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Daejeon University, Korea.)
  2. (Dept. of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Daejeon University, Korea.)



Harmonic, MOV, Nonlinear characteristic, SPD, Varistor

1. 서 론

IEC 62305-1의 표준에서 서지는 과전압 및 과전류로서 나타나는 뇌전자기임펄스 (LEMP : Lightning Electro Magnetic Pulse)에 의해 발생하는 과도현상이라고 정의한다. 건축물 및 인입선로 주변에 낙뢰가 피격될 경우 서지가 옥내에 유입될 수 있으며, 서지 유입 시 전기 · 전자기기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한다. 이로 인해 화재 및 폭발과 같은 전기재해를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손상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1).

IEC 62305-3에서는 이를 보호하기 위해 건묵출 외부와 내부에 피뢰시스템을 설치하도록 구분하고 있다. 외부 피뢰 시스템은 낙뢰를 유도하기 위해 설치하는 수뢰부와 수뢰부로부터 유입된 서지를 접지전극으로 전달하는 인하도선, 서지를 대지로 방류하기 위해 설치하는 접지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완벽하게 접지로 유도되지 못하고 잔류하는 서지가 건축물 내부에 유입되어 불꽃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처럼 외부 피뢰 시스템 또는 피보호 구조물의 도전성 부분을 통하여 흐르는 서지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전위차를 감소시키는 본딩시스템과 서지보호기 (SPD : Surge Protection Device)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내부 피뢰 시스템을 설치하여 보호하고 있다(2,3).

내부 피뢰 시스템 중 하나인 SPD는 서지를 제한하고 전환하는 비선형 소자를 최소 1개 이상 포함하는 장치로 보호하고자 하는 기기와 병렬로 연결하여 설치한다. SPD는 정상상태 시 높은 저항성을 형성하여 회로에 개방상태를 유지하지만, 서지가 유입되면 낮은 저항성을 회로에 형성하여 피보호기기에 서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접지시스템을 통해 대지로 방류하는 보호원리이다(4).

하지만 항상 사용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보호동작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장시간 운전 시 사용 전압에 의한 열화 또는 서지에 의해 발생되는 누설 전류로 인한 열화가 진행된다. 열화의 정도가 심화되어 일정 수준 이상 누적될 경우 정상적인 보호동작을 수행할 수 없으며, 보호소자로 사용되는 바리스터에서 열 폭주가 발생하고 이는 분전반 내부에서의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5,6).

바리스터의 열 폭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SPD 소자 내부에 표시등을 설치하여 점등상태를 확인하는 방법과 서지 카운터를 설치하여 서지의 유입 횟수가 기록되는 등의 여러 고장 진단 방법이 적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현장을 방문하여 점검을 필요로 하며, 서지 카운터의 경우 유입된 서지의 크기가 각기 상이하기 때문에 횟수로 판단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시된 방법들은 SPD의 소손이 발생해야지만 검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예방을 목적으로 활용하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7 - 9]. 본 연구에서는 열화로 인해 SPD에 내장된 바리스터에서 발생하는 열 폭주 현상을 예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바리스터에 가속 열화 시험을 수행하여 전압에 따른 누설 전류 및 비선형 계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고장 시 물리적 특성 변화를 확인하여 고장 진단 방법으로의 적절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2. 이론적 배경 및 실험구성

2.1 바리스터 물리적 특성

2.1.1 바리스터 I-V 특성

SPD의 주요 보호소자인 바리스터는 PN 접합한 반도체 소자이다.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결합하여 일정 전압 이하에서 높은 저항으로 절연체로 작용하고 일정 전압 이상이 인가될 경우 도체로 작용한다. 바리스터의 입자 경계에서 형성된 정전기적 전위 장벽으로 인해 비선형적인 I-V 특성이 매우 우수하여 순간적인 전압 동요를 감지하고 제한시키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전자 세라믹 부품이다(10).

바리스터의 I-V 비선형 특성은 그림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저전압 영역, 중전류 영역, 대전류 영역으로 구분된다. 저전압 영역 (Prebreakdown Region)은 $10^{9}$ Ω이상의 높은 저항 특성을 가지는 영역으로 선형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정상 상태로 사용 시 작동 전압의 크기를 결정하는 구간이며, 온도 증가에 따라 누설 전류값이 크게 증가하는 구간이다. 중전류 영역 (Breakdown Region)은 바리스터의 보호동작을 수행하는 구간으로 전압 증가에 대해 큰 전류 증가를 보이는 비선형 특성을 가지는 영역이다. 바리스터가 도체로 작용하기 시작하는 시점인 바리스터 전압($V_{1m A}$)을 포함하는 구간이다. 누설 전류의 증가율에 대한 관계식은 (1)과 같다.

(1)
$I=KV^{\alpha}$

$K$는 비례상수, $\alpha$는 비선형 계수로 비선형 계수 $\alpha$의 크기가 클수록 우수한 성능을 갖는다. 대전류 영역 (Up-turn Region)은 비선형성에서 다시 선형적인 특성으로 변하는 영역으로 전압 증가에 따라 전류가 빠르게 증가하는 구간이다[10 - 12].

그림 1 바리스터의 전압-전류 비선형 특성

Fig. 1 I-V nonlinear characteristic of a varistor

../../Resources/kiee/KIEE.2023.72.10.1299/fig1.png

2.1.2 바리스터 미세구조

바리스터 전기적 특성을 해석하는데 있어 미세구조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바리스터의 미세구조는 첨가물, 성형기술, 소결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된다. 이러한 바리스터의 미세구조는 균일한 결정립과 입계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직 ·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결정립의 크기는 20 ~ 30 ㎚정도이며, 1 ~ 10 Ω·cm의 저항이므로 매우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지고 있으며, 입계면인 공핍층의 두께는 10 ~ 100 ㎚로 $10^{10}$~$10^{12}$ Ω·cm의 큰 저항을 가지고 있다. 입계 전위장벽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을 경우 입계면이 적게 분포한 곳으로 전류가 흐르는 전기전도 메커니즘을 가진다. 이러한 메커니즘으로 인해 서지가 반복적으로 바리스터에 흡수될 경우 결정립의 취약한 부분에서 누설 전류가 흐를 수 있으며, 성능의 저하가 발생한다(10,13).

그림 2는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통해 열화로 인한 바리스터 미세구조의 물리적 특성 변화를 관찰한 것이다. SEM 분석 사진 왼쪽 하단의 스케일 바와 표기되어 있는 바의 길이를 통해 식 (2)을 도출한 이후 선 교차법을 활용하여 결정립의 크기 변화를 분석하였다. M은 배율, MSC는 측정된 선의 스케일 길이, SC는 scale bar에 표시된 상수를 의미하고 있다. 선 교차법은 결정립 사진 상에 임의의 선을 표시하여 모든 선의 총 길이 ($L_{T}$)에 결정립계와 교차하는 개수 ($P$)를 통해 평균 교차 길이($\grave l$)를 계산하여 결정립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식 (3)와 같다(14).

그림 2의 (a)는 열화 전 바리스터의 미세구조 단면으로 결정립 크기는 0.0059 mm로 측정되었지만, 열화 진행 시 0.0034 mm 증가한 0.0093 mm로 측정되었다. 에너지가 큰 곳에서 작은 곳으로 이동하여 총 에너지를 감소시키려는 구동력으로 인해 작은 결정립은 소멸하고 큰 결정립은 성장하여 입계면적이 감소하게 되고 이는 기계적 및 전기적 성질의 성능 저하를 야기한다. 결정립계의 전위 이동이 용이해지면 누설 전류는 증가한다.

그림 2 열화에 따른 결정립의 크기 변화 (a) 열화 전 바리스터 걸정립 크기, (b) 열화 후 바리스터 결정립 크기

Fig. 2 grain size change due to degradation (a) grain size average of initial varistor, (b) grain size average of aged varistor

../../Resources/kiee/KIEE.2023.72.10.1299/fig2.png

(2)
$M=\dfrac{MSC}{SC}$

(3)
$\grave l =\dfrac{L_{T}}{PM}$

2.2 실험 구성

바리스터의 시험 시료는 절연저항계 및 내압시험기를 사용하여 시험을 진행하는 것을 고려하여 적합하다고 판단된 TVR-14471-D를 사용하였으며, 주요 규격은 표 1과 같다. 도체로 전환되는 바리스터 전압(Varistor voltage)은 DC 470 V이며, 바리스터의 정격전압과 같은 최대 연속 사용 전압(Maximum allowable voltage)은 교류 전압 인가 시 300 V$_\text{rms}$, 직류 전압 인가 시 385 VDC이다.

표 1 실험에 사용된 바리스터 시료의 규격

Table 1 Specification of Varistor sample used in the test

Model No.

Varistor voltage

(1mA DC)

Maximum

allowable voltage (V)

TVR-14471-D

470V

AC$_\text{rms}$

DC

300

385

그림 3은 가속 열화 시험을 위한 하드웨어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바리스터 열화에 따른 고조파 함유율과 비선형 계수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Megger사의 절연저항계(Megger S1-1568)를 사용하여 사용 전압 이상의 전압을 지속적으로 인가하는 가속 열화 시험을 진행하였다(15,16). 열화로 인해 바리스터의 성능 저하가 발생할 경우 누설 전류가 증가하게 되며, 발열로 인한 열 폭주로 이어지게 된다. 3 mA, 4.5 mA, 6 mA에 누설 전류가 통전되도록 이에 해당하는 전압을 각각 10시간 간격으로 총 50시간씩 인가하는 방식으로 가속 시험을 진행하였다.

그림 3 열화 진행 방법

Fig. 3 Method of degradation progression

../../Resources/kiee/KIEE.2023.72.10.1299/fig3.png

그림 4는 과전압 인가를 통해 열화가 진행된 바리스터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시험 구성 회로도이다. 실제 전력 계통과 동일한 교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Chroma사의 내압시험기(Hipot analyzer 19055-C)를 사용하였으며, 바리스터가 도체로 작용하여 보호동작을 수행하는 전압 이상에서 누설 전류의 고조파 함유량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360 V$_\text{rms}$일 때의 누설 전류 값을 FFT 계산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열화에 따른 바리스터 소자의 비선형 계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50 V$_\text{rms}$부터 410 V$_\text{rms}$까지 5 V$_\text{rms}$ 간격으로 전압을 상승시키며 인가하였다. 전압과 전류의 측정은 전압(HIOKI P9000-02), 전류(HIOKI 9675) 프로브를 사용하였으며, 데이터의 측정은 NI DAQ (Data acquisition)를 사용하였다.

그림 4 과전압 인가 시험 구성도

Fig. 4 Configuration of over voltage experiment

../../Resources/kiee/KIEE.2023.72.10.1299/fig4.png

3. 실험결과

그림 5는 교류 전원 장치인 내압시험기를 사용하여 전압을 인가했을 때 전압 파형이다. 내압시험기로부터 바리스터 소자에 교류 정현파를 인가하였지만 바리스터와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한 경우의 출력 파형을 확인한 결과 왜곡이 발생하였다. 이는 기본파(60hz)와 기본파의 정수배인 주파수를 갖는 고조파 성분이 중첩됨에 따라 파형에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고조파는 전력계통 내의 비선형 요소에 기인하기 때문에 바리스터와 같은 반도체 소자의 비선형 요소는 전압이 전류에 대하여 비례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바리스터의 비선형 특성으로 인해 전압 파형에 왜곡을 유발하게 된다(17).

그림 5 바리스터의 물리적 특성으로 인한 교류 입력전압의 전압 왜곡

Fig. 5 Distortion of AC voltage due to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varistor

../../Resources/kiee/KIEE.2023.72.10.1299/fig5.png

그림 6은 열화 진행 전 바리스터와 일정 시간 과전압을 인가하는 가속 열화 시험을 진행하여 성능의 저하가 발생한 각각의 바리스터 소자에 내압시험기를 사용하여 360 V$_\text{rms}$의 정현파를 인가했을 때 누설 전류 그래프이다. (a)는 열화를 진행하지 않은 바리스터 소자에 정현파를 인가하였으나 바리스터의 비선형 특성으로 인해 기본파와 고조파의 중첩으로 파형에 왜곡이 생성되었다. 하지만 실험 시 측정되는 전류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노이즈로 인한 파형의 왜곡이 심화되어 나타났다. (a)의 최대 누설 전류 크기는 0.197 mA였다. 6 mA의 누설 전류에 해당하는 전압을 50시간 동안 인가하여 열화를 진행한 (b)의 경우 pn접합 특성으로 인해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기 때문에 양의 주기에 비해 작은 크기의 음의 주기를 갖는다. (b)는 누설 전류의 크기가 2.312 mA으로 증가하였으며, 또한 각각의 누설 전류 파형에 대해 FFT(Fast Fourier Transform) 계산 후 7고조파 성분까지의 함유량을 분석한 결과 열화 진행 후 전체 누설 전류 및 고조파 크기의 증가와 짝수차 고조파의 급격한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표 2에 열화 전·후 고조파 차수별 누설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6 열화로 인한 누설 전류의 파형 및 FFT (a) 열화 전 (b) 열화 후

Fig. 6 Waveform and FFT of leakage current due to degradation (a) initial varistor, (b) aged varistor

../../Resources/kiee/KIEE.2023.72.10.1299/fig6.png

표 2 바리스터 열화 전 · 후 차수별 누설 전류 크기

Table 2 Leakage current size by order before and after varistor degradation

1

2

3

4

5

6

7

Initail varistor (㎂)

11.6

0.1

3.5

0.3

2.6

0.3

1.1

Aged varistor (㎂)

42.1

23.1

32.4

15.9

22.2

8.9

12.7

그림 7은 열화가 진행된 바리스터의 누설 전류 및 고조파 성분 크기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과전압을 인가하여 가속 열화 시험을 진행 후 동작 전압(360 V$_\text{rms}$)에서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a)는 3 mA 누설 전류를 10시간 간격으로 총 50시간 바리스터에 통전한 후 고조파 함유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3 mA 누설 전류 통전 시 홀수차 고조파 크기의 변화는 미비하였으나 짝수차 고조파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b)는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4.5 mA 누설 전류를 통전한 후 고조파 함유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며, 3 mA와 비슷한 추이를 보였다. 3 mA, 4.5 mA 열화 시험 결과의 원인으로 열화 시 발생하는 100℃ 정도의 온도로 인해 바리스터의 미세구조가 재결정되어 열화 전과 비교하여 홀수차 고조파 함유량이 감소하는 추이를 보였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6 mA의 누설 전류 통전 시 임계값을 초과하여 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40시간 이후 바리스터 홀수차 고조파의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짝수차 고조파 또한 크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열화로 인한 짝수차 고조파의 생성 및 크기의 증가는 열화 정도를 파악하는 방법이 될 수 있으며, 성능 저하가 발생하는 크기의 누설 전류 및 차수별 고조파 크기를 기준으로 고장을 진단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림 7 누설 전류에 따른 고조파 크기의 변화 (a) 3 mA, (b) 4.5 mA, (c) 6 mA

Fig. 7 Variation of harmonics amplitude caused by leakage current (a) 3 mA, (b) 4.5 mA, (c) 6 mA

../../Resources/kiee/KIEE.2023.72.10.1299/fig1.png

그림 8은 각각 50시간씩 열화 진행 후 고조파 함유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3 mA, 4.5 mA, 6 mA의 열화 진행 결과에서 짝수차 고조파의 함유량이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열화가 진행될 경우 짝수차 고조파 성분이 생성됨을 확인하였으며, 성능 저하가 발생한 6 mA 누설 전류 통전 실험 시에 짝수차 고조파 크기를 기준으로 선정하여 기준 누설 전류 이상이 검출되는 경우를 고장으로 판단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6 mA 누설 전류 통전 시험 결과를 통해 3 mA와 4.5 mA 역시 장시간 지속적인 누설 전류에 노출될 경우 열화로 인해 고조파 함유량이 증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8 50시간 열화 후 고조파 크기 비교

Fig. 8 Comparison of harmonics after degradation for 50 hours

../../Resources/kiee/KIEE.2023.72.10.1299/fig8.png

가속 열화 시험에 대한 결과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THD (Total Harmonics Distortion)의 변화율을 산출하였다. THD는 총 고조파 왜곡으로 식 (4)와 같이 2 ~ n 차수의 고조파의 제곱의 합을 기본파로 나누어 FFT 계산을 사용하여 전류 및 전압 파형 내에 포함된 총 고조파 왜곡을 도출할 수 있다.

열화에 따른 % THD를 계산하여 그림 9와 같이 도출하였다. 열화전 ZnO 바리스터 특성상 94.07%의 높은 고조파 함유율을 나타내었다. 3 mA, 4.5 mA 가속 열화 시험 결과 열화로 인한 짝수차 고조파의 생성으로 인해 전체 누설 전류에 고조파 성분의 증가로 열화 전 바리스터보다 높은 % THD값을 보였다. 6 mA 가속 열화 시험의 경우 고조파 성분의 크기가 증가하였지만, 기본파 누설 전류의 크기 증가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78.33%로 % THD값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
$\%THD=(\dfrac{\sqrt{\Sigma I_{n}^{2}}}{I_{1}})\times 100$

그림 10은 열화 전 바리스터와 3 mA, 4.5 mA, 6 mA 누설 전류 가속 열화 시험 후 전압을 50 V$_\text{rms}$부터 410 V$_\text{rms}$까지 5 V$_\text{rms}$씩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며 이에 따른 전류의 크기 변화와 기울기를 분석한 그래프다. 3 mA, 4.5 mA 가속 열화 시험 시 열화 전 바리스터와 비교하여 동작 개시 전압과 바리스터 전압이 증가하여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은 것처럼 보여질 수 있다. 하지만, 중전류 영역에 해당하는 구간에서의 I-V 기울기가 완만하게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비선형 계수의 감소를 의미하고 있다. 확연한 성능의 저하가 발생한 6 mA 가속 열화 시험 결과 200 V$_\text{rms}$ 이전에서부터 누설 전류의 상승이 시작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9 열화에 따른 바리스터 총 고조파 왜곡률

Fig. 9 THD of the varistor according to the degradation

../../Resources/kiee/KIEE.2023.72.10.1299/fig9.png

그림 10 열화에 따른 바리스터 비선형 특성

Fig. 10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varistor according to degradation

../../Resources/kiee/KIEE.2023.72.10.1299/fig10.png

비선형 계수($\alpha$)는 식 (5)를 통해 도출할 수 있다. 관계식에서 $I_{1}$와 $V_{1}$는 0.1 mA의 전류가 흐를 때의 전압값과 전류값을 의미하고 있으며, $I_{2}$와 $V_{2}$는 바리스터 전압인 1 mA의 전류가 흐를 때의 전압값 및 전류값을 나타내고 있다. ZnO 소자의 비선형 계수는 평균적으로 25 ~ 100의 값을 갖는다(18).

(5)
$\alpha =\dfrac{\log(I_{1}/I_{2})}{\log(V_{1}/V_{2})}$

그림 11은 열화 정도에 따른 비선형 계수의 변화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열화 전 바리스터의 비선형 계수 계산 결과 72.67로 산출되었지만 3 mA의 누설 전류를 50시간 동안 통전한 결과 비선형 계수가 21.79로 감소하였다. 4.5 mA 누설 전류 통전 시 비선형 계수는 19.95로 열화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선형 계수의 감소가 가속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6 mA 누설 전류 통전 시험 결과 바리스터의 비선형 계수가 2.52까지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므로 정상적인 바리스터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열화에 따른 비선형 계수 감소는 바리스터 소자의 고장을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11 열화에 따른 바리스터 비선형 계수 변화

Fig. 11 Variation of nonlinear coefficient of varistor with degradation

../../Resources/kiee/KIEE.2023.72.10.1299/fig11.png

4. 결 론

본 연구는 과전압 및 누설 전류로 인한 SPD 열폭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과전압을 인가하는 가속 열화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열화 정도에 따른 누설 전류에 포함된 고조파 함유량 및 비선형 계수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열화 전 비선형 계수의 크기는 72.67이었으나, 3 mA, 4.5 mA 열화의 경우 짝수차 고조파의 생성 및 비선형 계수(3 mA: 21.79, 4.5 mA: 19.95)의 감소가 발생하였지만 기준 전압이 감소하는 등의 성능 저하는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6 mA의 경우 누설 전류와 차수별 고조파의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비선형 계수(2.52) 및 바리스터 전압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물리적 특성의 변화는 누설 전류에 의해 바리스터에서 열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내부 미세구조가 재결정화 되는 과정에서 입계면의 변화에 따라 누설 전류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 변화를 통해 바리스터의 성능 저하 발생 시에 누설 전류 및 비선형 계수의 변화를 기준으로 선정하여 기준 이상의 값을 검출하는 고장 진단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22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입니다.(NRF-2022R1A2C1004599)

References

1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2004, Protection Against Lightning-Part 1 : General Principles IEC 62305-1,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Geneva, switzerlandGoogle Search
2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2010, Protection Against Lightning-Part 3 : Physical Damage to Structures and Hazard IEC 62305-3,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Geneva, switzerlandGoogle Search
3 
A. Min, S. -D. Kang, J. -H. Kim, 2022, Investigation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Varistors According to Temperature, IEEE Access, Vol. 10, pp. 115758-115766DOI
4 
Ju-Chul Kim, Joo-Sool Jeon, Che-Ouk Ki, Gyung-Ray Choi, Sang-Joong Lee, 2011, Protection of MOV Thermal Runaway and Safety Improvement of SPD using Built-in Instantaneous Trip Devi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25, No. 2, pp. 120-125DOI
5 
Bok-Hee Lee, Sung-Man Kang., 2001, Detection Method of Resistive Leakage Current Flowing through ZnO Arrester Block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15, No. 3, pp. 67-73Google Search
6 
Chang Gil Son, Kang Min Cho, Jung Rag Yoon, 2017, Electr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ZnO Varistor with high surge protective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Google Search
7 
Yeong-Hoo Jang, Bong-Woon Ko, Seong-Bo Oh, Young-Sun Kim, Dong-Jin Kim, Ho-Yoon Kim, 2012, Surge Protection Technology Capable of Predicting a Life Cycle of MOVs, Proceedings of KIIEE Annual ConferenceGoogle Search
8 
Tae-Hun Jung, Hee-Sang Shin, Sung-Min Cho, Hee-Tae Lee, Jun-Kyu Lee, Jae-Chul Kim, 2010, A Study on the Design of Varistor Prevented from Thermal Runaway to Improve Safe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24, No. 2, pp. 69-76DOI
9 
u-Chul Kim, Gyung-Ray Choi, Sang-Joong Lee, 2011, Thermal Runaway Prevention of MOV and Safety Improvement of Power Line System and Internal Electronic Device Circuit Using a Phosphorous Switching Modul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25, No. 9, pp. 75-79DOI
10 
Youn-Woo Hong, Yeon-U Hong, 2016,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ZnO Baristo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ol. 29, No. 4, pp. 12-21Google Search
11 
Dae-Ha Kang, Il-SOO Rho, Won-Hee Kim, Yoon-Dong Park, 2008, Estimation of Nonlinear Coefficients for ZnO varistor and Dielectric Properti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Google Search
12 
Chang Hwan Ahn, 2021, Study of a Method for Analyzing of Surge Protective Device Using a Leakage Current Signal,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 58, No. 2, pp. 89-94Google Search
13 
Jong-Hyuk Lee, Joo-Sup Han, Gyung-Suk Kil, Jang-Woo Kwon, Dong-Yeong Song, Nam-Sup Choi, 2000, Changes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Low-voltage ZnO Varistors by a lightning Impulse Curr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4, No. 4, pp. 793-801Google Search
14 
Choon-Bae Park, Jeong Jong-Yup, Yoo In-Sung, 2005, Fabrication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ZnO Nano-powder Varisto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ol. 18, No. 12, pp. 1117-1123DOI
15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2013, Methods for product accelerated testing IEC 62506,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GenevaGoogle Search
16 
Han-Kyu Lee, Jae-Jung Kim, Seog-Weon Chang, Kae-Dal Kwack, 2006, Accelerated Life Test for ZnO Varistor,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Google Search
17 
Ki-Uk Kim, 2020, Reduction of Harmonic in Semiconductor Process with Load Balancing,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Google Search
18 
Seong-Cheol Hwang, 2018, A Study on the Deterioration of ZnO Varistors by the Application of a Surge Current, Master’s thesis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Google Search

저자소개

김시현 (Si-Hyun Kim)
../../Resources/kiee/KIEE.2023.72.10.1299/au1.png

He received B.S degree in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from University of Daejeon in 2023.

He has currently been studying M.S degree at the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in Daejeon University.

강신동 (Sin-Dong Kang)
../../Resources/kiee/KIEE.2023.72.10.1299/au2.png

He received M.S degree in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from University of Daejeon in 2019.

He has currently been studying Ph.D degree at the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in Daejeon University.

김재호 (Jae-Ho Kim)
../../Resources/kiee/KIEE.2023.72.10.1299/au3.png

He received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2010 and he has worked as a post-doctor in Center for Advanced Power Systems(CAPS) at Florida State University from 2009~2012.

Since March 2012, he has been a professor in the School of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are life assessment, superconducting cable, fire protection and electrical 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