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마이크로그리드 전기안전기술
마이크로그리드 도입 시 배전계통에 연계되므로 배전계통에 대한 특성분석 및 전기적 이슈사항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배전계통은 배전 변압기를 기준으로
고압 배전선로와 저압 배전선로로 구분된다. 고압 배전선로는 국내의 경우 22.9 kV, 말레이시아의 경우 11 kV 등 IEC 60364 에 의해
고압 범위에 해당한다. 저압 배전선로는 400 V, 380 V, 220 V 등 각 국의 전기환경에 적합하게 다양하게 적용하고 있다.
2.1 배전선로의 전기 방식
배전계통 중 고압 배전선로는 3상 3선식의 중성점 비접지 방식인 △ 결선과 3상 4선식의 중성점 접지 방식인 Y결선이 대표적이다. 고장 관점에서 배전선로의
대표적인 고장인 지락고장에 대해서 △ 결선은 1선 지락고장에도 지속적인 전력공급은 가능하지만 고장 제거는 2선 지락 발생시까지 어렵다는 특징이 있고,
Y 결선은 1선 지락고장에 대해서 단락과 같이 큰 고장전류가 흘러 고장 제거가 가능하지만 전력공급이 중단되는 특징이 있다.
2.2 고장 요소 및 보호기기
고장의 종류는 단락과 지락이 대표적이며 각각 적절한 보호기기로 고장 발생시 계통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보호기기 중 단락, 지락 발생시
전압, 전류, 주파수 등의 전기적인 상황을 감지하여 차단기의 트립코일을 여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계전기이다. 적절하고 효과적인 보호협조를 위하여
다양한 고장상황과 유효한 계전기 감지 요소를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특정 고장상황에는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중복 설비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단락 보호용 계전기는 과전류 계전기(Over Current Relay, OCR), 과전압 계전기(Over Voltage Relay, OVR), 부족
전압 계전기(Under Voltage Relay, UVR), 단락 방향 계전기(Directional Short Circuit Relay, DSCR),
선택 단락 계전기(Selective Short Circuit Relay, SSCR), 거리 계전기(Distance Relay, ZR), 방향 거리
계전기(Directive Distance Relay, DZR) 등이 있다. 과전류 계전기의 경우 일정값 이상의 전류가 흘렀을 때 동작하며 가장 일반적인
계전기이다. 과전압 계전기는 일정값 이상의 전압이 걸렸을 때 동작하며, 대표적으로 발전기가 무부하가 되었을 경우 과전압 보호용이 사용된다. 부족 전압
계전기는 전압이 일정값 이하로 떨어졌을 경우 동작하며, 단락시 고장 검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지락 보호용 계전기는 과전류 지락 계전기(Over Current Ground Relay, OCGR), 방향 지락 계전기(Directional Over
Current Ground Relay, DOCGR), 선택 지락 계전기(Selective Over Current Ground Relay, DOCGR)
등이 있다. 과전류 지락 계전기는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 전류를 특별히 작게한 것으로 지락고장 보호용을 사용한다. 방향 지락 계전기는 과전류 지락 계전기에
방향성을 준 것으로 최근 신재생 발전원들의 연계에 적용되고 있다 (8).
기타 보호용 계전기는 탈조 보호 계전기(Step-Out Protective Relay, SOR), 주파수 계전기(Feqeuency Relay, FR),
한시 계전기(Time Limit Relay, TL) 등이 있다. 주파수 계전기는 계통의 주파수가 허용폭 이상으로 변동하였을 경우에 동작하는 것으로
계통연계시 분산전원 보호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9).
2.3 지락고장
지락고장은 지락고장전류의 흐름에 따라 기기나 애자류의 절연파괴에 의한 일반 지락고장과 전선이 단선되어 대지면과 접촉한 단선 지락고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 지락고장은 그림 1와 같이 전력선 절연파괴로 전기설비 외함을 통하여 보호도체로 연결되고 변압기 중성점으로 귀로한다. 단선 지락고장은 그림 2과 같이 전력선 단선으로 대지를 통하여 접지극과 보호도체를 통하여 중성점으로 귀로하게 되고 일부는 대지를 통하여 대지와 보호도체의 용량 성분을 통하여
중성점으로 귀로한다(10).
그림 1 절연파괴 등 일반 지락고장의 지락전류 모식도
Fig. 1 Earth fault current schematic diagram of general ground faults such as insulation
breakdown
그림 2 단선 등 단선 지락고장의 지락전류 모식도
Fig. 2 Ground fault current schematic diagram of disconnection ground faults such
as disconnection
일반 지락고장의 경우 도체인 보호도체를 따라 변전소 중성점으로 귀로하고 단선 지락고장의 경우 도체인 접지극과 보호도체 혹은 도전성부인 대지를 통해
변전소 중성점으로 귀로한다. 따라서, 도체만을 경유하는 일반 지락고장의 경우가 대지 등의 도전성부를 경유하는 단선 지락고장의 경우 보다 큰 고장전류를
갖고있으며, 단선 지락고장의 경우 측정 구간에 따라 고장전류의 크기가 차이가 날 수 있다. 구체적인 크기는 전력계통의 구성 및 상황 등에 따른 임피던스
해석을 통하여 도출할 수 있다 (10).
2.4 배전계통의 보호기기들을 통한 보호협조
배전계통은 강압변전소 2차변전소에서 인출되는 배전선로를 말하며 배전선로는 각종 차단기, 개폐기, 변압기 등으로 구성된다. 배전선로는 말단까지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지리적 특성, 환경적 특성, 부하적 특성 등의 복합적인 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11).
배전선로는 대부분 가공 전선로로 되어 있으므로 뇌, 바람, 비, 눈 등의 기상 조건과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의한 고장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전이라든지 전압 강하가 발생할 수 있고, 인축과 전력설비에 위해를 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호 대책 수립과 파급 방지가 필요하다.
고장은 선로, 변압기, 기타 기기, 통신선의 유도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선로에서 발생하는 비중이 크고 이것은 단락, 지락, 접지가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특히 1선 지락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 변압기 고장은 과부하, 뇌해, 혼촉이 원인이 될 수 있고, 개폐기, 피뢰기 등의 기타 기기 고장은
변압기와 같은 원인과 함께 열화도 중요한 원인이 된다. 통신선의 유도 장해는 전자 유도 장해, 정전유도 장해, 고조파유도 장해로 구분할 수 있고 통신선에
접근해서 운전되는 것이 원인이다 (12).
보호기기를 통한 보호협조 체계는 발생 가능한 고장에 대하여 선로고장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고장구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보호협조는 배전선로에서
발생한 고장이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변전소 릴레이를 포함하여 적어도 1대 이상의 보호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보호기기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자기 부하 측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스스로 개방되어 건전구간을 고장구간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고장으로 인한 피해를 축소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배전계통은 보호 계전기로 저압 배전계통은 퓨즈를 사용해서 보호하고 있다. 배전선로의 경우, 접지 고장의 경우 접지 계전기로, 과부하, 단락 고장의
경우 과전류 계전기로 보호할 수 있다. 주상 변압기의 경우, 과부하 단락 고장의 경우 고압 퓨즈로 보호할 수 있다. 저압 배전선의 경우, 고저압 혼촉의
경우 제2종 접지 공사로, 과부하 단락 고장의 경우 저압 퓨즈로 보호할 수 있다 (10).
보호기기의 동작은 배전선로의 경우 과부하를 발생하거나 선로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류의 단락 또는 다른 물체의 접촉 등에 의한 1선 지락고장이 일어났을
경우에는 다른 배전선로에 고장이 파급되지 않도록 신속하게 고장 선로를 차단하여야 한다. 배전선로에 단락 고장 또는 과부하가 발생하였을 경우, 배전선로를
자동 차단하기 위하여 변전소에는 각 배전선로마다 과전류 계전기(Over Current Relay, OCR)를 설치한다. 단락 고장의 경우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 전류를 배전선로 허용 전류의 150 \% 정도, 동작 시간은 0.2 sec 정도로 설정하고 있다. 단락전류의 크기는 단락 고장이 발생한 장소의
변전소로부터의 거리, 전선의 지름, 전압, 단상 단락, 3상 단락 등의 단락 조건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변전소에 가까울수록, 전류값이 클수록,
배전 설비의 손상은 커진다 (12)
보호기기의 효과는 보호 계전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력계통에서 발생한 고장을 제거하기 위한 보호 계전 방식은 주보호 계전 방식과 후비보호 계전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주보호는 신속하게 고장 구간을 최소 범위로 한정해서 제거한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후비보호는 주보호가 실패했을 경우 또는
보호할 수 없는 경우에 일정한 시간을 두고 동작하는 백업 계전 방식이다. 사고 제거를 최소 범위의 정전으로 끝나도록 하는 것을 주보호 계전 방식이다.
그림 3과 같이 5번 모선과 6번 모선 사이에서 고장 발생시 4번 모선과 5번 모선 사이의 SW1 차단기가 개방되어야 하지만 차단기 차제 혹은 계전기의 불량으로
동작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인근 2번 모선과 3번 모선 사이의 SW2 차단기가 개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주보호 계전기에 의한
고장 제거가 실패했을 경우에는 인접 구간의 차단기를 개방해서 고장을 제거하고 있고,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보호 계전 방식을 후비보호 계전 방식이고
이 방식의 주요 역할을 하는 계전기를 후비보호 계전기라고 한다.
그림 3 지락고장 발생시 후비보호 계전 방식 예시
Fig. 3 Back-up protection relay method in case of ground fault
보호기기를 통한 보호협조의 방법은 동작시간의 차이, 고장전류 크기의 차이, 동작 횟수의 차이 등이 있다. 동작시간의 차이를 이용한 방법은 한시계전기와
recloser, 그리고 선로용 fuse 가 있다. 임의의 고장전류에 대해 각 보호기기들의 동작시간을 계산하여 그 차이가 일정시간 이상이 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이들에 대한 보호 협조 검토의 기본적인 사항이 된다. 후비보호 기기가 전위보호 기기보다 동작시간이 길어야 협조가 가능하고 후비보호 기기의
동작시간에서 전위보호 기기의 동작시간을 뺀 것을 두 기기간의 동작시간차라고 한다. 이 동작시간차가 보호기기별로 정해진 협조시간차보다 크면 협조가 된다고
판단한다.
3. 계통연계운전/독립운전 고장 특성 시뮬레이션
마이크로그리드 환경에 적절한 보호기기 구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말레이시아 사라왁주의 마이크로그리드를 대상으로 하였다 (13). 정글지역으로 수목으로 인한 지락이 잦고 유지관리 범위가 넓어 중앙급전을 통한 안정적인 전력공급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그리드를 보완책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고 현재 시범사업이 진행중이다. 배전계통은 공칭전압 11kV를 사용하고 있고 주파수는 50 Hz 이다.
MATLAB/Simulink 로 그림 4와 같이 중앙급전과 100 kW 수준의 부하 사이에 변동성을 갖고 있는 재생발전원인 700 kW 급의 분산전원으로 구성된 마이크로그리드 환경을 모델링
하였다. 재생발전원은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BESS)을 충전시킨 후, BESS에서 부하로 전원이 공급되는 운영방식을
가정하고 모델링 하였다. 환상 전력계통에 연결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스위치기 포함된 Ring Main Unit (RMU) 전기설비가 도입되었다.
2번 모선과 5번 모선은 두 개의 스위치로 구성된 RMU 를 구성한 것이고 3번 모선을 통하여 분산전원에 연결하였다. 전력설비를 실제와 동일하게 구성하였고,
배전계통은 Y 접지계통을 적용하였다. 전기적 상태는 전압, 전류, 주파수를 측정하였고 발전측, 부하측 분산전원 고압측, 분산전원 저압측에서 값들을
측정하였다 (14).
그림 4 분산전원이 포함된 9-모선 마이크로그리드 구성도
Fig. 4 9-Bus microgrid configuration with distributed power source
고장조건은 3상중 1상 지락을 적용하였고, 고장지점은 발전측, 부하측, 분산전원 변압기 2차측(저압측)으로 설정하였고 이것은 그림 5에서 각각 A, B, C 지점으로 표시하였다.
고장 발생시 전력계통 상황에 충분히 반영되는 전기적인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표 1에서와 같이 27, 50/51 N, 81U 의 계전요소를 검토하였다. 전압 강하가 80\% 범위 보다 크게 발생하는 것을 검출하는 저전압 계전기(27)와
충분한 고장전류를 검출할 수 있는 과전류 지락 계전기(50/51 N)와 전력 수요와 공급간 불평형을 확인할 수 있는 저주파수 계전기(81U)를 검토하였다
(9). 전압 강하와 과전류의 경우 선로임피던스 및 고장경로에 따라 크기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저주파수의 경우 발전기 탈락 등 급격한 발전량
감소에 의해 주파수 하락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며, 계통 크기가 작을수록 주파수 변화율이 커질 것으로 판단한다 (15),(16).
마이크로그리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On-grid 와 Off-grid 로 구분하여 측정지점에 따른 상태값을 비교하였다. On-grid 에서는 그림 5와 같이 중앙급전측과 연계점 사이의 스위치(SW1)가 닫힌 상태이다. 이때 고장위치는 발전측인 1번 모선과 2번 모선 사이(Fault A), 부하측인
5번 모선과 6번 모선 사이(Fault B), 분산전원 변압기 2차측(저압측)인 8번 모선과 9번 모선 사이(Fault C)로 설정하였다. 측정위치는
1번 모선인 발전측(M1), 5번 모선인 부하측(M2), 7번 모선인 분산전원 변압기 1차측(M3), 9번 모선인 분산전원 변압기 2차측(M4)으로
설정하였다. On-grid 조건의 정상상태에서 M1~M4 까지의 상태값을 측정하고, 이것을 A~C 지점 고장시 상태값과 비교하였다.
표 1 고장 발생시 전력계통 상황 확인을 위한 계전요소
Table 1 Relay elements to check power system status in case of fault
Division
|
Device no.
|
Protection relays
|
criteria
|
Voltage
|
27
|
under voltage relay
|
80%
|
Current
|
50/51
|
instantaneous and AC-time
overcurrent relay
|
1 kA
|
50/51N
|
overcurrent ground relay
|
67N
|
Directional ground overcurrent relay
|
Frequency
|
81U
|
under frequency relay
|
0.5 Hz
|
그림 5 On-grid 상태에서의 마이크로그리드 고장지점과 측정지점
Fig. 5 Microgrid fault points and measurement points in the on-grid state
Off-grid 에서는 그림 6과 같이 중앙급전측과 연계점 사이의 스위치(SW1)가 열린 상태이다. 고장위치와 측정위치는 on-grid에서와 동일하다. Off-grid 조건의 정상상태에서
M1~M4 까지의 상태값을 측정하고, 이것을 A~C 지점 고장시 상태값과 비교하였다.
그림 6 Off-grid 상태에서의 마이크로그리드 고장지점과 측정지점
Fig. 6 Microgrid fault points and measurement points in off-grid conditions
4. 고장 위치에 따른 보호기기 효과 분석
On-grid에서 고장A 발생시 각 지점에서의 결과값들은 표 2와 같다. M1 지점에서는 전압, 전류, 주파수 계전요소가 동작하였다. 전압은 57\% 로 기준으로 설정한 80\% 보다 큰 변화를 보여 계전기가
동작할 수 있는 조건이다. 전류의 경우 3.832 A에서 1004 A 로 충분히 큰 고장전류가 흘로 과전류 지락 계전기가 동작할 수 있는 조건이다.
주파수의 경우도, 0.8 Hz 가 감소하여 기준으로 설정한 0.5 Hz 보다 큰 변화를 보여 계전기 동작으로 적합한 조건이다. M2 지점에서는 전압과
주파수 계전요소가 동작하였다. M3 지점에서는 전압, 전류, 주파수 계전요소가 동작하였다. M4 지점에서는 전류 계전요소만 동작하였다. 이를 통하여
A 고장의 경우는 전압과 주파수 계전요소가 변압기로 전기환경이 구분되는 M4 지점을 제외하고 모든 구간에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례연구 대상인 말레이시아 사라왁주는 사라왁주 전력청에서 표 1을 기반으로한 보호계전 요소 리스트만을 제시하고 있다. 다양한 조건에 대한 필수 계전요소 및 설치위치 선정 등에 대해서는 제시하고 있지 않다.
표 2 on-grid 상태에서 고장A 의 경우 M1~M4 측정 위치에서 전압, 전류, 주파수의 측정값, 변화율, 적용가능 계전요소
Table 2 In the case of fault A in the on-grid state, measured values and rate of change
of electrical state (voltage, current, frequency) at M1 to M4 measurement points,
applicable relay elements
Division
|
Measurement
|
Analysis
|
Steady state
|
Fault A
|
Deviation
|
Ratio[p.u.]
|
Relay
|
M1
|
Volt.
|
10990
|
6300
|
-4690.0
|
0.57
|
UVR
|
Curr.
|
3.832
|
1005
|
1001.2
|
262.27
|
OCR
|
Freq.
|
50
|
49.19
|
-0.8
|
0.98
|
FR
|
M2
|
Volt.
|
10990
|
6298
|
-4692.0
|
0.57
|
UVR
|
Curr.
|
5.25
|
0.01693
|
-5.2
|
0.00
|
-
|
Freq.
|
50
|
49.19
|
-0.8
|
0.98
|
FR
|
M3
|
Volt.
|
10990
|
6298
|
-4692.0
|
0.57
|
UVR
|
Curr.
|
1.497
|
430.7
|
429.2
|
287.71
|
OCR
|
Freq.
|
50
|
49.19
|
-0.8
|
0.98
|
FR
|
M4
|
Volt.
|
399.4
|
352.9
|
-46.5
|
0.88
|
-
|
Curr.
|
42.77
|
11210
|
11167.2
|
262.10
|
OCR
|
Freq.
|
50
|
49.67
|
-0.3
|
0.99
|
-
|
On-grid에서 고장B 발생시 각 지점에서의 결과값들은 표 3과 같다. 변압기로 전기환경이 구분되는 M4 지점을 제외하고 M1, M2, M3 지점에서는 전압, 전류 계전요소가 동작하였다. M4 지점에서는 전류
계전요소만 동작하였다. 고장B 발생시 주파수는 반응하지 않았다.
표 3 on-grid 상태에서 고장B 의 경우 M1~M4 측정 위치에서 전압, 전류, 주파수의 측정값, 변화율, 적용가능 계전요소
Table 3 In the case of fault B in on-grid state, measured values and rate of change
of electrical state (voltage, current, frequency) at M1~M4 measurement points, applicable
relay elements
Division
|
Measurement
|
Analysis
|
Steady state
|
Fault B
|
Deviation
|
Ratio[p.u.]
|
Relay
|
M1
|
Volt.
|
10990
|
6282
|
-4708.0
|
0.57
|
UVR
|
Curr.
|
3.832
|
1004
|
1000.2
|
262.00
|
OCR
|
Freq.
|
50
|
50
|
0.0
|
1.00
|
-
|
M2
|
Volt.
|
10990
|
6300
|
-4690.0
|
0.57
|
UVR
|
Curr.
|
5.25
|
1423
|
1417.8
|
271.05
|
OCR
|
Freq.
|
50
|
50
|
0.0
|
1.00
|
-
|
M3
|
Volt.
|
10990
|
6290
|
-4700.0
|
0.57
|
UVR
|
Curr.
|
1.497
|
430.6
|
429.1
|
287.64
|
OCR
|
Freq.
|
50
|
50
|
0.0
|
1.00
|
-
|
M4
|
Volt.
|
399.4
|
352.8
|
-46.6
|
0.88
|
-
|
Curr.
|
42.77
|
11210
|
11167.2
|
262.10
|
OCR
|
Freq.
|
50
|
50
|
0.0
|
1.00
|
-
|
On-grid에서 고장C 발생시 각 지점에서의 결과값들은 표 4와 같다. M1, M3, M4 지점에서 전류 계전요소가 동작하였고, M4 지점에서 전압 계전요소가 동작하였다. 고장 C 발생시 주파수는 반응하지 않았다.
표 4 on-grid 상태에서 고장C 의 경우 M1~M4 측정 위치에서 전압, 전류, 주파수의 측정값, 변화율, 적용가능 계전요소
Table 4 In the case of fault C in on-grid state, measured values and rate of change
of electrical state (voltage, current, frequency) at M1~M4 measurement points, applicable
relay elements
Division
|
Measurement
|
Analysis
|
Steady state
|
Fault C
|
Deviation
|
Ratio[p.u.]
|
Relay
|
M1
|
Volt.
|
10990
|
9805
|
-1185.0
|
0.89
|
-
|
Curr.
|
3.832
|
187.3
|
183.5
|
48.88
|
OCR
|
Freq.
|
50
|
50
|
0.0
|
1.00
|
-
|
M2
|
Volt.
|
10990
|
9805
|
-1185.0
|
0.89
|
-
|
Curr.
|
5.25
|
4.404
|
-0.8
|
0.84
|
-
|
Freq.
|
50
|
50
|
0.0
|
1.00
|
-
|
M3
|
Volt.
|
10990
|
9805
|
-1185.0
|
0.89
|
-
|
Curr.
|
1.497
|
184.5
|
183.0
|
123.25
|
OCR
|
Freq.
|
50
|
50
|
0.0
|
1.00
|
-
|
M4
|
Volt.
|
399.4
|
292.8
|
-106.6
|
0.73
|
UVR
|
Curr.
|
42.77
|
9791
|
9748.2
|
228.92
|
OCR
|
Freq.
|
50
|
50
|
0.0
|
1.00
|
-
|
On-grid에서 각 지점별 고장 위치에 따라 적용 가능한 계전요소들은 표 5와 같다. M1 지점에서는 A, B, C 모든 고장에 대해서 과전류 지락 계전기를 통하여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M2 지점에서는 A, B, C 고장에
대하여, 단독으로는 모든 고장을 검출할 수 없다. 특히 변압기 2차측인 C 지점 고장에 대해서는 변압기를 통한 전기적 구분이 이루어져 고장 검출이
어렵다. M3 지점에서는 A, B, C 모든 고장에 대해서 과전류 지락 계전기를 통하여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M4 지점에서는 A, B, C 모든
고장에 대해서 과전류 지락 계전기를 통하여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표 5 on-grid 상태에서 M1~M4 지점에서 고장 A, B, C 발생시 전압, 전류, 주파수를 통한 고장 발생 확인 가능 여부
Table 5 Availability to check the occurrence of faults through voltage, current, and
frequency when faults A, B, and C occur at point M1~M4 in the on-grid state
Point
|
Realy element
|
Fault A
|
Fault B
|
Fault C
|
M1
|
Voltage
|
O
|
O
|
X
|
Current
|
O
|
O
|
O
|
Frequency
|
O
|
X
|
X
|
M2
|
Voltage
|
O
|
O
|
X
|
Current
|
X
|
O
|
X
|
Frequency
|
O
|
X
|
X
|
M3
|
Voltage
|
O
|
O
|
X
|
Current
|
O
|
O
|
O
|
Frequency
|
O
|
X
|
X
|
M4
|
Voltage
|
X
|
X
|
O
|
Current
|
O
|
O
|
O
|
Frequency
|
X
|
X
|
X
|
On-grid의 경우 과전류 지락 계전기를 통하여 A, B, C 고장에 대하여 검출이 가능하며, 이를 위하여 과전류 지락 계전기(50/51N)를 M1,
M3, M4 지점에 설치하여야 한다.
Off-grid에서 고장A 발생시 각 지점에서의 결과값들은 표 6와 같다. M1 지점에서는 전압, 전류, 주파수 계전요소가 동작하였다. M2~M4 지점에서는 반응하지 않았다. Off-grid 상태로 M1 지점과
M3 지점 사이의 스위치가 개방되어 독립적인 계통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A 지점 지락발생시 인근으로 파급하는 효과는 미비하였다.
표 6 off-grid 상태에서 고장A 의 경우 M1~M4 측정 위치에서 전압, 전류, 주파수의 측정값, 변화율, 적용가능 계전요소
Table 6 In the case of fault A in off-grid state, measured values and rate of change
of electrical state (voltage, current, frequency) at M1~M4 measurement points, applicable
relay elements
Division
|
Measurement
|
Analysis
|
Steady state
|
Fault A
|
Deviation
|
Ratio[p.u.]
|
Relay
|
M1
|
Volt.
|
11000
|
6342
|
-4658.0
|
0.58
|
UVR
|
Curr.
|
0.006389
|
1005
|
1005.0
|
157301.61
|
OCR
|
Freq.
|
50
|
49.209
|
-0.8
|
0.98
|
FR
|
M2
|
Volt.
|
10940
|
10930
|
-10.0
|
1.00
|
-
|
Curr.
|
5.224
|
5.225
|
0.0
|
1.00
|
-
|
Freq.
|
50
|
50
|
0.0
|
1.00
|
-
|
M3
|
Volt.
|
10940
|
10940
|
0.0
|
1.00
|
-
|
Curr.
|
5.225
|
5.23
|
0.0
|
1.00
|
-
|
Freq.
|
50
|
50
|
0.0
|
1.00
|
-
|
M4
|
Volt.
|
397.7
|
397.7
|
0.0
|
1.00
|
-
|
Curr.
|
145.8
|
146
|
0.2
|
1.00
|
-
|
Freq.
|
50
|
50
|
0.0
|
1.00
|
|
Off-grid에서 고장B 발생시 각 지점에서의 결과값들은 표 7과 같다. M2, M3 지점에서 전압과 전류 계전요소가 동작하였다. M4 지점에서는 전류 계전요소만 동작하였다.
표 7 off-grid 상태에서 고장B 의 경우 M1~M4 측정 위치에서 전압, 전류, 주파수 변화 측정값, 변화율, 적용가능 계전요소
Table 7 In case of fault B in off-grid state, voltage, current, and frequency change
measured values, rate of change, and applicable relay elements at M1 to M4 measurement
locations
Division
|
Measurement
|
Analysis
|
Steady state
|
Fault B
|
Deviation
|
Ratio[p.u.]
|
Relay
|
M1
|
Volt.
|
11000
|
11000
|
0.0
|
1.00
|
-
|
Curr.
|
0.006389
|
0.0127
|
0.0
|
1.99
|
-
|
Freq.
|
50
|
50
|
0.0
|
1.00
|
-
|
M2
|
Volt.
|
10940
|
6279
|
-4661.0
|
0.57
|
UVR
|
Curr.
|
5.224
|
429.4
|
424.2
|
82.20
|
OCR
|
Freq.
|
50
|
50
|
0.0
|
1.00
|
-
|
M3
|
Volt.
|
10940
|
6277
|
-4663.0
|
0.57
|
UVR
|
Curr.
|
5.225
|
429.4
|
424.2
|
82.18
|
OCR
|
Freq.
|
50
|
50
|
0.0
|
1.00
|
-
|
M4
|
Volt.
|
397.7
|
353.6
|
-44.1
|
0.89
|
-
|
Curr.
|
145.8
|
11220
|
11074.2
|
76.95
|
OCR
|
Freq.
|
50
|
50
|
0.0
|
1.00
|
-
|
Off-grid에서 고장C 발생시 각 지점에서의 결과값들은 표 8과 같다. M2, M3, M4 지점에서 전압 계전요소가 동작하였다. M4 지점에서는 주파수 계전요소도 동작하였다.
표 8 off-grid 상태에서 고장C 의 경우 M1~M4 측정 위치에서 전압, 전류, 주파수의 측정값, 변화율, 적용가능 계전요소
Table 8 In case of fault C in off-grid state, voltage, current, and frequency change
measured values, rate of change, and applicable relay elements at M1 to M4 measurement
locations
Division
|
Measurement
|
Analysis
|
Steady state
|
Fault C
|
Deviation
|
Ratio[p.u.]
|
Relay
|
M1
|
Volt.
|
11000
|
11000
|
0.0
|
1.00
|
-
|
Curr.
|
0.006389
|
0.09455
|
0.1
|
14.80
|
-
|
Freq.
|
50
|
50
|
0.0
|
1.00
|
-
|
M2
|
Volt.
|
10940
|
7734
|
-3206.0
|
0.71
|
UVR
|
Curr.
|
5.224
|
2.885
|
-2.3
|
0.55
|
-
|
Freq.
|
50
|
50
|
0.0
|
1.00
|
-
|
M3
|
Volt.
|
10940
|
7734
|
-3206.0
|
0.71
|
UVR
|
Curr.
|
5.225
|
2.883
|
-2.3
|
0.55
|
-
|
Freq.
|
50
|
50
|
0.0
|
1.00
|
-
|
M4
|
Volt.
|
397.7
|
281.2
|
-116.5
|
0.71
|
UVR
|
Curr.
|
145.8
|
11030
|
10884.2
|
75.65
|
OCR
|
Freq.
|
50
|
50
|
0.0
|
1.00
|
-
|
Off-grid에서 각 지점별 고장 위치에 따라 적용 가능한 계전요소들은 표 9와 같다. M1 지점에서는 고장A에 대해서는 모든 계전요소들로 고장 검출이 가능하지만 고장B와 고장C에 대해서는 검출이 불가능하다. M2 지점에서는
저전압 계전기 설치시 B,C 지점에서의 고정을 검출할 수 없다. M3 지점에서는 저전압 계전기 설치시 B,C 에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M4
지점에서는 과전류 지락 계전기 설치시 B,C 지점에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표 9 off-grid 상태에서 M1~M4 지점에서 고장 A, B, C 발생시 전압, 전류, 주파수 통한 고장 발생 확인 가능 여부
Table 9 Availability to check the occurrence of faults through voltage, current, and
frequency when faults A, B, and C occur at point M1~M4 in the off-grid state
Point
|
Realy element
|
Fault A
|
Fault B
|
Fault C
|
M1
|
Voltage
|
O
|
X
|
X
|
Current
|
O
|
X
|
X
|
Frequency
|
O
|
X
|
X
|
M2
|
Voltage
|
X
|
O
|
O
|
Current
|
X
|
O
|
X
|
Frequency
|
X
|
X
|
X
|
M3
|
Voltage
|
X
|
O
|
O
|
Current
|
X
|
O
|
X
|
Frequency
|
X
|
X
|
X
|
M4
|
Voltage
|
X
|
X
|
O
|
Current
|
X
|
O
|
O
|
Frequency
|
X
|
X
|
X
|
Off-grid의 경우 중앙급전 구간의 고장과 분산전원 구간의 고장을 구분하여야 한다. 분산전원 구간의 고장발생시, M2와 M3 지점에 설치시 저전압
계전기(27)를 M4 지점에 설치시 과전류 지락 계전기(50/51N 인)를 설치하여야 한다.
표 10은 계통연계운전/독립운전에서 고장 발생시 측정위치에 따른 유효한 측정요소 구분을 한 것이다. on-grid 의 경우 모든 고장에 대해 M1, M3,
M4 지점에 과전류 지락 계전기 설치를 통하여 검출이 가능하다. off-grid의 경우 중앙급전 구간의 고장은 별개로 검출하여야 하고 분산전원 구간의
고장의 경우 M2, M3 지점에 저전압 계전기 혹은 M4 지점에 과전류 지락 계전기 설치를 통하여 검출이 가능하다. 종합하여 볼 때, M4 지점에
과전류 지락 계전기 설치를 통하여 상정한 발생가능한 고장에 대하여 검출이 가능하게된다.
표 10 계통연계운전/독립운전 상태에서 M1~M4 지점에서 고장 A, B, C 발생시 전압, 전류, 주파수를 통한 고장 발생 확인 가능 여부
Table 10 In the on/off-grid state, when a fault A, B, or C occurs at points M1 to
M4, whether it is possible to check the fault occurrence through voltage, current,
and frequency
grid
|
fault
|
on
|
A
|
B
|
C
|
off
|
|
B
|
C
|
|
M1
|
M2
|
M3
|
M4
|
Voltage
|
O
|
O
|
X
|
O
|
O
|
X
|
O
|
O
|
X
|
X
|
X
|
O
|
|
X
|
X
|
|
O
|
O
|
|
O
|
O
|
|
X
|
O
|
Current
|
O
|
O
|
O
|
X
|
O
|
X
|
O
|
O
|
O
|
O
|
O
|
O
|
|
X
|
X
|
|
O
|
X
|
|
O
|
X
|
|
O
|
O
|
Frequency
|
O
|
X
|
X
|
O
|
X
|
X
|
O
|
X
|
X
|
X
|
X
|
X
|
|
X
|
X
|
|
X
|
X
|
|
X
|
X
|
|
X
|
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