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Smart Green Tech. Center, Korea Testing Lab, Korea.)
  2. (Dept. of ICT Automotive Engineering, Hoseo University, Korea.)



RE100, K-RE100, Mutual Authentication, Pig Shed RE100, Livestock Manure Recycling

1. 서 론

기후 위기는 오래전부터 논의되었다. 1997년 교토의정서를 시작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것에 집중하며 40개국이 참여,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감축뿐만 아니라 적응과 재원, 기술이전, 역량배양, 투명성 등 다양한 분야로의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면서 195개국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국가 주도의 기후 위기 대응과 같이 글로벌 기업 주도의 자체적 RE100 캠페인이 탄소감축에 대한 세계적 노력에 가담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국내에서도 국제적 RE100 캠페인에 대응하기 위하여 한국형 RE100(이하 “K-RE100”)을 시작하게 되었다. 두 캠페인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가입조건이다. 0.1 TWh 이상의 전력을 소비하는 기업 대상인 글로벌 캠페인과 달리 K-RE100은 전기소비자라면 누구나 동참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농업용 전기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 낮은 요금 체계의 농업용 전기를 사용하면서 K-RE100을 이행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또한 농축산 분야의 에너지 절감 및 효율 방안에 대한 관심이 적은 것도 문제이다(1).

RE100 캠페인이 화두가 되면서 재생에너지에 관한 관심도 급상승하였다. 우리나라 양돈산업의 현황으로 보면, 돼지사육농가가 2004년 13,268 가구에서 2022년 3월 기준 5,951 가구로 사육농가는 줄었으나, 가구당 사육두수는 671두에서 1,888두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추세를 보면 우리나라 양돈산업이 대규모화, 기업화 형태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2019년 기준 축산악취 민원은 12,631건으로 증가하고 전체 악취 민원의 30.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악취관리기술 및 저감시설을 구축하고 있으나 거의 없는 실정이다. 농가에서는 가축분뇨의 신속한 처리를 위한 조치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기존 처리방식으로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의 가축분뇨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를 처리하기 위해 바이오차, 바이오가스 생산 및 에너지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우리는 가축분뇨를 활용한 에너지 자원화 연구 및 실증을 통해 충분한 열량 산정 및 에너지화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농축산 분야의 RE100 인정을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2. 본 론

2.1 동향

2.1.1 글로벌 RE100

RE100 캠페인은 CDP(Carbon Disclosure Project)와 다국적 비영리기구인 ‘더 클라이밋 그룹(The Climate Group)’이 연합하여 출범하면서 2014년 시작되었다. 비록 민간 차원의 캠페인으로 정책적 사안은 아니지만, 대다수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하였고 이에 영향력은 커지게 되었다. 2022년 11월 기준 전 세계 380개 이상 기업들이 참여, 국내에서는 27개 기업이 참여하였다. 그림 1, 2와 같이 참여기업 수, 전력량, 재생에너지 사용량이 증가추세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2015년 대비 대륙별 참여기업 수의 격차가 점점 좁혀지는 만큼 전 세계적인 활동임을 알 수 있다. 대표적인 글로벌 기업으로는 애플, 구글, 페이스북 등이 있으며 국내에는 SKC, 현대자동차 등 다수 동참하였다. 해외 글로벌 기업들은 2015년 전후로 RE100을 달성하였으며 나아가 RE100 동참을 최상위 공급자(Tier 1)에게 요구하고 미달성 기업과의 공급계약이 무산되기도 한다(2)(3).

그림 1 RE100 가입 기업들의 에너지 연간 사용 추세

Fig. 1 RE100 members renewable energy usage annual trend

../../Resources/kiee/KIEE.2023.72.3.453/fig1.png

그림 2 대륙별 가입 기업 수

Fig. 2 Number of member by continent

../../Resources/kiee/KIEE.2023.72.3.453/fig2.png

2.1.2 K-RE100

한편, RE100 캠페인과 달리 에너지 다소비 기업 외에도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K-RE100은 140개 국내기업과 공공기관이 가입하였다. 이러한 행보에 적극적으로 가담하기 위해 국내에서도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다. 다만, 삼성전자 계열사에서 글로벌 RE100 참여 의사를 밝히며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및 전력수요의 충당에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 실제로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43.1 TWh, 2022년 말까지 55.5 TWh가 예상된다. 국내 27개 RE100 가입 기업의 전력 사용량은 약 54 TWh로 1.5 TWh 남짓 여유가 생긴다. 그러나 실제 RE100 및 K-RE100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재생에너지의 경우 84 \% 수준인 34.6 TWh에 그치는 것으로 파악되어 산업계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1.3 가축분뇨 재자원화

축산업의 규모가 대규모화, 기업화 형태로 커지고 있으며 농가당 가축의 사육두수 역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사육두수가 증가함과 더불어 가축분뇨 발생량도 증가함을 그림 3과 같이 알 수 있다(4).

그림 3 연도별 가축분뇨 발생추이

Fig. 3 Trends in Livestock Manure Production by Year

../../Resources/kiee/KIEE.2023.72.3.453/fig3.png

가축분뇨의 발생량이 증가하면서 이를 자원화하기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편이다. 가축분뇨의 퇴·액비화가 대표적인 활용 사례이며 바이오액비를 골프장에 살포하는 형태를 갖추기도 하였다. 에너지화에 따른 사례도 일부 확인할 수 있다. 바이오가스화를 통해 연료와 혼소발전을 하거나 고형연료화를 통한 펠릿 성형으로 발전에 활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및 실사례는 일부일 뿐 공공에서의 가축분뇨를 에너지화하는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해외에서는 유럽 독일의 한 마을이 에너지 자립마을을 만들어 바이오에너지로 마을에서 필요한 에너지의 50 \% 이상을 마련하였다. 축사에서 배출되는 1만 ton/yr를 목초, 옥수수 등 절반씩 섞어 바이오가스를 만들어 가스관을 통해 마을 안 열병합발전소로 보내면 1년 동안 약 800가구가 쓸 수 있는 열에너지와 1,880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기가 생산된다. 이렇게 지역난방 및 공공 등에 열을 공급하고 여유분을 외부에 판매함으로써 약 14억/yr 가량의 수익을 발생, 덤으로 이산화탄소(CO2) 발생량 2,000 ton/yr를 줄인다.

2.2 가축분뇨 에너지 재자원화 RE100 실증 연구

2.2.1 에너지 자원화 인프라

현재 실증 중인 고온환원 에너지 자원화 시스템의 개념도는 그림 4와 같다. 1,300 ℃의 폐합성수지 환원로를 통한 에너지 자원화 시스템으로써 열 충격 및 1,700 ℃의 고열에도 견딜 수 있는 내화재 설계를 기반으로 하였다. 또한, 고온환원 처리 에너지 자원화 시스템의 방폭형 자동 Syngas Intensifier 설계를 통해 실시간 Syngas의 유량제어 및 반응기 안쪽에 Gas Analyzing System을 구축하였다.

그림 4 양돈시설 적용을 위한 소형화 가축분뇨 에너지 자원화 시스템 개념도

Fig. 4 Structure diagram of high-temperature reduction energy resource system

../../Resources/kiee/KIEE.2023.72.3.453/fig4.png

열분해가스 순환구조를 갖는 가스화장치를 통해 산화제를 가스화 융용로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합성가스와 열교환하여 예열하고 가스화 융용로에 투입되는 보조연료의 양을 줄이는 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는 농업과 축산업의 폐기물이 환원되면서 수소와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합성가스가 형성되며 오염 물질의 유발 없이도 농업과 축산업의 폐기물을 자원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생산공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합성가스 생산을 용이하게 한다. 위와 같은 인프라를 활용하여 폐기물 및 가축분뇨를 투입하는 소형 가축분뇨 에너지 자원화 시스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선행연구에 따라 현재 1 ton/day 실증을 완료하였고, 추후 5 ton/day 용량의 가축분뇨를 처리할 수 있는 고온환원 에너지 자원화 시스템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다음은 반응로에서의 과정을 그림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림 5 신가스 생성 및 재활용 시스템 가동 원리

Fig. 5 Syngas generation and recycling system operate

../../Resources/kiee/KIEE.2023.72.3.453/fig5.png

산화공간에서 Syngas를 모두 태울 수 있는 산소량보다 적은 양의 산소를 공급하여 공급된 산소를 산화공간 내에서 모두 소비(1,300 ℃가 될 때까지 가열)한다. 이때 환원공간으로 공급되는 기체는 CO, H2, H2O, CO2이며 산소는 없다. 돈분을 N2 Flushing 하면서 (n(-CH2-)+N2) 압축하여 환원공간으로 밀어 넣으면 질소는 1,300 ℃ 환원환경에서 질소분자(N2)가 그대로 나가게 되고 미량의 황(S)이 존재한다면 H2S로 만들어진다. Syngas가 생성되면 이를 증압 및 저장하고 이 가스를 연속적으로 버너에 공급하여 환원공간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하면서 연속적으로 깨끗한 Syngas를 생산하게 된다. 산화로는 가스를 사용하므로 작게 만들 수 있어 연속적으로 Syngas를 생산하는 작은 사이즈의 Gasification System을 최초로 구현하게 된 것이다.

2.2.2 RE100 Test-bed

그림 6은 본 연구에 활용된 Test-Bed이다. 5,000두 이상 규모의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610-19에 위치한 먼동농장이며 사육시설과 분뇨처리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그림 6 실증 테스트베드 전경

Fig. 6 Demonstration farm breeding facility

../../Resources/kiee/KIEE.2023.72.3.453/fig6.png

해당 Test-bed에는 앞서 설명한 가축분뇨 에너지 자원화 인프라와 그림 7과 같은 온실가스 및 에너지 환경 통합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으로 가축분뇨의 친환경 처리와 RE100 실현을 위한 실증을 진행할 수 있는 인프라가 갖추어져 있다.

그림 7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Fig. 7 Structure of Monitoring System

../../Resources/kiee/KIEE.2023.72.3.453/fig7.png

본 Test-bed는 현재 퇴·액비 처리 시스템을 통해 액비를 재처리하여 해당 농장에서 재사용하고 있고 퇴비는 건조 후 공공자원화 시설에 비용을 지불하여 처리하고 있다. 퇴비 처리 절차는 표 1과 같이 축사로부터 발생한 가축분뇨 원수를 원수 저장조로 이송 후 원수 저장조에 모인 가축분뇨를 원심분리기(데칸타)를 활용하여 돈분을 분리한다.

표 1 가축분뇨 퇴비화 프로세스

Table 1 Process of composting livestock manure

축사

원수

저장조

원심

분리기

(데칸타)

발효조

퇴적장

분리된 돈분은 그림 8과 같이 발효조 퇴적장으로 바로 이송된다. 이렇게 분리된 돈분은 고르게 살포한 후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교반 및 혼합함으로써 돈분을 일정 기간 발효·건조처리 과정을 통해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로 연계하여 처리하게 된다.

그림 8 퇴비장의 현장 사진

Fig. 8 Manure facility of test-bed

../../Resources/kiee/KIEE.2023.72.3.453/fig8.png

본 실증은 해당 농장의 발생 퇴비를 이용하여 가축분뇨 에너지 자원화 시스템을 거쳐 재생에너지를 생산하고 농장에 재사용함으로써 RE100을 실증한다.

2.2.3 가축분뇨 에너지화 RE100 실증 연구

본 연구에서 실증하려는 가축분뇨 에너지 자원화 시스템의 돈분 가스화 대표 화학식은 (1)과 같다.

(1)
Cx, Hy, Oz + mH2O = xCO + nH2

에너지 자원화 인프라를 통해 발생한 H2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PEMFC 수소연료전지 100 kW를 가동한다. 본 설비는 월간 최대 발전량이 72,000 kWh이며 68 Ncm$^{3}$/h의 가스 소비량을 가진다. 이를 바탕으로 돈분 1, 2, 5톤 투입에 따른 수소연료전지 연간 최대 발전량은 표 2와 같다(5).

표 2 투입량 대비 H2 발생량 및 발전량

Table 2 H2 and power generation compared to input

돈분 투입량

(ton)

H2 발생량

(Ncm$^{3}$/h)

1일 발전량

(kWh)

1년 발전량

(MWh)

1

34.8

1,781

650

2

69.54

3,562

1,300

5

173.88

8,906

3,250

실증 장소 먼동농장의 2022년 전력 사용량은 조사 결과 1,056 MWh이다. 실증 농장의 연간 전력사용량과 본 연구의 가축분뇨 에너지 자원화 시스템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비교한 RE100 이행률은 표 3과 같다.

표 3 돈분 투입량 대비 RE 이행률

Table 3 RE fulfillment rate compared to pig manure input

돈분 투입량

(ton)

1년 발전량

(MWh)

전력 사용량

(MWh)

RE 이행률

(RExxx)

1

650

1,056

61

2

1,300

1,056

123

5

3,250

1,056

307

돈분 2ton 투입 시 실증 농장은 RE123으로 RE100 달성이 가능하다. 설비에서 발생 되는 신가스에 존재하는 수소는 글로벌 RE100 기술지침에 의해 그린수소로 인정되어 RE100 이행이 가능한 것이다. 반면에 국내 K-RE100의 경우 현재 농업용 전력은 RE100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RE100 달성이 불가능하다. 본 실증 및 연구과제를 통해서 농업용 전력이 K-RE100 대상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한국에너지공단과 협의하였다. 나아가 부처 협의를 통해 K-RE100 고시 변경을 추진할 예정이다.

2.3 RE100 인증 표준화

탄소중립 및 에너지 관련 검증 분야가 국내 신규 도입으로 고시되었다. 그림 9의 국가기술표준원 고시 제2023-0702호에 따르면 타당성 확인·검증 분야 인정제도 도입으로 환경정보 및 에너지관리 공인기관 인정 분야와 범위가 확대되었다.

그림 9 ISO 17029 인증 Scheme

Fig. 9 ISO 17029 Certification Scheme

../../Resources/kiee/KIEE.2023.72.3.453/fig9.png

이에 K-RE100 인증도 국제적합성평가 체계를 준수한 ISO/IEC 17029를 적용하여 표준화를 하여야 한다. 현재 농업용 전기는 K-RE100에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한국에너지공단과 농림축산식품부의 협의를 통해 농업용 전기를 K-RE100에 적용할 수 있도록 고시를 개정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그림 10과 같이 농림부 친환경 인증 및 기존의 K-RE100을 고려한 농업용 RE100 인증설계가 필요하며 현재 농업용 RE100 인증체계 설계연구를 진행하고 있다(6).

그림 10 농축산 RE100 상호인정 시스템 구성도

Fig. 10 RE100 mutual recognition system for agriculture

../../Resources/kiee/KIEE.2023.72.3.453/fig10.png

KOLAS 검증제도 기반의 국제통용 탄소발자국 검증제도를 기초로 그림 11과 같이 K-RE100 검증제도를 구축함으로써 국제상호인정체계 주요 요건을 충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른 제도 운영은 K-RE100 검증제도를 Scheme Owner로써 한국에너지공단이 역할을 하게 되고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검증을 진행하게 된다. 그 후 Global RE100 연계를 위한 Scheme Owner 역시 한국에너지공단, 검증을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담당함으로써 제도운영 및 검증체계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

그림 11 RE100 검증시스템의 운영도

Fig. 11 Operating system of RE100 Verification

../../Resources/kiee/KIEE.2023.72.3.453/fig11.png

국제적합성표준체계(ISO 17029) 기반 품질문서(인증 Scheme 운영 실무 매뉴얼)를 개발하여 검증기관의 공평성·적격성을 확보하고 RE100 이행 방안 6가지(녹색프리미엄, REC 구매, 제3자 PPA, 지분투자, 자체생산)를 통해 재생에너지 사용 실적을 확보하면 그림 12와 같이 농업용 RE100 인증이 운용될 수 있다.

그림 12 농축산용 RE100 인증 개발

Fig. 12 Development of RE100 certification for agriculture

../../Resources/kiee/KIEE.2023.72.3.453/fig12.png

표준화는 그림 13과 같이 RE100 이행에 필요한 시험 데이터 확보를 통해 농업용 RE100 실증의 신뢰성을 재고한다. RE100 인증체계 구축을 통해 해당 농가의 재생에너지 사용률을 검증, K-RE100 검증 보고서 작성을 통해 최종적으로 재생에너지 사용인증서 발행을 통한 상호인정을 추진한다.

그림 13 농축산용 RE100 인증 시스템 데이터 확보안

Fig. 13 RE100 certification system for agriculture

../../Resources/kiee/KIEE.2023.72.3.453/fig13.png

나아가 가축분뇨 에너지 자원화를 통해 그림 14와 같이 농촌지역의 바이오가스 플랜트 외부사업(상쇄배출권) 연계 및 탄소배출권의 외부사업 수익모델을 도출한다.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이 아닌 외부업체가 청정개발체제(CDM)로 탄소배출권으로의 전환 가능한 KDC를 획득함에 따라 탄소배출권 시장으로 판매하여 수익을 내고 이를 방법론에 등록함으로써 표준화를 실시한다.

그림 14 탄소배출권거래를 통한 대외사업 수익모델

Fig. 14 Profit model for external businesses in carbon emissions

../../Resources/kiee/KIEE.2023.72.3.453/fig14.png

3. 결 론

기후위기 해결을 위한 탄소중립의 국제적 흐름은 앞으로 지속될 것이다. 탄소중립 추진의 핵심 방안인 RE100은 피할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 되었다. 농·축산분야의 화석연료 사용에 대한 에너지 전환 및 농업용 전력 사용이 증가하는 현재로서 지속가능한 농축산업 발전 방향을 위해 RE100 추진은 핵심 요소가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농·축산분야의 RE100 선제 대응을 위한 표준화 및 인증체계 연구는 필수적 요소이다.

본 연구는 가축분뇨를 활용한 재생에너지 발전을 통해 농축산 분야의 RE100 적용 가능성을 연구한 것이다. 에너지 자원화 시스템을 활용한 가축분뇨 재생에너지 발전을 모사함으로써 1 ton/day 처리 Test-bed에 적용하였을 때 발생한 Syngas로 발전한 결과가 전체 전력 사용량의 61 %를 충당할 수 있었다. 가축분뇨 활용 재생에너지 발전을 통한 RE100 인증 추진 시 RE61에 해당하는 양이다. 축산 분뇨를 활용한 재생에너지 발전을 통해 농·축산분야의 RE100 적용이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농업용 RE100을 위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가축분뇨를 활용한 에너지 자원화 연구와 실증을 지속할 것이다. 또한, 연구개발 결과물인 농업용 RE100 인증 운영안을 통하여 가축분뇨를 활용한 농가 사용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소형화 가축분뇨 에너지 자원화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실증을 기반으로 각 유관부처가 협력하여 농축산 RE100 인증 운영이 가능하도록 보급확대를 추진하여야겠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Korea Institute of Planning and Evaluation for Technology in Food, Agriculture and Forestry(IPET) through Livestock Industrialization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or Project), funded by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322102-03)

References

1 
Park Sang-ho, 2022, A study on the Domestic and Foreign RE100 Trend and Verification System, Proceedings of the 2022 Fall Conference of the Electrical Equipment Division of the Korean Electrical SocietyGoogle Search
2 
2021, RE100 ANNUAL REPORTGoogle Search
3 
Min-ah Lee, 2022, Preliminary Study on the RE100 International Recognition Plan, Proceedings of the 2022 Fall Conference of the Electrical Equipment Division of the Korean Electrical SocietyGoogle Search
4 
Byeong-jun Woo, 2016, 2016 Future Livestock Policy Improvement Stud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Google Search
5 
Bong-Chun Kim, 2022, Concept design of compact livestock manure energy resources system for swine facility, Proceedings of the 2022 Fall Conference of the Electrical Equipment Division of the Korean Electrical SocietyGoogle Search
6 
Jung-Hoo Lee, 2022, Preliminary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RE100 Certification System, Proceedings of the 2022 Fall Conference of the Electrical Equipment Division of the Korean Electrical SocietyGoogle Search

저자소개

강민성 (Min-seong Kang)
../../Resources/kiee/KIEE.2023.72.3.453/au1.png

Min-seong Kang received his bachelor’s degree from University of Ulsan in 2020,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and physics.

He is currently engineer in the Smart Green Technology Center at Korea Testing Laboratory.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RE100 certification and renewable energy.

김기현 (Ki-Hyun Kim)
../../Resources/kiee/KIEE.2023.72.3.453/au2.png

Kihyun Kim received his bachelor's degree from Hanbat National University in 2015.

He is currently pursuing a master's degree at the Department of Energy Convergence Industry at Hoseo University.

His main research interests are solid waste recycling systems and fuel cells.

구경완 (Kyoung-Wan Koo)
../../Resources/kiee/KIEE.2023.72.3.453/au3.png

Kyoung-Wan Koo received the B. S. degree from Chungnam national univesity, Korea in 1983, and the Ph. D. degree from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sity, Korea in 1992, all in electronic engineering.

He is currently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ICT automobile engineering at Hoseo university, Korea.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semi- conductor devices and electric automobiles.

박상호 (Sang-Ho Park)
../../Resources/kiee/KIEE.2023.72.3.453/au4.png

Sang-Ho Park received the master’s degree from Kangwon national univesity, Korea in 2008.

He is currently a director in the Smart Green Technology Center at Korea Testing Laboratory.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RE100 and zero energy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