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민근
(Min-Geun Song)
1iD
이우철
(Woo-Cheol Lee)
†iD
-
(School of Electronic & Electrical Engineering,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Photovoltaic Systems, Reactive Current, Full-Bridge Inverter
1. 서 론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며 2차 공해를 유발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의 에너지원인 화석 연료 대체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며 시스템의 가격과 발전 단가가 낮아지며 화석 연료를 대체하는 효율적인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1),(2).
계통 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그림 1과 같이 계통 측에 RL 부하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연동된 RL 부하를 사용하는 경우 부하에 의해 계통에서 무효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로 인해 계통 전압과 전류는 위상이 일치하지 않게 된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인버터에 무효 전류 보상기법을 적용하는 경우 인버터에서 무효 전류를
보상하여 계통 전압과 전류의 위상 차이를 해결 가능하다(3),(4).
기존의 인버터 동작을 위해서 인버터는 출력 전류를 검출 받아야 한다. 또한, RL 부하를 사용하고 무효 전류 보상이 들어가는 경우 RL 부하 측의
무효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추가적인 전류 센서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전류 센서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연동된 RL 부하를 사용 시 무효 전류 보상을 위한 RL 부하 측 전류를 검출하지 않고 인버터에서 계통 전류 검출을 통해 무효 전류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그림. 1. RL 부하가 연계된 단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Fig. 1. Single-Phase Photovoltaic System with RL Load
제안된 방법은 1kW급 시스템을 구성하여 PSIM(Power SIM) 시뮬레이션과 하드웨어 제작 및 실험을 통해 입증하였다. 기존의 2개의 전류 센서를
사용한 무효 전류 보상기법을 적용한 경우와 제안된 하나의 전류 센서를 사용하여 무효 전류 보상기법을 적용한 경우를 비교하여 제안된 기법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2. Photovoltaic Module Characteristic and MPPT
2.1 Photovoltaic Module Characteristic
태양광 패널은 일사량에 따라 그림 2와 같은 P-V, I-V 특성 곡선을 나타낸다. 단일 태양광 모듈은 약 250W의 발전량을 가지며 직, 병렬(N×n)로 주로 구성하여 시스템을 구성한다.
단일 모듈 개방 전압(Voc_mod)와 모듈 단락 전류(Isc_mod)에 따라 어레이로 구성된 태양광 모듈의 전압(Voc_arr)은 직렬로 연결된 태양광 패널 개수(N)에 따라 결정되고 전류(Ioc_arr)는 병렬로 연결된 패널 개수(n)에 따라 결정되며 수식으로 나타내면 수식(1), (2)와 같다.
그림. 2. RL 부하가 연계된 단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Fig. 2. 3×2 PV Array P-V, I-V Characteristic Curve
그림. 3. P&O MPPT 알고리즘
Fig. 3. P&O MPPT Algorithm
그림 2의 특성 곡선을 가진 태양광 어레이의 최대 전력점 전압(V
mpp)는 V
oc_arr의 약 80%에 존재하고, 이때 최대 전력 점 전류(I
mpp)는 I
sc_arr의 약 95%에 존재한다. 수식은
(3), (4)와 같다.
2.2 P&O(Perturbation & Observation) MPPT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발전 효율을 증대하기 위해 위와 같은 태양광 패널의 특성을 이용하여 최대 전력 점 추종 기법(Maximum Power Point
Tracking)을 사용한다(5),(6).
MPPT 기법에는 다양한 종류의 알고리즘을 통한 여러 기법들이 존재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P&O 알고리즘을 이용한 MPPT기법을 사용하였으며 그림 3으로 알고리즘을 나타내었다. 그림 3에서 사용된 약어는 아래에 표기하였다.
그림. 4. 무효 전류 보상 여부에 따른 전류 흐름 (a) 무효 전류 보상이 없는 경우 (b) 무효 전류 보상이 있는 경우
Fig. 4. Current Flow based on Reactive Current Compensation(a) Without Reactive Current
Compensation(b) With Reactive Current Compensation
V
PV_ref : PV 전압 지령치
N : 직렬 연결된 패널 개수
Voc_mod : 단일 PV 패널 개방 전압
VPV, IPV : PV 전압, 전류
PPV, PPV_old : 현재 및 이전 PV 전력량
VPV, VPV_old : 현재 및 이전 PV 전압
△V : PV 전압 지령치 변동량
3. Reactive Current Compensation technique
그림 1과 같은 RL 부하가 연동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부하를 동작시키는 경우 인버터의 무효 전류 보상 동작이 없다면 무효 전류가 계통에서 RL 부하로
흐르게 되며 이로 인해 계통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때,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인버터에서 부하에 의한 무효 전류를 보상시키는 동작을 진행하면 계통 전압과 전류의 위상을 일치시킬 수 있다.
그림 4는 무효 전류 보상의 여부에 따른 시스템의 전류 흐름을 간략하게 도식화한 것이다.
Iinv는 인버터 출력 전류, Igrid는 계통 출력 전류, ILoad는 부하 전류를 나타낸다. 그림 4에서 각각 빨간색과 파란색으로 나타낸 de, qe는 전류를 검출하여 d-q 변환을 통해 회전좌표계로 이동하였을 때 나타나는 유효 및 무효 성분을 나타낸
것이다.
예시로 Iinv_qe는 인버터 출력 유효 전류이며, Iinv_de는 인버터 출력 무효 전류를 의미한다.
그림. 5. 무효 전류 보상기법에 따른 D-Q 변환
Fig. 5. D-Q Transformation according to reactive current compensation method
그림 4(a)는 무효 전류 보상이 없는 경우이다. 보상 동작 없이 RL 부하가 구동되는 경우 계통 측에서 부하 측으로 무효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림 4(a) 상황의 경우 계통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일치하지 않게 된다. 무효 전류 보상이 없는 경우의 유효 전류와 무효 전류의 합은
수식(5),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4(b)는 무효 전류 보상이 있는 경우이다. 보상 동작이 존재할 때 인버터는 RL 부하에 흘러야 하는 무효 전류를 출력하게 되므로 계통 측에서 무효 전류를
출력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그림 4(b)의 경우 계통 측에서 무효 전류를 보상하지 않으므로 계통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일치하게 된다. 무효 전류 보상이 있는 경우 유효 전류와 무효 전류의
합은
수식(7),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위의
수식(8)에서 착안하였다. 기존의 무효 전류 보상기법은 RL 부하 측의 전류를 검출 받아 D-Q 변환을 통해 만든 부하 측 무효 전류(I
Load_de)와 동일한 크기의 인버터 측 무효 전류(I
inv_de)를 출력한다
(7),
(8). 제안된 무효 전류 보상기법은 RL 부하 측의 전류를 검출 받지 않고 보상하기 위해 인버터에서 무효 전류를 보상하는 경우 계통 측의 무효 전류(I
grid_de)가 항상 0이라는 점을 이용한다. 제안된 기법은 부하 측 무효 전류 검출을 위한 전류 센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림. 6. 단상 PV 발전 시스템의 기존 무효 전류 보상기법
Fig. 6. Conventional Reactive Current Compensation Method in Single-Phase PV system
그림 5는 기존의 무효 전류 보상기법과 제안된 보상기법의 적용에 따라 사용되는 D-Q 변환을 도식화한 것이다. 가상 위상 V
grid_qs는 검출된 계통 전압을 통해 이산 시간 영역에서의 전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9)
수식(9)에서 사용한 변수는 계통 전압을 의미하는 V
grid로 V
grid_ds, V
grid_qs는 정지 좌표계 상에 나타낸 계통 전압의 유효 및 무효 성분이다. 상수 k는 전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기 위한 상수이며 Tc는 시스템 주기, ω =
2πf로 계산할 수 있고
수식(1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기존의 무효 전류 보상기법은 인버터 출력 전류(Iinv)와 RL 부하 전류(ILoad)에 대해 D-Q 변환을 진행하여 무효 전류 보상을 진행한다. 반면 제안된 무효 전류 보상기법은 계통 측 전류(Igrid)는 무효 전류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을 사용하므로 Igrid에 대한 D-Q 변환만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제안된 기법은 시스템의 연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3.1 Conventional reactive current compensation method
그림 6은 기존의 무효 전류 보상기법이 들어간 단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인버터의 출력 전류를 검출 받아 D-Q 변환 후 제어기를
동작시킨다. 인버터 제어기의 동작과 동시에 RL 부하의 동작 여부에 따라 인버터 제어기의 무효 전류 지령치를 변환하여 출력한다. RL 부하가 동작하는
경우 부하 측 전류 센서에 의해 ILoad가 검출되고 D-Q 변환을 통해 ILoad_de를 계산한다. 이때 계산된 ILoad_de는 인버터 제어기의 무효 전류 지령치로 사용되어 PI 제어기를 통해 인버터에서 RL 부하에 따라 무효 전류를 보상한다. 인버터에서 보상 동작을 진행하기
때문에 계통 측에서는 RL 부하 동작을 위한 무효 전류를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계통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일치하게 된다.
RL 부하의 동작이 없는 경우 ILoad_de=0이므로 인버터에서는 무효 전류를 출력하지 않는다(4).
그림. 7. 단상 PV 발전 시스템의 제안된 무효 전류 보상기법
Fig. 7. Proposed Reactive Current Compensation Method in Single-Phase PV system
그림. 8. 단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시뮬레이션 회로도
Fig. 8. Single-Phase PV System simulation circuit
3.2 Proposed reactive current compensation method
그림 7은 제안된 무효 전류 보상기법이 들어간 단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어 과정이다. 기존 무효 전류 보상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인버터 제어기에서 인버터
출력 전류를 검출 받아 사용한다. 그러나 제안된 무효 전류 보상기법은 계통 측에서 전류를 검출 받아 사용하게 된다.
RL 부하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 Igrid=Iinv이므로 인버터 제어기를 기존과 동일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계통 측 출력 전류를 검출 받아 D-Q 변환을 진행하여 인버터 전류를 제어한다.
RL 부하가 동작하는 경우 검출 받는 Igrid는 RL 부하에 의한 무효 전류를 포함하게 된다. 인버터 제어기는 유효 전류와 무효 전류를 D-Q 변환으로 구분하여 PI 제어기를 동작시킨다. 변환을
통해 얻은 Igrid_de는 무효 전류 제어기를 통해 무효 전류 지령치(Igrid_de_ref)를 0으로 제어한다. Igrid_de_ref=0으로 제어하는 경우 계통으로 출력되는 전류의 무효 전류를 항상 0이 되도록 인버터에서 전류를 출력한다. 인버터 출력 전류는 항상 Igrid에 무효 전류가 존재하지 않아야 하므로 RL 부하에서 필요한 무효 전류를 인버터에서 출력하게 된다. 전원 전류만 검출하는 제안된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기존의 인버터전류, 부하 전류를 검출하는 무효 전류 보상기법과 달리 RL 부하의 전류를 검출 받지 않아도 인버터에서 무효 전류 보상 동작이 가능하다.
표 1. 시뮬레이션 파라미터
Table 1. Simulation Parameters
Parameter
|
Value
|
Module Open-Circuit Voltage : Voc_mod
|
60[V]
|
Module Short-Circuit Current : Isc_mod
|
4.1[A]
|
Array Open-Circuit Voltage : Voc_arr
|
180[V]
|
Array Short-Circuit Current : Isc_arr
|
8.2[A]
|
Switching Frequency : Fs
|
10[kHz]
|
PV Capacitance : CPV
|
330[μF]
|
Boost Inductance : LBoost
|
1.5[mH]
|
DC-Link Capacitance : CDC
|
2200[μF]
|
Filter Capacitance : Cf
|
5[μF]
|
Filter Inductance : Lf
|
2.2[mH]
|
RL Load Resistance : RLoad
|
22.8[Ω]
|
RL Load Inductance : LLoad
|
36.14[mH]
|
Grid Voltage : Vgrid
|
110[Vrms]
|
그림. 9. 기존의 무효 전류 보상기법 시뮬레이션 결과
Fig. 9. Simulation result of conventional reactive current compensation method
4. Simulation Results
4.1 Simulation Composition
제안된 기법을 검증하기 위해 PSIM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이용한 회로는 그림 8과 같이 구성하였으며 표 1은 시뮬레이션 및 실험에 사용된 단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파라미터이다.
4.2 Simulation results of Conventional method
그림 9는 기존의 무효 전류 보상기법을 적용한 단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결과 파형이다. RL 부하가 연결되지 않는 상태에서 0.4초 이후 부하가
연결된다.
그림. 10. 제안된 무효 전류 보상기법 시뮬레이션 결과
Fig. 10. Simulation result of proposed reactive current compensation method
부하가 연결되면서 부하 전류 검출을 통해 I
Load_de를 계산하여 인버터 무효 전류 지령치(I
inv_de_ref)로 사용한다. 인버터의 유효 전류(I
inv)는 RL 부하의 연결 여부와 상관없이 동일한 전류를 출력하고 무효 전류는 지령치인 I
Load_de에 맞게 출력되며 부하에 의한 무효 전류 보상 동작을 진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때 계통 전류를 유효 전류와 무효 전류로 변환하여 확인하면 인버터의 무효 전류 보상 동작을 통해 계통에서 무효 전류가 출력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또한, RL 부하에서 인버터의 출력 전류를 소모하므로 계통으로 들어가는 유효 전류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무효 전류 보상기법이 적용되어 계통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3 Simulation results of Proposed method
그림 10은 제안된 무효 전류 보상기법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결과 파형이다. 그림 9의 시뮬레이션과 동일하게 0.4초 이후 RL 부하를 연결시킨다. 제안된 무효 전류 보상기법은 계통 전류를 검출 받아 사용하지만 RL 부하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Igrid=Iinv이므로 기존과 동일하게 동작하게 된다. 계통 유효 전류(Igrid_qe)는 계통 유효 전류 지령치(Igrid_de_ref)를 추종하고 계통 무효 전류(Igrid_de)는 부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계통 무효 전류 지령치(Igrid_de_ref=0)를 추종한다.
RL 부하가 연결되면 부하 측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계통 유효 전류가 감소하게 된다. 이때 계통 무효 전류의 지령치를 0으로 제어하면 RL 부하의
무효 전류량에 따라 인버터에서 무효 전류를 출력한다. 그림 10의 시뮬레이션 파형과 같이 RL 부하의 동작 이후에도 계통 무효 전류는 항상 0이 되도록 제어하며 그에 맞춰 인버터 출력 무효 전류(Iinv_de)가 부하 무효 전류(ILoad_de)만큼 출력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5. Experimental Results
5.1 Experimental Circuit
시뮬레이션을 통한 제안된 기법의 동작을 확인하고 기존의 기법을 적용한 경우의 동작과 비교를 진행하였으며 이후 태양광 시뮬레이터로 단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작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림 11(a)는 제작한 단상 태양광 인버터 시스템이다. ①은 제어부, ②는 검출 부, ③ MPPT 동작 부, ④ 인버터 부, ⑤ 필터부로 구성되었다. 제작한 시스템의
파라미터는 시뮬레이션과 동일한 파라미터로 구성하였다. 그림 11(b)는 태양광 시뮬레이터로 AMETEK 사의 시뮬레이터 Elgar TerraSAS ETS 600을 사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과 동일하게 3×2 어레이를 구성하였다.
그림 11(c)는 제작한 RL 부하이다. 시뮬레이션 상의 RL 부하와 동일하게 22.8[Ω], 36.14[mH]로 구성하였다.
그림. 11. 단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실험 회로(a) 단상 태양광 발전 인버터 시스템 (b) 태양광 시뮬레이터 (c) RL 부하
Fig. 11. Single-Phase PV system experimental circuit(a) Single-Phase PV inverter system
(b) PV simulator (c) RL Load
그림. 12. 기존의 무효 전류 보상기법 시뮬레이션 결과 : 계통 전압 및 계통 전류, RL 부하 무효 전류
Fig. 12. Experimental result of conventional reactive current compensation method
: grid voltage and current, d-axis load current
그림. 13. 기존의 무효 전류 보상기법 시뮬레이션 결과 : 인버터 출력 유/무효 전류 및 지령치
Fig. 13. Experimental result of conventional reactive current compensation method
: d-axis and q-axis inverter output current and reference
그림. 14. 제안된 무효 전류 보상기법 시뮬레이션 결과 : 계통 전압 및 계통 전류, RL 부하 무효 전류
Fig. 14. Experimental result of proposed reactive current compensation method : grid
voltage and current, d-axis load current
5.2 Experimental Result of Conventional method
그림 12는 기존의 무효 전류 보상기법을 적용한 경우의 실험 결과 파형이다. 계통 전압(Vgrid)과 계통 전류(Igrid), RL 부하의 무효 전류(ILoad_de)를 측정한 것이다. 부하의 무효 전류량을 통해 RL 부하가 연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계통 측으로 흐르는 전류가 부하로 흐르는 전류로
인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때 무효 전류 보상기법이 적용되어 인버터에서 무효 전류를 출력하므로 계통 전류와 계통 전압은 동상으로 출력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림 13은 그림 12와 동일한 조건에서 인버터 출력 유효 전류(Iinv_qe)와 무효 전류(Iinv_de)를 측정한 파형이다. 인버터 출력 유효 전류는 지령치(Iinv_qe_ref)를 따라 일정하게 출력되며 RL 부하 구동 시에도 정상적으로 지령치를 추종한다.
인버터 출력 무효 전류는 RL 부하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지령치(Iinv_de_ref)를 따라 0으로 출력된다. RL 부하가 연결되면 인버터 제어기에서 무효 전류 지령치를 검출 받은 RL 부하의 무효 전류로 사용하게 된다. (Iinv_de_ref=ILoad_de) 이후 PI 제어를 통해 인버터에서 지령치에 맞는 무효 전류를 출력한다. 보상기법이 없는 경우 계통에서 부하로 흘러야 하는 무효 전류를 인버터에서
출력하여 보상 동작을 진행한다.
그림. 15. 제안된 무효 전류 보상기법 시뮬레이션 결과 : 계통 유/무효 전류 및 지령치
Fig. 15. Experimental result of conventional reactive current compensation method
: d-axis and q-axis grid current and reference
그림. 16. 무효 전류 보상기법에 따른 계통 전압 및 전류
(a) 기존의 보상기법 (b) 제안된 보상기법
Fig. 16. Grid voltage and current of each reactive current compensation method
(a) Conventional method (b) Proposed method
5.3 Experimental Result of Proposed method
그림 14는 제안된 무효 전류 보상기법을 적용하여 실험 결과를 측정한 것이다. 그림 12와 마찬가지로 계통 전압과 전류, RL 부하 무효 전류를 측정하였다. RL 부하가 연결됨을 무효 전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부하 동작 시 계통으로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안된 기법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인버터에서 부하로 흐르는 무효 전류를 공급하므로 계통 전압과 전류가
동상으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무효 전류 보상기법을 적용한 실험과 동일한 조건에서 제안된 기법은 계통 전류만을 검출 받으므로 그림 15에서 계통 유효 전류(Igrid_qe)와 무효 전류(Igrid_de)를 측정하였다.
RL 부하 구동 이전에 계통 유효 전류는 계통 유효 전류 지령치(Igrid_qe_ref)를 정상적으로 추종한다. RL 부하가 연결되면서 지령치가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계통 유효 전류가 정상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찬가지로 계통 무효 전류도 전류 지령치(Igrid_de_ref)를 추종하도록 제어된다. 이때 기존의 기법과 다르게 제안된 기법은 계통 전류가 제어의 기준이 되며 인버터의 보상 동작을 위해 검출되는 계통 무효
전류는 항상 0으로 제어되어야 한다. 무효 전류 지령치를 0으로 제어하여 계통 무효 전류가 RL 부하 구동 이후에도 0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그림 14를 통해 기존의 무효 전류 보상기법과 동일하게 무효 전류가 보상됨을 알 수 있다.
5.4 Comparison of Experimental results
그림 16은 각 무효 전류 보상기법에 따른 출력 계통 전압과 전류를 측정한 파형이다. 그림 16(a)는 기존의 무효 전류 보상기법을 사용한 것으로 인버터 출력 전류와 RL 부하 전류를 검출 받아 사용하였다. 그림 16(b)는 제안된 무효 전류 보상기법을 사용한 것으로 기존과 다르게 계통 전류만을 검출 받고 RL 부하 전류를 검출 받지 않고 실험을 하였다.
인버터에서 무효 전류 보상 동작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어 측정한 계통 전압과 전류가 그림 16(a), (b) 모두 동상으로 제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6. Conclusion
본 논문에서는 단상 계통 연계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RL 부하를 연동하여 사용하는 경우 부하에 의해 발생하는 무효 전류를 인버터에서 보상하는 기존의
기법을 개선하여 인버터 출력 전류와 RL 부하 전류를 모두 검출하지 않고 계통 전류만을 검출하여 인버터의 무효 전류 보상 동작을 진행 시킬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기법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실험을 진행하여 제안된 기법의 정상 동작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단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에 있어서 전류 검출을 위한 센서의 개수를 단축하여 시스템의 제작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RL 부하 전류를 검출 받지 않아 기존의 기법에 비해 검출 받는 전류의 개수가 감소하므로 시스템의 연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추후 3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성하고 RL 부하를 연동하여 사용하는 경우 본 연구의 단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비해 사용하는 전류의 개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더 효율적으로 시스템 제작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MSIT)
References
M. Boztepe, F. Guinjoan, G. Velasco-Quesada, S. Silvestre, A. Chouder, E. Karatepe,
Jul 2014, Global MPPT scheme for photovoltaic string inverters based on restricted
voltage window search algorithm, IEEE Trans. on Ind. Electron., Vol. 61, No. 7, pp.
3302-3312
Y. Wang, Y. Li, Sep 2016, High-accuracy and fast-speed MPPT methods for PV string
under partially shaded condition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Electronics, Vol.
63, No. 1, pp. 235-245
Woosik Sim, Jongmin Jo Youngroc Kim, Hanju Cha, Apr 2020, Reactive Power Control of
Single-Phase Reactive Power Compensator for Distribution Line, Transactions of Korea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25, No. 2, pp. 73-78
Min-Geun Song, Woo-Cheol Lee, September 2022, A Study on the Reduction of 120 Hz Ripple
Voltage Effect and Current Distortion Rate by the Compensation of Reactive Power on
Single-phase Photovoltaic Systems,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 17, No. 5, pp. 2849-2856
Marcelo G. Villalva, Ernesto Ruppert F., Nov 2009, Analysis and Simulation of the
P&O MPPT Algorithm Using a Linearized PV Array Model, in IEEE Industrial Electronics,
Vol. , No. , pp. 231-236
Ahmad Al-Diab, Constantinos Sourkounis, May 2010, Variable Step Size P&O MPPT Algorithm
for PV Systems, in IEEE Optimization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pp. 1097-1102
B. Crowhurst, E. F. El-Saadany, L. El Chaar, L. A. Lamont, Nov 29-Dec 1 2010, Single-phase
grid-tie inverter control using DQ transform for active and reactive load power compensation,
in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and Energy, pp. 489-494
Imanka Jayathilaka, Lushan Lakpriya, Damith De Alwis, Gayeshi Jayakody, K.T.M.U. Hemapala,
J.P. Karunadasa, Himali Lakshika, 28 Sep 2018, DQ Transform Based Current Controller
for Single-Phase Grid Connected Inverter, in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Engineering, Vol. , No. , pp. 32-37
Sanghoey Lee, Hanju Cha, 2011, Novel Fast Peak Detector for Single-Phase Unsymmetrical
Voltage Sags,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 6, No. 5, pp. 658-665
저자소개
He received the B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ankyoung National University, Anseong
in 2021.
His research interests are robust control, filtering and signal processing.
Since 2021, he is pursuing the MS at the same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are in photovoltaic systems, inverters and power converters.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7, 1989, 2001, respectively.
From 1988 to 1998, he was with the R &D Institute, Hyosung Industries Company Ltd.,
as a Senior Researcher, Seoul, Korea.
He was a Visiting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Virginia, USA from 2007 to 2009.
Since 2002, he has been with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Anseong, Korea, where
he is a Professor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lectronic and Control Engineering.
His research interests are in the areas of power converter, APF, UPS, and electrical
dr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