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orea)
  2.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Korea.)



Condition monitoring, On-line, Electrical characteristics

1. 서 론

최근 철도시스템을 포함하여 전력 네트워크의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가 연계된 에너지 저장 및 활용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1). 특히 회생 에너지,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력 안정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DC 전원장치와 ESS (Energy Storage System) 설비의 확대에 따른 화재 등 안전 기술 감시 체계도 개발되고 있다 (2). 최근 개발되는 리튬 이차전지, 나트륨-황전지, 레독스흐름전지 및 슈퍼커패시터를 포함하여 에너지 저장을 위한 신소재 기반의 ESS에 대한 저장용량의 지속적인 상승이 필요한 실정이며, 이에 따른 전력연계 전압 레벨이 높아져 안정성 향상 기술이 필요하다 (4). 특히 분산 전원의 확대와 양방향 공급 기조의 확대로 신재생에너지 운영과 연계된 저장장치의 통합 모니터링과 수명 추정을 위한 열화 특성 모델개발과 전기사고 예방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5).

본 논문에서는 철도시스템을 포함한 다양한 전력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한 열화 특성 판단기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열화로 인해 발생 되는 자외선과 전류의 특성을 상호 비교하여 각각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기술은 분산전원, 고전압 전력장치 및 전기철도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전기결함을 검출하여 유지보수와 열화 검출 기술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그 기술은 수명 연장과 안정적 계통 유지보수에 활용할 수 있다.

2. 본 론

2.1 검출시스템 구성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이상 상태 검출시스템 구조를 그림 1에 나타내었다 (6). 검출시스템은 이상 상태모니터링을 위한 전류 이외에 다양한 센서의 연동을 통해 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I/O 모듈이 가능한 Real-time 컨트롤러가 적용되었다. 특히 다양한 센서의 데이터 획득을 위한 모듈 장착이 가능한 16bit 분해능의 I/O 모듈을 이용하였다. 검측시스템 구성을 위한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NI linux Real-time LabVIEW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모듈로 구성하였다. 이상 상태모니터링은 전류를 이용하여 검출하기 때문에 34W x 64H x 45t의 ±12V CT를 이용하였고, ± 250 A 검출이 가능하다. 검출 결과는 무선기반으로 사용자에 검출 결과를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모니터링장치는 전차선의 상태감시를 위해 사용된 검출시스템과 같은 구조로 보고 된 바 있다. (7).

Fig. 1. Picture of system configuration for abnormal status monitoring

../../Resources/kiee/KIEE.2022.71.10.1456/fig1.png

2.2 열화 특성검출 시스템의 신뢰도 평가

전기설비는 운전 중 활선 상태에서 전기적 결함이 발생하기 때문에 열화 또는 상태 이상으로 발생하는 전류 파형을 검출하기 위해 센서의 절연을 위해 다양한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8). 그러나 전류가 높고 전차선과 같이 5 m 이상의 높이에 설치되는 전력 설비의 이상 결함을 노이즈 없이 감지하기 위해서는 센서의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이 필요하다 (6,7). 또한 ± 250 A의 고전류가 인가되는 활선 상태에서 노이즈 없이 검출하기 위해 센서의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한 이후에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무선기반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고전압 상태에서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그림 2와 같이 시험하였다. 시험은 상용주파 내전압 시험(KS R IEC 60077-1[75kV])과 같도록 AC 75 kV, 60 Hz 전원을 1분간 인가하며 이때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6).

Fig. 2. Picture of experimental configuration for noise detection during 75 kV power supply

../../Resources/kiee/KIEE.2022.71.10.1456/fig2.png

시험 중 온도는 18.7℃, 습도는 63%였고, 전압 인가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험을 위한 센서는 350 Ω의 무유도 스트레인 게이지와 변위계를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센서를 가압 구간에 설치하여 측정한 결과는 그림 3과 같다. 75 kV 전압 공급 후 잡음의 크기가 급격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특성은 고압의 전압과 다양한 주파수 성분 유입에 따른 것으로 보이며 신호 왜곡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낸 변위계의 신호 왜곡은 수 mm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무선 기반 시험장치는 본 시험이 필요한 것으로 이전 논문에서 보고하였다 (6).

Fig. 3. Experimental results of sensor noise signal during 75 kV power supply

../../Resources/kiee/KIEE.2022.71.10.1456/fig3.png

전기결함 발생에 따른 전압과 전류특성을 분석을 위해 팬터그래프와 전차선 간의 이선 모의시험 장치를 참고문헌의 방법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9). 전기결함은 250 V의 전압 인가 후 접촉식 집전장치에 전압을 공급하는 시험기기를 구성하여 수행하였고 전류와 용량은 각각 20 A 및 2.5 kW이다. 모의시험 장치를 이용한 전기결함 발생에 따른 전류특성은 그림 4와 같다. 기계적으로 비접촉상태에서 발생하는 아크에 따라 전압과 전류의 진폭변화와 60 Hz 이외의 다양한 주파수 성분 유입되었다. 기계적 비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특성은 0점에 수렴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0). 비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아크는 초기 불안정 접촉상태에서 전류의 주파수와 크기가 달라지며 비접촉상태로 바뀌어 전류는 0에 수렴하며 접촉 이후 이전 상태를 복원하게 된다 (11).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전류 신호의 크기인 power를 시간에 따라 분석하여 식 (1)에 따라 분석할 수 있으며, 아크의 발생시간을 검출하는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12).

(1)
$V(i)=\dfrac{\sum_{j=i-[n/2]}^{i+[n/2]}\left\{x_{j}-\bar{x}\right\}^{2}}{n^{2}}$

여기서 Ⅴ($i$)는 전류의 분산값, $i$는 현재의 전류값 이다.

논문에서는 전류의 크기가 0에 수렴하지는 않으나 아크 발생 후 비접촉상태에서 전류의 크기가 일정 시간 변화가 없는 것을 실험적으로 나타내었으며 이때의 시간을 이용하여 전기결함의 접촉율(%)을 나타낼 수 있다. (12). 식 (1)과 같이 아크 검출을 위해 신호의 크기 변화를 추적할 수 있고 현재 신호의 시간을 $i$라고 하면 현재 위치 $i$를 중심으로 전·후 변화를 검출하여 아크 발생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림 4의 (b)는 아크 플래시 발생 중 전류와 UV 대역의 아크광을 각각 검출한 결과이다. UV 대역의 아크 플래시는 이선아크 검출장치로 검출하였으며 검출장치는 225 ㎚ 중심파장으로 100 ㎲의 응답속도의 특성이 있다 (13). 약 7.67 ms 의 총 아크가 발생 되었다. 전차선의 집전상태 알고리즘 관련 연구결과에 따르면 아크 검출시간은 광학적 검출 결과보다 다소 길게 검측되고 있다. 이는 분석 시간, 아크의 발생 빈도 및 크기에 따라 달라져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추가적인 연구는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13).

Fig. 4. Results of current and arc flash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occurrence of electrical faults

../../Resources/kiee/KIEE.2022.71.10.1456/fig4.png

3. 결 론

본 논문은 이상 상태 검출시스템 분석을 통해 열화 특성을 판단하는 기술에 대해 나타냈다. 검측 장치는 이상 상태모니터링을 위한 전류 이외에 다양한 센서를 검출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와 FPGA 기반의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활선 중 진단을 위해 75 kV, 60 Hz 전원을 1분간 인가 시험을 구성한 이후 350 Ω의 무유도 스트레인 게이지와 변위계를 각각 가압 구간에 설치하여 특성을 평가하였다. 아크 플래시 발생에 따른 전압, 전류 및 아크광 특성 분석을 위해 L-C-R로 이루어진 2.5kW와 20 A 시험기를 구성 결과와 기계적 비접촉에 의한 아크 플래시 시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최근 아크 플래시 결함 발생에 따른 전압, 전류 및 아크광의 특성에 관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향후 연구는 무선기반의 이상 상태모니터링 장치를 ESS 등 저장장치의 절연 특성 및 전기철도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전차선로 전류특성을 이용한 수명예측과 아크 플래시 검출기술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KETEP)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MOTIE) of the Republic of Korea (No. 20220610100010)

References

1 
N. -E. Lee, W. -w. Kim, J. -h. Shin, J. -O. Kim, 2014, Optimal SOC limit estimation of ESS considering renwable energy sources, 2014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cience Electronics and Electrical Engineering, pp. 1927-1931DOI
2 
J. Zich, J. Jandik, 2020, Active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Home Battery Energy Storage, 2020 21st International Scientific Conference on Electric Power Engineering (EPE), pp. 1-4DOI
3 
M. T. Lawder, June 2014,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BESS)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for Grid-Scale Applications, in Proceedings of the IEEE, Vol. 102, No. 6, pp. 1014-1030DOI
4 
S. Tang, H. Yang, R. Zhao, X. Geng, 2009, Influence of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on steady state stability of power system, 2009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Machines and Systems, pp. 1-4DOI
5 
G. Stamatescu, I. Stamatescu, N. Arghira, I. Făgărăsan, S. S. Iliescu, 2014, Embedded networked monitoring and control for renewable energy storage systems, 2014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Systems (DAS), pp. 1-6DOI
6 
Young Park, Kiwon Lee, Chulmin Park, Sam-Young Kwon, June 2013, Implementation of Optimization of the Uplift Amount Measurement System of Overhead Contact Line,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2, No. 6, pp. 886-890DOI
7 
H. K. Na, Y. Park, Y. H. Cho, K. W. Lee, H. J. Park, S. Y. Oh, J. T Song, 2007, Characteristic Measurement by a Real-time Data Acquisition System in Overhead Contact Wi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ol. 20, No. 3, pp. 281-285DOI
8 
Kyung-Min Na, Kiwon Lee, Chulmin Park, Hyungchul Kim, Young Park, Oct 2021, Implementation of Smart Diagnosis Program for Quantification of Arc Flash Hazard,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0, No. 10, pp. 1535-1539Google Search
9 
Young Park, Sam-young Kwon, Jae-Moon Kim, Aug 2012, Reliability Analysis of Arcing Measurement System Between Pantograph and Contact Wire,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1, No. 8, pp. 1216-1220DOI
10 
H. Mochizuka, S. Kusumi, H. Nagasawa, 2000, New Detection Method for contact loss of pantograph, Quarterly Report of RTRI, Vol. 41, No. 4, pp. 173-176DOI
11 
Y. Fujii, S. Kusumi, T. Fukutani, A. Iwainaka, 2004, Arc Contact Loss Rate Estimation for Shinkansen Trains with Pantographs Connected to Bus Cables, IEEJ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124, No. 10, pp. 1073-1079DOI
12 
Young Park, Seung-Kwon Shin, Kiwon Lee, Jaemoon Kim, Wonha Kim, Apr 2013, Analysis of Current Collection Performance using Real-time Measurement of Current for Overhead Contact Line on the Track-side,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2, No. 4, pp. 573-576DOI
13 
Young Park, Ho-Sung Jung, Il-kwon Yun, Wonha Kim, Jun 2014, On the Implementation of an Advanced Judgement Algorithm for Contact Loss of Catenary System,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3, No. 6, pp. 850-854DOI

저자소개

이기원 (Kiwon Lee)
../../Resources/kiee/KIEE.2022.71.10.1456/au1.png

1997년 RIT(미) 기계공학(공학석사) 졸업,

2009년 성균관대 기계공학 졸업(공학박사),

현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박철민 (Chulmin Park)
../../Resources/kiee/KIEE.2022.71.10.1456/au2.png

2004년 성균관대학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졸업(석사),

2016년 한국교통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졸업 (공학박사),

현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김주욱 (Joo-Uk Kim)
../../Resources/kiee/KIEE.2022.71.10.1456/au3.png

2000년 고려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학사),

2016년 아주대학교 시스템공학과(공학박사),

2004년~현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이훈서 (Hoonseo Lee)
../../Resources/kiee/KIEE.2022.71.10.1456/au4.png

현재 한밭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예정 (학사)

박 영 (Young Park)
../../Resources/kiee/KIEE.2022.71.10.1456/au5.png

2000년 성균관대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부 졸업(공학석사),

2004년 동대학원 동학과 졸업(공학박사),

현재 한밭대학교 전기시스템공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