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Transportation System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Transportation/d2 ENGINEERING Co., Ltd, Korea.)
  2. (KOREA NATIONAL RAILWAY, Korea.)



R-bar, Rigid catenary, Curved section, Pantograph, Contact wire, Wear, Contact characteristics

1. 서 론

강체전차선로는 커티너리 방식의 전차선로와 비교하여 굴착비 등 건설비를 크게 절약할 수 있고, 유지보수에 장점이 있어서 지하구간이나 터널구간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1),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강체전차선로는 R-bar 시스템(그림 1)과 T-bar 시스템(그림 2)으로 나눌 수 있다.

국내에서 운영 중인 R-Bar 강체전차선로는 1994년에 과천선과 분당선에 처음 적용한 후 현재는 공항철도를 비롯하여 신분당선, 수인선, 소사원시선, 성남여주선, 원강선, 대곡소사선 등 AC 25 kV 전차선로 터널구간 및 지하구간에 주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2). 최근에는 250 km/h급 강체전차선로를 국산화 개발하여 원주-강릉간 대관령터널에서 최고속도 250 km/h까지 집전성능을 검증하였으며 현재 건설되고 있는 GTX노선 지하구간에 적용이 가능한 상황이다(3).

강체전차선로 시스템에서의 전차선과 팬터그래프 습동부의 비정상적인 마모는 열차의 속도, 집전전류, 압상력 및 전차선의 레이아웃에 따라 달라지는 복잡한 문제이고, 유지보수비용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4).

그림 1 R-bar 시스템

Fig. 1 R-bar system

../../Resources/kiee/KIEE.2022.71.2.463/fig1.png

그림 2 T-bar 시스템

Fig. 2 T-bar system

../../Resources/kiee/KIEE.2022.71.2.463/fig2.png

2. 본 론

2.1 강체전차선로(R-Bar) 전차선의 마모원인 분석

중국 광저우 지하철의 DC R-Bar 강체전차선로 구간에서의 마모 원인 분석에 관련한 연구사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광저우 지하철 강체전차선로는 그림 3과 같이 DC R-bar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운행되는 전동차의 팬터그래프는 그림 4와 같이 4개의 팬터그래프 스트립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3 DC R-bar 강체전차선로와 마모상태 사진

Fig. 3 The rigid catenary used in metro system & the wear on Contact wire(CW).

../../Resources/kiee/KIEE.2022.71.2.463/fig3.png

그림 4 전동차 팬터그래프 사진

Fig 4 The pantograph of the metro vehicle

../../Resources/kiee/KIEE.2022.71.2.463/fig4.png

관련 연구사례에 따르면 전차선과 팬터그래프 사이의 전기적 마모의 경우 몇 가지 요인이 마모 거동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마모의 주요 요인은 첫 번째로 접촉력 (P), 두 번째 전동차 속도 (v), 세 번째 전류 (I), 네 번째 환경 온도 (T) 등의 지배적인 요인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전차선의 최종 단면적(SA) 마모율을 식 (1)과 같이 제안하고 있고, 이러한 4가지 요인에 대해 전차선의 단면적(SA) 마모율에 미치는 영향과 각각의 관계는 그림 5그림 6과 같이 보여주고 있다(4).

(1)
$w_{w}= w_{wo}\times n\times 10^{-6}\times 10^{4}(mm^{2}/10^{4}pantographs)$

여기서, ww = 전차선의 SA 마모율 (10,000 팬터그래프 통과시 1 mm 거리에서 평균마모면적)

wwo = 특정위치에서의 전차선의 원래 마모율

n = 팬터그래프 습판체 수(4개)

그림 5 접촉력(P)과 전동차 속도(v)에 의한 마모영향

Fig. 5 Relationships between the SA wear rate of CW and the “P” and “v” wear influencing factors

../../Resources/kiee/KIEE.2022.71.2.463/fig5.png

그림 6 전류 (I)와 환경 온도 (T)에 의한 마모영향

Fig. 6 Relationships between the SA wear rate of CW and the “I” and “T” wear influencing factors

../../Resources/kiee/KIEE.2022.71.2.463/fig6.png

실제로 광저우 지하철 2호선의 인접한 두 역인 광저우 기차역과 싼위안리 사이의 전차선 유지보수 기록을 수집하여 마모 모델을 기반으로 계산된 결과를 검증한 결과, 2개의 역 사이에서 전차선 마모 수준의 일반적인 분포를 위해 그림 7과 같이 가속 영역(GZ79)에서 전차선이 5번 교체되었다. 이것은 이 구간의 SA 마모율이 차량이 가속되어 역사를 출발하기 때문에 가장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두 번째로 마모율이 높은 구간인 GZ77 와이어 섹션은 두 역사 사이의 가속 영역이기도 한 곡선부 철도궤도에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모델에 의해 계산된 결과와 실제 마모에 따라 전차선의 교체내용을 살펴보면 SA 마모율 곡선을 계산하는 방법은 전차선 상의 마모 분포의 전개를 개략적으로 추정하기 위한 마모 예측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4).

그림 7 광저우역 - 싼위안리 5개 구간 전차선 교체기록

Fig. 7 Replacement record of CWs in different anchoring sections from Guangzhou Railway Station to Sanyuanli Station

../../Resources/kiee/KIEE.2022.71.2.463/fig7.png

2.2 강체전차선로(R-Bar) 전차선 교체사례

1994년 개통하여 R-Bar 강체전차선로 운영선인 과천선에서 표 1그림 8과 9와 같이 편마모가 발생하였다. 그림 10의 한국철도공사의 “강체 R-bar 유지보수지침(K722- 4-C401)”(5)의 전차선 잔존 직경 기준을 초과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2014년에 일부 곡선구간 (R400 ~ 800 m)의 460m 길이의 전차선을 교체한 사례가 있었다(5).

표 1 과천선 R-Bar 전차선 교체 개소

Table 1 Gwacheon Line R-bar catenary replacement site

노선

교체 길이

마모개소

측정값

비 고

과천선

460m

6.69 mm

마모한계

(7.5 mm)이하

그림 8 전차선 편마모 상태

Fig. 8 Inclined wear condition of CW

../../Resources/kiee/KIEE.2022.71.2.463/fig8.png

그림 9 편마모와 정상마모

Fig. 9 Inclined wear and Straight wear

../../Resources/kiee/KIEE.2022.71.2.463/fig9.png

그림 10 전차선 잔존 직경 기준 (K722-4-C401)

Fig. 10 Based on remaining diameter of contact wire

../../Resources/kiee/KIEE.2022.71.2.463/fig10.png

2.3 체전차선로 곡선구간에 대한 현장 확인

앞에서 살펴본 과천선 R-bar 강체전차선로 곡선구간에서의 전차선이 편마모로 인하여 조기에 교체된 원인에 대해 직선구간과 곡선구간의 전차선 마모상태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전차선 편마모 원인에 대해 과천선 일부 곡선구간에서의 레일 캔트에 의한 전동차의 팬터그래프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강체전차선로 전차선과의 접촉특성을 확인하였다.

2.3.1 곡선구간과 직선구간의 전차선 마모 상태

과천선 금정역 ~ 범계역 R-bar 강체전차선로 직선 구간과 곡선구간에서의 전차선 마모형상과 마모량을 측정한 결과, 그림 11에서와 같이 직선구간에서는 전차선 좌, 우측이 동일하게 2 mm 정도로 수평형태로 마모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곡선구간에서는 전차선 좌측은 4 mm, 우측은 3.5 mm 정도로 경사지게 마모되는 편마모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차선 마모측정기는 전차선(Cu 110 mm$^{2}$) 형상을 기준으로 마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mm 단위의 눈금을 인쇄하여 제작하였다. 강체전차선로 R-bar에 조립된 전차선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마모량을 직접 확인할 수 있고 전차선 좌, 우의 편마모 상태까지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하였다.

그림 11 직선부와 곡선부의 전차선 마모량 측정

Fig. 11 The result of measuring the amount of wear of contact wire in the straight and curved parts

../../Resources/kiee/KIEE.2022.71.2.463/fig11.png

2.3.2 전차선과 팬터그래프 접촉특성

곡선구간의 전차선의 마모경향은 그림 11의 우측부분 사진과 같이 경사지게 마모되는 편마모 형상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강체전차선로 전차선에 레일 캔트로 인하여 경사진 상태로 주행하는 전동차의 팬터그래프가 경사지게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상장비와 조명을 설치하여 접촉영상을 촬영하여 확인한 결과 팬터그래프가 경사진 형태로 접촉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 촬영위치 선정

접촉영상 촬영위치의 선정은 강체전차선로 곡선구간으로 금정에서 범계역간 곡선구간으로 선정하고 그림 12와 같이 금정기점 약 1 km 지점, 34번 전주로부터 3m 전방으로 설정하였다.

그림 12 접촉 영상 촬영 위치 선정

Fig. 12 Selecting a location for contact imaging

../../Resources/kiee/KIEE.2022.71.2.463/fig12.png

나. 접촉영상 쵤영 확인 절차

1) 측정위치에서의 캔트 측정

2) 측정위치의 수평 기준 사진 촬영

3) 영상장비와 조명기기 설치

4) 팬터그래프와 전차선 접촉영상 촬영

5) 고속으로 촬영된 팬터그래프 접촉영상 캡처

6) 접촉영상 판독에 따른 팬터그래프 경사각도 확인

다. 팬터그래프와 전차선 접촉각도 확인

1) 레일캔트 측정 확인

촬영위치에서의 레일 캔트를 확인하기 위하여 캔트 측정기로 측정하여 확인한 결과, 그림 13과 같이 레일 캔트는 100 mm이며, 그림 14에서 보듯이 경사 각도 계산 결과 경사각도는 3.99°로 확인되었다.

그림 13 레일 캔트 측정

Fig 13 rail cant measurement

../../Resources/kiee/KIEE.2022.71.2.463/fig13.png

그림 14 레일 캔트에 의한 경사각도 확인

Fig. 14 Checking the inclination angle by rail cant

../../Resources/kiee/KIEE.2022.71.2.463/fig14.png

\begin{align*} 경사각도 C =\tan^{-1}(\dfrac{B}{A})=\tan^{-1}(\dfrac{100}{1435})\\ \\ = 3.9862928^{\circ}\risingdotseq 3.99^{\circ} \end{align*}

2) 전차선과 팬터그래프 접촉 경사각도

경사각도 확인은 촬영위치(경사각도 확인위치) 1차로 수평상태에서의 기준점 확인을 위한 각도를 1° 단위로 표시한 기준판을 설치 후 촬영하여 기준으로 하였다. 이후 팬터그래프 접촉사진을 캡처한 사진에서 팬터그래프 습동판의 경사 각도선을 그려서 앞에서의 기준 사진과 중첩시켜 경사 각도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 그림 15와 같이 3.2°로 확인되었다.

그림 15 팬터그래프와 전차선 접촉각도 확인

Fig. 15 Check the angle of contact between the pantograph and the contact wire

../../Resources/kiee/KIEE.2022.71.2.463/fig15.png

3) 전동차 속도

촬영위치에서의 전차선과 팬터그래프 접촉각도 확인은 열차속도와도 상당한 상관관계가 있어 전동차의 팬터그래프 간격(13.5 m)을 기준으로 표 2에서와 같이 표시 부분을 팬터그래프가 통과하는 영상 프레임의 시간차(0.9 sec)를 확인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한 결과, 54 km/h 로 확인하였다.

- 초속 계산 : 13.5 m / 0.9 sec = 15 m/s

- 시속 계산 : 15 m/s × 3,600 sec = 54,000 m

- 전동차 속도 : 54km/h

표 2 전동차 속도확인 영상

Table 2 Train speed confirmation video

영상

프레임

../../Resources/kiee/KIEE.2022.71.2.463/tbl2-1.png

../../Resources/kiee/KIEE.2022.71.2.463/tbl2-2.png

영상

시간

../../Resources/kiee/KIEE.2022.71.2.463/tbl2-3.png

../../Resources/kiee/KIEE.2022.71.2.463/tbl2-4.png

라. 전차선 편마모 상태와 팬터그래프 접촉각도 비교

전차선의 마모형태는 그림 12의 우측 사진과 같이 경사지게 마모된 치수(전차선 양쪽 마모량 차이가 0.6mm이고 마모 폭은 11 mm정도)를 각도로 환산한 값이 3.12°이고, 팬터그래프와 전차선이 접촉되는 각도가 그림 15와 같이 3.2°로 서로 비교해 보면 거의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강체전차선로 R-Bar 전차선과 팬터그래프의 이상마모는 팬터그래프의 접촉력(P), 전동차 속도(v), 전류(I), 환경온도(T) 등의 주요 요인으로 인하여 유발되고, 가장 큰 영향은 전동차 기동 및 가속구간에서의 전류영향이 가장 큰 요인이다. 곡선 구간에서의 전차선 마모도 일반구간과 대비하여 크기 때문에 전차선 교체시점이 조기에 도래한다고 주장하는 해외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 과천선 R-Bar 곡선구간에서의 전차선 마모가 심한 관계로 조기에 전차선을 교체하는 사례를 살펴보았다. 전차선 교체구간에서 레일 캔트로 인하여 전동차가 팬터그래프가 경사지게 전차선과 접촉함에 따른 편마모 현상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곡선구간에서의 전차선의 마모 형상과 전동차의 팬터그래프가 강체전차선로 전차선과 경사지게 접촉되는 각도를 영상으로 확인한 결과가 거의 유사한 것을 규명하였다.

향후 강체전차선로 곡선구간에서의 레일 캔트에 따른 전차선의 편마모를 방지하여 교체 수명을 연장하고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게 하는 경사조정 브래킷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Acknowledgements

References

1 
K. W. Lee, Y. H. Cho, S. Y. Kwon, Y. Park, 2017, A Study on Sensitivity Analysis of Design Parameters for the Speed-up of Overhead Rigid Conductor System,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6 no.2, pp. 453-458DOI
2 
H. Park, 2017, A Study on the Speed-up of the Overhead Conductor Rail System for the Electric Railway, pp. 25Google Search
3 
K. W. Lee, 06. 2019,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250 km/h class rigid catenary, ” RAILWAY JOURNAL, pp. 16-27Google Search
4 
X.K. Wei, H.F. Meng, J.H. He, L.M. Jia, Z.G. Li, 2020, Wear analysis and prediction of rigid catenary contact wire and pantograph strip for railway system, Wear, pp. 442-443DOI
5 
KOREA RAILROAD, 2015, Report on emergency replacement work for contact wire of the Gwacheon LineGoogle Search
6 
KOREA RAILROAD, 2005, Maintenance guidelines for rigid R-bar, K722-4-C7401-4Google Search
7 
H. R. Cho, I. C. Kim, H. M. Park, K. W. Lee, C. M. Park, W. S. Oh, Youn. J. I. , J. R. Kim, J. M. Kim, 2021, A Study on the Contact Characteristics of the Contact wire and the Pantograph in the Curved Section of the Rigid Overhead Catenary, KIEE Summer ConferenceGoogle Search

저자소개

조호령 (Ho-Ryung Cho)
../../Resources/kiee/KIEE.2022.71.2.463/au1.png

㈜디투엔지니어링 전력기술연구소 상무

윤정일 (Jeong-Il Youn)
../../Resources/kiee/KIEE.2022.71.2.463/au2.png

국가철도공단 미래전략연구원 기술연구처

김재문 (Jae-Moon Kim)
../../Resources/kiee/KIEE.2022.71.2.463/au3.png

2000년 2월 성균관대 일반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공박).

2000년∼2004년 현대모비스㈜ 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2006년∼현재 국토교통부 철도기술 전문 위원,

2004년 3월∼2012년 2월 한국철도대 철도차량전기과 부교수

2013년 3월∼현재 한국교통대 교통시스템공학과 정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