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orea)



Dynamic Rating System(DRS), Distributed Temperature Sensor(DTS), Conductor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CTS), Correction Factor

1. 서 론

교류 60 Hz 기반의 전기환경이 직류, kHz 교류 등의 도입으로 복합 전기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직류 전기환경은 부하측에서 소형 가전기기부터 전기자동차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적용되고, 발전측에서 신·재생발전원의 활성화로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연료전지, ESS 등에서도 적용되고 있고 비중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kHz~MHz 교류 전기환경은 무선전력전송과 같은 신기술 도입에 적용되고 있다, 이것은 전력변환장치의 발달로 다양한 전기환경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무선전력전송 기술 등에 도입되어 핸드폰 등의 W 급 가전기기부터 kW~MW 급 전기자동차, 전기버스, 전기철도 등의 전력전송 등까지 적용되고 있다. 이처럼 전기환경은 급속도로 다양해지고 있다.

최근 탄소중립 등 전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발전원 확산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재생에너지 3020 정책을 기반으로 신재생발전원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고 RE100 (Renewable Energy 100) 등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 에너지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제도 등이 활성화 되고 있어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이 높아지고 관련 산업의 관심이 지속되고 있다(1).

2020년도 43,049 GWh인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2034년 164,049 GWh로 약 380%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그 중 직류 발전원인 태양광 발전량의 경우 2020년도 16,551 GWh에서 2034년도 59,080 GWh로 350%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여 관련 산업은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의 경우 신재생발전원의 확대 중 태양광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이와 관련된 전기적 안전사항에 대한 관심이 발생하고 있다(2).

이를 위하여 직류 전기환경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교류 전기환경을 기반으로 직류의 수용률이 증가해가는 과도적 기간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발전, 송배전, 부하 각각에서 다양한 전기환경이 도입됨에 따라 상호 복합적인 영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게 되었다. 전기환경이 다양해짐에 따라 전력망 차원의 저관성 문제부터 전력설비 차원의 전식 문제까지 사용환경에 따른 새로운 전기안전 기술 검토가 필요하다(3,4).

태양광발전에서 발생하는 직류 성분의 누설전류는 접지극 또는 주변 철제 설비의 부식을 유발하며 교류설비의 소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차 등 주변 다른 직류설비의 증가되고 있는 상황에서 누설로 인한 외란이 작용할 수 있어 이에 대한 검증을 필요로 한다. 태양광 발전원은 실외에 존재하며, 산간, 해안, 평야 등 다양한 환경에 적용될 가능성이 많으며, 적용범위 또한 넓다. 이 때문에 환경에 대한 고려사항이 더 많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관련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5).

특히, 고장에 대한 영향분석이 시급하게 요구되다. 직류 전기환경에서 전기안전 확보를 위하여 절연저항, 누설전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절연저항은 열화 등으로 인하여 특성이 변화되어, 최초 설치 후 정상적인 상태에서 값의 변화가 크지 않다. 하지만 누설전류는 발전과 부하의 운영에 따라 값의 변화가 실시간으로 변하게 된다. 특히 태양광발전처럼 실시간으로 변하는 상황에서 전기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상태감시 항목으로 적합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누설전류에 대한 상태를 감시하는 것이 전기안전 확보를 위하여 필요하다. 최근 전기안전관리법 시행에 따라 전기안전 관리업무가 3,000 kW 까지 원격으로 가능하게 되어 원격 상태감시 항목으로 누설전류 측정이 포함되기 위하여 이것의 위해성 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6,7).

2. 태양광발전 전기적 특성 분석

태양광 발전은 반도체를 이용한 태양광 셀에서 시작하여 모듈을 구성하고 이것의 직렬 회로 구성을 통하여 스트링 구조를 거쳐 인버터를 통하여 상용전원을 만든다. 인버터 기준 1차측은 직류전기환경이고 인버터 기준 2차측은 계통과 연계된 교류전기환경이다.

태양광 셀은 다이오드 구조로서 일반적인 다이오드 특성을 갖게된다. 이상적인 다이오드 특성 대비 기생저항으로 인한 누설성분과 저항성분이 발생할 수 있다. 누설성분은 전기적 위해성으로 저항성분은 열적 위해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런 특성이 스트링을 통해 반복됨으로써 위해성이 증가된다.

인버터 내부에는 직류와 교류가 공존하는 구간이다. 특히 직류에서 교류를 만들면서 발생하는 스위칭 주파수까지 포함되어, 직류, 60 Hz 교류, 스위칭 주파수 교류 등이 혼재된 상태이다.

2.1 태양광 셀 전기적 특성 분석

태양광 셀의 전기적 특성평가는 I-V 곡선으로 특성을 평가할 수 있다. 전기에너지를 광에너지로 바꾸는 LED와 달리 태양전지는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며 구조가 반대이다. 다이오드의 특성을 평가하는 I-V 곡선을 태양전지에도 활용할 수 있다. 태양전지의 이상상태의 I-V 특성은 식 (1)과 같이 일반적인 다이오드 특성 관계식을 통하여 나태낼 수 있다(8.9).

(1)
$I=I_{0}\left(\exp\left(\dfrac{q V}{nk T}\right)\right)$

이때 I 는 다이오드를 흐르는 전류, V 는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 I0 는 암 상태 포화전류, n 은 이상 계수, T 는 절대온도, q 는 기본전하, k 는 볼쯔만 상수 이다.

식 (1)은 양변에 자연로그를 취하여 식 (2)와 같이 분석할 수 있다.

(2)
$\ln(I)=\ln(I_{0})+\left(\dfrac{q}{nk T}\right)V$

이를 통하여 전류와 전압의 관계는 q, n, k, T 에 의하여 이상상태와 편차를 갖음을 알 수 있다. 이때, q, k 는 상수이므로 n 과 T 에 의해 편차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이상 계수인 n 의 경우 이상상태에서는 1을 갖지만, 반도체 소자의 특성상 발생할 수 있는 기생저항인 직렬저항과 병렬저항에 의하여 10 이상의 값을 갖을 수도 있게된다. 특히 온도가 반도체 입장에서 전류의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태양광 발전시 모듈의 온도와 출력량의 상관관계 분석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된다.

이러한 반도체적 특성을 기반으로 셀을 기반으로 한 모듈과 스트링 성능분석에 I-V 곡선을 전기안전 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 기준 상태를 표준시험조건인 Standard Test Condition (STC) 로 설정하고 현재 측정된 I-V 곡선과의 편차를 통하여 특성을 평가한다.

전압과 관련된 개방전압(Vo) 감소는 모듈의 경우 Potential Induced Degradation (PID), 균열, 음영, 오염 등으로 인한 핫스팟 발생과 바이패스 다이오드 손상 등에 의해 나타난다. PID, 핫스팟의 경우 태양광 모듈 내 셀의 고장 및 불평형에 의해 발생하므로 전압의 감쇄가 적게 나타난다. 반면 바이패스 다이오드 손상의 경우 모듈 내에 바이패스 다이오드 개수에 따라 모듈 영역이 나뉘어서 상대적으로 감쇄가 크게 나타난다.

전류와 관련된 단락전류(ISC) 감소는 모듈 전체적인 변색에 의해 일사량 감소와 유사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나타나게 된다. 또한 출력 감소의 경우 음영지역 발생에 따라 단락전류 감소와 함께 발생하게 된다. 음영 지역의 경우 측정 시간과 계절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며 하루 주기로 반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출력저하에 기인한 내부 전기적 소자 파괴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대부분의 현장의 경우 모듈 단위가 아닌 스트링 단위로 측정되기 때문에 모듈의 배치에 따라 음영에 대한 영향도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전력의 측면에서, I-V 곡선의 충진률을 통해 태양광 셀의 손실을 정량화할 수 있다. 이론적 최대값을 갖게되는 $V_{OC}\bullet I_{SC}$ 대비 현재 측정되는 최대값인 $V_{MPP}\bullet I_{MPP}$ 값을 비교하여 태양광 셀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3)
$FF=\dfrac{V_{MPP}\bullet I_{MPP}}{V_{OC}\bullet I_{SC}}$

2.2 태양광발전 직류구간 전기적 위해성 분석

태양광발전의 직류구간은 셀, 모듈, 스트링이 포함된다. 전기적으로 저항성분이 영향을 미치게되며 특히 태양광 셀에서 발생하는 기생 병렬 저항성분으로 인한 누설전류가 위해성을 갖게된다. 이것들은 모듈 외함마다 연결된 보호도체를 통하여 접지전극으로 모이게 된다. (10)

그림 1 다이오드 I-V 곡선의 기생저항 영향 모식도

Fig. 1 A schematic diagram of parasitic resistance effect of diode I-V curve

../../Resources/kiee/KIEE.2022.71.3.548/fig1.png

직류구간은 다이오드의 직렬 병렬 회로 조합으로 구성되어 P-N 접합의 다이오드 구조에 영향을 받는다. 수 nm 수준의 공정상 한계로 반도체에는 기생저항으로서 병렬저항과 직렬 저항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기생저항 특성에 의하여 측정되는 I-V 곡선은 이상적인 모양과는 차이를 갖게된다.

병렬저항은 반도체 특성상 계면에서 우회경로가 발생하여 나타난다. 이 경우 구동전압까지의 기울기가 0에서 병렬저항 값에 따라 증가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것은 반도체의 경우 도핑의 균일도의 한계에 의해 P-N 사이의 전기적 장벽 높이에 차이가 발생한다. 전기적 장벽은 반도체로서 일정 수준의 전기적 흐름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여야 하는데, 부분적으로 전기적 장벽 높이가 기준 값보다 상대적로 낮은 구간에서는 누설성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것이 병렬저항을 형성하게 된다. 셀 수준의 등가회로를 적용하였을 때, 발전전류는 주회로로 흐르게 되고 누설전류는 기생회로 로서 병렬로 위치한 회로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누설전류는 일사량의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직렬저항은 접촉저항이 클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전압 이상에서 기울기가 무한대에서 접촉저항 값에 따라 감소하는 특성을 보인다.

2.3 태양광발전 교류구간 전기적 위해성 분석

통상적으로 교류누설전류는 지락, 단락과 같은 고장상황에서 발생하고 다중접지 계통의 불평형, 접지전로의 폐루프, 선로와 대지간의 표유정전용량 등의 원인으로 정상상태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최근 전력변환장치의 도입에 따라 표유정전용량의 경로를 따른 누설통전이 용이해지고 있다. 태양광발전은 전력변환장치의 kHz 대역의 스위칭 주파수 성분으로 인하여 누설통전이 용이한 상황이고, 태양광 모듈과 철골 구조물 등의 영향으로 도전부 이외에 인근 도전성부로 표유정전용량이 존재하기 쉬운 구조이다. 전력변환장치로부터 전로와 중성점 사이 등에 Common Mode Voltage (CMV) 가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은 경로에 표유정전용량이 존재하여 누설통전 경로를 제공하게 될 경우 Common Mode Current (CMC) 가 발생하여 위해성의 원인이 될 수 있다(11).

대부분의 현장에서는 도전성부분이 존재하므로 표유정전용량이 존재하기 쉽다. 따라서 이상적인 회로에서 벗어나 누설성분이 발생하게 된다. 이것은 전력케이블 사이, 전력케이블과 대지 사이, 전력케이블과 전력설비 외함 사이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주파수가 증가할 경우 용량성 임피던스가 감소하여 누설이 발생하기 쉽다. 그림 1에서 VCM1 는 직류전로와 접지 사이의 전압을 의미하고 VCM2 는 교류전로와 접지 사이의 전압을 의미한다. CCG.SWF 는 DC 전로와 접지 사이의 등가 표유정전용량이고, CCG,60Hz 는 교류 전로와 접지 사이의 등가 표유정전용량이다. CCE.SWF 는 DC 전로와 외함 사이의 등가 표유정전용량이고, CCE,60Hz 는 교류 전로와 외함 사이의 등가 표유정전용량이다.

접지는 PCS와 태양광모듈 외함에 연결된 각 접지 전선을 접지단자함에서 전기적으로 접속한 후 접지도체에 연결되고, 접지도체는 지중에서 접지극과 연결된다.

그림 2 전력변환장치 기준 표유정전용량 영향 모식도

Fig. 2 A schematic of the stray capacitance based on power converter

../../Resources/kiee/KIEE.2022.71.3.548/fig2.png

전력변환장치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통하여 필요한 전압을 합성하게 되며, 이러한 동작은 CMV를 발생시킨다. CMV 는 전로와 접지사이의 전압이며, 주파수는 전력변환장치의 스위칭 주파수이다. 표유정전용량 등의 누설통전 경로가 존재하면 CMC 가 발생한다. ICM은 CMC로 인한 누설전류를 의미한다. 현장 특성을 반영하여 도출된 표유정전용량에 의한 누설전류는 식 (4), (5)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left | I_{CM,\:SWF}\right | =\left |(V_{CM11}-V_{CM12})\dfrac{2\pi f C_{CG,\:SWF}C_{CE,\:SWF}}{C_{CG,\:SWF}+C_{CE,\:SWF}}\right |$

(5)
$\left | I_{CM,\:60Hz}\right | =\left |(V_{CM21}-V_{CM22})\dfrac{2\pi f C_{CG,\:60Hz}C_{CE,\:60Hz}}{C_{CG,\:60Hz}+C_{S,\:CE,\:60Hz}}\right |$

ICM 은 주파수가 클수록 크고, 기생정전용량이 작을수록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60 Hz 보다 수 kHz 의 스위칭 주파수를 쓰는 스위칭 주파수 구간이 용량성 임피던스가 작으므로 스위칭 주파수 구간의 표유정전용량 영향이 증가되어 누설전류 발생이 증가할 수 있다. 전력변환장치에서 발생한 전기적 성분이 기기외함과 대지 등과의 용량성 임피던스를 통하여 전기적 경로를 형성하게 되고, 접지선이 이러한 외부 영향으로 인한 누설전류의 유입경로가 된다. 이를 통하여 60 Hz 보다 스위칭 주파수 구간에서의 누설전류 영향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실증실험

태양광발전은 전라북도 정읍시에 위치한 실증실험장(경도 35.5°, 위도 126.8°)에서 수행하였다. 47.25 kW 태양광 모듈과 50 kW 인버터로 구성된 태양광 발전설비를 대상으로 실증하였다. 375 W 출력을 내는 모듈 14개를 직렬로 하는 스트링을 구성하였고 9개의 스트링을 묶어 1개의 인버터에 연결하였다.

2021년 08월 07일 06:00부터 20:00 까지 태양광발전에 대한 환경적 전기적 상태를 측정하고 전기적 위해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전기적인 데이터로 직류누설전류와 누설전류를 1분 간격으로 측정하였고, 환경적인 데이터로 일사량, 온도, 모듈온도를 1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환경적 데이터 관련하여, 최대 일사량은 12:54 때 1071.4 W/m$^{2}$ 이었고, 대기온도는 21.4 ℃에서 34 ℃, 모듈 온도는 19.9 ℃에서 74.5 ℃ 이었고, 최대 출력량은 15923 W 였다.

전기적 상태와 관련하여서는 그림 3과 같이 직류누설전류는 0.9 mA에서 1.245 mA, 교류누설전류는 70 mA에서 325 mA 로 측정되었다. 교류누설전류가 77배 ~ 260배 수준으로 크게 발생하였으나, 발생 원인이 상이하므로 각각의 원인에 기반한 보호 대책에 필요하다. 직류누설전류는 접촉상태 개선 등 셀 차원의 유지관리를 통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 교류누설전류는 외함의 차폐 개선, 누설 경로 절연 등을 통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림 3 시간에 따른 교류누설전류와 직류누설전류

Fig. 3 AC leakage current and DC leakage current according to time

../../Resources/kiee/KIEE.2022.71.3.548/fig3.png

표 1 환경적 영향변수 값

Table 1 An environmental parameter values

최소값

최대값

일사량

-

1071 W/m$^{2}$

대기온도

21.4 ℃

34.0 ℃

모듈온도

19.9 ℃

74.5 ℃

위치 : 경도 35.5°, 위도 126.8°

표 2 전기적 특성 측정 값

Table 2 An electrical characteristic measurement values

최소값

최대값

출력량

-

15923 W

직류누설전류

0.9 mA

1.245 mA

교류누설전류

70 mA

325 mA

본 논문에서는 Telegraf-InfluxDB-Chronograf-Telegraf (TICK) 기반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1분 단위 실시간 데이터를 취득하였다. 접지선에 플럭스게이트 타입의 직류 누설전류 센서를 통한 직류누설전류 측정 장치를 설치하였고 여기서 측정된 값은 장치의 LCD 창에 표시하거나 통신을 통하여 원격지로 전송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는 Recommended Standard 485(RS485) 기반 시리얼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있고 modbus 프로토콜을 적용하였고 장치는 측정한 데이터를 시계열로 원격지로 전송하였다.

3.1 일사량 변화에 따른 직류누설전류 영향

일사량은 06:00 부터 14:00 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감소하였다. 12:54 에 최대값인 1071 W/m$^{2}$ 이 측정되었다. 구름 등에 의한 그늘로 인하여 순간순간 일사량이 감소하는 특징은 보였지만 시간에 따라 전반적으로 일관된 패턴을 보였다.

직류 누설전류는 일사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그림 4와 같이 직류 누설전류는 0.9 mA 에서 1.245 mA 로 측정되었으며 일사량의 증감 패턴과 유사하다. 특히 일사량 13:41에 순간적으로 388 W/m$^{2}$ 까지 감소할 때 직류누설전류 값도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사량이 감소 상태이다가 16:50에 811 W/m$^{2}$ 로 증가할 때도 누설전류 값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직류누설전류는 반도체 공정상의 한계로 미시적인 수준에서 발생하지만, 광에너지와 전기적에너지 사이에서 선형적인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일사량이 1000 W/m$^{2}$ 조건에서 직류누설전류는 1.21 mA 로 측정되었고, 800 W/m$^{2}$ 조건에서 1.15 mA 로 측정되었고, 640 W/m$^{2}$ 조건에서 1.07 mA 로 측정되었다. 즉 일사량이 80 % 씩 감소할 때마다 직류누설전류는 95 % 씩 감소하는 선형적인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직류누설전류와 일사량은 순간적인 변동량을 선형화하여 분석하였을 때, 선형적인 특성으로 연관성을 갖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4 시간에 따른 순간 일사량과 직류누설전류

Fig. 4 Instantaneous irradiation and DC leakage current according to time

../../Resources/kiee/KIEE.2022.71.3.548/fig4.png

3.2 출력량 변화에 따른 교류누설전류 영향 분석

태양광발전 출력량은 06:00 부터 14:00 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감소하였다. 12:54에 최대값인 15923 W 가 측정되었다. 구름 등에 의한 그늘로 인하여 순간순간 감소하는 특징은 보였지만 시간에 따라 전반적으로 일관된 패턴을 보였다.

교류누설전류는 일사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그림 5와 같이 직류 누설전류는 325 mA 까지 측정되었으며 일사량의 증감 패턴과 유사하다. 특히 출력량이 감소 상태이다가 16:50 에 11017 W 로 증가할 때도 누설전류 값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전력변환장치의 스위칭 주파수는 kHz 대역으로 표유정전용량을 통한 누설통전이 용이하다. 따라서 발전량 증가에 따른 출력량 증가에 따라 교류누설전류 발생이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출력량 증가에 따라 교류누설전류 증가가 일정 수준으로 제한되었고, 이것은 교류누설전류가 출력량 이외의 원인에 의하여 제약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그림 5 시간에 따른 순간 출력량과 교류누설전류

Fig. 5 Instantaneous power and AC leakage current according to time

../../Resources/kiee/KIEE.2022.71.3.548/fig5.png

그림 6은 태양광발전의 온도 제약을 확인할 수 있다. 07:34 부터 19:18분 까지 최적 발전 조건이 25 ℃ 를 초과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12:54분에 최대 온도인 74.5 ℃ 까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온도의 제약이 없이 일사량의 영향으로만 출력량이 증가하였다면 07:34 과 12:54 를 비교하였을 때, 일사량과 출력량의 선형적 특성이 지배적이라고 가정하였을 경우, 일사량이 132.21 W에서 1071.4 W 까지 8.1 배 증가하였을 때, 출력량은 2.5 kW에서 20.25 kW 까지 발전하여야 하지만 15 kW 까지로 제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설전류의 증가도 제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교류누설전류는 출력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지만, 최적온도를 기준으로 일정수준으로 제한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6 시간에 따른 순간 일사량과 모듈온도

Fig. 6 Instantaneous irradiation and module temperature according to time

../../Resources/kiee/KIEE.2022.71.3.548/fig6.png

4. 영향 분석

직류누설전류는 반도체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반도체 자체의 공정 한계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것은 제조 공정에서 결정되는 것으로 일사량에 지배적으로 영향을 받고 이외의 요소에는 독립적인 특성을 갖는다. 특히 그림 1의 등가회로적인 분석에 의해 직류누설전류 발생원인 병렬기생저항 성분도 선형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이것은 그림 4의 일사량과 직류누설전류와의 관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직류누설전류에 관한 보호 대책은 일사량에 우선하여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류누설전류는 전력변환장치의 CMV 와 표유정전용량에 의한 것으로 동일한 설치환경에서는 주파수의 영향을 받는다. 스위칭 주파수가 영향을 주는 직류구간이 상용주파수가 영향을 주는 교류구간보다 교류누설전류에 취약하다. 이것들은 출력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며, 우선적으로 일사량에 영향을 받는다. 일사량에 따라 출력량이 증가하고 교류누설전류도 증가한다. 하지만 모듈온도 25 ℃를 기준으로 고온에서 출력량 효율이 감소하는 제약이 있고 이것은 교류누설전류의 증가를 제한한다. 따라서 일사량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조건에서 25 ℃ 초과 여부에 따른 출력량과 교류누설전류의 크기가 영향을 받게된다. 따라서, 동일 일사량 조건에서 적정 온도가 유지되는 상황이 고온 혹은 저온 조건보다 교류누설전류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5. Conclusion

태양광발전은 대표적인 재생에너지원으로서 발전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발전원 자체는 직류이나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력변환장치를 통하여 교류로 변환하는 특징을 갖고 있어 직류전기와 교류전기가 공존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직류구간과 교류구간을 구분하여 적절한 위해성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 직류누설전류와 교류누설전류를 통하여 위해성을 분석하였다.

직류구간에서는 직류누설전류를 측정하였다. 태양광발전을 하는 태양광셀이 반도체를 이용함으로써 반도체의 P-N 접합의 균일한 도핑의 한계어서 발생하는 기생저항 중 병렬저항에 의한 누설전류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직류누설전류량은 일사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증가하고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교류구간에서는 전체 누설전류 중 직류누설전류성분을 제외한 교류누설전류 값으로 위해성을 판단하였다. 교류누설전류는 표유정전용량을 통하여 누설경로가 원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교류누설전류는 출력량에 영향을 받아 증감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교류누설전류는 일정수준 이상 증가하는 경향이 제한되는 특성을 보였다. 이것은 출력량은 일반적으로 일사량에 따라 증가하나 25℃를 기준으로 고온의 경우에는 효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출력량 증가에 제한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교류누설전류는 일사량과 온도의 복합적인 환경영향에 따라 위해성이 발생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KETEP)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MOTIE) of the Republic of Korea (No. 20183010141150).

References

1 
S. T, Lim, Y. B. Lim, D. W. Kim, K. Y. Lee, 2019, Research of the Malaysia Electrical Circumstances for the Oversea’s Demonstration of Distributed Energy Convergence, KIEE Spring Conference 2019, pp. 211-212Google Search
2 
Yong-Ho Yoon, 2021, Energy Harvesting Research to Increase Solar Power Generation,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0, No. 12, pp. 2064-2069Google Search
3 
J. Y. Jung, Y. S. Cho, 2021,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ystem Inertia Impact and Stability Improvement Plan According to Renewable Energy Expansion,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0, No. 9, pp. 1263-1273Google Search
4 
Y. J. Kim, H. S. Kim, 2018, Electrolytic corrosion of earth electrodes according to polarities in leakage current accident of Low-Voltage Direct Current, Proceedings of the 48th KIEE Summer Conference, pp. 1334-1335Google Search
5 
S. T. Lim, Y. B. Lim, D. W. Kim, K. Y. Lee, D. J. Chae, J. H. Moon, D. S. Lim, 2020, Analysis of the Influence on the GPT in Ungrounded PV System with Transformer-less Type Inverter, Proceedings of the 51th KIEE Summer ConferenceGoogle Search
6 
Yang-Kwon Park, 2020, A Prevention Algorithm for Malfunction of Directional Over Current Ground Relay in Distribution System with PV System,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9, No. 7, pp. 1001-1009Google Search
7 
Hu-Dong Lee, 2021, A Study on Modeling and Fault Characteristics of 35kV MVDC Distribution System Interconnected with PV Systems, KIEE Spring Conference 2021, pp. 47-48Google Search
8 
Hyeonah Park, 2016, PV Cell Model by Single-diode Electrical Equivalent Circuit, J Electr Eng Technol., Vol. 11, No. 5, pp. 1323-1331DOI
9 
Jaehwan Ko, 2021, Improvement in the Reliability of Bypass Diode at Photovoltaic Modules Through an Intelligent Cooling System,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0, No. 12, pp. 1870-1878Google Search
10 
Jin-Taek Jeon, 2021, Characteristics of Operation Efficiency for Power Regulation Device in PV Module Based on Solar Radiation, KIEE Fall Conference 2021, pp. 47-48Google Search
11 
Jae-Hyun Kim, 2019, A Study on the risk of the accident of the Battery System and electrical equipment byu CMV, KIEE Fall Conference 2019, pp. 137-139Google Search

저자소개

채동주 (Dong-Ju Chae)
../../Resources/kiee/KIEE.2022.71.3.548/au1.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in 2008 and 2011.

He is currently a senior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since 2014.

E-mail : chaedju@kesco.or.kr

이기연 (Ki-Yeon Lee)
../../Resources/kiee/KIEE.2022.71.3.548/au2.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Korea, in 2002 and 2004.

He received the Ph.D degree in IT applied system engineering fro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in 2020.

He is currently a head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since 2004.

E-mail : Ikycj@kesco.or.kr

임승택 (Seung-Taek Lim)
../../Resources/kiee/KIEE.2022.71.3.548/au3.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6 and 2018.

He is currently a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since 2018.

E-mail : jstyim@kesco.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