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Korea)
  2. (Propulsion System Lab,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DC-DC Converter, Partial Power Processing, Fractional Power Processing, Hydrogen Fuel Cell Locomotive, DAB Converter

1. 서 론

최근 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내연기관에서 친환경 에너지 기반 운송수단의 기술 개발 및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1). 수소 연료 전지 기관차는 수소 연료 전지의 발전 에너지를 추진 인버터와 배터리에 전달하기 위해 DC-DC 컨버터가 필수적이다. 기존의 수소 연료 전지 기관차에 사용되는 DC-DC 컨버터는 Full Power Processing (FPP) 기반의 Full Power DC-DC Converter (FPC)를 사용한다. FPC는 안정적인 전력변환을 위해 전체 시스템 전력 크기보다 큰 용량으로 설계해야 하므로 전력밀도가 낮다. 또한 FPC는 컨버터 내부의 모든 수동소자와 전력반도체 소자가 시스템 입력 전력 전체에 대한 전압과 전류 스트레스를 견뎌야 한다. 높은 전압 및 전류 스트레스는 각 소자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결과적으로 더 큰 용량의 소자를 요구하게 되어 시스템의 부피 및 무게가 증가한다. 또한 컨버터 입력의 모든 전력이 전력변환장치에서 변환되기 때문에 전력변환 시 큰 손실전력이 발생하고, 이는 전체 시스템 효율을 감소시킨다 (2),(4).

그림. 1. DC-DC 컨버터의 전력 처리 방식 (a) FPP. (b) PPP.

Fig. 1. Power Processing Method of DC-DC Converter (a) FPP, (b) PPP.

../../Resources/kiee/KIEE.2023.72.9.1057/fig1.png

FPC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Partial Power Processing (PPP) 기반의 DC-DC 컨버터가 제안되었으며 (5), 그림 1은 DC-DC 컨버터의 FPP 방식과 PPP 방식의 전력 흐름도를 나타낸다. FPP는 그림 1(a)와 같이 DC-DC 컨버터의 모든 입력 전력을 전력변환장치에서 변환하여 출력으로 전달하는 전력처리기법이다. 그러나 PPP는 그림 1(b)와 같이, 입력 전력의 일부는 전력변환장치에 인가되고, 나머지는 Bypass 회로를 통해

그림. 2. PPC 아키텍처 (a) IPOS set-up, (b) ISOP(Ⅰ) set-up, (c) ISOP(Ⅱ) set-up, (d) ISOP set-down, (e) IPOS(Ⅰ) set-down, (f) IPOS(Ⅱ) set-down.

Fig. 2. PPC Architectures (a) IPOS set-up, (b) ISOP(Ⅰ) set-up, (c) ISOP(Ⅱ) set-up, (d) ISOP set-down, (e) IPOS(Ⅰ) set-down, (f) IPOS(Ⅱ) set-down.

../../Resources/kiee/KIEE.2023.72.9.1057/fig2.png

전력변환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한다. 따라서 PPP는 내부 전력변환장치에서 변환하는 전력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전력처리기법이다.

PPP는 PhotoVoltaics (PV), Energy Storage System (ESS),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등의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하며 (6)-(9), 사용 목적에 따라 Differential Power Converters (DPC)와 Partial Power Converter (PPC)로 나눌 수 있다. DPC는 ESS나 PV 시스템과 같이 하나의 컨버터 입력에서 출력하는 전력이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셀로 분산되어 흐르는 구조에서 각 셀 사이의 전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DC-DC 컨버터이다. 이때 컨버터는 컨버터 입력과 셀 또는 셀과 셀 사이에 흐르는 전체 전력을 처리하는 역할이 아니므로, PPC 보다 컨버터의 용량 및 크기가 작다. PPC는 컨버터 입력과 부하 사이에 흐르는 전력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DC-DC 컨버터이다. PPC의 내부에는 전력변환장치와 입력 전력의 일부가 출력으로 Bypass하는 DC-bus가 존재하여, 전력변환장치는 전체 시스템의 전력 중 일부만을 변환한다 (10)-(12).

PPC는 FPC와 출력 전력의 크기는 동일하지만 컨버터 내부 전력변환장치에 인가되는 전력의 크기가 감소한다. 따라서 FPC보다 작은 용량의 전력변환장치를 설계할 수 있다. 이는 전력변환장치 및 전체 DC-DC 컨버터의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키며 전력반도체소자의 전도 손실 및 스위칭 손실의 크기가 감소하기 때문에, 시스템 효율이 증가한다 (13),(14).

본 논문에서는 200kW 수소 연료 전지 기관차용 DC-DC 컨버터로 PPP 기반의 고효율 PPC를 설계하고, FPC와 비교를 통해 성능을 검증한다. 이때 PPC와 FPC는 표 1에 명시된 수소 연료 전지 기관차용 DC-DC 컨버터의 입출력 전압 및 정격 전력에 대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설계한다. PPC의 다양한 아키텍처들을 분석 및 비교하여 최적의 아키텍처를 선정하고, PPC의 내부 전력변환장치에 사용할 DC-DC 컨버터 토폴로지를 선정한다. PPC와 FPC를 비교하기 위해 전력변환장치 내부의 전력반도체소자의 최대 내압 및 최대 허용 전류 조건을 기반으로 전력반도체소자를 선정하여 크기 및 부피를 비교한다. 또한 PSIM 손실분석 시뮬레이션 결과와 1.13kW 축소형 실험 결과를 통해 PPC와 FPC의 전력변환효율을 비교함으로써 PPC의 성능을 검증한다.

표 1. 200kW 수소 연료 전지 기관차용 DC-DC 컨버터 파라미터.

Table 1. Parameters of 200kW DC-DC Converter for Hydrogen Fuel Cell ocomotive.

DC-DC 컨버터 출력 전력 ($P_{out}$)

200kW

DC-DC 컨버터 입력 전압 ($V_{in}$)

750V

DC-DC 컨버터 출력 전압 ($V_{out}$)

1260V~1750V

2. 200kW 수소 연료 전지 기관차용 Partial Power DC-DC 컨버터 설계 및 검증

2.1 PPC Architectures

PPC의 아키텍처는 그림 2와 같이 총 6개의 아키텍처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PPC 입력 ($V_{in}$)과 전력변환장치의 입력 ($V_{cin}$), 그리고 PPC 출력 ($V_{out}$)과 전력변환장치의 출력 ($V_{cout}$) 간의 연결관계와 PPC의 입출력 전압이득 $G_{V}(=V_{out}/V_{i n})$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15). 그림 2에 나타낸 Input-Parallel-Output- eries (IPOS) set-up 아키텍처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PPC 아키텍처로서, $V_{in}$과 $V_{cin}$이 병렬로 연결되고, $V_{out}$과 $V_{cout}$이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V_{in}$이 $V_{cout}$과 직렬로 연결되기 때문에, $V_{out}$은 항상 $V_{in}$보다 크다. IPOS set-up 아키텍처의 $V_{out}$, PPC 입력 전류 ($I_{i n}$) 및 전력변환효율 ($\eta_{PPC}$)은 다음과 같다.

표 2. PPC 아키텍처에 따른 전력변환장치 전력 처리 비율.

Table 2. Processed power ratio according to PPC Architectures.

PPC Architectures

$K_{pr}$

IPOS set-up

$\eta_{PPC}-\dfrac{\eta_{PPC}}{G_{V}}$

ISOP(Ⅰ) set-up

$\eta_{PPC}-G_{V}$

ISOP(Ⅱ) set-up

$G_{V}-\eta_{PPC}$

ISOP set-down

$\eta_{PPC}-G_{V}$

IPOS(Ⅰ) set-down

$\eta_{PPC}-\dfrac{\eta_{PPC}}{G_{V}}$

IPOS(Ⅱ) set-down

$\dfrac{\eta_{PPC}}{G_{V}}-\eta_{PPC}$

(1)
$V_{out}=V_{i n}+V_{cout}$,

(2)
$I_{i n}=I_{c,i n}+I_{out}$,

(3)
$\eta_{PPC}=\dfrac{V_{out}I_{out}}{V_{in}I_{i n}}$.

식 (1)~(3)에서 $I_{c,i n}$, $I_{out}$은 각각 전력변환장치 입력 전류, PPC 출력 전류를 의미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Input- Series-Output-Parallel (ISOP)(Ⅰ) set-up과 ISOP(Ⅱ) set-up 모두 IPOS set-up 아키텍처와 동일하게 PPC 출력 전압을 승압시킨다. 그러나 ISOP(Ⅰ) set-up과 ISOP(Ⅱ) set-up 아키텍처는 PPC 입력과 전력변환장치 입력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전력변환장치 출력과 PPC 출력이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때, 두 아키텍처의 회로 구조는 동일하지만 전력변환장치에 흐르는 전력의 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그림 2(c),(d),(f)는 감압형 아키텍처로, 각각 그림 2(a),(b),(c)와 동일한 구조이지만 PPC 입력과 출력이 반대이다.

그림 2(a),(b),(c)의 아키텍처들과 그림 2(c),(d),(f)의 아키텍처들은 각각 $G_{V}$가 1보다 크거나 작다는 측면에서 동일한 성질을 갖고 있지만, PPC에서 처리하는 전력 대비 내부 전력변환장치에서 처리하는 전력의 크기는 서로 다르다. PPC 내부 전력변환장치에서 작은 크기의 전력을 전달 할 수록 PPC의 성능이 극대화되기 때문에, 최적의 PPC를 설계하기 위해 PPC 처리 전력 대비 내부 전력변환장치의 전력처리비율($K_{pr}$)을 계산해야 하며 다음과 같다 (16),(17).

(4)
$K_{pr}=\dfrac{P_{cout}}{P_{i n}}=\dfrac{V_{cout}I_{cout}}{V_{i n}I_{i n}}.$

이때, $I_{cout}$은 전력변환장치의 출력 전력을 의미한다. 식 (4)를 이용하여 PPC 아키텍처별 $K_{pr}$을 도출할 수 있고, IPOS set-up 아키텍처의 $K_{pr}$은 다음과 같이 PPC의 $\eta_{PPC}$와 $G_{V}$으로 나타낼 수 있다.

(5)
$K_{pr}=\dfrac{V_{out}I_{out}}{V_{i n}I_{i n}}-\dfrac{V_{i n}I_{out}}{V_{i n}I_{i n}}=\eta_{PPC}-\dfrac{\eta_{PPC}}{G_{V}}.$

그림. 3. 전압 이득에 따른 전력처리비율

Fig. 3. Processed power ratio ($K_{pr}$) according to System Voltage gain ($G_{V}$).

../../Resources/kiee/KIEE.2023.72.9.1057/fig3.png

그림. 4. 양방향 DC-DC 컨버터 토폴로지 (a) DAB Converter, (b) Resonant CLLC Converter

Fig. 4. Topologies of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a) DAB Converter, (b) Resonant CLLC Converter.

../../Resources/kiee/KIEE.2023.72.9.1057/fig4.png

식 (5)와 마찬가지로 나머지의 아키텍처에 관한 $K_{pr}$은 표 2에 명시되어 있다. 이때, $\eta_{PPC}$를 1로 가정한다면 PPC 아키텍처별 $K_{pr}$을 그림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3을 통해, 승압형 아키텍처에서 IPOS set-up 아키텍처가 동일한 $G_{V}$에서 $K_{pr}$의 절대 크기가 가장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동일한 $G_{V}$를 갖는 시스템에서 내부 전력변환장치에서 전달하는 전력이 가장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IPOS set-up 아키텍처는 $\eta_{PPC}$가 1인 이상적인 경우, 무한대에 가까운 $G_{V}$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ISOP(Ⅰ) set-up과 ISOP(Ⅱ) set-up 아키텍처를 사용할 경우 $G_{V}$가 2일 때 $K_{pr}$이 1로 제한된다. 이는 내부 전력변환장치에서 시스템의 모든 전력을 전달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두 아키텍처의 경우 $G_{V}$가 2 이하인 시스템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감압형 아키텍처의 경우, ISOP set-down 아키텍처가 동일한 $G_{V}$에서 $K_{pr}$의 절대 크기가 가장 작게 나타난다. 또한, IPOS(Ⅰ) set-down과 IPOS(Ⅱ) set-down 아키텍처에서 $G_{V}$가 0.5 일 때 $K_{pr}$이 1로 제한되지만, ISOP set-down 아키텍처의 경우 $G_{V}$가 0인 시스템까지 구현할 수 있다.

표 1에 따라 200kW 수소 연료 전지 기관차용 DC-DC 컨버터는 입력 750V 출력 1260~1750V의 승압형 컨버터가 요구된다. 따라서 최적의 PPC를 설계하기 위해, 승압형 아키텍처 중, 동일한 $G_{V}$에서 $K_{pr}$이 가장 작은 IPOS set-up 아키텍처를 선정한다.

그림. 5. DAB 컨버터 동작원리

Fig. 5. Theoretical waveforms of the DAB Converter.

../../Resources/kiee/KIEE.2023.72.9.1057/fig5.png

그림. 6. 200kW DC-DC 컨버터 시스템. (a) PPC, (b) FPC

Fig. 6. System of 200kW DC-DC Converter (a) PPC, (b) FPC

../../Resources/kiee/KIEE.2023.72.9.1057/fig6.png

2.2 DC-DC Converter Topology

본 절에서는 수소 연료 전지 기관차용 PPC를 설계하기 위해 내부 전력변환장치 토폴로지를 선정한다. 수소 연료 전지 기관차에는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회생제동과 같은 운전 프로파일이 적용된다 (18). 이때, DC-DC 컨버터는 구동모터의 회생제동 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배터리에 전달하기 위해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DC-DC 컨버터를 사용한다.

2.1절에서 선정한 IPOS-setup 아키텍처를 비롯한 모든 PPC는 $V_{c,in}$과 $V_{cout}$이 DC-bus를 통해 연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내부 전력변환장치의 단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절연형 DC-DC 컨버터를 사용하여 $V_{c,in}$과 $V_{cout}$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킨다. 대용량 전력 전달이 가능하고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한 절연형 DC-DC 컨버터는 Dual Active Bridge (DAB) 컨버터와 공진형 CLLC 컨버터가 대표적이다.

표 3. PPC 및 FPC 내부 DAB 컨버터 파라미터.

Table 3. Parameters of DAB Converter of PPC and FPC.

Parameter

Symbol

PPC

FPC

DAB 컨버터 용량

$P_{cout}$

81kW~

115kW

200kW

DAB 컨버터 입력 전압

$V_{i n}$

750V

DAB 컨버터 출력 전압

$V_{cout}$

510V~ 1000V

1260V~ 1750V

변압기 권선비

n

1

0.5

변압기 누설 인덕턴스

$L_{l e ak}$

26.37μH

13.18μH

H-Bridge 위상차

$\phi$

0.79rad

스위칭 주파수

$f_{sw}$

20kHz

표 4. 전력반도체소자에 흐르는 전류 실효값 크기

Table 4. Magnitude of RMS current of semiconductor devices.

Converter

1260V

1500V

1750V

PPC

132A

115A

120A

FPC

1차

278A

230A

210A

2차

139A

115A

105A

DAB 컨버터와 공진형 CLLC 컨버터의 토폴로지는 그림 4와 같다. (19)에서, DAB 컨버터는 공진형 CLLC 컨버터보다

손실전력이 크다. 그러나, DAB 컨버터는 공진형 CLLC 컨버터보다 필요한 수동소자의 개수가 적고, 출력 커패시터 전압 리플이 작다. 이는 컨버터의 부피 및 무게의 감소와 출력 커패시터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DAB 컨버터를 사용하여 PPC를 설계한다.

DAB 컨버터는 2개의 H-Bridge, 고주파 변압기와 변압기의 내부 누설 인덕턴스만을 이용하여 양방향 전력 전달이 가능하므로, 적은 소자를 이용하여 컨버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1차 측 H-Bridge 선간 전압 ($u_{1}$)과 2차 측 H-Bridge 선간전압 ($u_{2}$)의 위상 차이($\phi$)를 이용하는 위상 천이 제어 기반의 간단한 전력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DAB 컨버터의 동작 원리는 그림 5를 통해 알 수 있다. 이때, $u_{1}$과 $u_{2}$는 각각 0.5 듀티 비 ($D$)의 구형파를 출력한다. 만약, $u_{1}$의 위상이 $u_{2}$보다 앞선다면 정방향 전력 전달을, $u_{2}$의 위상이 $u_{1}$보다 앞선다면 역방향 전력 전달을 수행한다. 변압기 권선비 (n)를 고려한 전압이득 $G_{V,DAB}$가 1일 경우 DAB 컨버터의 전력 전달식은 다음과 같다 (20).

(6)
$G_{V,DAB}=\dfrac{n V_{out}}{V_{in}}$,

(7)
$P_{out}=\dfrac{n V_{in}V_{out}}{2\pi^{2}L_{Leak}f_{sw}}\phi(\pi -\phi)$.

식 (7)에서 $f_{sw}$, $L_{l e a k}$는 DAB 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와 변압기 누설 인덕턴스를 의미한다. 또한, $G_{V,DAB}=1$일 때, 전부하 영역에서 Zero Voltage Switching (ZVS) 동작을 달성한다. 이는 DAB 컨버터의 모든 전력반도체소자가 영전압에서 턴 온 되어 스위칭 손실이 발생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그림. 7. PPC 및 FPC의 정상상태 시뮬레이션 파형 (a) PPC $V_{out}=1260V$, (b) PPC $V_{out}=1500V$, (c) PPC $V_{out}=1750V$, (d) FPC $V_{out}=1260V$, (e) FPC $V_{out}=1500V$, (f) FPC $V_{out}=1750V$.

Fig. 7. Simulation waveforms of PPC and FPC (a) PPC $V_{out}=1260V$, (b) PPC $V_{out}=1500V$, (c) PPC $V_{out}=1750V$, (d) FPC $V_{out}=1260V$, (e) FPC $V_{out}=1500V$, (f) FPC $V_{out}=1750V$.

../../Resources/kiee/KIEE.2023.72.9.1057/fig7.png

표 5. DAB 컨버터 내부 전력반도체소자 특성.

Table 5. Specifications of power semiconductor for DAB Converter.

Converter

Model

Manufacturer

Drain-Source Voltage

Continuous Drain Current

PPC

1차

FMF300BXZ-24B

Mitsubishi

1200V

300A ($T_{c}=65^{\circ}$C)

2차

CAS300M17BM2

Wolfspeed

1700V

225A ($T_{c}=90^{\circ}$C)

FPC

1차

CAS480M12HM3

Wolfspeed

1200V

481A ($T_{c}=90^{\circ}$C)

2차

MSM600GS33ALT

Hitachi

3300V

600A ($T_{c}=25^{\circ}$C)

DAB 컨버터를 이용하여 PPC 및 FPC를 구성하면 그림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PPC 아키텍처는 IPOS set-up 아키텍처를 사용한다.

2.3 Power Ratings of Semiconductor Devices

본 절에서는 2.1절 및 2.2절에서 선정한 IPOS set-up 아키텍처와 DAB 컨버터 토폴로지를 기반으로 PPC와 FPC의 전력반도체소자를 선정한다. 전력반도체소자는 각 컨버터가 정격 전력을 출력할 때, 전력반도체소자가 견뎌야 하는 최대 내압과 흐르는 전류 크기를 이용하여 제품을 선정하고 정격특성을 비교한다. 표 1의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PPC 및 FPC 내부에 적용할 DAB 컨버터의 파라미터를 설계하면 표 3과 같다. 표 3을 통해, FPC의 DAB 컨버터는 모든 출력 전압 조건에서 200kW의 전력을 모두 변환하지만, PPC의 DAB 컨버터는 변환하는 전력의 크기가 변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DAB 컨버터가 전달하는 전력의 크기는 다음 수식을 통해 도출할 수 있다.

(8)
$P_{out}=V_{out}I_{out}=P_{cout}+P_{Bypass}$,

(9)
$\dfrac{P_{cout}}{P_{out}}=\dfrac{V_{cout}I_{out}}{V_{out}I_{out}}=\dfrac{V_{cout}}{V_{out}}=1-\dfrac{V_{i n}}{V_{out}}$.

그림. 8. DAB 컨버터의 출력 전압 제어 블록도

Fig. 8. Block diagram of DAB Converter’s Output Voltage Control

../../Resources/kiee/KIEE.2023.72.9.1057/fig8.png

그림. 9. PPC 및 FPC의 전력변환효율

Fig. 9.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PPC and FPC

../../Resources/kiee/KIEE.2023.72.9.1057/fig9.png

표 6. PPC의 손실전력 크기

Table 6. Magnitude of power losses of PPC

$V_{out}$

1차 측 H-Bridge

2차 측 H-Bridge

$P_{Loss,con}$

$P_{Loss,sw}$

$P_{Loss,con}$

$P_{Loss,sw}$

1260V

411W

384W

461W

84W

1500V

316W

194W

396W

228W

1750V

337W

56W

456W

571W

표 7. FPC의 손실전력 크기

Table 7. Magnitude of power losses of FPC

$V_{out}$

1차 측 H-Bridge

2차 측 H-Bridge

$P_{Loss,con}$

$P_{Loss,sw}$

$P_{Loss,con}$

$P_{Loss,sw}$

1260V

1102W

782W

483W

2702W

1500V

760W

475W

351W

3053W

1750V

626W

242W

310W

4225W

식 (8),(9)에서 $P_{cout}$, $P_{Bypass}$는 각각 PPC 내부 DAB 컨버터에서 변환되는 전력의 크기와 DAB 컨버터를 거치지 않고, 바로 PPC 출력으로 이동하는 전력의 크기를 나타낸다. 또한, 식 (9)을 통해 $P_{cout}$은 $P_{out}$이 일정할 경우, $V_{out}$과 $V_{cout}$의 관계로 조절 가능하고, $V_{in}$대비 $V_{out}$이 작을수록 내부 전력변환장치에서 전달하는 전력의 크기가 감소하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표 4는 PSIM 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하여 도출한 PPC 및 FPC의 출력 전압별 전력반도체소자에 흐르는 전류 실효값의 크기이다. 이때 PPC 및 FPC는 손실전력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적인 상황을 가정한다. 표 3표 4를 이용하여 PPC 및

FPC의 전력반도체소자의 최대 내압 및 최대 전류 크기를 알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적절한 크기의 내압 및 전류 크기를 갖는 전력반도체소자를 선정한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전력반도체소자는 높은 내압과 큰 허용 전류 특성을 가지고, 적은 스위칭 손실 및 전도 손실이 발생하는 SiC MOSFET 제품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선정된 SiC MOSFET 제품의 정격 전압 및 최대 허용 전류 크기는 DAB 컨버터의 과도상태 및 경부하 조건을 고려하여 표 3표 4의 최대 전압 및 최대 전류 크기보다 크게 선정하였다.

그림. 10. PPC 및 FPC 축소형 실험세트

Fig. 10. Down-Sized experiment set of PPC and FPC

../../Resources/kiee/KIEE.2023.72.9.1057/fig10.png

표 8. 1.13kW 축소형 실험세트의 내부 전력반도체 소자 특성

Table 8. Specifications of power semiconductor of 1.13kW down-sized experiment set

Model

B2M008075HK

Manufacturer

BASiC Semiconductor

Drain-Source Voltage

750V

Continuous Drain Current

92A ($T_{c}=100^{\circ}$C)

표 5를 통하여 동일한 출력 전력에서 FPC보다 PPC를 설계하는 것이 더 작은 내압과 작은 허용 전류 크기를 갖는 전력반도체소자를 선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컨버터를 제작할 때 전력반도체소자를 선정할 때 유리하고, DC-DC 컨버터의 설계 가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작은 정격 전압 및 전류 크기를 갖는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DC-DC 컨버터 전체 크기 및 부피를 줄일 수 있다.

2.4 Efficiency of System and Power Converter

본 절에서는 DAB 컨버터가 포함된 PPC 및 FPC의 전력변환 시 발생하는 손실전력을 측정하고 전력변환효율을 계산하여 비교한다. PPC 및 FPC 토폴로지는 그림 6과 동일하며 표 5에서 선정한 SiC MOSFET을 이용하여 DAB 컨버터를 구성한다. 이때 PPC 및 FPC는 전력반도체소자의 전도 손실 및 스

그림. 11. PPC 및 FPC의 정상상태 실험 파형 (a) PPC, (b) FPC

Fig. 11. Experiment waveforms of PPC and FPC (a) PPC, (b) FPC

../../Resources/kiee/KIEE.2023.72.9.1057/fig11.png

위칭 손실을 제외한 변압기 손실, 동손 등의 손실전력은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표 1의 파라미터 기반의 PPC 및

FPC의 DAB 컨버터 출력 전압 제어 시 정상상태 파형은 그림 7과 같으며, 각 DAB 컨버터는 그림 8의 제어 블록도를 통해 $V_{cout}$을 제어한다. 이 때, $v_{L_{leak}}$, $i_{L1}$, $i_{L2}$, $i_{cout}$는 각각 누설 인덕터 전압, 1차 측 및 2차 측 변압기 전류, 2차 측 커패시터 전류를 의미한다. 또한, 그림 8에서 PI 제어기의 출력은 1차 측과 2차 측 선간전압 $u_{1}, u_{2}$의 위상차 $\phi$이다.

PSIM Thermal 모듈을 이용하여 계산한 정상상태에서 PPC와 FPC의 손실전력 크기는 표 6표 7와 같다. 표 7을 통해, FPC의 DAB 컨버터 2차 측 H-Bridge에서 큰 스위칭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2차 측 H-Bridge에 적용하는 Hitachi사의 MSM600GS33ALT는 역병렬 다이오드로 쇼트키 다이오드가 사용되지 않는 제품이기 때문에, 다른 소자보다 높은 스위칭 손실전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표 6표 7을 통해 모든 출력 전압 조건에서 PPC의 손실전력이 FPC보다 작음을 검증하였다.

그림 9는 $V_{out}$에 따른 PPC 입출력 및 DAB 컨버터의 전력변환효율과, FPC의 입출력 전력변환효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V_{out}=1260V$일 때 FPC 보다 PPC의 손실전력 감소량이 26.5%로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V_{out}$ 및 $V_{cout}$이 작을수록 PPC 내부 DAB 컨버터에서는 더 작은 전력을 변환하기 때문이다. 또한, $V_{out}=1500V$일 때 PPC 효율이 99.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표 3의 DAB 컨버터의 n 및 $L_{"Le ak"}$를 $V_{out}=1500V$ 조건으로 설계했기 때문이다.

그림. 12. PPC 및 FPC의 정상상태 실험 파형 (a) PPC, (b) FPC

Fig. 12. Experiment waveforms of PPC and FPC (a) PPC, (b) FPC

../../Resources/kiee/KIEE.2023.72.9.1057/fig12.png

표 9. 축소형 PPC 및 FPC 파라미터

Table 9. Down-sized parameters of PPC and FPC

Parameter

Symbol

PPC

FPC

DAB 컨버터 용량

$P_{cout}$

0.56kW

1.13kW

DAB 컨버터 입력 전압

$V_{i n}$

130V

DAB 컨버터 출력 전압

$V_{cout}$

130V

260V

변압기 권선비

n

1

0.5

변압기 누설 인덕턴스

$L_{l e ak}$

56.25μH

28.13μH

H-Bridge 위상차

$\phi$

0.79rad

스위칭 주파수

$f_{sw}$

50kHz

그림 10은 PPC의 성능을 실제 상황에서 검증하기 위한 1.13kW 축소형 실험세트이다. PPC 축소형 실험세트 내부의 전력반도체소자의 특성은 표 8과 같다. PPC의 내부 DAB 컨버터의 출력 전력 및 출력전압 제어를 위해 DSP TMS320F28388D를 사용하였다. PPC 구동 시 DC-bus에서 발생하는 동손의 크기를 무시할 경우, PPC의 내부 DAB 컨버터는 FPC와 같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PPC와 FPC의 손실전력 및 전력변환효율을 비교한다. 표 9는 축소형 실험세트 내부 DAB 컨버터의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PPC 및 FPC의 DAB 컨버터 파라미터는 식 (6),(7)을 이용하여 도출한다. 그림 11은 PPC와 FPC의 그림 8의 DAB 컨버터 출력 전압 제어 시 정상상태 동작 파형이며, 각각의 변수는 그림 7과 동일하다. 그림 12그림 11에서 전력분석기를 통해 측정한 입출력 전력변환효율 결과이다. 그림 12를 통해 FPC보다 PPC의 손실전력이 41W에서 22W로 약 46% 감소함을 검증하였다. 또한 FPC의 전력변환효율은 약 96.4%인 반면, PPC는 약 98.0%로 전력변환효율이 약 1.6% 증가함을 검증하였다.

3. Conclusion

본 논문에서는 수소 연료 전지 기관차용 DC-DC 컨버터의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키고 전력변환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PPP 방식을 사용한 PPC를 설계하기 위해 최적의 PPC 아키텍처, DC-DC 컨버터 토폴로지, 그리고 전력반도체소자를 선정하였다. 제안하는 PPC 아키텍처는 PPC가 동일한 $G_{V}$으로 동작할 때 전력변환장치가 가장 작은 전력을 변환하는 IPOS-setup 아키텍처를 선정하였고, DC-DC 컨버터 토폴로지는 양방향 전력전달이 가능하며, 적은 소자 수가 사용되고, 제어가 간단한 DAB 컨버터 토폴로지를 선정하였다. 또한 동시에 동일한 용량의 FPC를 설계하여 PPC와 손실전력 및 전력변환효율을 시뮬레이션 결과 및 축소형 실험 결과를 통해 비교함으로써 PPC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손실분석 시뮬레이션 결과, $V_{out}=1260V$일 때 FPC 보다 PPC의 전력변환효율이 약 1.8%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V_{out}$$=1500V$일 때 PPC의 효율이 약 99.4%로 가장 높게 출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축소형 실험 결과 PPC가 FPC 보다 약 1.6%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과제번호 23RS

CD-A163337-03)과 2023년도 정부(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P0017120, 2023년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S. Chakraborty, H.-N. Vu, M.M. Hasan, D.-D. Tran, M.E. Baghdadi, O. Hegazy, 2019 12, " DC-DC Converter Topologies for Electric Vehicles",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and Fast Charging Stations: State of the Art and Future Trends. EnergiesDOI
2 
J. R. R. Zientarski, M. L. d. S. Martins, J. R. Pinheiro, H. L. Hey, Sept 2018, Series-Connected Partial-Power Converters Applied to PV Systems: A Design Approach Based on Step-Up/Down Voltage Regulation Range, in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3, No. 9, pp. 7622-7633DOI
3 
N. Hassanpour, A. Chub, A. Blinov, D. Vinnikov, 2022, Comparison of Full Power and Partial Power Buck-Boost DC-DC Converters for Residential Battery Energy Storage Applications, 2022 IEEE 1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atibility Power Electronics and Power Engineering (CPE-POWERENG) Birmingham United Kingdom, pp. 1-6Google Search
4 
Kazem Varesi, Hassanpour Naser, abadi. Saeid, 2020, Novel high step‐up DC–DC converter with increased voltage gain per devices and continuous input current suitable for DC microgrid ap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ircuit Theory and Applications, Vol. 48., No. 10, pp. 1820-1837DOI
5 
M. C. Mira, Z. Zhang, A. E. Michael Andersen, 2018, Analysis and Comparison of dc/dc Topologies in Partial Power Processing Configuration for Energy Storage Systems, 2018 International Power Electronics Conference (IPEC-Niigata 2018 -ECCE Asia) Niigata Japan, pp. 1351-1357DOI
6 
M. C. Mira, Z. Zhang, K. L. Jørgensen, M. A. E. Andersen, Nov-Dec 2019, Fractional Charging Converter With High Efficiency and Low Cost for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in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55, No. 6, pp. 7461-7470DOI
7 
N. Kim, B. Parkhideh, March 2019, PV-Battery Series Inverter Architecture: A Solar Inverter for Seamless Battery Integration With Partial-Power DC–DC Optimizer, inIEEE Transactions on Energy Conversion, Vol. 34, No. 1, pp. 478-485DOI
8 
M. W. Ahmad, S. Anand, 2016, Power decoupling in solar PV system using partial power processing converter, 2016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atibility Power Electronics and Power Engineering (CPE-POWERENG) Bydgoszcz Poland, pp. 196-201Google Search
9 
V. M. Iyer, S. Gulur, G. Gohil, S. Bhattacharya, Oct 2020, An Approach Towards Extreme Fast Charging Station Power Delivery for Electric Vehicles with Partial Power Processing, in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7, No. 10, pp. 8076-8087DOI
10 
N. G. F. dos Santos, J. R. R. Zientarski, M. L. d. S. Martins, Dec 2022, A Review of Series-Connected Partial Power Converters for DC–DC Applications, inIEEE Journal of Emerging and Selected Topics in Power Electronics, Vol. 10, No. 6, pp. 7825-7838DOI
11 
N. Hassanpour, A. Blinov, A. Chub, D. Vinnikov, O. Abdel-Rahim, 2021, A Series Partial Power Converter Based on Dual Active Bridge Converter for Residential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2021 IEEE 62nd International Scientific Conference on Power and Electrical Engineering of Riga Technical University (RTUCON) Riga Latvia, pp. 1-6Google Search
12 
Pradeep Samuel Shenoy, 2012, Improving performance,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dc-dc conversion systems by differential power processing,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Google Search
13 
Fei Xue, Yu Ruiyang, Huang. Alex, 2017, Fractional converter for high efficiency high power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2017 IEEE Energy Conversion Congress and Exposition (ECCE). IEEEGoogle Search
14 
Mohammed S. Agamy, 2013, An efficient partial power processing DC/DC converter for distributed PV architecture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29, No. 2, pp. 674-686DOI
15 
Jon Anzola, 2020, Review of architectures based on partial power processing for dc-dc applications, IEEE Access 8 :, pp. 103405-103418Google Search
16 
Jonatan Zientarski, Rakoski Rafael, 2018, Evaluation of power processing in series connected partial power converters, IEEE Journal of Emerging and Selected Topics in Power Electronics, Vol. 7, No. 1, pp. 343-352DOI
17 
Huimin Zhou, Zhao Junjian, 2014, PV balancers: Concept, architectures, and realization,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0, No. 7, pp. 3479-3487DOI
18 
Dong-Hun Kang, 2020, Comparison and Analysis of Boost Converter Topologies for the DC/DC Converter in Hydrogen Fuel Cell Hybrid Railway Vehicle,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25, No. 4, pp. 269-278Google Search
19 
Ju-Il Kwak, Dongho Choi, Jin-Hyuk Park, Mar 2022, Comparison and Analysis of DAB Converter and CLLC Resonant Converter Used in Solid-State Transformer for High-Speed Railway Vehic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25, No. 3, pp. 175-183Google Search
20 
Zhichao Zhu, 2020, Start-up Procedure and Soft-starting Strategy for Dual Active Bridge Converter, 2020 IEEE 9th International Power Electronics and Motion Control Conference (IPEMC2020-ECCE Asia). IEEEGoogle Search

저자소개

방정율 (Jeong-Yul Bang)
../../Resources/kiee/KIEE.2023.72.9.1057/au1.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from Dankook University, Yongin, South Korea, in 2023.

Since 2023, he has been an M.S. student at Dankook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 includes power conversion, grid-connected systems, and multilevel inverter.

최동호 (Dongho Choi)
../../Resources/kiee/KIEE.2023.72.9.1057/au2.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Ajou University, Suwon, South Korea, in 2017 and 2019,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the Ph.D. degree with the School of Electronics and Electrical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Yongin, South Korea.

His research interest include power electric machine drives, grid-connected systems, solid- state transformer, and electric vehicle chargers.

박진혁 (Jin-Hyuk Park)
../../Resources/kiee/KIEE.2023.72.9.1057/au3.png

He received the B.S. and Ph.D. degrees in electronic engineering from Ajou University, Suwon, South Korea, in 2013 and 2018, respectively.

Since 2018, he has been with the Smart Electrical & Signaling Division Propulsion Research Team,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South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conversion and grid-connected systems.

이준석 (June-Seok Lee)
../../Resources/kiee/KIEE.2023.72.9.1057/au4.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Ajou University, Suwon, South Korea, in 2011, 2013, and 2015, respectively.

From 2015 to 2020, he was a Senior Researcher with the Propulsion System Research Team,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South Korea.

In 2020, he joined the School of Electronics and Electrical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Yongin, South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high-power electric machine drives, grid-connected systems, multilevel inverter, and reli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