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권철
(Kwonchul Kim)
1iD
김법수
(Beopsoo Kim)
2iD
김인수
(Insu Kim)
†iD
-
(1st Author :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Inha University, E-mail
: 22212036@inha.edu)
-
(2nd Author :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Inha University, E-mail
: sparky3275@inha.edu )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Asynchronous connection, current-source converter, HVDC, fault, and voltage-source converter
Nomenclature and Abbreviations
HVDC – 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AC – High voltage alternative current
MTDC – Multi-terminal HVDC
MAP – Maximum availabe power
SCR – Short circuit ratio
SDSCR – Site dependent SCR
PTP – Point-to-point
VSC – Voltage source converter
1. 서 론
에디슨은 1879년 상업용 직류 발전기를 개발하였고, 1882년 뉴욕의 금융가에 각각 1,200개의 백열전구를 밝힐 수 있는 100kW의 DC 발전기
6개로 이루어진 클러스터를 통해 전기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에디슨과 웨스팅하우스가 직류와 교류의 안전성에 대해 논쟁을 벌였고 웨스팅하우스는
테슬라 등과 함께 교류용 변압기와 유도기의 성능 향상에 집중했다. 이후 교류 기반 전력계통이 시장에서 지배적인 위치에 올라섰으며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1).
1954년 스웨덴의 고틀랜드 섬에 육지에서 고전압 직류(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로 전력을 공급한 이후, 현재
전 세계에 250개 이상의 HVDC 설비가 건설되었고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지역 등에서 지속해서 증설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98년부터
제주지역과 내륙의 전력 연계를 위한 HVDC 송전계통을 건설하여 운영 중이며, 육상 HVDC 건설사업으로는 북당진-고덕 구간, 신가평-신울진 구간
연계사업 등을 추진 중이다 (2).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HVDC 산업의 현황을 진단하고 도전과제와 미래 전망 등에 대해 기술하고 CIGRE HVDC 모델 제어기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2. 논문 목적의 정의
HVDC 계통은 고전압 교류 (High Voltage Alternative Current, HVAC) 계통에 비해 손실이 적은 특성에도 불구하고 무효전력
공급, 안정성 확보 등의 문제가 병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HVDC의 장점과 단점, 국제적인 HVDC 동향, 대한민국 내 HVDC 현황에
관해 기술할 것이다. 또한, 기존 CIGRE의 HVDC 벤치마크 모델을 활용하여 송전선로에서 발생하는 지락사고를 모의하고, 응답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Rectifier의 제어기 개선방안을 제안할 것이다.
3. HVDC의 장점
HVDC 계통은 비동기 연계, 대용량 장거리 송전, 해저케이블 송전, 대도시 부하 밀집 지역 전원공급 등에 적용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고 있다.
3.1 전력망 간 연계 및 제어
HVDC 계통은 주파수가 다른 AC 계통을 연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본 관동지역의 50Hz 계통과 관서지역의 60Hz 계통은 HVDC를 통해
연계되어 운영 중이다. 주파수는 같지만, 위상차가 존재할 때도 HVDC를 통해 계통간 연계를 구현할 수 있다. HVDC를 통한 비동기 연계 방식은
정전사고 발생시 광역 파급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데, 미국에서 2003년 8월에 발생한 정전 사례는 HVDC 연계의 효과를 보여준다 (3). 북동부지역 대정전 당시, 퀘벡과의 비동기 HVDC 연계 지점 이후의 지역까지 정전이 파급되지 않았다. 또한, 전력망 사이의 HVDC 연계 방식
적용을 통해 전력 계통의 송전용량의 증대와 제어능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4).
3.2 경제성
송전용량이 동일한 경우, 일정거리 (가공 600km, 지중 50km) 이상에서 HVDC 송전은 동일한 길이의 HVAC 송전보다 경제적이다. 그림 1은 교류송전 및 HVDC를 사용한 가공 송전 비용과 간접 투자 등에 따른 개략 비용을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림에서 확인되듯, 일정 거리 이상에서
손익분기점을 지나며, 이후 HVDC 송전의 송전 비용은 교류송전 기반의 선로보다 저렴해진다. 교류 계통이 각 상을 담당하는 송전선이 필요하나, 양극성
HVDC 송전의 경우 정(+), 부(-) 전압용 도체가 동일한 양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송전탑의 설계 및 시공이 쉽고 경제적이다 (5). 국내 계획 중인 가공 HVDC 송전선로의 경우에 600km를 넘는 예는 없다. 이는 경제성 이외에도 기술 축적과 민원 회피 등 다른 편익을 고려한
결정임을 알 수 있다.
그림 1 HVDC-HVAC 비용 비교(5)
Fig. 1 HVDC and HVAC systems Cost comparison(5)
3.3 장거리 대용량 전력 공급
교류송전시, 송전선의 리액턴스에 따른 전압강하는 추가 비용을 발생시킨다 (5). 교류송전의 경우와 달리 HVDC 송전선로는 낮은 전압강하에 따른 경제적인 이점으로 인하여 장거리 송전을 위한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3). HVDC 계통은 해상 풍력 발전소를 계통에 연결하거나 원격지점에 있는 발전원으로부터 부하수요가 많은 지역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6).
HVDC 송전 구간에서는 무효전력의 크기가 교류 송전방식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작다. 식 (1)은 HVDC 송전계통의 역률 근사식을 정의하며, 무효전력이 매우 작아 역률이 1에 가깝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단, $\cos\theta$ : 역률, $P$ : 유효전력, $Q$ : 무효전력, $S$ : 피상전력)
50km 미만의 교류 기반 단거리 송전선을 해석하기 위하여 활용하는 선로정수가 리액턴스와 저항으로 표현되는 모델에서, 전압강하는 식 (2)와 같이 표현된다. 리액턴스가 매우 작은 HVDC 송전계통의 전압강하는 식 (3)과 같이 정의되며, 미미한 전압강하만이 일어남을 시사한다.
(단, $\Delta E$: 계통 전압강하, $R$: 선로저항, $X$: 선로 리액턴스, $E_{r}$ : 수전단 전압, $\theta$: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
3.4 선로 절연계급 경감
그림 2처럼 HVDC를 통한 송전의 경우 선로 전압은 교류 최고전압의 $\dfrac{1}{\sqrt{2}}$배 크기이므로 절연비가 감소한다. 따라서, 지중송전용
케이블 제조비와 가공송전용 송전탑 건설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그림 2 DC와 AC 절연계급 비교(7)
Fig. 2 DC and AC Insulation Class Comparison(7)
4. HVDC의 단점
4.1 비용
그림 3에서, HVDC 전송 시설 구축 시 전력전자 장치와 변환기 변압기에 가장 큰 비용이 소요된다. HVDC 계통의 안정성 향상을 위해서 많은 전력전자
소자들이 필요하므로 변환소를 포함한 HVDC 계통의 건설비용은 비슷한 등급의 교류 송전계통보다 4배 정도 많다 (8).
그림 3 HVDC-HVAC 건설 비용 비교 (9)
Fig. 3 HVDC-HVAC Construction Cost Comparison (9)
4.2 고조파
Rectifier를 거치는 동안 고조파가 생성되는데 연결된 Rectifier의 수가 증가하면 발생하는 고조파도 증가한다. 고조파는 전력의 품질과 전자
장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며 Rectifier와 계통 간 공진을 초래하기도 한다 (10). 이는 HVDC 기반의 송전계통이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고주파 성분은 HVDC 송전선로 근처의 통신 회선에 유도장해를 발생시키며 (11), 이러한 고조파의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변환소에 다양한 필터와 기기들이 설치된다.
4.3 HVDC 계통과 AC 전력망 통합
HVDC 송전 계통과 교류 기반 전력망을 연결하는 것은 복잡하고 까다로운 작업이다. HVDC 송전 계통에서, 대형 고조파 필터는 고장 발생 시 상당한
과전압을 발생시키지만, HVDC 계통은 전력전자 기반의 기술을 통해 우수한 고장 감지 및 보호 성능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고장 발생에 따른 파급은 제한적이다
(12).
4.4 전력망의 불안정성
향후 HVDC 계통 간 연계가 점점 더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다단자 HVDC(Multi-terminal HVDC; MTDC) 내부의 개별
송전 설비 사이의 통신은 더욱 중요해질 것이며, HVDC 계통 사이의 통신 장애는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불가능하게 하여 계통의 안정성에 불안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신속한 사고 감지 및 제거를 위한 보호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으며 직류 차단기와 알고리즘 등을 지속해서
개발하고 있다.
4.5 기타
전류형 Thyristor Valve 변환 시 60% 전후의 무효전력을 소비하게 되므로 무효 전력 보상 장치 설치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교류 계통은
변압기를 통해 전압의 변성이 용이하나 직류 방식은 변압기를 통한 변성이 불가능하다. 현재 건설을 추진 중인 육상 HVDC의 경우 선로 거리가 교류기반
송전계통의 손익분기점 이내의 거리이므로 경제성만 따진다면 비경제적이다 (13). 그러나, 향후 HVDC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국내 지역 간 HVDC 연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편익이 이를 상쇄하므로 동해안-수도권, 경기 북부
지역 등에 HVDC 증설이 예정되어 있다.
5. 세계 HVDC 동향
본 장에서는 2016년 2월에 블룸버그 뉴 에너지 파이낸스 (이하 BNEF)가 발표한 데이터와 2022년 10월에 Wikipedia에 등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HVDC 전체 용량, 지리적 분포, 제조업체/공급업체 측면에서 HVDC 시장 현황과 동향 등에 대해 기술한다. BNEF의 데이터는 1960년대부터
2022년까지, Wikipedia 등재 데이터는 1882년부터 2030년까지 건설되었거나 향후 건설 예정으로 발표된 프로젝트를 포함하며 글로벌 추세를
포함한다.
5.1 비용
그림 4에서 알 수 있듯이 2030년까지 가동될 것으로 예상되는 총 HVDC 송전 용량은 400GW에 가깝다. 그림 5를 보면 해당 송전용량의 절반 이상(61%)은 아시아에서 발생하며, 이는 중국과 인도의 수요에서 기인한다. 최근 중국의 여러 프로젝트는 6,400MW/±800kV로
정격을 정하였으며 (14-16), 일부 계통은 이미 정격이 10GW를 초과하였다 (17).
그림 4 HVDC 용량 증가 현황 (17)
Fig. 4 HVDC Capacity Growth (17)
한편, 2022년 2월부터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에는 1965년에 건설된 750[kW]급 HVDC 연계선이 있었으나, 2014년 폐지된
바 있다.
그림 5 세계 HVDC 용량[GW] 분포 (18)
Fig. 5 Global HVDC Capacity[GW] Distribution (18)
5.2 대륙별 HVDC 설치현황
첫 번째 상용 HVDC 연계선은 60여 년 전에 ABB에 의해 건설되었다 (19). 60여 년이 지난 지금도 HVDC 변환기 시장은 ABB, 지멘스 그리고 2015년에 제너럴 일렉트릭에 에너지 사업이 인수된 Alstom Grid
등 3개 공급사가 장악하고 있다. 국내 HVDC 건설사업의 경우, Alstom이 참여한 KAPES사 에서 주도하고 있다. 그림 6에 주요 HVDC 공급사별 시장점유 현황을 도시하였다.
그림 6 HVDC 관련 (a) 공급사 현황, (b) 변환소 기술 (20)
Fig. 6 HVDC Suppliers(a) and Converter Station Tech.(b) (20)
5.3 제조사별 HVDC 차단기 공급현황
HVDC용 차단기는 차단기의 결선 방법에 따라 2단자 방식과 3단자 방식으로 나뉘며, 3단자 방식은 다단자망 (MTDC)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작사들은 활발하게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표 1에 정리하였다 (21).
표 1 차단기 제조사별 현황(21)
Table 1 HVDC Circuit Breaker Suppliers (21)
Type
|
Circuit
|
Example
|
V
[kV]
|
$I_{peak}$
[kA]
|
Site/Source
|
2단자
|
Mechanical Switch-Passive Oscillation
|
400
|
2
|
Pacific Intertie
|
Mechanical Switch-Current Oscillation
|
80
|
10.5
|
ABB
|
160
|
9.2
|
China southern power Grid
|
High Frequency Resonance
|
27
|
10
|
SciBreak
|
Power Electronic Current Injection
|
2
|
10
|
University of the Bundeswehr
|
3단자
|
Proactive Hybrid
|
80
|
10
|
ABB
|
120
|
7.5
|
GE
|
200
|
15
|
SGRI
|
350
|
20
|
ABB
|
535
|
26
|
GEIRI
|
6. 한국의 HVDC 계통
한국에서는 HVDC 도입을 위한 연구를 1980년대 후반부터 시도하였으나, 대부분이 HVDC 도입의 타당성을 확인하거나 필요한 설비에 관한 연구 정도였다.
이후 1998년 제주-해남 구간에 대한 HVDC 운전 개시에 이어, 2013년에 제주-진도 구간에 두 번째 HVDC 연계선로를 개통하였다. 한국전력공사는
(이하 한전) 지속적인 제주지역의 전력수요 증가를 대비하고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력을 내륙으로 운송하기 위한 세 번째 HVDC 송전선로를 건설하고 있다.
2024년에 제3 HVDC 연계 송전선로 (200MW)까지 완공되면 HVDC (600MW)가 전체 제주지역 최대 부하 예측량 (829MW) 중 70%
내외를 공급하게 되고 제주지역에서는 남제주 기력발전을 제외한 발전기 대부분이 운휴상태에 들어갈 것으로 예측되었다 (22). 한전은 2009년 제주 한림읍에 HVDC 실증단지를 설치하여 해외시장 진출에 필요한 핵심기술 국산화에 매진하고 있다. 또한 수도권 지역 적기에
수요전력을 공급하고, 고장전류 초과에 따른 대책 마련, 전력 조류 제어의 필요성 등으로 인해 북당진~고덕 구간, 신한울-신가평 구간에 HVDC 선로
건설을 진행하고 있다. 다만, 외국사가 참여한 KAPES사가 건설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에서 변환기 및 운영 Software 국산화를 위한 연구가 다소
더딘 실정이다.
HVDC 계통은 가공 회선 600km, 지중선로 50km 이상일 때 교류기반 송전 대비 경제성이 확보된다. 600km에 못미치는 육상 HVDC 건설이
이루어지고 있는 이유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 환경오염 경감, 발전소 입지난 해소, 전력산업 수지 개선, 직류송전 기술의 축적, 신재생에너지 연계,
지역주민과의 갈등 경감, 경제적인 건설비용 등을 위해서이다.
6.1 제주도 1, 2단계
1, 2단계의 송전목적은 경제성과 안정성을 고려한 송전이다. 제주도의 발전설비는 대부분 가스, 중유, 경유 등을 사용하므로 석탄과 원자력발전으로 생산하는
육지 전력비용에 비해 비경제적이다. 제주도의 인구는 2022.11월 현재 약 70만명이며 ‘한 달 제주 살기’열풍 등으로 인해 점차 증가 추세로서
전력수요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표 2 제주도 1,2단계 HVDC 개요(23,24)
Table 2 Jeju Island's HVDC (1st and 2nd phase)
구분
|
1차(해남-제주)
|
2차(진도-제주)
|
설비용량
|
180kV 300MW (150MW*2)
|
250kV 400MW (200MW*2)
|
변환소
|
GIS형(옥외)
|
GIS형(옥내)
|
변환기
|
전류형
|
전류형
|
6.2 제주 3단계 HVDC
제주도의 안정적인 전력 공급 시스템 구축, 재생에너지 수용 능력의 향상, 완도 등 전남 남부지역의 계통 안정화를 통한 광역 정전 예방이 사업 목적이다.
제주지역에 늘어난 신재생에너지 발전력을 필요시에 육지로 송전할 수 있도록 전압형으로 설계되었고, 제주도의 전력 주파수를 조정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2022년 4월에 기공식을 진행한 바 있고, 변환설비는 ABB, 케이블은 LS전선에서 공급할 예정이다.
표 3 제주 3단계 HVDC 개요(23)
Table 3 Jeju Island's HVDC (3rd phase)
전압 및 용량
|
DC 150kV, 200MW, Symmetrical Monopolar 구성
|
준공시기
|
1단계: 2023년 12월 예정
|
송전선로
|
선로길이: 110km
|
변환소
|
2개소(제주, 완도), 전압형 변환기
|
6.3 서해안 HVDC
태안, 당진, 평택 화력발전소의 발전량을 수도권으로 융통하기 위한 설비이다. 당초 2020년 12월부터 상업 운전이 예정되었으나, 시운전 등으로 인해
설계된 용량까지의 정상 송전은 지연되고 있다.
표 4 서해안 HVDC 개요
Table 4 Korean West Coast area's HVDC
전압/용량
|
1단계: DC 500kV, 1.5GW, Monopolar 구성
2단계: DC 500kV, 1.5GW, Bipolar 구성
|
준공
|
1단계: 2020년, 2단계: 2021년
|
선로
|
길이: 34.2km(해저 전력구: 5.2, 지상: 29)
|
변환소
|
2개소(북당진, 고덕)
|
6.4 동해안 HVDC
신한울발전소 등 동해안 건설 중인 대규모 원자력, 석탄화력 발전력을 수도권으로 수송하기 위한 설비이다. 2012년 밀양지역 765kV 송전선로 건설사업
당시 사례를 거울삼아, 지역주민이 참여한 입지선정협의회를 30여 차례 개최하는 등 민원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계획보다 공정이 늦어지고 있다.
표 5 동해안 HVDC 개요
Table 5 Korean East Coast area's HVDC
전압/용량
|
1,2단계: DC 500kV, 8GW, Bipolar 구성
|
준공시기
|
1,2단계: 2025년 6월 예정
|
송전선로
|
길이: 220km
|
변환소
|
2개소(신한울, 신가평)
|
6.5 경기 북부 HVDC
경기 북부지역 154kV 계통의 과부하 해소 목적으로 추진 중이다. 고장전류 증가, 전압불안정 등의 AC 계통의 기술적 문제 해결을 위해서 국책과제로
추진 중이다. 송전선로 없이 변환장치(Converter, Inverter)만 설치된다.
표 6 양주 HVDC 변환소 개요
Table 6 Yangju HVDC Converter Station
전압/용량
|
120kV, 200MW, VSC BTB HVDC
양방향 조류 제어 및 순동무효전력 공급
|
준공시기
|
2023년 4월 예정
|
변환기
|
전압형
|
변환소
|
-양주S/S 154kV GIS 유휴 부지내 설치
-154kV 양주S/S 모선간 BTB HVDC건설
|
6.6 호남지역 HVDC
한전에 따르면, 2021년 전국 태양광발전소에서 발전된 전력은 약 22GWh였고 이중 호남지역에서 생산된 전력이 약 40% 정도를 차지했고, 지역적인
재생에너지 수용 능력 초과로 전라도 지역 내 재생에너지에 대한 출력 제한 조치가 수년째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HVDC 송전선로를 건설하여
호남지역에서 생산된 신재생에너지를 수도권을 송전하기 위해 호남지역 HVDC 건설을 계획 중이다.
7. 도전과 과제
현재까지 알려진 HVDC 송전에 대한 주요 도전과 과제들은 효율적인 고장 위치 탐지와 보호협조 개념 개발, 계통 안정도 해석과 안정도 증진, 강화된
제어 기술, 전력전자 변환기 설계의 새로운 구성, 전력전자 변환기가 생성한 고조파와 필터를 통한 평활화, 신뢰도 분석, 전기장/전기이온/코로나 발생에
따른 환경 영향 평가, 전력조류 해석 등이다 (25). 그중 본 논문에서는 안정도 증진과 고장해석, 보호협조 개념의 일환인 직류차단 기술 등에 대해 기술한다.
7.1 안정도 증진
인버터 전원이 점점 증가하면 전력망의 안정성과 회복력이 저하된다. HVDC 계통의 안정도를 평가하는 MAP (Maximum Available Power)
방법은 HVDC 계통의 용량과 계통의 단락용량의 비율을 이용하는 것으로 계통의 단락용량은 운전상황에 따라 변화하므로 계통의 단락용량 최소값에 기초한
안정도 확보가 필요하다 (26,27). 그림 7은 HVDC Point-to-point (PTP) 방식의 모델이다. 식 (4)는 HVDC가 연계 계통에서 계통의 강도(Short circuit ratio, SCR)를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즉, 계통 전체의 단락용량을 HVDC
송전용량으로 나누어 계통의 강도(SCR)를 계산한다. HVDC 등 인버터를 통한 전원의 비율이 높아지면 전력망의 계통의 강도(SCR)는 작아진다.
HVDC 용량 대비 계통의 단락용량이 3배 이상이어야 안정적인 운영을 기대할 수 있다(28). D.Wu 등은 전통적인 계통의 강도(SCR) 개념 외에 계통과 신재생에너지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하기 위한 SDSCR (Site-Dependent
SCR) 개념을 도입하여 다양한 최소 계통 강도 값(Minimum SCR)을 주장하였다 (29).
그림 7 HVDC PTP 계통 모델 (26)
Fig. 7 HVDC PTP System Model (26)
(단, : AC 계통의 테브낭 등가저항, : DC Power, : RMS 정격전압, MVAsc : 계통 단락용량)
Javier Reneo 등은 VSC-MTDC (Multi-terminal HVDC) 계통에서 과도 안정도 개선에 최적화된 보조 제어기들이 전기기계적인
진동의 감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MTDC에 속한 각각의 VSC는 가중평균 주파수(Weighted-average frequency)를 비교하고
각자의 유효전력과 무효전력 투입량을 조절하거나 두 가지를 동시에 조절하여 투입하여 지역 간 전기기계적인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30).
7.2 고장 해석
한국전력공사에 따르면 2021년까지 해남~제주 구간 HVDC, 진도~제주 구간 HVDC 송전선로에서 고장을 자주 일으킨 바 있다. 잦은 고장 발생은
계통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공급사와의 분쟁을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향후 10년 내 HVDC 케이블 시장 규모가 연간 수십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고장의 원인을 찾아 해결한 후 기술 축적을 위한 투자를 계속해야 한다.
그림 8은 제주-해남 구간 HVDC 계통과 유사한 모델인 CIGRE Benchmark Model에 송전선로에 지락사고를 추가한 모델이다. 그림 9 (a)와 그림 9 (b)는 정상 투입 시와 HVDC 선로에 전원 투입 직후 지락 사고 발생 시 전압과 전류를 각각 나타낸다. 그림 9 (b)에서 전압이 정상상태로 회복되지 못하고 영점 부근으로 하락 후 상태가 지속된다. Rectifier의 점호각과 소호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확인한 결과, 소호각이 제어기의 참조값과 같아지는 현상이 발생한 상황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그림 10 (a)의 CIGRE의 HVDC 벤치마크 모델의 Rectifier 제어기에 상단 6 펄스의 위상각을 반영하는 제어기를 그림 10 (b)과 같이 수정하였다. 그 결과, 그림 11 (a)처럼 고장이 발생한 이후 기존의 정상상태로 돌아오는 것은 가능하였으나, 그림 11 (b)와 같이 고장이 없는 초기 작동에서 안정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제어기의 개념 설계는 향후 연구과제로 제시한다.
그림 8 CIGRE HVDC 모델(송전선로 지락사고 추가)
Fig. 8 CIGRE HVDC Model (with a line-to-ground fault)
그림 9 Rectifier 측과 inverter 측 전압 전류 파형 (a) 정상 투입, (b) 고장 발생
Fig. 9 Voltage and Current wave-forms of rectifier and inverter side (a) Normal start,
(b) Fault occurrence
그림 10 CIGRE HVDC 모델 제어기 변경전(a), 변경 후(b)
Fig. 10 Original(a) and Modified(b) Controller of CIGRE HVDC model
그림 11 제어기 수정시 Rectifier 및 Inverter의 정상상태 작동 (a) 정상 투입, (b) 고장 발생
Fig. 11 Voltage and Current wave-forms of Rectifier and Inverter side after controller
modification (a) Normal start, (b) Fault occurrence
고장이 발생한 상황이 지속되는 것은 계통이나 장비뿐만 아니라 사람에게도 위험하므로, 최대한 빨리 격리되고 제거되어야 한다 (32). 이를 위해 보호 시스템은 정확도, 속도, 민감도, 선택성, 복구 가능성 등의 성능 요구사항을 만족하며 작동해야 한다 (33,34).
고장 측정 장치는 전압 및 전류 신호를 조정하여 보호 계전기가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측정 신호에 따른 측정 장치에는 로고스키 코일(Rogoski
Coil)과 분로, 그리고 광학 전송회로로 이루어진 전류 측정 장치와 광전압변압기 등을 활용한 전압 측정 장치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31). HVDC 계통에서 고장 발생시 10ms 내에 감지하고 고장 위치를 특정할 수 있어야 한다. 보호 알고리즘은 고장 상태를 찾고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로컬 측정 기반 알고리즘과 통신 기반 알고리즘으로 분류할 수 있다 (35).
HVDC 회로 차단기는 최근에 개발되었으므로, HVDC 측 고장에 대해서도 경제적이고 기술이 축적된 AC 차단기를 통해 대응해 왔다. HVDC 차단기는
교류처럼 “0”이 되는 상태가 없으므로 전류 “0”상태를 만들 수 있어야 한다 (36). DC 보호 장치는 AC 차단기에 비해 더 빨리 작동하며 다단자 HVDC 계통에서 대상 그리드만 분리하여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계통 내 정상
부분은 계속 작동하고 고장 부위만 분리해 낼 수 있다 (37). 주로 사용되는 HVDC 차단기에는 기계적 차단기, 고체상태 차단기, 하이브리드 차단기 등이 있다.
고장 제거 및 복구 단계 중 고장 상태가 계통에 미치는 영향은 채택된 고장 제거 전략에 따라 달라지며, 비선택적, 부분선택적 또는 완전선택적 고장제거
전략으로 분류된다. 이중 완전선택적 고장 제거 전략의 경우 계통은 고장 영역만 분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보호 영역으로 나뉘고 HVDC 차단기는 모든
보호 구역의 양 끝에 위치하여 고장 상태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계통 내 정상 부분은 계속 정상 동작할 수 있다. 이런 개념은 기존의 교류 계통에서의
차단 개념과 가장 유사한 전략이다. 현재 가장 일반적인 HVDC 차단기는 기계적 또는 하이브리드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완전 선택적 고장제거 전략이
통용되고 있다 (38).
7.4 향후 과제
고장해석을 위한 기초자료인 CIGRE HVDC 벤치마크 모델에서 제어기 수정을 통해 선로에서 지락사고로 의심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영구 고장으로
취급하여 곧바로 차단하지 말고 재투입 시도 등 실제 고장 발생여부 확인 등 고장 피해 최소화를 위한 개념 연구가 필요하다.
8. 결 론
HVDC 계통은 경제성 등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무효전력 공급 등 복잡하고 예민한 설비 특성에 따른 안정성 확보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HVDC의 장점과 단점, 국제적인 HVDC 동향, 대한민국 내 HVDC 현황에 관해 기술하였다. 특히 도전과 과제 부분에서는 국내 HVDC 계통의
잦은 고장 발생 현황을 진단하고, 기존에 활용되는 CIGRE HVDC 벤치마크 모델에서 송전선로 사고 발생을 모의하고, 제어기를 일부 수정하여 지락사고
발생 후 정상상태로 복구될 수 있도록 하였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Project No.
1525011610, KIMST-20210629).
References
W. Long, S. Nilsson, 2007, HVDC transmission: yesterday and today. IEEE Power and
Energy Magazine, Vol. 5, No. 2, pp. 22-31
Lim, Y., 2016, Current status of HVDC in Korea and application of BTB HVDC in the
future.Journal of Electrical World Monthly Magazine, No. 274, pp. 5
M.P. Bahrman, B.K. Johnson, 2007, The ABCs of HVDC transmission technologies, IEEE
power and energy magazine, Vol. 5, No. 2, pp. 32-44
B. Andersen, C. Barker, 2000, A new era in HVDC IEE Review, vol. 46, Vol. no.2, pp.
33-39
D. Larruskain, 2005,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networks: AC versus DC, in 9th
Spanish-Portuguese Congress on Electrical Engineering
M. Bahrman, 2008, HVDC transmission overview, in 2008 IEEE/PES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onference and Exposition
G. Schmidt, B. Fiegl, S. Kolbeck, 1996, HVDC transmission and the environment, power
engineering journal, Vol. 10, No. 5, pp. 204-210
H. Wang, 2010,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using HVDC to interconnect AC networks,
in 45th International Universities Power Engineering Conference UPEC2010
A.L. Figueroa-Acevedo, M.S. Czahor, D.E. Jahn, 2015, A comparison of the technological,
economic, public policy,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HVDC and HVAC interregional
transmission, AIMS Energy, Vol. 3, No. 1, pp. 144-161
K. Luu, 2018, Study on harmonic transfer in a two-terminal MMC-based HVDC system considering
AC background harmonics, in 2018 2nd IEEE Conference on Energy Internet and Energy
System Integration (EI2)
L. Luo, 2008, Harmonic characteristics of new HVDC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new
converter transformer, in 2008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 Utility
Deregulation and Restructuring and Power Technologies
D. Zhou, 2019, Impact of DC protection strategy of large HVDC network on frequency
response of the connected AC system, The Journal of Engineering, pp. no.17: 4031-4035
E. Csanyi, 2014, 8 main disadvantages of HVDC transmission
ABB, 2011, Special Report: 60 years of HVDC, ABB Technical Journal
J. Sun, 2017, Renewable energy transmission by HVDC across the continent: system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CSEE Journal of Power and Energy Systems, Vol. 3, No. 4, pp. 353-364
X. Gu, 2018, Partial discharge detection on 320 kV VSC-HVDC XLPE cable with artificial
defects under DC voltage,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 25, No. 3, pp. 939-946
ABB, 2017, Ultra high voltage Developments in power transformers technology
e.a. Gunnar.Kaestle, 2022, List of HVDC projects, in Wikipedia
ABB, 2014, Special Report_60 years of HVDC, C. Rytoft, Editor
A. Alassi, 2019, HVDC transmission: technology review, market trends and future outlook,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pp. 112: 530-554
M. Barnes, 2020, HVDC circuit breakers–A review, IEEE Access, pp. 8: 211829-211848
J.-S. Park, 2011, The Effect of HVDC# 3 on Jeju Power System,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0, No. 12, pp. 2196-2201
YeongJin Yun, S. -B. C., 2021, Young-Hwan Kim, Reverse Transmission Scenario with
HVDC #1,2,3 in Jeju Power System, in The KIEE Summer Conference 2021, pp. 339-340
Chan-Ki Kim, S.-J. L., Woo-k Seo, 2010, A study on the Concept Design of Cheju HVDC
#2, Trans. P of KIEE, Vol. 59, No. 9, pp. 9
X. Liang, M. Abbasipour, 2022, HVDC Transmission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 in
Remote Communities: Current Practice and Future Trend,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58, No. 2, pp. 1706-1719
J. Zhou, Estimation of the short circuit ratio and the optimal controller gains selection
of a VSC system,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Systems Transients. 2013.
Z. Zhang, 2019, Minimum short circuit ratio requirement for MMC-HVDC systems based
on small-signal stability analysis, Energies, Vol. 12, No. 17, pp. 3283
S.-T. Baek, 2005, Study on Optimized Scheme of Reactive Power Compensation for Low
Short-Circuit-Ratio HVDC System,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4a, No. 9, pp. 6
D. Wu, 2017, Assessing impact of renewable energy integration on system strength using
site-dependent short circuit ratio, IEEE Transactions on Sustainable Energy, Vol.
9, No. 3, pp. 1072-1080
J. Renedo, 2022, Coordinated control in multi-terminal VSC-HVDC systems to improve
transient stability: Impact on electromechanical-oscillation damping, arXiv preprint
arXiv:2208.00083
M.J. Pérez-Molina, 2020, Challenges for protection of future HVDC grids.Frontiers
in Energy Research, Vol. 8, pp. 33
M. Farhadi, O.A. Mohammed, 2017, Protection of multi-terminal and distributed DC systems:
Design challenges and techniques,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No. 143, pp. 715-727
L. Zhang, 2017, Modeling, control, and protection of modular multilevel converter-based
multi-terminal HVDC systems: A review, CSEE Journal of Power and Energy Systems, Vol.
3, No. 4, pp. 340-352
W. Leterme, 2016, DC fault phenomena and DC grid protection, in HVDC Grids: for offshore
and supergrid of the future, 2016, Vol. ieee press wiley, pp. 345-370
I. Jahn, N. Johannesson, S. Norrga, 2017, Survey of methods for selective DC fault
detection in MTDC grids
M.K. Bucher, C.M. Franck, 2015, Fault current interruption in multiterminal HVDC networks,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31, No. 1, pp. 87-95
L. Shen, 2017, A review on VSC-HVDC reliability modeling and evaluation techniques,
in IOP Conference Serie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W. Leterme, 2019, Designing for high-voltage DC grid protection: Fault clearing strategies
and protection algorithms, IEEE Power and Energy Magazine, Vol. 17, No. 3, pp. 73-81
저자소개
Kwonchul Kim is a doctoral course student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Kim received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Jeju National University, in
Jeju-do, Korea and received M.S degree in business management from Korea Aviation
University in Seoul, Korea.
Also, he is working as deputy director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Beopsoo Kim is the doctoral course student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Kim received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Inha University, in 2020.
His research interest includes 1) Developing an optimal control algorithm for AC-DC
hybrid power grid; 2) Developing analysis algorithms of AC-DC hybrid power grid response;
3) Using optimization/control algorithms and theory to inform the design of more effective
electrical power system.
Insu Kim received the Ph.D. degree from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Atlanta,
GA, USA, in 2014.
He is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of electrical Engineering with Inha University,
South Korea.
His major research interests include 1) analyzing the impact of stochastically distributed
renewable energy resources, such as photovoltaic systems, wind farms, and microturbines
on distribution networks; 2) examining the steady-state transient behavior of distribution
networks under active and reactive power injection by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s;
and 3) improving power-flow, short-circuit, and harmonic analysis algorith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