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orea)



microgrid, distribution power system, under voltage relay, over current ground relay, frequency relay

1. 서 론

전력계통이 중앙급전을 통한 경제성 확보가 어렵거나 에너지 자립이 필요한 경우에 분산전원 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도입을 검토할 수 있다. 미국, 일본, 유럽을 중심으로 마이크로그리드의 기술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다양한 마이크로그리드 실증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1),(2).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 국가들도 지리적 특성을 고려한 마이크로그리드 기술 도입에 긍정적인 검토를 하고 있다 (3),(4). 국내의 경우 PV와 ESS를 활용하여 나주혁신산단 내 전력을 자급자족할 수 있는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였다 (5).

전력계통에서 전력설비의 적절성 운영의 안전성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확인하여야 하는 항목과 이것의 적부 판정값을 제시하는 기준이 있어야 한다. “국내의 경우 분산형전원 배전계통 연계 기술기준”을 운영하고 있고 특히, 제18조에 보호장치 설치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유럽의 경우 송전 시스템 운영자 네트워크 (European Network of Transmission System Operators for Electricity, Entso-e) 등에서 관련 기준을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준 검토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6),(7).

본 논문은 마이크로그리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계통연계운전/독립운전 조건과 발생 가능한 고장 위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조건에서도 전기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효율적인 보호계전 요소와 설치위치를 선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MATLAB/ Simulink 를 통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2. 마이크로그리드 전기안전기술

마이크로그리드 도입 시 배전계통에 연계되므로 배전계통에 대한 특성분석 및 전기적 이슈사항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배전계통은 배전 변압기를 기준으로 고압 배전선로와 저압 배전선로로 구분된다. 고압 배전선로는 국내의 경우 22.9 kV, 말레이시아의 경우 11 kV 등 IEC 60364 에 의해 고압 범위에 해당한다. 저압 배전선로는 400 V, 380 V, 220 V 등 각 국의 전기환경에 적합하게 다양하게 적용하고 있다.

2.1 배전선로의 전기 방식

배전계통 중 고압 배전선로는 3상 3선식의 중성점 비접지 방식인 △ 결선과 3상 4선식의 중성점 접지 방식인 Y결선이 대표적이다. 고장 관점에서 배전선로의 대표적인 고장인 지락고장에 대해서 △ 결선은 1선 지락고장에도 지속적인 전력공급은 가능하지만 고장 제거는 2선 지락 발생시까지 어렵다는 특징이 있고, Y 결선은 1선 지락고장에 대해서 단락과 같이 큰 고장전류가 흘러 고장 제거가 가능하지만 전력공급이 중단되는 특징이 있다.

2.2 고장 요소 및 보호기기

고장의 종류는 단락과 지락이 대표적이며 각각 적절한 보호기기로 고장 발생시 계통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보호기기 중 단락, 지락 발생시 전압, 전류, 주파수 등의 전기적인 상황을 감지하여 차단기의 트립코일을 여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계전기이다. 적절하고 효과적인 보호협조를 위하여 다양한 고장상황과 유효한 계전기 감지 요소를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특정 고장상황에는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중복 설비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단락 보호용 계전기는 과전류 계전기(Over Current Relay, OCR), 과전압 계전기(Over Voltage Relay, OVR), 부족 전압 계전기(Under Voltage Relay, UVR), 단락 방향 계전기(Directional Short Circuit Relay, DSCR), 선택 단락 계전기(Selective Short Circuit Relay, SSCR), 거리 계전기(Distance Relay, ZR), 방향 거리 계전기(Directive Distance Relay, DZR) 등이 있다. 과전류 계전기의 경우 일정값 이상의 전류가 흘렀을 때 동작하며 가장 일반적인 계전기이다. 과전압 계전기는 일정값 이상의 전압이 걸렸을 때 동작하며, 대표적으로 발전기가 무부하가 되었을 경우 과전압 보호용이 사용된다. 부족 전압 계전기는 전압이 일정값 이하로 떨어졌을 경우 동작하며, 단락시 고장 검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지락 보호용 계전기는 과전류 지락 계전기(Over Current Ground Relay, OCGR), 방향 지락 계전기(Directional Over Current Ground Relay, DOCGR), 선택 지락 계전기(Selective Over Current Ground Relay, DOCGR) 등이 있다. 과전류 지락 계전기는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 전류를 특별히 작게한 것으로 지락고장 보호용을 사용한다. 방향 지락 계전기는 과전류 지락 계전기에 방향성을 준 것으로 최근 신재생 발전원들의 연계에 적용되고 있다 (8).

기타 보호용 계전기는 탈조 보호 계전기(Step-Out Protective Relay, SOR), 주파수 계전기(Feqeuency Relay, FR), 한시 계전기(Time Limit Relay, TL) 등이 있다. 주파수 계전기는 계통의 주파수가 허용폭 이상으로 변동하였을 경우에 동작하는 것으로 계통연계시 분산전원 보호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9).

2.3 지락고장

지락고장은 지락고장전류의 흐름에 따라 기기나 애자류의 절연파괴에 의한 일반 지락고장과 전선이 단선되어 대지면과 접촉한 단선 지락고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 지락고장은 그림 1와 같이 전력선 절연파괴로 전기설비 외함을 통하여 보호도체로 연결되고 변압기 중성점으로 귀로한다. 단선 지락고장은 그림 2과 같이 전력선 단선으로 대지를 통하여 접지극과 보호도체를 통하여 중성점으로 귀로하게 되고 일부는 대지를 통하여 대지와 보호도체의 용량 성분을 통하여 중성점으로 귀로한다(10).

그림 1 절연파괴 등 일반 지락고장의 지락전류 모식도

Fig. 1 Earth fault current schematic diagram of general ground faults such as insulation breakdown

../../Resources/kiee/KIEE.2023.72.3.467/fig1.png

그림 2 단선 등 단선 지락고장의 지락전류 모식도

Fig. 2 Ground fault current schematic diagram of disconnection ground faults such as disconnection

../../Resources/kiee/KIEE.2023.72.3.467/fig2.png

일반 지락고장의 경우 도체인 보호도체를 따라 변전소 중성점으로 귀로하고 단선 지락고장의 경우 도체인 접지극과 보호도체 혹은 도전성부인 대지를 통해 변전소 중성점으로 귀로한다. 따라서, 도체만을 경유하는 일반 지락고장의 경우가 대지 등의 도전성부를 경유하는 단선 지락고장의 경우 보다 큰 고장전류를 갖고있으며, 단선 지락고장의 경우 측정 구간에 따라 고장전류의 크기가 차이가 날 수 있다. 구체적인 크기는 전력계통의 구성 및 상황 등에 따른 임피던스 해석을 통하여 도출할 수 있다 (10).

2.4 배전계통의 보호기기들을 통한 보호협조

배전계통은 강압변전소 2차변전소에서 인출되는 배전선로를 말하며 배전선로는 각종 차단기, 개폐기, 변압기 등으로 구성된다. 배전선로는 말단까지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지리적 특성, 환경적 특성, 부하적 특성 등의 복합적인 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11).

배전선로는 대부분 가공 전선로로 되어 있으므로 뇌, 바람, 비, 눈 등의 기상 조건과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의한 고장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전이라든지 전압 강하가 발생할 수 있고, 인축과 전력설비에 위해를 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호 대책 수립과 파급 방지가 필요하다. 고장은 선로, 변압기, 기타 기기, 통신선의 유도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선로에서 발생하는 비중이 크고 이것은 단락, 지락, 접지가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특히 1선 지락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 변압기 고장은 과부하, 뇌해, 혼촉이 원인이 될 수 있고, 개폐기, 피뢰기 등의 기타 기기 고장은 변압기와 같은 원인과 함께 열화도 중요한 원인이 된다. 통신선의 유도 장해는 전자 유도 장해, 정전유도 장해, 고조파유도 장해로 구분할 수 있고 통신선에 접근해서 운전되는 것이 원인이다 (12).

보호기기를 통한 보호협조 체계는 발생 가능한 고장에 대하여 선로고장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고장구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보호협조는 배전선로에서 발생한 고장이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변전소 릴레이를 포함하여 적어도 1대 이상의 보호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보호기기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자기 부하 측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스스로 개방되어 건전구간을 고장구간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고장으로 인한 피해를 축소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배전계통은 보호 계전기로 저압 배전계통은 퓨즈를 사용해서 보호하고 있다. 배전선로의 경우, 접지 고장의 경우 접지 계전기로, 과부하, 단락 고장의 경우 과전류 계전기로 보호할 수 있다. 주상 변압기의 경우, 과부하 단락 고장의 경우 고압 퓨즈로 보호할 수 있다. 저압 배전선의 경우, 고저압 혼촉의 경우 제2종 접지 공사로, 과부하 단락 고장의 경우 저압 퓨즈로 보호할 수 있다 (10).

보호기기의 동작은 배전선로의 경우 과부하를 발생하거나 선로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류의 단락 또는 다른 물체의 접촉 등에 의한 1선 지락고장이 일어났을 경우에는 다른 배전선로에 고장이 파급되지 않도록 신속하게 고장 선로를 차단하여야 한다. 배전선로에 단락 고장 또는 과부하가 발생하였을 경우, 배전선로를 자동 차단하기 위하여 변전소에는 각 배전선로마다 과전류 계전기(Over Current Relay, OCR)를 설치한다. 단락 고장의 경우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 전류를 배전선로 허용 전류의 150 \% 정도, 동작 시간은 0.2 sec 정도로 설정하고 있다. 단락전류의 크기는 단락 고장이 발생한 장소의 변전소로부터의 거리, 전선의 지름, 전압, 단상 단락, 3상 단락 등의 단락 조건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변전소에 가까울수록, 전류값이 클수록, 배전 설비의 손상은 커진다 (12)

보호기기의 효과는 보호 계전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력계통에서 발생한 고장을 제거하기 위한 보호 계전 방식은 주보호 계전 방식과 후비보호 계전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주보호는 신속하게 고장 구간을 최소 범위로 한정해서 제거한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후비보호는 주보호가 실패했을 경우 또는 보호할 수 없는 경우에 일정한 시간을 두고 동작하는 백업 계전 방식이다. 사고 제거를 최소 범위의 정전으로 끝나도록 하는 것을 주보호 계전 방식이다. 그림 3과 같이 5번 모선과 6번 모선 사이에서 고장 발생시 4번 모선과 5번 모선 사이의 SW1 차단기가 개방되어야 하지만 차단기 차제 혹은 계전기의 불량으로 동작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인근 2번 모선과 3번 모선 사이의 SW2 차단기가 개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주보호 계전기에 의한 고장 제거가 실패했을 경우에는 인접 구간의 차단기를 개방해서 고장을 제거하고 있고,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보호 계전 방식을 후비보호 계전 방식이고 이 방식의 주요 역할을 하는 계전기를 후비보호 계전기라고 한다.

그림 3 지락고장 발생시 후비보호 계전 방식 예시

Fig. 3 Back-up protection relay method in case of ground fault

../../Resources/kiee/KIEE.2023.72.3.467/fig3.png

보호기기를 통한 보호협조의 방법은 동작시간의 차이, 고장전류 크기의 차이, 동작 횟수의 차이 등이 있다. 동작시간의 차이를 이용한 방법은 한시계전기와 recloser, 그리고 선로용 fuse 가 있다. 임의의 고장전류에 대해 각 보호기기들의 동작시간을 계산하여 그 차이가 일정시간 이상이 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이들에 대한 보호 협조 검토의 기본적인 사항이 된다. 후비보호 기기가 전위보호 기기보다 동작시간이 길어야 협조가 가능하고 후비보호 기기의 동작시간에서 전위보호 기기의 동작시간을 뺀 것을 두 기기간의 동작시간차라고 한다. 이 동작시간차가 보호기기별로 정해진 협조시간차보다 크면 협조가 된다고 판단한다.

3. 계통연계운전/독립운전 고장 특성 시뮬레이션

마이크로그리드 환경에 적절한 보호기기 구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말레이시아 사라왁주의 마이크로그리드를 대상으로 하였다 (13). 정글지역으로 수목으로 인한 지락이 잦고 유지관리 범위가 넓어 중앙급전을 통한 안정적인 전력공급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그리드를 보완책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고 현재 시범사업이 진행중이다. 배전계통은 공칭전압 11kV를 사용하고 있고 주파수는 50 Hz 이다.

MATLAB/Simulink 로 그림 4와 같이 중앙급전과 100 kW 수준의 부하 사이에 변동성을 갖고 있는 재생발전원인 700 kW 급의 분산전원으로 구성된 마이크로그리드 환경을 모델링 하였다. 재생발전원은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BESS)을 충전시킨 후, BESS에서 부하로 전원이 공급되는 운영방식을 가정하고 모델링 하였다. 환상 전력계통에 연결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스위치기 포함된 Ring Main Unit (RMU) 전기설비가 도입되었다. 2번 모선과 5번 모선은 두 개의 스위치로 구성된 RMU 를 구성한 것이고 3번 모선을 통하여 분산전원에 연결하였다. 전력설비를 실제와 동일하게 구성하였고, 배전계통은 Y 접지계통을 적용하였다. 전기적 상태는 전압, 전류, 주파수를 측정하였고 발전측, 부하측 분산전원 고압측, 분산전원 저압측에서 값들을 측정하였다 (14).

그림 4 분산전원이 포함된 9-모선 마이크로그리드 구성도

Fig. 4 9-Bus microgrid configuration with distributed power source

../../Resources/kiee/KIEE.2023.72.3.467/fig4.png

고장조건은 3상중 1상 지락을 적용하였고, 고장지점은 발전측, 부하측, 분산전원 변압기 2차측(저압측)으로 설정하였고 이것은 그림 5에서 각각 A, B, C 지점으로 표시하였다.

고장 발생시 전력계통 상황에 충분히 반영되는 전기적인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표 1에서와 같이 27, 50/51 N, 81U 의 계전요소를 검토하였다. 전압 강하가 80\% 범위 보다 크게 발생하는 것을 검출하는 저전압 계전기(27)와 충분한 고장전류를 검출할 수 있는 과전류 지락 계전기(50/51 N)와 전력 수요와 공급간 불평형을 확인할 수 있는 저주파수 계전기(81U)를 검토하였다 (9). 전압 강하와 과전류의 경우 선로임피던스 및 고장경로에 따라 크기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저주파수의 경우 발전기 탈락 등 급격한 발전량 감소에 의해 주파수 하락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며, 계통 크기가 작을수록 주파수 변화율이 커질 것으로 판단한다 (15),(16).

마이크로그리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On-grid 와 Off-grid 로 구분하여 측정지점에 따른 상태값을 비교하였다. On-grid 에서는 그림 5와 같이 중앙급전측과 연계점 사이의 스위치(SW1)가 닫힌 상태이다. 이때 고장위치는 발전측인 1번 모선과 2번 모선 사이(Fault A), 부하측인 5번 모선과 6번 모선 사이(Fault B), 분산전원 변압기 2차측(저압측)인 8번 모선과 9번 모선 사이(Fault C)로 설정하였다. 측정위치는 1번 모선인 발전측(M1), 5번 모선인 부하측(M2), 7번 모선인 분산전원 변압기 1차측(M3), 9번 모선인 분산전원 변압기 2차측(M4)으로 설정하였다. On-grid 조건의 정상상태에서 M1~M4 까지의 상태값을 측정하고, 이것을 A~C 지점 고장시 상태값과 비교하였다.

표 1 고장 발생시 전력계통 상황 확인을 위한 계전요소

Table 1 Relay elements to check power system status in case of fault

Division

Device no.

Protection relays

criteria

Voltage

27

under voltage relay

80%

Current

50/51

instantaneous and AC-time overcurrent relay

1 kA

50/51N

overcurrent ground relay

67N

Directional ground overcurrent relay

Frequency

81U

under frequency relay

0.5 Hz

그림 5 On-grid 상태에서의 마이크로그리드 고장지점과 측정지점

Fig. 5 Microgrid fault points and measurement points in the on-grid state

../../Resources/kiee/KIEE.2023.72.3.467/fig5.png

Off-grid 에서는 그림 6과 같이 중앙급전측과 연계점 사이의 스위치(SW1)가 열린 상태이다. 고장위치와 측정위치는 on-grid에서와 동일하다. Off-grid 조건의 정상상태에서 M1~M4 까지의 상태값을 측정하고, 이것을 A~C 지점 고장시 상태값과 비교하였다.

그림 6 Off-grid 상태에서의 마이크로그리드 고장지점과 측정지점

Fig. 6 Microgrid fault points and measurement points in off-grid conditions

../../Resources/kiee/KIEE.2023.72.3.467/fig6.png

4. 고장 위치에 따른 보호기기 효과 분석

On-grid에서 고장A 발생시 각 지점에서의 결과값들은 표 2와 같다. M1 지점에서는 전압, 전류, 주파수 계전요소가 동작하였다. 전압은 57\% 로 기준으로 설정한 80\% 보다 큰 변화를 보여 계전기가 동작할 수 있는 조건이다. 전류의 경우 3.832 A에서 1004 A 로 충분히 큰 고장전류가 흘로 과전류 지락 계전기가 동작할 수 있는 조건이다. 주파수의 경우도, 0.8 Hz 가 감소하여 기준으로 설정한 0.5 Hz 보다 큰 변화를 보여 계전기 동작으로 적합한 조건이다. M2 지점에서는 전압과 주파수 계전요소가 동작하였다. M3 지점에서는 전압, 전류, 주파수 계전요소가 동작하였다. M4 지점에서는 전류 계전요소만 동작하였다. 이를 통하여 A 고장의 경우는 전압과 주파수 계전요소가 변압기로 전기환경이 구분되는 M4 지점을 제외하고 모든 구간에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례연구 대상인 말레이시아 사라왁주는 사라왁주 전력청에서 표 1을 기반으로한 보호계전 요소 리스트만을 제시하고 있다. 다양한 조건에 대한 필수 계전요소 및 설치위치 선정 등에 대해서는 제시하고 있지 않다.

표 2 on-grid 상태에서 고장A 의 경우 M1~M4 측정 위치에서 전압, 전류, 주파수의 측정값, 변화율, 적용가능 계전요소

Table 2 In the case of fault A in the on-grid state, measured values and rate of change of electrical state (voltage, current, frequency) at M1 to M4 measurement points, applicable relay elements

Division

Measurement

Analysis

Steady state

Fault A

Deviation

Ratio[p.u.]

Relay

M1

Volt.

10990

6300

-4690.0

0.57

UVR

Curr.

3.832

1005

1001.2

262.27

OCR

Freq.

50

49.19

-0.8

0.98

FR

M2

Volt.

10990

6298

-4692.0

0.57

UVR

Curr.

5.25

0.01693

-5.2

0.00

-

Freq.

50

49.19

-0.8

0.98

FR

M3

Volt.

10990

6298

-4692.0

0.57

UVR

Curr.

1.497

430.7

429.2

287.71

OCR

Freq.

50

49.19

-0.8

0.98

FR

M4

Volt.

399.4

352.9

-46.5

0.88

-

Curr.

42.77

11210

11167.2

262.10

OCR

Freq.

50

49.67

-0.3

0.99

-

On-grid에서 고장B 발생시 각 지점에서의 결과값들은 표 3과 같다. 변압기로 전기환경이 구분되는 M4 지점을 제외하고 M1, M2, M3 지점에서는 전압, 전류 계전요소가 동작하였다. M4 지점에서는 전류 계전요소만 동작하였다. 고장B 발생시 주파수는 반응하지 않았다.

표 3 on-grid 상태에서 고장B 의 경우 M1~M4 측정 위치에서 전압, 전류, 주파수의 측정값, 변화율, 적용가능 계전요소

Table 3 In the case of fault B in on-grid state, measured values and rate of change of electrical state (voltage, current, frequency) at M1~M4 measurement points, applicable relay elements

Division

Measurement

Analysis

Steady state

Fault B

Deviation

Ratio[p.u.]

Relay

M1

Volt.

10990

6282

-4708.0

0.57

UVR

Curr.

3.832

1004

1000.2

262.00

OCR

Freq.

50

50

0.0

1.00

-

M2

Volt.

10990

6300

-4690.0

0.57

UVR

Curr.

5.25

1423

1417.8

271.05

OCR

Freq.

50

50

0.0

1.00

-

M3

Volt.

10990

6290

-4700.0

0.57

UVR

Curr.

1.497

430.6

429.1

287.64

OCR

Freq.

50

50

0.0

1.00

-

M4

Volt.

399.4

352.8

-46.6

0.88

-

Curr.

42.77

11210

11167.2

262.10

OCR

Freq.

50

50

0.0

1.00

-

On-grid에서 고장C 발생시 각 지점에서의 결과값들은 표 4와 같다. M1, M3, M4 지점에서 전류 계전요소가 동작하였고, M4 지점에서 전압 계전요소가 동작하였다. 고장 C 발생시 주파수는 반응하지 않았다.

표 4 on-grid 상태에서 고장C 의 경우 M1~M4 측정 위치에서 전압, 전류, 주파수의 측정값, 변화율, 적용가능 계전요소

Table 4 In the case of fault C in on-grid state, measured values and rate of change of electrical state (voltage, current, frequency) at M1~M4 measurement points, applicable relay elements

Division

Measurement

Analysis

Steady state

Fault C

Deviation

Ratio[p.u.]

Relay

M1

Volt.

10990

9805

-1185.0

0.89

-

Curr.

3.832

187.3

183.5

48.88

OCR

Freq.

50

50

0.0

1.00

-

M2

Volt.

10990

9805

-1185.0

0.89

-

Curr.

5.25

4.404

-0.8

0.84

-

Freq.

50

50

0.0

1.00

-

M3

Volt.

10990

9805

-1185.0

0.89

-

Curr.

1.497

184.5

183.0

123.25

OCR

Freq.

50

50

0.0

1.00

-

M4

Volt.

399.4

292.8

-106.6

0.73

UVR

Curr.

42.77

9791

9748.2

228.92

OCR

Freq.

50

50

0.0

1.00

-

On-grid에서 각 지점별 고장 위치에 따라 적용 가능한 계전요소들은 표 5와 같다. M1 지점에서는 A, B, C 모든 고장에 대해서 과전류 지락 계전기를 통하여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M2 지점에서는 A, B, C 고장에 대하여, 단독으로는 모든 고장을 검출할 수 없다. 특히 변압기 2차측인 C 지점 고장에 대해서는 변압기를 통한 전기적 구분이 이루어져 고장 검출이 어렵다. M3 지점에서는 A, B, C 모든 고장에 대해서 과전류 지락 계전기를 통하여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M4 지점에서는 A, B, C 모든 고장에 대해서 과전류 지락 계전기를 통하여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표 5 on-grid 상태에서 M1~M4 지점에서 고장 A, B, C 발생시 전압, 전류, 주파수를 통한 고장 발생 확인 가능 여부

Table 5 Availability to check the occurrence of faults through voltage, current, and frequency when faults A, B, and C occur at point M1~M4 in the on-grid state

Point

Realy element

Fault A

Fault B

Fault C

M1

Voltage

O

O

X

Current

O

O

O

Frequency

O

X

X

M2

Voltage

O

O

X

Current

X

O

X

Frequency

O

X

X

M3

Voltage

O

O

X

Current

O

O

O

Frequency

O

X

X

M4

Voltage

X

X

O

Current

O

O

O

Frequency

X

X

X

On-grid의 경우 과전류 지락 계전기를 통하여 A, B, C 고장에 대하여 검출이 가능하며, 이를 위하여 과전류 지락 계전기(50/51N)를 M1, M3, M4 지점에 설치하여야 한다.

Off-grid에서 고장A 발생시 각 지점에서의 결과값들은 표 6와 같다. M1 지점에서는 전압, 전류, 주파수 계전요소가 동작하였다. M2~M4 지점에서는 반응하지 않았다. Off-grid 상태로 M1 지점과 M3 지점 사이의 스위치가 개방되어 독립적인 계통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A 지점 지락발생시 인근으로 파급하는 효과는 미비하였다.

표 6 off-grid 상태에서 고장A 의 경우 M1~M4 측정 위치에서 전압, 전류, 주파수의 측정값, 변화율, 적용가능 계전요소

Table 6 In the case of fault A in off-grid state, measured values and rate of change of electrical state (voltage, current, frequency) at M1~M4 measurement points, applicable relay elements

Division

Measurement

Analysis

Steady state

Fault A

Deviation

Ratio[p.u.]

Relay

M1

Volt.

11000

6342

-4658.0

0.58

UVR

Curr.

0.006389

1005

1005.0

157301.61

OCR

Freq.

50

49.209

-0.8

0.98

FR

M2

Volt.

10940

10930

-10.0

1.00

-

Curr.

5.224

5.225

0.0

1.00

-

Freq.

50

50

0.0

1.00

-

M3

Volt.

10940

10940

0.0

1.00

-

Curr.

5.225

5.23

0.0

1.00

-

Freq.

50

50

0.0

1.00

-

M4

Volt.

397.7

397.7

0.0

1.00

-

Curr.

145.8

146

0.2

1.00

-

Freq.

50

50

0.0

1.00

Off-grid에서 고장B 발생시 각 지점에서의 결과값들은 표 7과 같다. M2, M3 지점에서 전압과 전류 계전요소가 동작하였다. M4 지점에서는 전류 계전요소만 동작하였다.

표 7 off-grid 상태에서 고장B 의 경우 M1~M4 측정 위치에서 전압, 전류, 주파수 변화 측정값, 변화율, 적용가능 계전요소

Table 7 In case of fault B in off-grid state, voltage, current, and frequency change measured values, rate of change, and applicable relay elements at M1 to M4 measurement locations

Division

Measurement

Analysis

Steady state

Fault B

Deviation

Ratio[p.u.]

Relay

M1

Volt.

11000

11000

0.0

1.00

-

Curr.

0.006389

0.0127

0.0

1.99

-

Freq.

50

50

0.0

1.00

-

M2

Volt.

10940

6279

-4661.0

0.57

UVR

Curr.

5.224

429.4

424.2

82.20

OCR

Freq.

50

50

0.0

1.00

-

M3

Volt.

10940

6277

-4663.0

0.57

UVR

Curr.

5.225

429.4

424.2

82.18

OCR

Freq.

50

50

0.0

1.00

-

M4

Volt.

397.7

353.6

-44.1

0.89

-

Curr.

145.8

11220

11074.2

76.95

OCR

Freq.

50

50

0.0

1.00

-

Off-grid에서 고장C 발생시 각 지점에서의 결과값들은 표 8과 같다. M2, M3, M4 지점에서 전압 계전요소가 동작하였다. M4 지점에서는 주파수 계전요소도 동작하였다.

표 8 off-grid 상태에서 고장C 의 경우 M1~M4 측정 위치에서 전압, 전류, 주파수의 측정값, 변화율, 적용가능 계전요소

Table 8 In case of fault C in off-grid state, voltage, current, and frequency change measured values, rate of change, and applicable relay elements at M1 to M4 measurement locations

Division

Measurement

Analysis

Steady state

Fault C

Deviation

Ratio[p.u.]

Relay

M1

Volt.

11000

11000

0.0

1.00

-

Curr.

0.006389

0.09455

0.1

14.80

-

Freq.

50

50

0.0

1.00

-

M2

Volt.

10940

7734

-3206.0

0.71

UVR

Curr.

5.224

2.885

-2.3

0.55

-

Freq.

50

50

0.0

1.00

-

M3

Volt.

10940

7734

-3206.0

0.71

UVR

Curr.

5.225

2.883

-2.3

0.55

-

Freq.

50

50

0.0

1.00

-

M4

Volt.

397.7

281.2

-116.5

0.71

UVR

Curr.

145.8

11030

10884.2

75.65

OCR

Freq.

50

50

0.0

1.00

-

Off-grid에서 각 지점별 고장 위치에 따라 적용 가능한 계전요소들은 표 9와 같다. M1 지점에서는 고장A에 대해서는 모든 계전요소들로 고장 검출이 가능하지만 고장B와 고장C에 대해서는 검출이 불가능하다. M2 지점에서는 저전압 계전기 설치시 B,C 지점에서의 고정을 검출할 수 없다. M3 지점에서는 저전압 계전기 설치시 B,C 에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M4 지점에서는 과전류 지락 계전기 설치시 B,C 지점에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표 9 off-grid 상태에서 M1~M4 지점에서 고장 A, B, C 발생시 전압, 전류, 주파수 통한 고장 발생 확인 가능 여부

Table 9 Availability to check the occurrence of faults through voltage, current, and frequency when faults A, B, and C occur at point M1~M4 in the off-grid state

Point

Realy element

Fault A

Fault B

Fault C

M1

Voltage

O

X

X

Current

O

X

X

Frequency

O

X

X

M2

Voltage

X

O

O

Current

X

O

X

Frequency

X

X

X

M3

Voltage

X

O

O

Current

X

O

X

Frequency

X

X

X

M4

Voltage

X

X

O

Current

X

O

O

Frequency

X

X

X

Off-grid의 경우 중앙급전 구간의 고장과 분산전원 구간의 고장을 구분하여야 한다. 분산전원 구간의 고장발생시, M2와 M3 지점에 설치시 저전압 계전기(27)를 M4 지점에 설치시 과전류 지락 계전기(50/51N 인)를 설치하여야 한다.

표 10은 계통연계운전/독립운전에서 고장 발생시 측정위치에 따른 유효한 측정요소 구분을 한 것이다. on-grid 의 경우 모든 고장에 대해 M1, M3, M4 지점에 과전류 지락 계전기 설치를 통하여 검출이 가능하다. off-grid의 경우 중앙급전 구간의 고장은 별개로 검출하여야 하고 분산전원 구간의 고장의 경우 M2, M3 지점에 저전압 계전기 혹은 M4 지점에 과전류 지락 계전기 설치를 통하여 검출이 가능하다. 종합하여 볼 때, M4 지점에 과전류 지락 계전기 설치를 통하여 상정한 발생가능한 고장에 대하여 검출이 가능하게된다.

표 10 계통연계운전/독립운전 상태에서 M1~M4 지점에서 고장 A, B, C 발생시 전압, 전류, 주파수를 통한 고장 발생 확인 가능 여부

Table 10 In the on/off-grid state, when a fault A, B, or C occurs at points M1 to M4, whether it is possible to check the fault occurrence through voltage, current, and frequency

grid

fault

on

A

B

C

off

B

C

M1

M2

M3

M4

Voltage

O

O

X

O

O

X

O

O

X

X

X

O

X

X

O

O

O

O

X

O

Current

O

O

O

X

O

X

O

O

O

O

O

O

X

X

O

X

O

X

O

O

Frequency

O

X

X

O

X

X

O

X

X

X

X

X

X

X

X

X

X

X

X

X

5. 결 론

마이크로그리드 조건에서 지락고장 발생 가능한 3곳의 지점과 4곳의 측정지점을 상정하여 전압, 전류, 주파수를 통한 전기적 상태를 측정하였다. 중앙급전과 분산전원이 동기화되어있는 on-grid 조건의 경우, 과전류 지락 계전기를 M1 혹은 M3 혹은 M4 지점에 설치함으로써 지락고장에 대한 보호가 가능하다. 중앙급전과 분산전원이 분리되어 부하측으로 분산전원의 공급만 이루어지고 있는 off-grid 조건의 경우, 저전압 계전기를 M2 혹은 M3 지점에 설치 혹은 과전류 지락 계전기를 M4 지점에 설치 함으로써 상정한 지락고장에 대한 보호가 가능하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종합적으로 on-grid 와 off-grid 전환시에도 과전류 지락 계전기를 M4 지점 설치함으로써 상정한 고장 경우들에 대해서는 검출 가능을 확인하였다. 이와같은 모의검증을 통하여 발생 가능한 다양한 고장상황에 대하여 적절하고 효과적인 보호협조를 제안과 계전기 감지 요소를 도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마이크로그리드 구축에 중복 설비 투자 없이 효율적인 보호협조 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KETEP)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MOTIE) of the Republic of Korea (No. 20183010141150).

References

1 
Sang-Won Park, 2022, A Study on the Small-scale Microgrid System Configuration Considering Carbon Neutrality, KIEE Summer Conference 2022, pp. 1444-1445Google Search
2 
Seo-hyeong Lee, 2022, Study on the Inter-integrated business model Using Microgrid Field Proof-Based Data by Type, KIEE Spring Conference 2022, pp. 311-312Google Search
3 
Hui-Seok Gu, 2022, Empirical application and efficiency analysis of micro-grids, KIEE Summer Conference 2022, pp. 920-921Google Search
4 
Jung-Hoon Kim, 2021, A Study on the Appropriate Resource Configuration for Microgrid Considering Peak Curtailment and the Uncertainty of Energy Resource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Engineers, Vol. 70, No. 2, pp. 314~323Google Search
5 
Hak-Ju Lee, 202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peration System for Campus-type Multi-microgrid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9, No. 3, pp. 161~167DOI
6 
Korea Electrical Power Corporation, Technical standard for connection of distributed power distribution system, 2021Google Search
7 
이름 European Network of Transmission System Operators for Electricity, 2013, European Network of Transmission System Operators for Electricity, NTSO-E Network Code for Requirements for Grid Connection Applicable to all GeneratorsGoogle Search
8 
Yang-Kwon Park, 2020, A Prevention Algorithm for Malfunction of Directional Over Current Ground Relay in Distribution System with PV System,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9, No. 7, pp. 1001~1009Google Search
9 
Seung Heon Song, 2016, Analysis on the Renewable Penetration Limits using ROCOF in the Korean Power System, KIEE Spring Conference 2016, pp. 131-132Google Search
10 
Korea Electrial Power Corporation, Switchgear, breaker, and related material design standards DS.Google Search
1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5, Power system reliability and electricity quality maintenance standardsGoogle Search
12 
Kil-Yeong Song, 2013, the latest transmission / distribution engineeringGoogle Search
13 
Daniel E. O, 2014, Trends in Micro grid Control,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vol . 5, No. 4, pp. 1905-1919DOI
14 
Chan-Hyeok Oh, 2021, Short-Term Cooperative Operational Scheme of Distribution System with High Hosting Capacity of Renewable-Energy-Based Distributed Generations, Energies, Vol. 14, pp. 6340DOI
15 
Mun Hun, 2021, A study on the economic feasibility of stand-alone micro grid for carbon-free Island in Korea, Energies, Vol. 14, No. 7, pp. 1913DOI
16 
Furat Dawood, 2020, Stand-alone microgrid with 100% renewable energy: A case study with hybrid solar PV-battery- hydrogen, Sustainability, Vol. 12, No. 5, pp. 2047DOI

저자소개

채동주 (Dong-Ju Chae)
../../Resources/kiee/KIEE.2023.72.3.467/au1.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in 2008 and 2011.

He is currently a senior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since 2014.

E-mail : chaedju@kesco.or.kr

강해권 (Hae-Gweon Kang)
../../Resources/kiee/KIEE.2023.72.3.467/au2.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2008 and 2010.

He is currently a senior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since 2017.

E-mail : khg17@kesco.or.kr

임승택 (Seung-Taek Lim)
../../Resources/kiee/KIEE.2023.72.3.467/au3.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6 and 2018.

He is currently a senior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since 2018.

E-mail : jstyim@kesco.or.kr

오찬혁 (Chan-Hyeok Oh)
../../Resources/kiee/KIEE.2023.72.3.467/au4.png

He received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in 2015, 2017 and 2022,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senior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since 2022.

E-mail : dhcksgur@kesco.or.kr

이기연 (Ki-Yeon Lee)
../../Resources/kiee/KIEE.2023.72.3.467/au5.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Korea, in 2002 and 2004.

He received the Ph.D degree in IT applied system engineering fro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in 2020.

He is currently a head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since 2004.

E-mail : Ikycj@kesco.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