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영익
(Young Ik Son)
†iD
양선직
(Sun Jick Yang)
1iD
아마레네비옐레울다니엘
(Nebiyeleul Daniel Amare)
2iD
-
(Dept. of Electrical Eng., Myongji University, Korea.)
-
(Dept. of Electrical Eng., Myongji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IMP (Internal Model Principle), DOB (Disturbance Observer), Harmonic Disturbance, Equivalence Condition
1. 서 론
제어대상 시스템의 출력이 원하는 기준입력을 충실하게 추종하도록 제어기를 잘 설계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표현, 제어기의 구조, 폐루프 시스템의 안정도
해석 등 제어공학 관련 이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1,2). 상수 외란이 존재하는 실제 시스템의 작업 환경에서 상수 기준입력을 정상상태 오차 (steady-state error; $e_{ss}$) 없이 추종하기
위한 제어 방법으로 고전적인 PI (Proportional Integral) 제어기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를 확장하여 상수가 아닌 일반적인
기준입력과 외란의 존재에도 정상상태 오차를 0으로 만드는 제어기 설계가 가능한 이론적 근거가 내부모델 원리(Internal Model Principle;
IMP)이다(3). 이는 제어기가 기준입력과 외란의 수학적 모델을 포함하면 플랜트나 제어기의 파라미터 변화에도 강인한 정상상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중요한 제어이론
중 하나이다.
한편 비선형성과 외란과 같은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대표적인 강인제어 기법으로 외란 관측기 기반 제어가 다양한 분야에서 꾸준한 관심을 받고 있다(4-10). 그중 외란 모델을 포함한 확장된 시스템의 상태공간 방정식을 사용한 관측기를 설계하여 외란을 보상하는 방법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11-17).
본 논문에서는 직류 전동기 속도 제어시스템을 대상으로 상수항과 주파수를 아는 삼각함수로 이뤄진 기준입력을 시스템의 출력이 정상상태 오차 없이 안정적으로
추종하기 위한 두 가지 제어기 설계 방법을 비교한다. 기본적인 구조를 갖는 단일 부궤환 제어시스템의 내부모델 원리 기반 제어기와 외란 모델을 사용한
축소차수 외란 관측기 (Reduced-order Distur- bance Observer; RO-DOB) 기반 제어기가 같은 제어 성능을 갖도록 하는
설계 조건을 조사한다. 상태관측기 기반 제어기의 전달함수 표현은 라플라스 변환을 통해 얻을 수 있지만, 단일 부궤환 시스템의 전달함수 형태로 주어진
제어기를 같은 성능의 관측기 기반 제어기로 표현하는 문제는 간단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기준입력에 대한 필터를 사용하여 주어진 전달함수 제어기와 같은 성능의 관측기 기반 제어기를 설계한 논문(18)과 달리 기준입력 항을 축소차수 관측기에 포함하는 방법을 통해 추가적인 필터 설계 없이 등가의 RO-DOB 기반 제어기를 상태공간에서 설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를 통해 같은 과도 및 정상상태 성능을 갖는 제어기를 전달함수와 상태관측기로 각각 구현할 수 있으므로 모델 원리 기반 제어기에 대한 연구자들의
이해를 돕고 양쪽 제어기 설계 방법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다.
제안하는 제어기 설계 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상수항을 갖는 삼각함수 기준입력에 대한 직류 전동기 속도 추정 문제를 모의실험하였다. 모의실험에서는 제어기
설계 시 사용한 축소 모델 대신 전동기 전체 모델을 사용하여 두 제어기의 외란 및 불확실성에 대한 동일한 강인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1절에서는 논문에서 다루는 시스템 모델과 기준입력 및 외란을 정의한다. 2.2절 및 2.3절에서 내부모델 원리
기반 제어기와 축소차수 외란 관측기 기반 제어기를 각각 소개하고, 2.4절에서는 두 제어기가 같은 제어 성능을 갖도록 하는 조건을 제시한다. 3장
모의실험에서는 전류 동특성을 포함한 직류 전동기 모델을 대상으로 두 제어기의 동일한 제어 성능을 먼저 비교하고 기준입력 포함 여부에 따른 제어 성능
차이를 오차 공간 설계법으로 얻어진 다른 내부모델 원리 기반 제어기와 비교를 통해 확인한다. 마지막 4장은 결론이다.
2. 본 론
2.1 대상 시스템 및 문제 정의
본 논문에서 다루는 DC 모터 모델은 다음과 같다(19).
위 식에서 $\omega_{m}$과 $i_{a}$는 각각 전동기의 회전자 속도 및 전류이다. $u$는 입력 전압이고 $T_{L}$은 부하 토크를 나타낸다.
$J_{m}$, $B_{m}$은 회전자의 관성 질량과 마찰 계수; $K_{t}$, $K_{b}$는 토크 상수와 역기전력 상수; $L_{a}$, $R_{a}$는
전기자 인덕턴스와 저항이다.
직류 전동기의 전기적인 동특성이 기계적인 동특성에 비해 매우 빠른 경우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전기자 인덕턴스 $L_{a}\approx 0$을 가정한
축소 모델을 고려할 수 있다(20,21).
본 논문에서는 상수항과 삼각함수 항의 합으로 구성된 기준입력 $r$과 외란 $d$를 고려한다. 이때 $r$과 $d$는 같은 삼각함수 주파수 $\omega_{0}$를
갖고 실험을 통해 그 값을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
쉬운 표기를 위해 $x =\omega_{m}$, $a= -(B_{m}R_{a}+K_{t}K_{b})/(J_{m}R_{a})$, $b= K_{t}/(J_{m}R_{a})$이고
$d = -(R_{a}/K_{t})T_{L}$라고 정의할 때 아래 식을 얻을 수 있다. 이때 $a < 0$이고 $b > 0$이고, $d_{1}$,
$d_{2}$, $\theta_{d}$는 모두 미지의 상수이다.
다음 절에서는 식 (3)의 외란 $d$에도 불구하고 기준입력 $r$을 정상상태 오차 없이 추정하기 위한 내부모델 원리 (IMP, Internal Model Principle)
기반 제어기를 소개한다.
그림. 1. 단일 부궤환 제어시스템
Fig. 1. Unity negative feedback control system
2.2 내부모델 원리 (IMP) 기반 제어기
시스템 (3)에 대해 그림 1과 같은 제어시스템을 고려할 때 시스템 전달함수 $G(s)$와 라플라스 변환된 출력 $Y(s)$ 및 제어 오차 $E(s)= R(s)- Y(s)$는
아래와 같다.
식 (6)에서 특성방정식 $\gamma_{p}(s)= 1 + C(s)G(s)= 0$의 모든 근이 복소평면의 좌측에 위치하고 제어기 $C(s)$의 분모가 기준입력
및 외란의 특성다항식을 포함하면 출력의 정상상태 오차 $e_{ss}$를 0으로 만들 수 있다(1). 이처럼 제어기가 기준입력과 외란의 특성다항식, 즉 모델을 포함하고 있으면 폐루프 시스템의 강인한 정상상태 성능($e_{ss}= 0$)을 확보할
수 있는 성질을 내부모델 원리라고 부른다(1,3). 강인한 정상상태 성능이란 시스템 혹은 제어기 파라미터 정보가 불확실하더라도 폐루프 시스템의 안정도만 유지된다면 정상상태 오차를 항상 0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식 (3)으로부터 라플라스 변환된 $R(s)$ 및 $D(s)$는 아래 식과 같다.
위 식으로부터 제어기 $C(s)$의 분모에 아래와 같이 $s(s^{2}+\omega_{0}^{2})$을 포함하면 정상상태 오차 0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이때 분자 계수 $k_{i}$ ($1\le i\le 4$)는 폐루프 전달함수의 안정도와 과도특성을 고려해서 결정한다.
위 제어기를 사용한 폐루프 시스템의 특성다항식 $\gamma_{p}(s)$는 아래와 같다.
식 (3)의 기준입력 및 외란 신호보다 더 일반적인 경우에 대해서도 그 특성다항식만 알면 정상상태 오차가 없는 제어기 설계가 가능하고 기준입력과 외란의 모델이
다른 경우에는 두 특성다항식의 최소공배수인 식을 포함하면 가능함을 예상할 수 있다. ■
다음절에서는 외란의 영향을 보상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외란의 모델을 사용한 외란 관측기 기반 제어기를 소개한다. 관측기 설계 시 기준입력을 활용함으로써
내부모델 원리에 기반한 제어기 (9)와 같은 성능을 갖도록 하는 조건식을 제시한다. 이는 외란 관측기 기반 제어기로 외란에 대한 보상뿐만이 아니라 외란이 없을 때도 IMP 기반 제어기
(9)와 같은 기준입력 추종 성능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2.3 축소차수 외란관측기 기반 제어기
본 절에서는 외란 보상을 위한 축소차수 외란관측기 (RO- DOB, Reduced-order Disturbance Observer) 기반 제어기를
설계한다. 이를 위해 외란 모델을 포함하는 확장된 시스템을 고려한다. 앞 절에서 정의한 외란 $d$에 대한 상태공간 방정식과 행렬 $A_{\xi}$
및 $C_{\xi}$를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식 (11)을 이용하여 외란을 포함한 확장된 시스템 식을 아래와 같이 얻을 수 있다.
위 식에서 $z =\begin{bmatrix}z_{1}& z_{2}^{T}\end{bmatrix}^{T}$일 때 $z_{2}=\xi$이고, $A_{11}=
a$, $A_{12}=$$\begin{bmatrix}b& 0& 0\end{bmatrix}$, $A_{21}= B_{2}=\begin{bmatrix}0&
0& 0\end{bmatrix}^{T}$, $A_{22}= A_{\xi}$, $B_{1}= b$이다.
확장된 시스템 (12)는 외란을 포함하고 있어 제어가능하지는 않지만 관측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1,22). 확장된 상태 일부인 $A_{12}z_{2}$($=\dot z_{1}- A_{11}z_{1}- B_{1}u$)가 측정 가능하다고 가정할 때 아래와
같이 $z_{2}$를 추정하는 축소차수 관측기를 설계할 수 있다. 관측기 이득 $L =\begin{bmatrix}l_{1}& l_{2}& l_{3}\end{bmatrix}^{T}$은
행렬 $A_{o}$($:= A_{22}- LA_{12}$)가 Hurwitz 하게 설계하며, 추가적인 기준입력 항에 대한 이득 $M =\begin{bmatrix}m_{1}&
m_{2}& m_{3}\end{bmatrix}^{T}$이다.
식 (13)에서 미분 값 ($\dot z_{1}$)의 사용을 피하기 위해 새로운 상태변수 $z_{c}$를 식 (14)와 같이 정의하고 식 (13)을 다시 쓰면 식 (15)와 같다. 이는 편의상 $z_{1}$은 $x$로 표기하고 실제 행렬값을 대입한 표현이다.
축소차수 관측기를 이용한 추정치 $\hat z =\begin{bmatrix}z_{1}&\hat z_{2}^{T}\end{bmatrix}^{T}$이다.
본 절에서 소개하는 축소차수 외란관측기 기반 제어기 구조는 그림 2와 같다. 관측기는 상태공간 방정식으로 설계하지만, 비교를 위해 그림 1과 같은 문자로 표시하였다. 다음 절에서 결정하는 상수 $n$은 기준입력에 대한 이득이며 $\bar{K}=\begin{bmatrix}k & C_{\xi}\end{bmatrix}$이다.
그림. 2. 축소차수 외란관측기 기반 제어기
Fig. 2. Reduced-order DOB-based controller
2.4 두 제어기의 등가성 조건
본 절에서는 앞서 소개한 IMP 기반 제어기 (9)와 그림 2의 RO-DOB 기반 제어기가 같은 성능을 갖기 위한 조건을 조사한다. 그림 2의 제어식을 쓰면 아래와 같다.
먼저 관측기 기반 제어기 (16)이 IMP 기반 제어기 (9)와 같은 형태를 갖도록 이득 값 $n$과 $M$을 결정한다.
식 (16)을 관측기 (15)의 $u$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식 (17)을 얻을 수 있다.
식 (17)의 라플라스 변환 식을 다시 식 (16)의 라플라스 변환 식에 대입하면 페이지 하단 식 (18)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식 (18)이 식 (9)와 같은 형태가 되기 위해 계수를 비교하면 우선 이득 값 $n$에 대한 식을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또한, 이득 행렬 $M$의 원소에 대해 아래 식을 만족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즉, 제어 이득 $k$와 관측기 이득 $L$이 정해지면 위와 같이 상수 $n$과 행렬 $M$을 결정함으로써 RO-DOB 기반 제어기로부터 IMP 기반
제어기와 같은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식 (20)을 행렬 형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다시 쓸 수 있다. 이때 $I_{3}$는 $3\times 3$ 단위행렬을 의미한다.
식 (9)와 식 (18)의 분자식을 비교하면 식 (9)의 분자식 계수 $K =\begin{bmatrix}k_{1}& k_{2}& k_{3}k_{4}\end{bmatrix}^{T}$는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즉, 위 식으로부터 관측기 파라미터 $k$와 $L$을 통해 IMP 기반 제어기의 이득 $K$를 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IMP 기반 제어기 (9)의 이득 $K$가 먼저 주어진 경우에 대한 관측기 기반 제어 이득 $k$ 및 $L$에 대한 조건식을 구한다. 이를 위해 특성다항식 $\gamma_{c}(s)$와
$\gamma_{o}(s)$을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단, $A_{o}= A_{22}- LA_{12}$이다.
이때 제어 입력 (16)에 의한 폐루프 시스템의 특성다항식 $\gamma_{cl}(s)$은 두 다항식 $\gamma_{c}(s)$와 $\gamma_{o}(s)$의
곱임을 사용한다(1).
따라서 IMP 기반 제어기 (9)와 관측기 기반 제어기 (16)이 같은 성능을 갖기 위해서는 식 (10)의 특성다항식 $\gamma_{p}(s)$가 식 (24)의 특성다항식 $\gamma_{cl}(s)$가 같아야 함을 알 수 있다. 즉, 4차 다항식 $\gamma_{p}(s)$가 임의의 1차식을 인수로 갖는
경우에는 1차식 $\gamma_{c}(s)$와 3차식 $\gamma_{o}(s)$를 통해 $\gamma_{p}(s)=\gamma_{c}(s)\gamma_{o}(s)$를
만족시키는 이득 $k$ 및 $L$을 항상 찾을 수 있다. 즉, IMP 기반 제어기의 이득 $K$가 먼저 주어진 경우에도 그 특성방정식이 1차 식을
인수로 갖는 경우에는 같은 성능의 외란 관측기 기반 제어기를 설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축소 모델 식 (2) 대신 전류 동특성까지 포함한 2차 시스템 (1)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폐루프 특성다항식이 5차식이므로 근의 종류에 상관없이 항상 $\gamma_{p}(s)=\gamma_{c}(s)\gamma_{o}(s)$가
되도록 하는 이득 $k$와 $L$을 찾을 수 있다. ■
다음 장에서는 모의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조사한 조건에 따라 IMP 기반 제어기와 관측기 기반 제어기의 성능이 동일함을 확인한다.
3. 모의실험
본 논문에서 고려하는 직류 전동기 파라미터는 아래 표와 같다. 본 장의 모의실험 결과는 앞에서 설계한 제어기를 전류 동특성을 포함한 ($L_{a}ne
0$) 2차 시스템에 인가한 예이다.
모의실험에 사용된 기준입력 $r$과 외란 $d$는 아래와 같다. 외란은 $t = 0.15$s에 인가한다.
표 1. 직류 전동기 파라미터
Table 1. DC motor parameters
$R_{a}$
|
6[Ω]
|
$L_{a}$
|
270[μH]
|
$J_{m}$
|
41[g-㎠]
|
$B_{m}$
|
0.033149[${V}\sec /{rad}/{w}_{{b}}$]
|
$K_{b}$
|
0.0377[${m Nm}/({rad}/{s})$]
|
$K_{t}$
|
0.0377[${V}/({rad}/{s})$]
|
IMP 제어기 전달함수 (9)의 분자 계수 $k_{1}= 0.4138$, $k_{2}=$$114.8775$, $k_{3}= 1.2881e+4$, $k_{4}= 5.2202e+5$인
경우를 고려한다. 이때 제어기를 통해 얻은 폐루프 전달함수의 특성다항식은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
동일한 성능의 RO-DOB 기반 제어기 (16)을 설계하기 위해 식 (23)의 두 다항식 $\gamma_{c}(s)$와 $\gamma_{o}(s)$를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위 식으로부터 제어 이득 $k = 0.0223$과 관측기 이득 $l_{1}=$$0.3915$, $l_{2}= 75.7263$, $l_{3}= 3.6745e+3$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식 (19)와 식 (21)을 사용하면 $n = 0.4138$이고, $m_{1}=133.3954$, $m_{2}= 3.6774e+4$, $m_{3}= 2.2617e+6$을 얻을
수 있다.
그림 3과 4는 IMP 기반 제어기 (IMP Con.)와 RO-PIO 기반 제어기 (RODOB Con.)의 폐루프 시스템 출력 및 제어 오차를 나타낸다. 갑작스러운
외란 인가에도 불구하고 정상상태 오차 없이 동일한 제어 성능으로 기준입력을 잘 추종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5는 각 제어기의 입력을 비교한 결과이다.
그림. 3. 폐루프 출력 비교
Fig. 3. Closed-loop output comparison
그림. 4. 폐루프 제어 오차 비교
Fig. 4. Closed-loop control error comparison
그림. 5. 제어 입력 비교
Fig. 5. Control input comparison
그림. 6. 오차 공간 설계법을 사용한 IMP 기반 제어기
Fig. 6. IMP-based controller using error-space approach
한편, 비교를 위해 모의실험 그림 3 ~ 5에 추가로 포함된 두 번째 IMP 기반 제어기 (IMP Con.2)는 그림 6으로 표현된 제어시스템의 결과이다. 이때 이득 $\alpha =\begin{bmatrix}\alpha_{1}&\alpha_{2}&\alpha_{3}&\alpha_{4}\end{bmatrix}$는
아래 행렬의 특성다항식이 식 (26)과 같도록 오차 공간 설계법으로 결정하였다(1).
이때 $\alpha_{1}= -5.2202e+5$, $\alpha_{2}= -1.1247e+4$, $\alpha_{3}= -114.8775$, $\alpha_{4}=
0.4138$의 값을 가지며, 제어기 (9)와 비교하면 $\alpha_{4}= -k_{1}$, $\alpha_{3}= -k_{2}$, $\alpha_{2}=\omega_{0}^{2}\alpha_{4}-
k_{3}$, $\alpha_{1}= -k_{4}$인 관계를 갖는다. 두 가지 IMP 기반 제어기의 외란에 대한 성능은 동일하지만 제어기 (9)를 사용한 폐루프 시스템과 영점이 다르므로 초기 수렴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전동기 속도 제어시스템을 대상으로 상수항과 삼각함수 항이 결합된 기준입력 추종 문제를 다루었다. 주파수가 동일한 같은 형태의 외란이
존재할 때에도 정상상태 오차 없이 제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준입력 및 외란의 특성다항식을 포함하는 두 가지 제어기 설계 방법을 비교하였다.
전달함수 비교를 통해 단일 부궤환 제어시스템 형태인 내부모델 원리 (IMP) 기반 제어기와 축소차수 외란관측기 (RO-DOB) 기반 제어기가 동일한
제어 성능을 갖도록 하는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는 전달함수 형태로 주어진 제어기를 기준입력 항을 포함한 관측기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더 익숙한 반대
방향의 이해와 더불어 두 제어시스템을 해석하는데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모의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하는 조건에 맞게 설계된 제어기가 동일한
성능으로 제어 목표를 달성함을 확인하였다. 더욱 일반적인 시스템으로 확장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MSIT) (No. 2019R1F1A1058543).
References
G. F. Franklin, J. D. Powell, 2010, A. Emami-Naeini, Feedback Control of Dynamic Systems,
6th ed. Pearson
H. K. Khalil, 2002, Nonlinear Systems, 3rd ed. Prentice-Hall: Upper Saddle River NJ
USA
B. A. Francis, W. M. Wonham, 1976, The internal model principle of control theory,
Automatica, Vol. 12, No. 5, pp. 457-465
K. Ohishi, K. Ohnishi, K. Miyachi, 1983, Torque-speed regulation of dc motor based
on load estimation method, Proc. Int. Power Electron. Conf., Vol. 2, pp. 1209-1216
Y. Choi, K. Yang, W. K. Chung, H. R. Kim, I. H. Suh, 2003, On the robustness and performance
of disturbance observers for second-order systems, IEEE Trans. Automat. Contr., Vol.
48, No. 2, pp. 315-320
J. Back, H. Shim, 2008, Adding robustness to nominal output-feedback controllers for
uncertain nonlinear systems: A nonlinear version of disturbance observer, Automatica,
Vol. 44, No. 10, pp. 2528-2537
H. Shim, N. H. Jo, 2009, An almost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robust stability
of closed-loop systems with disturbance observer, Automatica, Vol. 45, No. 1, pp.
296-299
Y. Joo, G. Park, J. Back, H. Shim, 2016, Embedding internal model in disturbance observer
with robust stability, IEEE Trans. Autom. Control, Vol. 61, No. 10, pp. 3128-3133
H. Shim, G. Park, Y. Joo, J. Back, N. H. Jo, 2016, Yet another tutorial of disturbance
observer: robust stabilization and recovery of nominal performance, Control Theory
Tech., Vol. 14, No. 3, pp. 237-249
E. Sariyildiz, R. Oboe, K. Ohnishi, 2020, Disturbance observer- based robust control
and its applications: 35th anniversary overview, IEEE Trans. Ind. Electron., Vol.
67, No. 3, pp. 2042-2053
W. H. Chen, 2004, Disturbance observer based control for non- linear systems, IEEE/ASME
Trans. Mechatron., Vol. 9, No. 4, pp. 706-710
Y. I. Son, I. H. Kim, 2010, A robust state observer using multiple integrators for
multivariable LTI systems, IEICE Trans. Fund. Electron., Vol. E93-A, No. 5, pp. 981-984
K. S. Kim, K. H. Rew, 2013, Reduced order disturbance observer for discrete-time linear
systems, Automatica, Vol. 49, No. 4, pp. 968-975
A. A. Godbole, J. P. Kolhe, S. E. Talole, 2013, Performance analysis of generalized
extended state observer in tackling sinusoidal disturbances, IEEE Trans. Control Syst.
Technol., Vol. 21, No. 6, pp. 2212-2223
M. Ruderman, A. Ruderman, T. Bertram, 2013, Observer- based compensation of additive
periodic torque distur- bances in permanent magnet motors, IEEE Trans. Ind. Inf.,
Vol. 9, No. 2, pp. 1130-1138
I. H. Kim, Y. I. Son, 2017, Regulation of a DC/DC boost converter under parametric
uncertainty and input voltage variation using nested reduced-order PI observers, IEEE
Trans. Ind. Electron., Vol. 64, No. 1, pp. 552-562
I. H. Kim, Y. I. Son, 2020, Design of a low-order harmonic disturbance observer with
application to a DC motor posi- tion control, energies, Vol. 13, No. 5, pp. 1020-
J. I. Yuz, M. E. Salgado, 2003, From classical to state- feedback-based controllers,
IEEE Control Systems Magazine, Vol. 23, No. 4, pp. 58-67
S. K. Sul, 2016, Control of Electric Machine Drive Systems, Seoul: Hongreung Science
Publisher
J. Yao, Z. Jiao, D. Ma, 2014, Adaptive robust control of DC motors with extended state
observer, IEEE Trans. Ind, Electron., Vol. 61, No. 7, pp. 3630-3636
J. H. Yook, I. H. Kim, M. S. Han, Y. I. Son, 2017, Robust- ness improvement of DC
motor speed control using com- munication disturbance observer under uncertain time
delay, Electron. Lett., Vol. 53, No. 6, pp. 389-391
T. Kailath, 1980, Linear Systems, Prentice Hall Inc.
저자소개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1995, 1997 and 2002, respectively.
He was a visiting scholar at Cornell University (2007~2008) and University of Connecticut
(2016~2017).
Since 2003, he has been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Myongji University,
Korea, where he is currently a professor.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robust controller design and its application to industrial
elec- tronics.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 from Myongji University, Korea, in 2019 and 2021,
respectively.
He is now with Hyundai Elevator CO.LTD.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are robust
and adaptiv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observers.
아마레 네비옐레울 다니엘 (Nebiyeleul Daniel Amare)
received his B.S. degree from Addis Ababa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ity, Ethiopia,
in 2017.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s his M.S. degree at Myongji University,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are robust control and industrial applications using
artificial intelli- g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