로 전압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V_{n}$의 노드를 Kron Reduction을 통해 소거한 Ungrounded wye의 Connection Matrix는 다음과 같다.

(30)
$$ \left[\begin{array}{c} V_{1} \\ V_{2} \\ V_{3} \end{array}\right]=\left[\begin{array}{ccc} 2 / 3 & -1 / 3 & -1 / 3 \\ -1 / 3 & 2 / 3 & -1 / 3 \\ -1 / 3 & -1 / 3 & 2 / 3 \end{array}\right]\left[\begin{array}{l} V_{a}^{p} \\ V_{b}^{p} \\ V_{c}^{p} \end{array}\right] $$

권선 전압 중 $V_{4}$, $V_{5}$ 및 $V_{6}$은 Delta 결선에 유기된 선간전압이다. $V_{1}$과 $V_{4}$는 자기적 결합이 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1p.u.의 전압이 유기된다. 식(16)을 통해 선간전압은 상전압보다 동일한 조건에서 전압의 크기가 $\sqrt{3}$배 높기 때문에 식(28)의 선간전압은 $\sqrt{3}$으로 나누어진다. 이를 행렬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31)
$$ \left[\begin{array}{l} V_{4} \\ V_{5} \\ V_{6} \end{array}\right]=\left[\begin{array}{ccc} 1 / \sqrt{3} & -1 / \sqrt{3} & 0 \\ 0 & 1 / \sqrt{3} & -1 / \sqrt{3} \\ -1 / \sqrt{3} & 0 & 1 / \sqrt{3} \end{array}\right]\left[\begin{array}{l} V_{a}^{s} \\ V_{b}^{s} \\ V_{c}^{s} \end{array}\right] $$

식(30)식(31)을 통해 Ungrounded wye-Delta 변압기의 Connection Matrix는 다음과 같다.

(32)
$$ \left[\begin{array}{l} V_{1} \\ V_{2} \\ V_{3} \\ \hline V_{4} \\ V_{5} \\ V_{6} \end{array}\right]=\left[\begin{array}{ccc:ccc} 2 / 3 & -1 / 3 & -1 / 3 & 0 & 0 & 0 \\ -1 / 3 & 2 / 3 & -1 / 3 & 0 & 0 & 0 \\ -1 / 3 & -1 / 3 & 2 / 3 & 0 & 0 & 0 \\ \hdashline 0 & 0 & 0 & 1 / \sqrt{3} & -1 / \sqrt{3} & 0 \\ 0 & 0 & 0 & 0 & 1 / \sqrt{3} & -1 / \sqrt{3} \\ 0 & 0 & 0 & -1 / \sqrt{3} & 0 & 1 / \sqrt{3} \end{array}\right]\left[\begin{array}{l} V_{a}^{p} \\ V_{b}^{p} \\ V_{c}^{p} \\ V_{a}^{z} \\ V_{b}^{z} \\ V_{c}^{z} \end{array}\right] $$

식(32)와 같이 노드 전압을 권선 전압으로 표현하기 위한 관계식 행렬이 Connection Matrix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Connection Matrix를 스코트 결선에 적용하기 위해서 그림 2를 기반으로 노드 전압과 권선 전압 사이의 관계식이 필요하다. 스코트 결선의 전압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33)
$$ \begin{gathered} V_{D}^{T}=V_{a}^{D}-\frac{1}{3}\left(V_{b}^{D}-V_{c}^{v}\right), V_{p}^{M}=\frac{V_{b}^{D}-V_{c}^{D}}{\sqrt{3}} \\ V_{a}^{T}=V_{\mathrm{u} 1}^{o}-V_{n}, \quad V_{2}^{M}=V_{\mathrm{s} 2}^{o}-V_{n} \end{gathered} $$

식(33)에서 T좌의 1차측 권선 전압은 Ungrounded wye 결선과 동일하며, M좌의 1차측 권선 전압은 Delta 결선과 동일하다. 2차측 권선 전압은 접지된 상전압으로 Grounded wye 결선과 같다. 식(33)을 행렬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34)
$$ \left[\begin{array}{c} V_{p}^{T} \\ V_{p}^{M} \\ 0 \\ \hdashline V_{s}^{T} \\ V_{s}^{M} \\ 0 \end{array}\right]=\left[\begin{array}{ccc:ccc} 2 / 3 & -1 / 3 & -1 / 3 & 0 & 0 & 0 \\ 0 & 1 / \sqrt{3} & -1 / \sqrt{3} & 0 & 0 & 0 \\ 0 & 0 & 0 & 0 & 0 & 0 \\ \hdashline 0 & 0 & 0 & 1 & 0 & 0 \\ 0 & 0 & 0 & 0 & 1 & 0 \\ 0 & 0 & 0 & 0 & 0 & 0 \end{array}\right]\left[\begin{array}{c} V_{a}^{p} \\ V_{b}^{p} \\ V_{c}^{p} \\ V_{x 1}^{s} \\ V_{x 2}^{s} \\ 0 \end{array}\right] $$

식(34)와 같이 스코트 결선은 3상을 2상으로 변성하는 결선이지만, 스코트 결선의 Connection Matrix는 3상 포맷의 조류해석에 의해 6 by 6인 행렬의 크기를 유지한다.

5. 사례 연구

본 논문의 사례 연구에서는 MATLAB을 통해 구현된 3상 불평형 Newton-Raphson method로 제안하는 Nodal Admittance Matrix의 변압기 모델링을 검증하고, 스코트 변압기 모델링의 신뢰성을 목적으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5.1절에서는 IEEE에서 제공하는 테스트계통을 통해 일반적인 3상 변압기에 대한 검증을 위주로 사례 연구를 진행한다. 5.2절에서는 5.1절의 사례 연구에서 검증하지 않은 스코트 변압기를 간단한 계통에서 검증한다. 스코트 변압기에 대한 검증을 간단한 계통에서 진행하는 이유는 스코트 변압기의 특성인 변성된 2상의 전압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의 위상차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본 사례 연구는 동일한 테스트 계통에서 조류해석을 수행하여 각 모선의 전압과 전류의 백분율 오차를 비교하여 신뢰성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5.1 IEEE test계통을 통한 3상 변압기 검증

일반적인 3상 변압기 검증을 위해 사용된 테스트 계통은 IEEE 4 Node Test Feeder이다. IEEE 4 Node Test Feeder는 간단한 계통으로 변압기에 대한 테스트를 시행하기에 적합한 계통이다. MATLAB을 통해 구현된 조류해석의 결과값과 IEEE Test Feeder의 솔루션의 비교를 통해서 검증된다. 검증에 사용된 테스트 계통의 변압기들은 다음과 같다.

1) Grounded wye-Grounded wye connection transformer

2) Ungrounded wye-Delta connection transformer

해당 계통은 그림 7과 같이 4개의 모선, 2개의 선로, 1개의 변압기, 그리고 1개의 부하로 구성되어있다.

그림. 7. IEEE 4 모선 테스트 계통

Fig. 7. IEEE 4 Node Test Feeder

../../Resources/kiee/KIEE.2021.70.12.1827/fig7.png

1번 모선은 slack모선이며, 나머지 모선들은 P-Q모선이다. 1번과 2번, 3번과 4번은 그림 8과 같이 극 구성이 대칭적이지 않은 선로로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선로의 연가를 통해 대칭적인 선로의 임피던스를 유도한다. 그러나 극 구성 및 간격의 비대칭으로 인해 선로의 임피던스는 불평형이 된다. 이에 의해 각 상의 선로에 유도된 서로 다른 전압강하로 인해 불평형 전압이 발생한다. 그러나 계통은 정적인 특성을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사항도 고려되어야 한다. IEEE 4 Node Test Feeder의 1번과 2번 모선을 연결하는 선로는 2,000ft, 3번과 4번 모선을 연결하는 선로는 2,500ft이다.

그림. 8. IEEE 4 모선 테스트 계통의 선로

Fig. 8. IEEE 4 Node Test Feeder Line

../../Resources/kiee/KIEE.2021.70.12.1827/fig8.png

2번과 3번 모선에는 각각 다른 결선의 변압기가 구성된다. 본 계통에서 사용되는 결선은 Ungrounded wye, Grounded Wye 및 Delta 결선이다. 결선 형태는 강압과 승압에 따라 다르며 본 사례 연구에서 검증될 계통의 변압기는 12.47kV에서 4.16kV로의 강압 변압기이다. 세부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표 1. IEEE 4 Node Test Feeder 변압기 데이터

Table 1. Thee-Phase Transformer Data

결선

용량

(kVA)

1차측

정격전압

(kV)

2차측

정격전압

(kV)

R-

%

X-

%

Wye or Delta

6000

12.47

4.16

1.0

6.0

IEEE 4 Node Test Feeder에서 사용되는 변압기는 6MVA의 용량을 가진다. 3상 변압기는 3대의 단상 변압기 뱅크로 구성되므로 단상 변압기는 각 2MVA의 용량을 가진다. 또한 표 1의 퍼센트 임피던스는 각 단상 변압기의 임피던스이다.

부하는 4번 모선에 설비되며 3상 불평형 부하이다. 세부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표 2. IEEE 4 Node Test Feeder 부하 데이터

Table 2. IEEE Test Feeder Closed Connections Load Data

kW

Power Factor

Phase.A

1275

0.85 lag

Phase.B

1800

0.9 lag

Phase.C

2375

0.95 lag

이와 같은 조건의 IEEE 4 Node Test Feeder를 검증함으로써 제안하는 Nodal Admittance Matrix의 변압기 모델링의 신뢰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표 3표 4는 MATLAB으로 구현된 Newton-Raphson method의 결과값과 IEEE에서 제공하는 해당 계통의 Solution을 비교한다. MATLAB의 결과값을 측정값, IEEE Solution을 참값으로 지정하여 백분율 오차를 통해 구현된 Newton-Raphson method의 신뢰성을 수치로 나타냈다.

표 3. IEEE Test Feeder Grounded wye-Grounded wye 변압기 결과

Table 3. IEEE Test Feeder Grounded wye-Grounded wye Transformer Results

MATLAB

(kV)

IEEE Solution (kV)

Percent error (%)

Node.2

$V_{A}$

7163.71∠­-0.14°

7164∠­-0.1°

0.0041

$V_{B}$

7110.49∠­-120.22°

7110∠­-120.2°

0.0069

$V_{C}$

7082.0∠119.3°

7082∠119.3°

0

Node.3

$V_{A}$

2305.48∠­-2.3°

2305∠­-2.3°

0.0208

$V_{B}$

2254.66∠­-123.62°

2255∠­-123.6°

0.0151

$V_{C}$

2202.78∠114.79°

2203∠114.8°

0.01

Node.4

$V_{A}$

2174.91∠­-4.12°

2175∠­-4.1°

0.0041

$V_{B}$

1929.87∠­-126.80°

1930∠­-126.8°

0.0067

$V_{C}$

1832.55∠102.84°

1833∠102.8°

0.0245

MATLAB

(A)

IEEE Solution (A)

Percent error (%)

Current 1-2

$I_{A}$

230.08∠­-35.91°

230.1∠­-35.9°

0.0087

$I_{B}$

345.72∠­-152.64°

345.7∠­-152.6°

0.0058

$I_{C}$

455.10∠84.65°

455.1∠84.7°

0

Current 3-4

$I_{A}$

689.68∠­-35.91°

689.7∠­-35.9°

0.0029

$I_{B}$

1036.34∠­-152.64°

1036∠­-152.6°

0.0328

$I_{C}$

1364.22∠84.65°

1364∠84.7°

0.0161

표 4. IEEE Test Feeder Ungrounded wye-Delta 변압기 결과

Table 4. IEEE Test Feeder Ungrounded wye-Delta Transformer Results

MATLAB

(kV)

IEEE Solution (kV)

Percent error (%)

Node.2

$V_{A}$

7112.52∠­-0.21°

7113∠­-0.2°

0.0041

$V_{B}$

7143.28∠­-120.42°

7144∠­-120.4°

0.0101

$V_{C}$

7110.08∠119.53°

7111∠119.5°

0.0129

Node.3

$V_{AB}$

3896.28∠­-2.82°

3896∠­-2.8°

0.0072

$V_{BC}$

3972.08∠­-123.83°

3972∠­-123.8°

0.002

$V_{CA}$

3875.03∠115.7°

3875∠115.7°

0.0007

Node.4

$V_{AB}$

3425.38∠­-5.76°

3425∠­-5.8°

0.0111

$V_{BC}$

3646.25∠­-130.28°

3646∠­-130.3°

0.0069

$V_{CA}$

3297.61∠108.58°

3298∠108.6°

0.0118

MATLAB

(A)

IEEE Solution (A)

Percent error (%)

Current 1-2

$I_{A}$

308.47∠­-41.46°

308.5∠­-41.5°

0.0097

$I_{B}$

314.67∠­-145.47°

314.6∠­-145.5°

0.0223

$I_{C}$

389.0∠85.93°

389.0∠85.9°

0

Current 3-4

$I_{A}$

1083.85∠­-71.03°

1083.8∠­-71.0°

0.0046

$I_{B}$

849.92∠179.0°

849.9∠179.0°

0.0024

$I_{C}$

1098.71∠63.14°

1098.7∠63.1°

0.0009

MATLAB의 결과값과 Solution의 값의 백분율 오차가 0~ 0.0328%로 MATLAB의 결과값과 Solution의 값이 완벽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이는 사용되는 해석방법의 차이와 입력 데이터의 유효숫자 차이임을 고려하여 해결될 수 있다.

5.2 스코트 변압기 모델링 검증

스코트 변압기 모델링에 대한 검증을 위해 사용된 테스트 계통은 발전원, 부하 및 스코트 변압기로 구성된 계통이다. 본 절의 사례 연구는 MATLAB을 통해 구현된 조류해석 결과값과 OpenDSS를 통해 해석된 계통의 결과값에 대해 비교를 통해서 검증된다.

그림. 9. 스코트 변압기 테스트 계통

Fig. 9. Scott or T Transformer Test Feeder

../../Resources/kiee/KIEE.2021.70.12.1827/fig9.png

해당 계통은 그림 9와 같이 2개의 모선, 1개의 변압기, 그리고 1개의 부하로 구성되어있다. 1번 모선은 Slack모선이며, 2번 모선은 P-Q모선이다. 변압기의 용량, 1차와 2차측 정격전압, 그리고 임피던스 등의 세부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표 5. 스코트 변압기 데이터

Table 5. Scott or T Transformer Data

결선

용량

(kVA]

1차측

정격전압

(kV)

2차측

정격전압

(kV)

R-

%

X-

%

스코트 결선

300

12.47

0.24

1.0

6.0

부하는 2번 모선에 설비되며 평형 P부하이다. 세부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표 6. 스코트 변압기 테스트 계통 부하 데이터

Table 6. Scott or T Transformer Test Feeder Load Data

kW

Power Factor

Phase.A

9

0.9 lag

Phase.B

9

0.9 lag

이와 같은 조건의 스코트 변압기 테스트 계통을 검증함으로서 스코트 변압기 모델링을 검증하고자 한다. 표 7은 해당계통을 구현된 Newton-Raphson method 조류해석한 결과값과 OpenDSS로 조류해석한 결과값을 비교한다. MATLAB의 결과값을 측정값, OpenDSS를 참값으로 지정하여 백분율 오차를 통해 스코트 변압기 모델링의 신뢰성을 수치로 나타냈다.

표 7. 스코트 변압기 결과

Table 7. Scott or T Transformer Results

MATLAB

(kV)

IEEE Solution (kV)

Percent error (%)

Node.2

$V_{AB}$

239.15∠-0.29°

239.07∠-0.3°

0.0335

$V_{BC}$

239.15∠-90.29°

239.15∠-90.3°

0

OpenDSS의 결과값을 분석해보면 2번 모선 전압의 크기에서 오차가 발생했다. 오차율은 0.0335%로 큰 오차는 아니다. 스코트 변압기의 특징상 평형 전력 계통이었을 경우 변압기의 2차측에는 동일한 전압이 발생해야한다. MATLAB은 동일함을 보이지만 OpenDSS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MATLAB의 결과값이 직관적인 측면에서 옳은 값이다. OpenDSS에서 M좌와 T좌의 전압의 크기가 다른 이유는 OpenDSS 변압기 모델링 환경에서 스코트 변압기를 구현할 때 점퍼라는 요소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OpenDSS에서 점퍼의 정의는 작은 값의 임피던스를 가진 리액터 또는 선로이다. 작은 값의 임피던스라 하더라도 전압강하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점퍼에 의한 전압강하에 따라 발생한 오차이다.

6. 결 론

본 논문에서는 MATLAB으로 구현된 3상 Newton-Raphson method 조류해석과 스코트 변압기 모델링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Newton-Raphson method는 비선형 방정식을 통해 구한 전압을 기반으로 계통을 해석함에 부족함이 없는 방법이다. 이를 IEEE의 테스트 계통과 비교하여 신뢰성을 검증했다. 또한 조류해석에서의 오차를 줄이기 위한 범용적인 변압기 모델링을 스코트 결선을 통해 나타내었고 테스트 계통을 OpenDSS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불평형 계통에서도 백분율 오차가 0~0.0335%에 근접하였음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 변압기 모델링 방법과 Newton-Raphson method 조류해석은 계통의 운영과 계획 단계에서 정확한 값을 제공하여 원활한 계통 운영과 계획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is support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NRF-2019R1F1A1061259)

References

1 
IEEE Working Group on Distribution Automation, 1988, Distribution Automation, New Jerse: IEEEGoogle Search
2 
M. V. Engel, 1988, IEEE Tutorial Course on Distribution Planning, New Jersey: IEEEGoogle Search
3 
W. H. Kersting, W. H. Phillips, W. Carr, 1999, A new approach to modeling three-phase transformer connection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pp. 169-175Google Search
4 
M. Abdel-Akher, K. M. Nor, A. A. Rashid, 2005, Improved three-phase power-flow methods using sequence components,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pp. 1389-1397Google Search
5 
C. S. Cheng, D. Shirmohammadi, 1995, A three-phase power flow method for real-time distribution system analysis,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pp. 671-679DOI
6 
D. Thukaram, H. M. W. Banda, J. Jerome, 1999, A robust three phase power flow algorithm for radial distribution systems,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pp. 227-236DOI
7 
G. W. Stagg, 1968, Computer Methods in Power System Analysis, New York: McGraw-HillGoogle Search
8 
A. J. Wood, 2013, Power generation, operation, and control, New Jersey: John Wiley & SonsGoogle Search
9 
J. D. Glover, 2011, Power system analysis and design, Boston: Cengage LearningGoogle Search
10 
R. Natarajan, 2002, Computer-aided power system analysis, Florida: CRC PressGoogle Search
11 
M. Dolinar, D. Dolinar, G. Stumberger, B. Polajzer, J. Ritonja, 2006, A three-phase core-type transformer iron core model with included magnetic cross saturation,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pp. 2849-2851Google Search
12 
M. S. Chen, W. E. Dillon, 1974, Power system modeling, Proceedings of IEEE, pp. 901-915Google Search
13 
A. Tan, W. H. E. Liu, D. Shirmohammadi, 1997, Transformer and load modeling in short circuit analysis for distribution systems,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pp. 1315-1322Google Search
14 
M. R. Irving, A. K. Al-Othman, 2003, Admittance matrix models of three-phase transformers with various neutral grounding configurations,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pp. 1210-1212Google Search
15 
I. Džafić, R. A. Jabr, H. T. Neisius, 2014, Transformer modeling for three-phase distribution network analysis,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pp. 2604-2611Google Search
16 
S. M. Corzo, N. R. Lara, 2015, Grounded Wye–Grounded Zigzag Transformer Connection Modelling in Phase Coordinates for Steady-State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cation or Innovation in Engineering & Management, pp. 143-152Google Search
17 
T. H. Chen, W. C. Yang, T. Y. Guo, G. C. Pu, 2000, Modelling and analysis of asymmetrical three-phase distribution transformer banks with mid-tap connected to the secondary neutral conductor,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pp. 83-89DOI
18 
T. H. Chen, J. D. Chang, Y. L. Chang, 1996, Models of grounded mid-tap open-wye and open-delta connected transformers for rigorous analysis of a distribution system, IEE Proceedings-Generation, Vol.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pp. 82-88DOI
19 
S. Chatterjee, S. Mandal, 2017, A novel comparison of Gauss-Seidel and Newton-Raphson methods for load flow analysis, In 2017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and Embedded Drive Control, pp. 1-7Google Search
20 
G. J. Cho, S. K. Shin, H. S. Jung, J. R. Kim, J. W. Kim, H. C. Kim, 2020, Modeling of Domestic Electric Railway Feeding System using OpenDS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540-1547DOI

저자소개

김도훈(Dohun Kim)
../../Resources/kiee/KIEE.2021.70.12.1827/au1.png

Dohun Kim received his B.S degree in from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Inha University, Incheon, South Korea, in 2020.

Currently, he is pursuing M.S. degree at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김인수(Insu Kim)
../../Resources/kiee/KIEE.2021.70.12.1827/au2.png

Insu Kim received the Ph.D. degree from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Atlanta, GA, USA, in 2014.

He is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of electrical Engineering with Inha University, South Korea.

His major research interests include 1) analyzing the impact of stochastically distributed renewable energy resources, such as photovoltaic systems, wind farms, and microturbines on distribution networks;

2) examining the steady-state transient behavior of distribution networks under active and reactive power injection by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s;

and 3) improving power-flow, short- circuit, and harmonic analysis algorith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