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Circuit Equation, Coordinate Transformation, Finite element analysis, Induction motor, Lorentz force

1. 서 론

유도전동기는 높은 효율과 쉬운 유지보수로 인하여 산업현장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단상유도전동기는 전원의 편리성으로 가정용이나 농업용으로 사용되고 있고, 삼상 유도전동기는 고효율 전동기의 개발과 더불어 산업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1,2).

유도전동기의 해석에는 전동기의 파라메타를 이용하는 등가회로해석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전동기의 특성을 빠르고 쉽게 해석하는 반면에 철심의 비선형성이나 국부적인 포화특성을 고려하기 힘들다(3,4). 최근에는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전동기의 해석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컴퓨터의 발달에도 정확한 자료의 확보를 위하여서는 많은 메모리 용량과 계산시간이 소요된다(5-7).

단상 유도전동기는 교류 전원을 사용하고 있어 복소수근사 수치해석법을 사용할 있으나, 많은 계산시간과 만족스런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어 사용이 제한된다. 단상 유도전동기의 고정자가 만드는 자속은 단상 전원에 의해 생성되므로 회전자계를 만들지 못한다. 다시 말하면 자속의 방향만 변하고 그 크기는 맥동하는 정상파를 가지고 있다. 단상 유도전동기의 고정자 자속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기동토크가 없다. 그러나 회전자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유도토크가 생성된다. 이러한 단상 유도전동기의 해석이론에는 이중회전자계 이론과 교차자계 이론이 있다(8-10).

본 논문은 시간차분해석을 이용하여 단상 및 삼상 유도전동기의 로렌츠 힘을 이용한 발생 토크와 회전자 봉도체의 전류를 계산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한요소해석 기반의 시간차분해석은 전동기의 자계특성을 해석하는데 유도전동기뿐만 아니라 다른 전동기의 해석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11,12). 그러나 이러한 기법은 거대한 물리양의 변수를 계산해야 하므로 많은 해석시간이 소요된다.

제안한 방법은 우선 유도전동기의 단순화된 모델로부터 전동기의 공극부에서 단위전류(1A)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밀도의 법선성분인 유효자속밀도를 유한요소해석으로부터 얻는다. 그리고 유효자속밀도를 회전자의 회로방정식에 적용하여 시간차분해석을 수행한다. 단위전류에 의해 생성된 자속밀도 패턴은 회전자의 봉도체 위치에 따라 좌표변환을 하여 회로방정식에 적용된다(13).

또한, 고정자 권선은 이상적인 정현분포로 가정하였으며, 따라서 공극의 자속밀도도 정현적으로 분포되었다. 공극의 자속밀도 분포는 단상 또는 삼상 유도전동기와 관계없이 맥동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14). 각 단순화된 전동기에 대하여 회전자 봉도체 전류, 발생토크 및 속도-토크 특성곡선을 계산하였다.

이러한 계산방법은 매우 짧은 시간에 유도전동기를 효과적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전동기의 초기 설계단계에 특성해석을 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동기의 크기 및 봉도체의 개수 등의 변화에 대한 특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제안한 방법을 삼상 유도 전동기에 적용하여 2차 저항 변화에 따른 토크-속도 특성의 비례 추이 곡선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단상유도전동기의 경우 기존 이론과 일치함을 정성적으로 검증하였다.

2. 해석 기법

2.1 유효 공극자속밀도 계산

공극에서 유도전동기의 유효자속밀도는 유한요소해석(FEA)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정성적 해석을 위해 회전자와 고정자의 슬롯 형상 효과는 무시하였다.

유한요소해석에서 전류가 흐르는 도체는 공극에 매우 가깝게 회전영역에 작게 할당하였다. 회전자 주변의 유효 자속 밀도 패턴은 전류 주변에서 매우 크게 나타나며 거리가 멀어질수록 급격히 감소한다. 그림 1은 회전자 봉도체의 단위전류(1A)에 따른 공극 유효자속밀도 분포를 나타낸다.

그림 1 단위전류에 의한 공극 유효자속밀도 분포

Fig. 1 Effective magnetic flux density(Distribution around the rotor by unit current(1A))

../../Resources/kiee/KIEE.2021.70.12.2058/fig1.png

2.2 고정자 권선에 의한 자속밀도 분포

유도 전동기의 고정자 권선에 의한 자속밀도 분포는 고정자 슬롯과 고조파의 영향을 무시하여 정현파로 간주하였다. 또한 정현파는 정상파를 생성하고 시간에 따라 해당 위치에서 맥동한다. 그림 2는 시간에 따른 고정자 권선에 의한 공극의 자속밀도 패턴을 보여준다.

삼상 유도전동기의 경우 위의 자속 패턴이 120°, -120° 만큼 이동하게 되는데, 이 결과를 회전자의 회로방정식에 사용한다. 고정자 전원의 한주기를 $T$로 설정하면 시간 관계는 $0=t_{1}< t_{2}< t_{3}< t_{4}< t_{5}< t_{6}< t_{7}= T/2$같이 표현할 수 있다.

그림 2 정현적인 고정자 권선의 자속밀도 분포

Fig. 2 Sinusoidal magnetic flux density(Distribution around the rotor by the stator winding. The magnetic flux pulsates with the change of time during the half period.)

../../Resources/kiee/KIEE.2021.70.12.2058/fig2.png

2.3 유기전압에 의한 회전자 회로방정식

그림 3은 단상 및 3상 유도전동기의 회전자 모델링을 보여준다. 그림에서 $i_{j}^{r}$, $i_{j}^{e}$, $\omega_{m}$ 및 $e_{j}$$(j=1,\: 2,\: 3\cdots)$는 봉도체 전류, 단락환 전류, 회전자의 회전속도 및 봉도체와 단락환으로 구성된 각 폐회로에서 유도되는 기전력을 각각 나타낸다(15,16).

그림 3 봉도체와 단락환으로 간략화된 회전자 회로

Fig. 3 Rotor circuit modeling for the calculation of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 a loop consisting of conductor bars and end ring segments

../../Resources/kiee/KIEE.2021.70.12.2058/fig3.png

그림 3에서 임의의 폐회로에서 유도기전력(EMF)은 고정자 쇄교 자속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며 EMF는 그 폐회로의 전압 강하와 같다. $j$번째 폐회로의 EMF는 $j$번째, $j+1$번체 및 단락환 세그먼트에서의 전압강화의 합과 같다(17). 식 (1)은 회전자의 임의의 폐루프에서 유도 기전력을 나타내었다.

(1)
$\dfrac{d}{dt}\int_{j}B^{r}(\theta ,\: t)ds = r_{b}(i_{j}^{r}- i_{j+1}^{r})- 2 r_{e}i_{j}^{e}$

여기서, $B^{r}(\theta ,\: t)$회전자 표면을 따라 계산된 회전자측 자속밀도이고, $r_{b}$와 $r_{e}$는 회전자 봉도체의 저항 및 봉도체와 봉도체 사이 단락환의 저항을 나타낸다.

(2)
$B^{r}(\theta, t)=B^{r s}(\theta, t)+\sum_{j=1}^{n_{b}} \widehat{B^{r r}}(\theta) i_{j}^{r}(t)$

회전자측 자속밀도는 고정자 권선과에 의한 $B^{rs}$와 회전자의 여러 봉도체에 의한 $B^{rr}$의 합으로 표시된다. 봉도체의 개수는 $n_{b}$를 의미한다. 봉도체와 단락환이 만나는 지점에서 Kirchhoff의 전류법칙을 적용하면 봉도체와 단락환 전류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행렬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3)

$\left\{bold i^{r}\right\}+[bold D]^{T}=\{bold0\}$

$i_{1}^{e}- i_{2}^{e}= i_{2}^{r}$, $i_{2}^{e}- i_{3}^{e}= i_{3}^{r}$, $\cdots$

$[bold D]= \left[\begin{matrix} 1&-1& 0&\cdots & 0 \\ 0& 1& -1&\cdots & 0 \\ \vdots & \vdots & \vdots &\ddot s &\vdots \\ -1& 0& 0&\cdots & 1 \end{matrix}\right]$

여기서 $[D]^{T}$는 회전자의 봉도체와 단락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식이다. 식 (2)식 (3)을 이용하여 회전자와 단락환 회로에 대한 계 방정식을 시간차분법으로 표현하면, 식 (4)와 같은 계행렬식을 얻을 수 있다.

(4)
$$ \begin{array}{l} \left(\frac{1}{\Delta t}\left[\begin{array}{cc} A_{r r} & 0 \\ 0 & 0 \end{array}\right]+\left[\begin{array}{ll} B_{r r} & B_{r e} \\ B_{e r} & B_{e e 0} \end{array}\right]\right)^{t+\Delta t}\left[\begin{array}{c} i^{r} \\ i^{e} \end{array}\right]^{t+\Delta t}\\ =\frac{1}{\Delta t}\left[\begin{array}{cc} A_{r r} & 0 \\ 0 & 0 \end{array}\right]\left[\begin{array}{l} i^{r} \\ i^{e} \end{array}\right]^{t}+\left[\begin{array}{c} B_{r s} \\ 0 \end{array}\right]^{t+\Delta t}\\ \text { 여기서, }\\ \left(\boldsymbol{A}_{r r}\right)_{i, j}=l \sum_{i=1}^{n_{b}} \sum_{j=1}^{n_{b}} \int_{i} B_{j}^{r r}(\theta) d \theta\\ \left(\boldsymbol{B}_{r r}\right)_{i, j}=\sum_{i=1}^{n_{b}} \sum_{j=1}^{n_{b}}\left(-n_{b}\right) \text { or }\left(r_{b}\right)_{j=i+1}\\ \left(\boldsymbol{B}_{\boldsymbol{r e}}\right)_{i j}=\left(2 r_{e}\right)_{i=j}\\ \left(\boldsymbol{B}_{e r}\right)_{i j}=(1)_{i=j}\\ \left(\boldsymbol{B}_{e \boldsymbol{e}}\right)_{i, j}=[D]^{T}\\ \left(\boldsymbol{B}_{r s}\right)_{i}=-l \frac{1}{\Delta t}\left(\int_{i} B^{r s}(\theta, t+\Delta t) d \theta-\int_{i} B^{r s}(\theta, t) d \theta\right) \end{array} $$

2.4 로렌츠 힘에 의한 토크

유도전동기의 발생 토크를 계산하기 위해 각 회전자 봉도체의 위치에서의 자속밀도와 해당 봉도체의 전류를 곱하여 표현되는 로렌츠 힘을 사용하였다. 식 (5)는 자기력에 반경과 축방향 길이를 곱한 토크를 나타낸다.

(5)
$T=r \times \sum_{j=1}^{n_{b}} B_{j}^{r} i_{j}^{r} l$

여기서, $r$은 봉도체의 반지름이고, $l$은 축방향의 길이다.

3. 사례연구

제안된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모델에 가까운 사양의 전동기를 그림 4와 같이 제시하였다. 표 1은 단상 및 삼상 유도전동기의 특성 시뮬레이션을 위한 사양을 보여주고 있다. 미분방정식의 해법은 오일러방법의 후퇴차분법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표 1 해석대상 전동기의 사양

Table 1 Specification of Simulated Motors

Quantity

Value

Number of phase

Number of pole

Number of stator conductor

Number of stator turns

Number of rotor conductor

Resistance of winding [Ohm]

Resistance of bar [Ohm]

Resistance of endring [Ohm]

Radius of stator [mm]

Radius of rotor [mm]

Stack length [mm]

Frequency [Hz]

Voltage [V]

Time step [msec]

1 or 3

2

2

50

24

0.1

1.00000e-4

4.16667e-6

30

30

30

60

220

0.1

3.1 삼상 유도전동기의 경우

제안된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모델에 가까운 사양의 전동기를 제시하였다. 표 1은 단상 및 삼상 유도전동기의 특성 시뮬레이션을 위한 사양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제안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삼상 유도전동기를 해석하였다. 먼저 회전자 봉도체 전류와 회전속도, 즉 슬립 1과 0.1에서의 순시 토크를 그림 5에 나타내었다. 회전자 전류는 충분히 안정된 상태에 도달했으며 정상상태에서의 토크도 일정한 값을 보이고 있다. 시간차분 해석에서는 t = 0의 초기 전류값을 0으로 설정해야 하므로 일정 시간의 과도 상태를 갖게 된다.

회전자 전류와 전원의 주파수는 슬립이 1일 때 동일하게 나타났다. 회전자 전류 주파수는 슬립이 0.1일 때 슬립 주파수($f'= sf = 6[Hz]$)와 같고 생성된 토크는 정상 상태에서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그림 6는 회전자의 2차 저항 변화($r_{1}< r_{2}< r_{3}< r_{4}$)에 따른 토크-속도 특성을 나타낸다. 봉도체의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 토크 값이 더 큰 슬립(저속) 값으로 이동함을 보여준다. 이것은 잘 알려진 삼상 유도전동기의 특징 중 하나이다.

그림 4 간략화된 해석모델의 단면도

Fig. 4 Cross section of simplified analysis model

../../Resources/kiee/KIEE.2021.70.12.2058/fig4.png

그림 5 구속 및 정상상태에서의 봉도체 전류 및 순시 토크

Fig. 5 Conductor bar currents and instantaneous torques at slip = 1(locked state) and slip = 0.1(steady state) in the time domain

../../Resources/kiee/KIEE.2021.70.12.2058/fig5.png

그림 6 삼상 유도전동기의 2차 저항변화에 따른 토크-속도 특성곡선

Fig. 6 Torque-speed characteristics curve according to the secondary resistance change of the rotor

../../Resources/kiee/KIEE.2021.70.12.2058/fig6.png

3.2 단상 유도전동기의 경우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단상 유도전동기에 대하여 슬립 1, 0.1 및 0 일 경우의 회전자 전류, 순시 토크 및 토크-속도 곡선을 해석하였다. 그림 7은 전동기가 구속 상태(slip=1)일 때 봉도체 전류와 토크의 파형을 보이고 있다. 특성해석에서 전동기의 기동 토크는 없으며, 봉도체 전류의 값은 회전자의 각 봉도체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2차 전류의 주파수는 60Hz이며, 이는 고정자 권선의 전원 주파수와 같다. 그림 8은 단상 유도전동기가 정상상태(slip=0.1)로 동작할 때 봉도체 전류와 순시토크를 나타낸다. 2차측 전류의 주파수는 $sf$이므로 전원 주파수에 슬립을 곱하면 6 [Hz]가 된다. 순시 토크도 전원 주파수의 2배로 맥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그림 9은 전동기가 동기속도(slip=0)로 회전할 때 봉도체 전류와 토크를 나타내며, 두 물리량의 주파수는 전원주파수의 2배이다.

그림 7 구속상태(slip=1)의 봉도체 전류 및 토크

Fig. 7 The conductor bar current and zero torque when the motor is locked (slip = 1)

../../Resources/kiee/KIEE.2021.70.12.2058/fig7.png

그림 8 정상상태(slip=0.1)의 봉도체 전류 및 순시토크

Fig. 8 Conductor bar current and instantaneous torque when the motor is operated in a steady state(slip = 0.1)

../../Resources/kiee/KIEE.2021.70.12.2058/fig8.png

그림 10은 2차 저항 변화에 따른 단상 유도전동기의 토크-속도 특성곡선을 나타낸다. 토크 값은 동기 속도에서 음(-)이고 구속시에는 0이다. 이는 단상 유도전동기의 해석 이론 중 하나인 이중 회전 계자 이론을 뒷받침하고 있다. 단상 유도전동기의 경우 3상 유도전동기와 달리 2차 저항이 증가할수록 최대토크는 감소함을 볼 수 있다.

그림 9 동기속도(slip=0)의 봉도체 전류 및 순시토크

Fig. 9 Rotor bar current and instantaneous torque when the motor is operated at synchronous speed(slip = 0)

../../Resources/kiee/KIEE.2021.70.12.2058/fig9.png

그림 10 단상 유도전동기의 2차 저항변화에 따른 토크-속도 특성곡선($r_{1}< r_{2}< r_{3}< r_{4}$)

Fig. 10 Torque vs. speed characteristics curve according to secondary resistance change($r_{1}< r_{2}< r_{3}< r_{4}$)

../../Resources/kiee/KIEE.2021.70.12.2058/fig10.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단상 유도전동기와 삼상 유도전동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시간차분 계산 방법을 제시하였다. 전동기의 공극에서 유효자속밀도 파라메타를 이용하여 회전자의 유도기전력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모터의 특성을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Kirchhoff의 법칙과 Faraday의 유도 법칙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인덕턴스 행렬이 아닌 공극의 유효자속밀도를 매개변수로 직접 사용하였다. 단순화된 단상 및 삼상 유도전동기를 설정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봉도체 전류, 토크, 토크-속도 특성 등의 정성적 결과가 기존 이론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유도전동기의 출력 특성과 봉도체 개수에 따른 영향을 빠르고 쉽게 이해하기 위한 초기 설계단계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향후 제시한 결합방법에 비선형성을 고려하는 방법을 개선하여 기존의 시간차분 유한요소 해석결과 또는 실험결과와 검증이 필요하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20년도 중부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

References

1 
Jong-Gyeum Kim, Young-Jeen Park, 2016 06, Analysis of Soft Start-up Characteristics of the Induction Motor Considering the Firing Angle, KIEE, Vol. 65, No. 6, pp. 1007-1012DOI
2 
Frank M. Bruce, 1984, Reduced-Voltage Starting of Squirrel- Cage Induction Motors, IEEE Trans on IA, Vol. 20, No. 1, pp. 46-55DOI
3 
E. C. Abunike, O. I. Okoro, G. D. Umoh, 2017, Steady and dynamic states analysis of induction motor: FEA approach, Nigerian Journal of Technology, Vol. 36, No. 4, pp. 1202-1207DOI
4 
M. Carbonieri, N. Bianchi, L. Alberti, 2020, Direct Analysis of Three-Phase Induction Motor Considering Rotor Para- meters Variation and Stator Belt Harmonics Effect,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56, No. 4, pp. 3559-3570DOI
5 
Y. Kawase, T. Yamaguchi, H. Uozumi, H. Kawano, M. Watanabe, T. Kusadome, 2020, Characteristics Analysis of Induction Motor with Broken Rotor Bars at Steady State, 2020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Machines and Systems(ICEMS), Hamamatsu, Japan, pp. 1190-1193DOI
6 
H. Saneie, Z. Nasiri-Gheidari, Feb 2021, Performance Analysis of Outer-Rotor Single-Phase Induction Motor Based on Magnetic Equivalent Circuit,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8, No. 2, pp. 1046-1054DOI
7 
Y. S. Kim, Jun 2014, Effects of Rotor Bar Shape for Squirrel Cage Induction Motor in Transient State Using Moving Band Technique, IEEE Transactions on Applied Superconductivity, Vol. 24, No. 3, pp. 1-4DOI
8 
N. Sadowski, R. Carlson, S. R. Arruda, C. A. da Silva and M. Lajoic-Mazenc, May 1995, Simulation of Single-phase Induction Motor by a General Method Coupling Field and Circuit Equations, IEEE Trans. on Magnetics, Vol. 31, No. 3, pp. 1908-1911DOI
9 
Sheppard J. Salon, 1995, Finite Element Analysis of Electrical Machines, Kluwer Academic Publisher, McGraw-HillGoogle Search
10 
V. Hrabovcova, L. Kalamen, P. Sekerak, P. Rafajdus, 2010, Determination of single phase induction motor parameters, SPEEDAM 2010, Pisa, Italy, pp. 287-292DOI
11 
Hamid A. Toliyat, 1998, Analysis and simulation of five-phase variable-speed induction motor drives under asymmetrical connections, IEEE Trans. on Power Electronics, Vol. 13, No. 4, pp. 748-756DOI
12 
Stephen Williamson, L. Hoon Lim, Michael J. Robinson, Nov 1990, Finite-element models for cage induction motor analysis, IEEE Trans.on Industry Applications, Vol. 26, No. 6, pp. 1007-1017DOI
13 
N. Sadowski, R. Carlson, S. R. Arruda, C. A. da Silva, M. Lajoie-Mazenc, May 1995, Simulation of single-phase induction motor by a general method coupling field and circuit equations,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 31, No. 3, pp. 1908-1911DOI
14 
Li Ran, Jul 1998, Conducted electromagnetic emissions in induction motor drive systems. I. Time domain analysis and identification of dominant modes, IEEE Trans. on Power Electronics, Vol. 13, No. 4, pp. 757-767DOI
15 
F. Meng, D. Wang, Z. Liu, W. Su, 2021, Fast Circuit-Field Coupling Analysis for Skewed Induction Motor,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8, No. 6, pp. 5088-5099DOI
16 
S. K. Jain, F. Sharma, M. K. Baliwal, 2014, Modeling and Simulation of an Induction Motor,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Research and Development, Vol. 10, No. 4, pp. 57-61Google Search
17 
J. G. Kim, 2014, Comparison Analysis of Induction Motor using the Equivalent Circuit,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 Vol. 63, No. 1, pp. 7-11DOI

저자소개

김영선 (Young Sun Kim)
../../Resources/kiee/KIEE.2021.70.12.2058/au1.png

1997년 단국대학교 전기공학과 석사.

2006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박사.

2010년-2011년 MIT Post Doctoral Fellow.

2012-현재 중부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관심분야: 전자장수치해석, 전기기기, 전기설비설계

E-mail : yskim@joongb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