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승권
(Seung-Kwon Shin)
†iD
안승호
(Seung-Ho Ahn)
1iD
-
(Dept. of institute of technology, EAN TECHNOLOG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Urban railway station, Cluster analysis, K-means, Standard model, Machine learn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1. 서 론
2020년 12월 지속 가능한 탄소 중립 사회의 실현을 위해 2050 장기 저탄소 발전 전략(LEDS) 및 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정부안을
수립했다(1). 2050 장기 저탄소 발전 전략(LEDS) 및 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서는 제로에너지빌딩 인증 대상의 확대를 밝혔고,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한 인증 대상 건물에 철도역사가 포함되었다. 국가철도공단은 탄소저감을 위한 ‘철도건축물 제로에너지 로드맵’을 수립하여 2025년부터는 모든 철도역에
제로에너지를 전면 적용할 것을 발표하였다. 정부의 2050 탄소중립과 그린뉴딜 정책에 발맞추어 제로에너지 상향 계획을 조기 실현함과 더불어 철도시설의
저탄소화를 위한 선도 역할을 수행할 것을 밝혔다(2).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지하철을 포함하여 각종 철도 역사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안은 없다.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등급 평가를 위한 프로그램인 ECO2
에서도 ‘철도역사’와 연결 가능한 건축물 용도 프로파일이 제공되지 않는다. 역사 건축물은 건물의 특성상 특정 시간대에 쾌적성을 위한 피크부하가 존재하며,
유동인구가 많아 상황에 따라 불확실성이 반영되며, 에너지 손실최소화를 위해 공간 밀폐 계획도 안전상 불가능하다. 이에 따른 지속적인 침기부하가 발생됨으로써,
에너지 소비 효율 측면에서 취약하다. 불확실성과, 안전, 기능문제와 상충하는 에너지절감 계획을 고려한 제로에너지 로드맵 수립이 필요하다. 지하철 역사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성능 평가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 다수의 지하철 역사가 가지는 일반적인 특성을 유형화함으로써 표준모델을 제안하고, 유형화된 모델의
에너지사용량을 분석 및 집계하는 등의 프로세스를 정립하여 지하철 역사 에너지 부하를 예측하고 개선해야 한다(3).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역사의 탄소중립을 위한 우선순위와 주된 에너지 개선요소에 대한 가이드라인 및 의사결정 기초연구 단계로써, 클러스터링 방법을 통해
역사의 일반적인 특성을 유형화한 표준모델을 선정한다. 표준모델로 선정된 결과는 역사 에너지 사용량을 예측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로 활용 된다. 유형별
표준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결과들은 일반화된 예측모형개발에 활용된다. 일반화된 에너지 사용량 예측모형을 통해 역사에 대한 에너지 사용량 기초
평가와 절감방안수립, 그린리모델링 계획의 초기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하고자 한다.
표준모델 구축은 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한 서울지역 내 291개 지하철 역사를 모수로 하여 군집분석을 진행하였다. 군집분석 방법론은 머신러닝 방법을 활용하였다.
다양한 머신러닝의 군집방법별 최적의 군집개수 평가를 진행하였다. 머신러닝 군집 방법 중에서 역사건물의 특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 군집방법을 채택하여,
채택된 방법론에 따른 군집별 대표 역사를 선정하였다.
2. 서울 도시철도 역사 군집분석
2.1 역사 건축 데이터 수집
군집분석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지하철 역사에 관한 데이터 수집을 진행하였다. 수집범위는 서울 지역 내 291개의 모든 지하철 역사를 범위로 수집하였다.
데이터는 현장방문을 통한 역사 건축물의 기록 및 문서 혹은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제공되는 Open Data를 활용하였다. ‘서울 열린 데이터광장’,
‘공공데이터 포털’ 사이트를 활용하였고, 주요 검색어는 ‘서울 도시철도’, ‘서울 지하철’, ‘서울 교통공사’, ‘지하철 역사’, ‘지하철’ 등으로
지정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해당 검색어를 통하여 ‘서울교통공사 지하철 역사 건축 현황’, ‘서울시 지하철 호선별 역별 승하차 인원 정보’ 등의 다양한 Open Data를 수집하였다.
저작권자는 서울 교통공사이며 데이터 라이선스는 이용허락유형 제2유형으로 비상업적 범위에서 이용이나 변경 및 2차적 저작물의 작성을 포함한 자유이용을
허락한다. 데이터의 갱신주기는 연간 갱신되며 최신 수정 일자는 2022년7월8일자로 갱신된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데이터 형태는 CSV, JSON 형태로
다운로드 가능하며, OpenAPI로 인증키를 신청하여 데이터 크롤링도 가능하다.
그림. 1. 역사 건축현황 정보 일부 화면
Fig. 1.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historical buildings Some screens
2.2 역사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 수집 과정을 진행하며 서울교통공사 관리 아래에 있는 291개의 지하철도역사 데이터를 수집하여 15개의 Column으로 정리하였다. ‘호선’,
‘역명’, ‘길이’, ‘층수’, ‘면적’, ‘준공년도’, ‘섬식’, ‘상대식’, ‘복합식’, ‘지상’, ‘지하’, ‘복합(지상+지하)’, ‘환승유무’,
‘승하차 인원’, ‘임대상가면적’으로 구분하여 군집분석을 위한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였다. 철도역의 승강장 유형인 섬식, 상대식, 복합식의 경우는
원-핫 인코딩(One-Hot Encoding)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하였다. 다의어 처리가 불분명한 한계가 존재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원-핫 인코딩을 이용하였다.
변수 간의 척도가 다른 경우에는 직접적인 상호 비교를 진행하는 것이 곤란하고, 데이터의 각 변수 간 척도 차이로 인하여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왜곡의 제어를 위하여 정규화를 적용하여 데이터 분석 전 변수 간의 척도 조정을 수행하였다. 정규화된 데이터의 평균은 0, 분산과 표준편차를 1로 만들어주는
것을 의미한다. 정규화된 데이터로 척도가 다른 통계 데이터간 상호 비교가 쉽다.
원-핫 인코딩(One-Hot Encoding)데이터들과 물리적 특성을 표현하는 길이, 층수, 면적등 군집데이터로 설정된 컬럼의 피쳐들은 서로 척도가
상이한 데이터들이다. 따라서 정규화 과정을 통해 분포의 단순화를 하는 것이 군집분석 전 이루어져야 한다. 다만 분석을 진행할 데이터에 이상치가 존재한다면
평균과 표준편차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변환 데이터의 확산이 매우 달라질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정규화 변환 데이터와 정규화 비 변환데이터세트의
군집화 분석을 모두 수행 후 군집성능이 더 좋은 데이터 세트를 선택하여 활용하였다.
이상치가 있는 데이터를 활용할 경우, 균형 잡힌 척도를 보장할 수 없음을 의미하므로 데이터 표준화 전 이상치에 대한 처리 작업이 수반될 수 있다.
표준화 과정은 Scikit-learn 라이브러리의 StandardScaler 함수를 활용한다. 사이킷런 라이브러리에서 제공되는 sklearn preprocessing
모듈을 불러온 후, 표준화를 진행할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면 StandardScaler 함수가 적용되어 표준화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2.3 최적 군집개수 결정을 위한 군집화 평가
비지도 학습의 군집화 분석은 몇 개의 군집을 선택하여 군집화분석을 진행해야 할 것에 대한 가이드가 어렵다. 객관적으로 군집화 개수를 결정하는 방법인
Elbow Method를 사용하여 최적 군집 개수를 설정한다.
군집화 개수 K를 결정하기 쉽게 도와주는 python언어의 yellowbrick라이브러리의 KElbowVisualizer 함수를 사용하였다. 위의
그림 2과 같이 군집화 개수 k는 1~9까지 테스트하였다. 결과는 오른쪽 세로축이 각데이터들의 군집 중심과의 거리를 나타내고 오른쪽 세로축은 학습시간을 나타낸다.
3개의 군집화 이후 학습시간은 늘어나지만 군집중심과의 거리변화는 비교적 크게 낮아지지 않음으로 k=3인 경우를 추천하였다.
그림. 2. 최적군집개수 결정을 위한 Elbow Method 시각화 (python yellowbrick 라이브러리 KElbow Visualizer)
Fig. 2. Visualization of the Elbow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timal Cluster Count
군집화 같은 비지도학습의 특성상 어떠한 지표라도 정확하게 성능을 평가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군집화 평가방법으로 실루엣 분석이 있다. 실루엣 분석은
각 군집 간의 거리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분리돼 있는지를 나타낸다. 효율적으로 잘 분리 되었다는 것은 다른 군집과의 거리는 떨어져있고 동일 군집끼리의
데이터는 서로 가깝게 잘 뭉쳐 있다는 의미이다. 실루엣 계수는 –1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며 1로 가까워질수록 근처 타 군집과 더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이고 0에 가까울수록 근처의 타 군집과의 거리가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 음수의 값은 전혀 다른 군집에 데이터 포인트가 할당되었음을 의미한다. 위의
그림 3과 같이 군집개수는 2~5개로 4가지 케이스로 실루엣 분석을 하였다.
그림. 3. 군집개수 최적화를 위한 실루엣 분석 결과 시각화
Fig. 3. Visualization of Silhouette Analysis Results for Cluster Count Optimization
전체 데이터의 평균 실루엣 계수 값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최적 군집 개수로 군집화가 잘 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2개의 군집을 실루엣 분석한 첫 번째
케이스의 경우(좌상) 평균 실루엣 점수가 0.627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0번 군집의 실루엣 계수 값만 높게 나타나 평균적으로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
각 군집별로 점수가 높은 5개군집 실루엣분석 케이스는(우하) 평균 실루엣 점수는 가장 낮은 0.376으로 나타났다. Elbow Method 분석결과인
3개 군집의 경우(우상) 평균 실루엣 점수는 0.45 점으로 두 번째로 높은 평균 점수로 나타났지만 군집별 점수는 가장 높은 평균점수의 2개군집 분석
케이스 대비 상대적으로 편차가 낮은 값으로 나타났다.
2.4 K-means 군집결과 및 군집별 특성 분석
비지도 학습의 군집알고리즘에서 K-means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군집의 중심점(centroid)을 임의로 지정한 후 해당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포인트들을 선택하는 기법이다.
알고리즘이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이유는 위의 그림 4와 같이 군집결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과도하지 않은 반복횟수를 설정하였을 때 분석시간이 빠르다. 하지만 속성의 개수가 많고,
반복수행 횟수가 많아지면 분석 수행시간이 급격하게 증가한다.
그림. 4. K-means 군집화 결과의 시각화
Fig. 4. Visualization of K-means clustering results
위의
표 1에 K-means 군집결과를 요약하였다. 총 291개 역사 에서 cluster-0 의 군집은 149역으로 51% 비중을 차지하였다 cluster-1의
군집은 27개 역으로 9%의 비중으로 군집되었으며, cluster-2의 군집은 115개의 역으로 40% 비중으로 군집 되었다. K-means 군집결과는
cluster-0과 cluster-2가 거의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군집단으로 나타났다. 면적, 준공년도K-means 군집결과로는 군집된 집단이 타
집단과 다른 어떠한 특성이 나타났는지 설명하기 어렵다.
표 1. K-means clustering column feature의 중위 값으로 군집별 특성 요약
Table 1. Summary of cluster-specific characteristics with median value of K-means
clustering column feature
K-means
|
cluster-0
|
cluster-1
|
cluster-2
|
역
|
count
|
149
|
27
|
115
|
비중
|
weight
|
51%
|
9%
|
40%
|
길이(M)
|
median
|
165
|
205
|
165
|
층규모
|
median
|
3
|
2
|
3
|
면적(㎡)
|
median
|
8,016
|
7,721
|
8,301
|
준공년도
|
median
|
1997
|
1983
|
1995
|
섬식
|
sum
|
42
|
6
|
30
|
비중
|
weight
|
28%
|
22%
|
26%
|
상대식
|
sum
|
101
|
19
|
79
|
비중
|
weight
|
68%
|
70%
|
69%
|
복합식
|
sum
|
6
|
2
|
6
|
비중
|
weight
|
4%
|
7%
|
5%
|
역사 건축물 형태로 구분 가능한 특성인 섬식, 상대식, 복합식중 상대식의 역사의 비중이 높다.
K-means 결과로 나타난 3개의 군집단의 상대식방식이 70% 수준으로 동일한 비중으로 군집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집단으로의 유형화가 어렵다. 표 1의 군집을 군집별 그룹화를 세분화하여 위의 표 2에서와 같이 클러스터링 결과를 지하, 복합, 지상으로 그룹화 하여 중위값으로 요약하였다. 지하형은 지하철 역사가 지하에만 존재하는 유형, 지상형은
건대역 2호선 역사와 같이 지하철 역사가 지상에만 존재하는 유형, 복합형은 지상과 지하 모두 존재하는 유형이다. 이렇게 3가지 유형을 구분한 이유는
건물에너지 사용량에서 외기부하, 일사부하가 공조부하의 주된 요소이기 때문이다. 표 2에서도 표 1과 마찬가지로 군집별 지상형, 지하형, 복합형에서 특정군집만의 특징이라도 판단할 수 있는 특이사항은 발견하기 어렵다.
표 2. K-means clustering 의 지하, 복합(지하와 지상), 지상 위치의 역별로 그룹화된 column feature의 중위값으로
군집별 특성 요약
Table 2. Summarize cluster-specific characteristics with the median of column features
grouped by underground, complex (underground and ground), and area of ground location
in K-means clustering
K-means
Cluster
|
비중
|
길이
(M)
|
층
규모
|
면적
(㎡)
|
준공
년도
|
weight
|
median
|
median
|
median
|
median
|
0
|
지하
|
91%
|
165
|
3
|
8,121
|
1997
|
복합
|
3%
|
165
|
5
|
7,032
|
1996
|
지상
|
5%
|
185
|
2
|
4,587
|
1988
|
1
|
지하
|
85%
|
205
|
2
|
7,775
|
1984
|
지상
|
15%
|
205
|
3
|
6,148
|
1980
|
2
|
지하
|
88%
|
165
|
3
|
8,453
|
1995
|
복합
|
3%
|
165
|
4
|
12,830
|
2001
|
지상
|
10%
|
205
|
3
|
6,385
|
1984
|
K-means 클러스터링 결과는 군집이 이루어졌으나 군집별 특성으로 특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제공하는 지하철 역사건축물 데이터로
분석된 K-means는 군집알고리즘으로써 적합하지 않다.
2.5 GMM(Gaussian Mixture Model) 군집결과 및 군집별 특성 분석
K-means는 데이터 세트가 원형의 범위를 가질수록 군집화 효율은 더욱 높아진다. 하지만 데이터가 긴 형태의 타원형으로 늘어선 경우처럼 원형의 범위로
퍼져있지 않은 경우, 군집화를 잘 수행하지 못한다. GMM은 K-means와는 다르게 군집화 중심좌표를 구할 수 없기 때문에 군집 중심 표현이 시각화하기
어렵지만 K-means 보다 유연하게 데이터 세트에 잘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래 표 3에 GMM으로 군집화한 결과를 요약하였다.
표 3. GMM clustering의 column feature의 중위값으로 군집별 특성 요약
Table 3. Summary of cluster-specific characteristics as median of column feature of
GMM clustering
GMM
|
cluster-0
|
cluster-1
|
cluster-2
|
역사
|
count
|
37
|
23
|
231
|
비중
|
weight
|
13%
|
8%
|
79%
|
길이(M)
|
median
|
205
|
165
|
165
|
층규모
|
median
|
2
|
3
|
3
|
면적(㎡)
|
median
|
7,023
|
8,956
|
8,301
|
준공년도
|
median
|
1983
|
2000
|
1996
|
섬식
|
sum
|
6
|
1
|
71
|
비중
|
weight
|
16%
|
4%
|
31%
|
상대식
|
sum
|
29
|
10
|
160
|
비중
|
weight
|
78%
|
43%
|
69%
|
복합식
|
sum
|
2
|
12
|
0
|
비중
|
weight
|
5%
|
52%
|
0%
|
총 291개 역사에서 cluster-0 의 군집은 37역사로 13% 비중을 차지하였다 cluster-1의 군집은 23개 역사로 8%의 비중으로 군집되었으며,
cluster-2의 군집은 231개의 역사로 79% 비중으로 군집 되었다. 각 클러스터의 면적 중위수는 K-means 군집분석에 비해 편차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준공년도 또한 cluster-0은 1980년대, cluster-1은 2000년대, cluster-2는 1990년대로 특정할 수 있을
만큼의 중위수 값을 보인다. GMM 클러스터링 결과는 완벽하게 특징을 구분지어 군집되었다고 볼 수는 없지만 K-means 군집분석에 비해 면적,
준공년도, 플랫폼의 섬식, 상대식, 복합식의 특성이 구분되었음을 확인 하였다.
GMM clustering의 군집을 지상,복합, 지하로 그룹화 하여 중위수를 확인한 결과는 위의 표 4와 같다. K-means 의결과는 cluster-0~2 3군집의 군집별 지하비율이 91~85%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GMM clustering의
결과는 cluster-1에서 복합형이 35% cluster-2에서 지하형이 94%로 나타났으며 cluster-0과 2에서는 복합형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지하철 역사의 군집에서 지상형이 22%나 차지하는 것은 군집의 특성에 지상의 특성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고 판단하여 GMM cluster-0의 군집
특성은 지상형으로 특정하여 군집별 대표 케이스 모델을 선정하였다.
표 4. GMM clustering의 지하, 복합(지하와 지상), 지상 위치의 역별로 그룹화된 column feature의 중위값으로 군집별
특성 요약
Table 4. Summarize cluster-specific characteristics with the median of column features
grouped by underground, complex (underground and ground), and ground location of GMM
clustering
GMM
Cluster
|
비중
|
길이
(M)
|
층
규모
|
면적
(㎡)
|
준공
년도
|
weight
|
median
|
median
|
median
|
median
|
0
|
지하
|
78%
|
205
|
2
|
7,396
|
1983
|
지상
|
22%
|
205
|
3
|
6,432
|
1984
|
1
|
지하
|
57%
|
165
|
2
|
9,025
|
2000
|
복합
|
35%
|
165
|
4
|
9,457
|
1999
|
지상
|
9%
|
130
|
1.5
|
1,813
|
1980
|
2
|
지하
|
94%
|
165
|
3
|
8,420
|
1996
|
지상
|
6%
|
205
|
3
|
6,639
|
1985
|
3. 군집별 대표모델 선정 및 3차원 모델링
GMM clustering cluster-0의 군집단 37개 역사중 지상형 조건이며 군집 중위수 변수들과의 상관도가 0.99995 이상인 3개 역은
대림, 당산, 건대입구역으로 선정되었다. 대표모델의 선정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3차원 에너지 해석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구축된 에너지해석 모델을
통하여, 군집별 대표 케이스 모델의 공간적 특성정보의 군집특성을 3차원 공간정보의 속성검토를 통하여...검증을 진행하였고 아울러 공간적 특성 중 에너지
성능에 관련한 군집별 에너지조건 정보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그와 함께 후속연구에서는 표준모델로 활용되어 에너지 해석 과정의 대표케이스 모델이 특화된
입력변수를 자동 추출할 수 있는 3차원 에너지 해석 모델링을 선 구축하였다. 이중 임대상가면적이 중위수와 가장 근접한 건대입구역을 cluster-0
군집의 대표모델로 선정하였다.
그림. 5. 건대입구역 2호선 지상 3차원 에너지 해석 모델링
Fig. 5. Modeling of Ground 3D Energy Analysis of National University Station Line
2
GMM clustering cluster-1의 군집단 23개 역중 플렛폼 타입이 복합식이며 군집 중위수 변수들과의 상관도가 0.99995 이상인 상월곡,
수락산, 중앙보훈병원역이 선정되었다. 이중 중앙보훈병원은 임대상가면적이 없으며 상월곡역은 일일 평균승하차 인원이 5천명 수준으로 나타나 수락산역을
cluster-1 군집의 대표모델로 선정하였다.
GMM clustering cluster-2의 군집단은 231개의 역사의 집단으로 서울 지하철 역사의 일반적인 형태와 특성을 가진 집단으로 판단된다.
군집단의 중위수와 평균이 전체집단 291개의 중위수와 평균과 비슷한 수준을 보인다. 이에 길이 층규모, 면적, 준공년도등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며 승하차
평균인원, 임대 상가면적과 같은 사용특성도 중위값 수준에 부합하는 홍대입구역을 cluster-2 군집의 대표모델로 선정하였다.
그림. 6. 수락산역 3차원 에너지 해석 모델링
Fig. 6. 3D Energy Analysis Modeling in Suraksan Station
그림. 7. 홍대입구역 3차원 에너지 해석 모델링
Fig. 7. Modeling of 3D Energy Analysis in Hongdae Station
표 5. 군집별 대표모델 특성 요약
Table 5. Summary of representative case model characteristics by cluster
군집별 대표 케이스 모델
|
건대입구역
|
수락산역
|
홍대입구역
|
역사
|
2
|
7
|
2
|
길이(M)
|
205
|
165
|
205
|
층규모
|
3
|
3
|
2
|
면적(㎡)
|
6,543
|
10,488
|
7,721
|
준공년도
|
1980
|
1997
|
1984
|
승강장 Type
|
상대식
|
복합식
|
섬식
|
지상,지하 구분
|
지상
|
지하
|
지하
|
환승유무
|
환승
|
-
|
환승
|
사용인원
|
38,724
|
12,284
|
62,604
|
임대상가면적(㎡)
|
302
|
371
|
212
|
4. 결 론
현재 그린리모델링의 사업의 경우, 전문적인 인력의 도움을 받기 이전에는 상대적으로 정확도가 떨어진다 할지라도 사업주체 스스로 간단하게 그린리모델링
개선전 · 후 에너지 성능 및 사업에 소모되는 비용 등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효율적인 그린리모델링 사업 운영
· 수행을 위해서는 사업주체 스스로가 그린리모델링 사전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도구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는 해당 단계에서 사업주체가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그린리모델링을 수행하는 것이 충분한 가치가 있다는 결정을 내릴 수 있다면, 전문적인 인력을 동반한 상세한 분석에 소모되는 부담을
감당 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을 전제로 한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그린리모델링 시장 전체의 활성화로 이어지며, 곧 본 연구의 근본적인 목적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사전 의사결정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 및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써, 표준모델의 구축이 필요하다. 표준모델이란 그린리모델링
개선전 · 후 효과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개선전 모델을 의미하는 것으로, 에너지시뮬레이션 과정에서 수반되는 상세한 데이터 입력과정 없이 사용자가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 건축물의 현 준공연도 및 창면적비 등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또는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요소들만 입력해도 에너지성능분석이 가능하도록 사전에
구축이 되어 있는 표준적 성격의 에너지 성능인자 데이터베이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 에너지 사용량을 예측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로 활용하기 위해, 클러스터링 방법을 통해 역사의 일반적인 특성을 유형화한 대표모델을
선정하였다. 클러스터링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제공되는 Open Data를 활용하였다. 서울 지역 내 291개의 모든 지하철역사
건축물을 범위로 수집, 분석 하였다. 클러스터링 분석 방법은 K-means와 GMM 알고리듬을 사용하였다.
클러스터링 결과는 데이터 컬럼이 다양하고 군집별 원형분포형태가 아닌 이유로 K-means 군집알고리듬은 분류결과로서 활용하기 어려웠다. GMM 알고리듬은
K-means에 비해 면적, 준공년도, 승강장 타입의 특성을 유의미하게 구분 지을 수 있는 군집분석 결과를 보였다.
GMM 클러스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군집별 대표 표준 역사를 선정하였다. 대표 표준역사는 건대입구역(2호선), 수락산역, 홍대입구역으로 선정하였다.
대표 표준역사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3차원 모델은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위한 형상모형 및 에너지 사용량 변수 데이터 값의 근거가
된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 대표 표준 역사에 대한 시뮬레이션 수행 이후, 시뮬레이션 결과물인 에너지 사용량 예측값들을 다중회귀 분석등의 방식으로 일반화
모형으로 발전시킬 예정이다.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일반화 예측모형은 추후 지하철 역사의 제로에너지 건축 계획, 리모델링계획등 초기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로 활용 가능하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R&D Program (Virtualization-based railway
station smart energy manage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technology development,
PK2203E1) of the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References
Joint operation of related ministries, 2021, 2050 Carbon Neutral Scenario, ministries,
pp. 4-21
Joint operation of related ministries, 2021, 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Goals
(NDCs) for 2030, ministries, pp. 6-15
Sang-Tae No, Sun-Sook Kim, Jew-Weon Jeong, Jang-Hoo Seo, 2016 December 16, Review
Analysis of the Energy Conservation in Railway Station, Journal of KIAEBS, Vol. 10,
No. 6, pp. 462-469
Jong-young Park, 2018, Estimation of Electrical Loads Patterns by Usage in the Urban
Railway Station by RNN, Trans. of KIEE, Vol. 67, No. 11, pp. 1536-1541
Jong-young Park, 2018, Analysis of Electrical Loads in the Urban Railway Station by
Big Data Analysis, Trans. of KIEE, Vol. 67, No. 3, pp. 460-466
저자소개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Ph.D. degree in School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in 1995, 1998 and 2001, respectively.
Hs is currently a principal researcher in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RRI).
E-mail : skshin@krri.re.kr
http://orcid.org/0000-0002-6493-1483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Department of Architecture Engineering from
Halla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Korea, in 2007, 2009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head of a department in Korea EAN TECHNOLOGY.
E-mail : sha@eantec.co.kr
https://orcid.org/0000-0003-3017-21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