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Center, Asan Medical Center, South Korea.)



Digital hospital, Internet of things, Real-time location system, Smart hospital

1. 서 론

전통적으로 의료는 공급자 중심 서비스가 주류를 이루어왔으나 최근에는 수요자인 환자의 편의와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플랫폼 및 서비스 제공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1). 또한 의료 패러다임이 질병 치료에서 예방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2),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ICT기술과 의료기술 융합을 통해 환자의 편의성, 의료서비스 비용 감소, 진료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치기반의료(value-based healthcare)가 대두되고 있다 (3).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3차 종합병원인 대학병원을 필두로 다양한 ICT기술을 병원에 접목하는 스마트 병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4). Verified Market Research에서 보고된 조사결과에 따르면, 스마트병원 시장규모는 2021년 약 37억 달러(약 44조 3,880억 원)로 평가되었으며, 2030년까지 약 240 억 달러(약 288조 1,440억 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었다(연평균성장률 23.1%) (5). 그러나, 스마트 병원은 아직까지 학자, 기관마다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으며, 스마트 병원 구축 시 적용되는 기술도 상이하다 (6). 뿐만 아니라, 스마트 병원 구축 관련 정부 정책 부족, 원격의료와 같은 스마트 병원 핵심 기술에 대한 의료법 규제로 인해 스마트 병원 구축 및 도입이 어려운 실정이다 (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병원의 다양한 정의, 핵심 기술, 도입 사례, 국내외 관련 정책 현황에 대한 고찰을 통해 스마트 병원 도입 시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해 검토하고 발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2. 스마트 병원의 정의 및 개념

2.1 스마트 병원의 정의

스마트 병원은 디지털 병원의 개념을 포함하는 확장된 개념으로 다양한 학자, 기관마다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6).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는 ‘ICT기술을 활용해 의료 소비자 중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주체가 참여해 생산성과 의료서비스의 정확성을 높이는 통합 시스템‘으로 스마트 병원을 정의하였으며(8), Mckinsey & company (2019)에서는 ’혁신적인 기술을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다른 생태계와 디지털로 연결하여 환자 중심의 서비스 품질과 경험을 향상시키면서 의료비용은 감소시키는 병원‘으로 정의하였다 (9). 또한 Yu et al.(2012)의 연구에서는 스마트병원을 ’디지털 병원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10). 스마트 병원은 이 밖의 여러 선행연구에서도 각각 다르게 정의되었다 (표 1) (8,11).

표 1. 스마트 병원의 정의들

Table 1. Definitions of the smart hospital

연구

정의

Holzinger et al. (2015) (12)

최고 수준의 유비쿼터스 장비로 완벽히 채워진 ‘오랜 꿈과 같은 고도의 상호작용 환경’이자 ‘상황 인지형 건강 패러다임’과 밀접하게 관련된 병원

Mohanty et al. (2016) (13)

스마트 도시 내 구현된 스마트 헬스케어의 다양한 요소 중 하나로, ICT 기술 기반 데이터 접근 및 활용의 시공간적 제약이 없고, 의사가 환자의 상태판단을 위해 개인정보에 접근하여 실시간으로 환자 건강상태에 대한 의사결정 및 치료가 가능한 병원

European Union Agency for Network and Information Security (2016)(14)

IoT를 기반으로 환자 진료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병원 내부 자산과 연계된 ICT환경을 구축해 자산 관리를 최적화, 업무 자동화 프로세스를 활용하는 병원

Frost & Sullivan (2017) (15)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통합 솔루션을 활용하여 이용자의 과도한 지출을 최소화하고 의료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의료행위를 제공하는 병원

Karen Talylor (2017) (9)

기존 환자의 진료절차 개선과 새로운 기능 도입을 목표로 ICT 환경을 최적화하고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병원

Korea Embedded Software and System Industry Association

(2018) (8)

의료진, 시설, 정보, 장비 등 병원이 보유하는 다양한 자원에 ICT를 활용하여 안전한 환자 진료와 효율적인 병원 운영을 위한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한 병원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16)

5G, IoT 등 ICT기술을 적용해 환자 안전 제고, 진단 및 치료 질 향상, 비용 절감 등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

스마트 병원의 핵심 키워드를 대상, 적용기술, 최종목표에 대해 요약해보면, 스마트 병원의 주 사용자(대상)는 환자, 병원 관계자(의료진, 근로자), 적용기술은 ICT, IoT 기술, 최종 목표는 치료 품질 향상, 병원 효율화, 의료비 절감 등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정의는 ICT, IoT 기술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스마트 병원 주 사용자가 환자인지 아니면 병원 관계자(의료진, 직원)인지에 따라 특징적인 키워드 차이를 보였다. 환자가 대상일 경우 진단, 안전, 치료, 비용절감 등이, 병원일 경우 병원 효율화, 자동화 프로세스, 자산관리 최적화 등이 공통적인 키워드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 내용을 종합해보면, “스마트 병원은 ICT기술을 활용하여 병원 인프라 및 자산 관리 프로세스 최적화를 수행하고, 환자의 진료 품질 향상, 의료서비스 비용 절감, 안전 등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으로 요약할 수 있다.

2.2 스마트 병원과 디지털 병원의 차이점

스마트 병원에 앞서 디지털 병원이란 개념이 제안된 바 있다 (17). 디지털병원은 2000년대 초반 한국에서 등장한 개념으로, 차트, 필름, 전표, 종이, 펜 등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하던 병원에서 디지털 방식(4 lesses : filmless; chartless; slipless; paperless)으로 전환된 병원을 의미한다 (18).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고서에 따르면 (7), 디지털 병원은 병원 운영 측면에서의 디지털화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과 달리, 스마트 병원은 디지털 병원에서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하여 환자 의료경험 및 진료 품질, 편의성 향상과 같은 환자 중심 의료서비스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 즉, 스마트 병원은 디지털 병원과 비교하여 인프라나 병원 구성 요소상 차이는 없으나, 디지털 병원에서 구축한 병원 자산 관리 최적화, 업무 자동화 프로세스, ICT 기술들을 기반으로 환자 중심 의료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한다는 차별성을 가진다.

표 2. 스마트 병원 및 디지털 병원의 차이점

Table 2. Difference between smart hospital and digital hospital

사용자

디지털 병원

스마트 병원

환자

실시간 진료기록 확인

검사결과 상시 열람

환자 건강상태 실시간 모니터링에 따른 건강정보 기반 맞춤형 건강관리/교육

지역사회 기반 건강 통합관리 서비스 제공

의사

웨어러블 기기 등을 통한 환자 상태 모니터링 및 EHR 자동기록

회진 시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환자 정보조회

통합된 환자 정보(신체, 실내 센서 및 검사 결과)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AI 기반 환자 상태분석 기반 환자 상태 알람

AI기반 의사결정보조 및 실시간 협진을 통한 최적 치료제공

간호사

EHR에 저장된 모든 환자 상태 및 투약기록 확인(PC/모바일)

웨어러블 기기 기반 비대면 임상을 통한 감염관리 예방, 업무부담 경감

관리자

병원 내 모든 시설관리 현황에 대한 확인

불완전한 작업 및 장비 결함 실시간 확인/조치

데이터 기반 환자 및 직원이 기대하는 사항에 대한 실시간 피드백

자동화 시설관리를 통한 운영효율화 및 human error 최소화

3. 스마트 병원 핵심 기술 및 국내 도입 사례

3.1 스마트 병원 핵심 기술

국내 스마트 병원 핵심 기술로는 1) RTLS (real-time location system) (19), 2) IoT (Internet of things) 기기 (20), 3) AI (artificial intelligence) (21)가 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병원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환자 흐름을 개선하거나, 인프라 및 자산 관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RTLS는 무선통신,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BLE (Bluetooth low energy)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된 실시간 위치 추적 기술이다 (19). RTLS는 병원 내 환자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기 위해 주로 도입되었으며 대표적으로, 스마트 감염관리 및 스마트 특수병동 분야에서 환자의 위치추적을 위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 스마트 병원에서 사용하는 IoT 기기는 사물 식별, 네트워크 구축, 생체신호계측을 위한 센서 부착 등 센서와 통신기능이 내장된 다양한 사물을 병원 내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로 실시간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다양한 병원내 상황에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 (21). 또한 AI는 질병 진단 및 예측을 위한 주요 기술로 활용되며, 임상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는 미래 의료 핵심 기술로 지목되고 있다 (22).

3.2 국내 스마트 병원 도입 사례

대한민국 보건복지부에서는 스마트 병원 선도모델 개발 사업을 통해 2020년부터 2025년까지 매년 3 분야의 스마트병원 선도모델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표 3). 스마트 병원 분야로는 원격중환자실, 병원 내 자원관리, 병원 내 환자안전, 스마트 특수병동, 지능형 워크플로우(workflow), 스마트 수술실, 스마트 입원환경, 환자·보호자 교육, 스마트 투약 안전 환경 조성, 의료진 교육 및 훈련, 스마트 병원환경 관리를 제시하였다. 스마트 병원 선도모델 개발 사업을 통해 구축된 도입사례는 다음과 같다.

표 3. 스마트 병원 선도모델 사업 선정 분야 및 기관

Table 3. Field and Institute of smart hospital leading model in Korea

연도

분야

주관기관

2020

원격중환자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스마트감염관리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병원 내 자원관리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2021

병원 내 환자안전

강원대학교병원

아주대학교병원

스마트 특수병동

국립암센터

지능형 워크플로우

한림대 성심병원

삼성서울병원

2022

스마트 수술실

충남대학교병원

스마트 입원환경

서울대학교병원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환자·보호자 교육

연세의료원

2023

스마트 투약안전환경 조성

부천세종병원

의료진 교육 및 훈련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스마트 병원환경 관리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원격중환자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는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생체정보를 토대로 최대 8곳의 서로 다른 병원 중환자실을 동시에 모니터링이 가능한 원격 협진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중환자 전문의는 개인 PC 및 모바일의 웹 카메라 등을 통해 환자의 상태 및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주치의에게 자문결과를 제공하고 신속하고 정확한 환자의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림 1).

그림. 1. 중환자실 원격 협진 시스템(23)

Fig. 1. Intensive care unit remote collaborative diagnosis system

../../Resources/kiee/KIEE.2023.72.11.1441/fig1.png

스마트 감염관리: 용인세브란스병원에서는 병원 내 Covid-19확진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RTLS 기반 스마트 감염관리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PADES-G 기반 (pain, anxiety, depression, eating, sleep, general condition) 자가증상보고 결과를 활용하여 기존의 고전적인 COVID-19 접촉자 추적 방식과 RTLS 적용 시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 RTLS를 적용하였을 때 60%의 민감도를 보였으며 기존 방식(46.8%)보다 더 높은 민감도를 확보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24) (그림 2).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에서는, 체온계, 혈압계, 스마트 링(맥박) 등 IoT기기를 이용한 환자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림. 2. COVID-19 확진자 추적을 위한 RTLS 시스템(용인세브란스병원)(25)

Fig. 2. RTLS system for tracking Covid-19 confirmed cases

../../Resources/kiee/KIEE.2023.72.11.1441/fig2.png

병원 내 자원관리: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는 스마트 자산관리 시스템, 인공지능 물류배송 시스템, 생체인증 허가 시스템, RTLS 모니터링 시스템, 공인인증 대체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스마트 병원 인프라를 구축하고 실증하였다.

병원 내 환자안전: 강원대학교병원에서는 병원 내 환자 안전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IoT기기 중 CCTV를 사용하여 낙상 및 욕창 위험환자를 모니터링하고 위험 알람을 의료진에게 웨어러블 워치 및 스마트폰 앱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알람 항목으로는, 경보 알람, 사고알람, 욕창경보를 제공한다 (그림 3).

그림. 3. 낙상 및 욕창 이상징후 탐지 시스템 (26)

Fig. 3. Abnormal symptom detection system for falls and bedsores

../../Resources/kiee/KIEE.2023.72.11.1441/fig3.png

아주대학교병원에서 구축한 AI기반 욕창 단계 자동 분류 및 체위 판별 시스템은 간호사가 모바일 앱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촬영하고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이후, AI를 통해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욕창단계를 3단계로 분류한다. 이후, 1-2단계에 해당되는 경우, 유사 피부질환과 구분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자동으로 협진의뢰 기능이 활성화 되도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AI기반 체위 판별 모델은 데이터 증강기법을 통해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고, 환자의 체위를 판별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림 4).

그림. 5. AI 기반 욕창 단계 자동 분류 및 체위 판별 시스템 (26)

Fig. 5. AI-based automatic pressure ulcer stage classification and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Resources/kiee/KIEE.2023.72.11.1441/fig4.png

스마트 특수병동: 스마트 특수병동 사례에서는 용인정신병원에서 정신과 병동 내 RTLS시스템을 적용하여, 입원환자 대상 스마트 순찰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취약시간 대 환자의 위치 및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응급상황 발생 시 의료진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림 5).

그림. 5. 정신과 병동 내 입원환자의 실시간 위치추적을 위한 RTLS 시스템 (27)

Fig. 5. RTLS system for tracking inpatients in psychiatric wards

../../Resources/kiee/KIEE.2023.72.11.1441/fig5.png

국립암센터에서는 항암치료 과정을 자동화해 암환자의 전주기 스마트 특수병동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환자의 생체신호 이상 징후, 투약진행 경과 등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항암제 투여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비대면 회진을 통한 의사-환자간 의사소통 창구 마련을 위한 스마트 무균병동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태블릿을 이용한 자가 보고 기반 통증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항암 일반병동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지능형 워크플로우: 한림대학교병원에서 구축한 스마트 응급실에서는 RTLS를 이용하여 응급실 내 환자의 위치 및 이동확인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스마트 수술실: 충남대학교병원에서는 커넥티드 헬스케어 구현을 목표로, 병원 내 통합관제시스템, 개별수술실 모니터링시스템, 환자·보호자 정보 공유 시스템, 위생재료 제고관리, 지역연계 지원시스템 구축연구를 수행하였다.

스마트 입원환경: 한림대학교병원에서는 무선 웨어러블 의료기기를 사용하여 환자의 심전도, 심박수, 호흡수, 체온을 수집하고 클라우드 모니터링 서버에 저장하고 30분 간격마다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환자 보호자 교육: 세브란스병원은 산모·보호자-의료진 간 원활한 소통을 위해 산모 맞춤형 돌봄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임신 전주기 맞춤형 교육이 가능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을 도입하고, 퇴원 후에도 맞춤형 모바일 교육이 가능한 산후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스마트 투약안전환경 조성: 부천세종병원에서는 투약안전 환경 조성을 위해 중소병원형 모바일 앱 기반의 스마트 투약안전 시스템 개발을 시작하였다. 투약관리 공동데이터시스템을 구축하여 약품 식별, 처방 및 조제, 투약상황 모니터링 등 기술을 구축한 뒤, 이를 통해, 투약 전주기 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의료진 교육 및 훈련: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에서는 임상현장에서의 정확하고 안전한 수술을 위해 메타버스 기반 모의 수술 및 교육 플랫폼 개발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MRI, CT 영상으로 메타버스 환경에서 실제 환자 수술과 동일하게 모의 수술 및 토론 수업이 가능한 환경 구축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스마트 병원환경 관리: 강동 경희대병원에서는 로봇을 활용한 의료폐기물 수거, RFID 기반 원내 병동 별 배출량 등 스마트 병원환경 관리 통합 플랫폼 구축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의료기기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하고, 기기별 가동률‧사용빈도 측정 자동화를 통해 병원 내 의료기기 사용현황을 통합관리가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4. 국내외 스마트 병원 정책추진 동향

국내외 스마트 병원 구축을 위한 정책관련 현황을 보면, 중국, 싱가포르, 일본, 영국, 덴마크 등 다양한 국가에서는 정부주도로 스마트병원 육성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

중국의 경우, 2018년 베이징 텐탄 병원을 스마트 병원으로 구축하였으며, 2019년 중국 국가 보건위원회 (National Health Commission of China)에서는 스마트 병원 표준을 설정하고 평가기준을 마련하였다. 2020년 국가보건행정부 (The National Health Administrative Department)에서는 의료산업의 최우선 과제로 스마트 병원 구축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싱가포르에서는, 2017년 의료산업 혁신지도 (Healthcare Industry Transformation Map)을 통해 스마트병원 설립 및 활용계획을 발표하였다. 이를 통해, 환자중심의 의료시스템 전략을 수립하고 Woodlands health campus 병원단지에 테스트베드 구축을 통해 환자 치료 및 병원운영 계획을 발표하였다. 일본에서는 고령화로 인한 의료비용 증가 및 의료서비스 수요와 공급 불균형에 따른 원격의료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ICT 융합의료 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을 통해 개인 의료 데이터에 대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기반을 마련하였다. 영국에서는, 2019년 디지털치료기기와 원격의료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스마트병원을 3대 우선 투자분야로 선정하였다. 덴마크는 원격의료를 포함한 커넥티드 케어의 표준화를 최초로 제안한 국가로, 2017년 super hospital 설립계획을 수립하고 2029년까지 낙후한 공공 보건 시설을 축소하고 70억 달러를 투자해 총 16개의 신설 병원을 구축할 예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먼저 데이터 3법 시행 (2020년 8월), 디지털 뉴딜 전략, 마이 헬스웨이 도입 발표 (2021년 2월) 등 4차 산업기술과 의료분야와의 접목을 위한 정책을 조성하였으며 스마트 병원 구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5. 스마트 병원 도입 시 고려사항 및 발전 방안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스마트 병원 도입 시 핵심 고려사항은 환자 진료 정보 및 의료정보표준화 및 공유 시스템이다 (7). 하지만 서로 다른 의료정보 시스템을 표준화 하고 공유체계를 구축을 위해서는 여러 병원 및 공공 의료 인프라와도 합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정책 및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는, 스마트 병원의 도입을 위해서는 정책 및 제도적 측면, 기술적 측면, 병원 내 제품도입 전략 수립 측면에서의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5.1 스마트 병원 도입 시 고려사항

정책 및 제도적 측면: 높은 수요와 기술성숙도에도 불구하고 정책 및 제도적 한계는 스마트 병원 도입을 가로막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예를 들어, COVID-19로 인해 비대면 의료에 대한 기대와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였음에도 환자-의사간 원격의료 행위는 여전히 의료법 내에서 명확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28). 의료법 제34조는 원격의료와 연관된 규정으로 ‘의료인은 제 33조에도 불구하고 컴퓨터, 화상통신 등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먼 곳에 있는 의료인에게 의료지식이나 기술을 지원하는 원격의료를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제 34조는 원격의료라는 제목으로 시작하고 있지만, 의사가 원격으로 환자를 진료하는 규정이 아닌 의사가 원격지에 있는 다른 의사에게 원격자문을 요청하는 것에 대한 규정에 해당된다. 뿐만 아니라, 의료법 시행규칙 제 29조 (원격의료의 시설 및 장비)에서는 ‘제 34조에 따라 원격의료를 행하거나 받으려는 자는 원격진료실, 데이터 및 화상을 전송·수신할 수 있는 장비가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였다. 위 규정에 따르면, 현행 의료법 상 병원 외 환자가 머물고 있는 자택 등에서 원격의료를 받는 행위 자체가 의료법 위반에 해당되어 실질적인 원격 진료가 불가능해 진다. 종합해보면, 현행 의료법에서는 의사에 국한된 원격자문 형태만을 원격의료로 인정하고 있으며, 스마트 병원에서 요구하는 환자 대상 비대면 의료 즉 원격진료를 어디까지 허용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사회적 논의와 합의가 필요하다.

기술적 측면: 스마트 병원에서는 사용되는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수집하는 데 큰 도움을 주지만, 동시에 여러 기술적 한계점을 가진다. Alsalman et al. (2022)의 연구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배터리 용량은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데이터 수집 및 전송과 관련된 처리 요구 사항이 높은 경우 교체 또는 충전 주기가 짧아질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29). 이러한 문제는 특히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WiFi나 BLE와 같은 통신을 사용할 경우 도드라지며 사용성에 큰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다.

Boulos et al. (2012)의 연구에 따르면, RTLS는 스마트 병원 구축 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기술로 병원 내 의료기기를 찾거나, 직원 위치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병원의 환자 처리량이 향상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30). 하지만, 현재 RTLS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BT나 WiFi 기반 시스템은, 병원 안에서 발생되는 무선 간섭으로 인해 위치 해상도 및 위치 측정 정확도가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31).

스마트 병원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IoT 기기들은, 병원 내 네트워크망에 연결되어 있으며 민감한 의료정보들을 주고받기 때문에 보안이 매우 중요하다. Gioulekas et al. (2022)의 연구에 따르면, 2018년 유럽 전체 사이버 공격의 약 27%가 헬스케어 분야에서 발생했으며 병원에서 발생되는 사이버 보안문제는 직원들의 보안인식 수준이 낮은 것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32).

제품도입 전략 수립 측면: 스마트 병원에는 부서, 장소마다 매우 많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의료기기, 장비들이 존재한다. 스마트 병원 내 사용될 제품을 도입할 경우, 같은 기술을 가지고 있더라도 제조사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제조사 별로 어떤 기능적 차이가 존재하는지, 병원 내 연동이 가능한지, 비용적 측면 등을 고려해야한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제한된 병원의 인력, 예산 등을 활용하여 병원 내 도입을 검토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5.2 발전 방안

스마트 병원이 성공적으로 도입되기 위한 발전 방안으로는, 먼저 관련 정책 및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스마트 병원에 필요한 IoT, AI 등 기술을 개발하는 ICT기업과 의료계 간의 입장 차이를 좁히고 합의 도출을 위해 정부주도의 다양한 교류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 새로운 기술 도입에 대한 의료분야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ICT 기술과 의료 분야의 전문가들 사이의 지속적인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다양한 워크숍, 세미나, 교육ss 프로그램을 통해 두 분야의 전문가들이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스마트 병원 내 사용될 기술들에 대한 임상적 유효성 검증이 필수적이지만, 대부분 ICT기업들은 임상 데이터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최근 미국 FDA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컴퓨터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computer modeling & simulation) 기술을 활용하여 환자 데이터를 대체하고 의료기기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있다. 위 기술을 활용한다면, 스마트 병원에 적용될 다양한 ICT기술들의 임상적 유효성을 객관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의료계에서도 적극적으로 도입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보안위협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원, 특히 비 ICT 직원 (의사, 간호사 등)을 대상으로 사이버 보안 및 기술 교육을 제공해야 하며, 이를 통해 사이버 위험을 이해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다양한 ICT 기술 및 의료기기 도입 시 제한된 병원의 인프라를 고려한 전력 수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 병원 내 도입하고자 하는 ICT기술 및 기기의 비용 대비 효과를 평가해야 하며 장기적인 투자 수익을 고려해서 결정을 내려야 한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병원의 모든 기술과 서비스는 결국 환자를 위한 것으로, 환자 중심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환자의 필요와 편의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기술 및 서비스를 도입해야 한다. 이를 위해, 환자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설문조사, 피드백 수집 등을 통해 소통하고 서비스 개선을 통해 환자의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6. 결 론

많은 국내 병원에서는 스마트 병원으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으며, 특히 COVID-19로 인해 비대면 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적극적으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스마트 병원의 성공적인 도입 및 운영을 위해서는 정책 및 제도적, 기술적, 그리고 제품 도입 전략 수립의 세 가지 주요 측면을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를 고려하여 스마트 병원을 도입한다면, 병원 내 진료업무 프로세스 향상을 통해 보다 많은 환자의 진료가 가능하며, 병원 내 장비 및 자원 등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비용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환자의 의료경험 개선을 통해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병원의 명성과 수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18년, 2022년도 정부(보건복지부)의 재원으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및 정신건강연구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 HR20C0026, No. HI22C1668).

References

1 
H.-J. Lee, 2017, The Changes of Medical Environment & Wellness View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Wellness, Vol. 12, No. 4, pp. 215-223DOI
2 
W.-L. Liao, F.-J. Tsai, 2013, Personalized Medicine: A Paradigm Shift in Healthcare, BioMedicine, Vol. 3, No. 2, pp. 66-67DOI
3 
M. E. Porter, 2010, What Is Value in Health Car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63, No. 26, pp. 2477-2481DOI
4 
H. Park, Y. J. Cho, 2021, Overview and Prospects of Patient Centered-Smart Hospital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9, No. 7, pp. 419-426DOI
5 
Verified market research, , Global Smart Hospital Market Size By Component (Hardware, System And Software, Service), By Application (Remote Medicine Management, Outpatient Vigilance), By Geographic Scope And Forecast, https://www. verifiedmarketresearch.com/product/smart-hospital-market/DOI
6 
R. M. Visconti, L. Martiniello, 2019, Smart Hospitals and Patient-Centered Governance, Corporate Ownership & Control, Vol. 16, No. 2DOI
7 
2021,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 Telemedicine in Korea
8 
2021, Research on Smart Hospital Development Strategies for Innovation in Healthcare Services in the Digital Ag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reportGoogle Search
9 
Y. D. Yoon, 2018, Smart Hospital-Related Technology Status and Prospects, KESSIA Issue Rep., Vol. 2, pp. 1-9Google Search
10 
L. Yu, Y. Lu, X. Zhu, 2012, Smart Hospital Based on Internet of Things, Journal of Networks, Vol. 7, No. 10, pp. 1654-1661DOI
11 
H. Kwon, S. An, H.-Y. Lee, W. C. Cha, S. Kim, M. Cho, H.-J. Kong, 2022, Review of Smart Hospital Services in Real Healthcare Environments,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 28, No. 1, pp. 3-15DOI
12 
A. Holzinger, C. Röcker, M. Ziefle, 2015, From Smart Health to Smart Hospitals, Smart Health, pp. 1-20DOI
13 
S. P. Mohanty, U. Choppali, E. Kougianos, 2016,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Smart Cities: The Internet of Things Is the Backbone, IEEE Consumer Electronics Magazine, Vol. 5, No. 3, pp. 60-70DOI
14 
ENISA, 2016, Smart hospitals: security and resilience for smart health service and infrastructures, , pp. -DOI
15 
Frost & Sullivan, 2017, Smart Hospitals to Invest over $11 billion in Cloud Computing and Data Analytics, Says Frost & Sullivan, , pp. -DOI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The smart hospital, opening a foundation for medical service innov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pp. -DOI
17 
B. Chen, A. Baur, M. Stepniak, J. Wang, 2019, Finding the future of care provision: the role of smart hospitals, McKinsey & Company report, pp. -DOI
18 
Korea Digital Hospital Export Agency (KDHEA), 2012, Overview of digital hospitals, , pp. -DOI
19 
INNOPOLIS Foundation, 2018, Real-time location tracking systems market, , pp. -DOI
20 
S. Paiva, D. Brito, L. Leiva-Marcon, 2018, Real Time Location Systems Adoption in Hospitals – A Review and A Case Study for Locating Assets, Acta Scientific Medical Sciences, pp. 2-17DOI
21 
K. Dhariwal, A. Mehta, 2017, Architecture and Plan of Smart hospital based on Internet of Things(IoT), International Research JOurnal of Engineering and Technolgy, pp. 1976-1980DOI
22 
J. E Kasten, 2020, Big data applications in healthcare administration, Int J Big Data Anal Healthc, pp. 12-37DOI
23 
www.bosa.co.kr, 2021,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42329DOI
24 
M. H. Kim, U. H. Ryu, S. J. Heo, Y. C. Kim, Y. S. Park, 2022, The Potential Role of an Adjunctive Real-Time Locating System in Preventing Secondary Transmission of SARS-CoV-2 in a Hospital Environment: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pp. e41395-DOI
25 
Korea broadcasting system (KBS), 2020,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4428512, , pp. -DOI
26 
Institute, 2021,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72283&SEARCHKEY=TITLE&SEARCHVALUE=%EB%94%94%EC%A7%80%ED%84%B, , pp. -DOI
27 
DIZZO, 2022, https://digitalchosun.dizzo.com/site/data/html_dir/2022/07/27/2022072780120.html, , pp. -DOI
28 
KAST, 2021,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 Telemedicine in Korea, KAST Research Report, , pp. -DOI
29 
An, AL-Fawa’reh, Kang, 2022, Enhanced Heart Rate Prediction Model Using Dampled Least-Squares Algorithm, sensors, pp. 9679-DOI
30 
Boulos, Berry, 2012, Real-time locating system (RTLS) in healthcare: a condensed primer,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Geographics, pp. 25-DOI
31 
Yoo, Kim, Kim, Jung, Lee, Hwang, 2018, Real-time location system-based asset tracking in the healthcare field: lessons learned from a feasibility study, BMC Medical Informatics and Decision Making, pp. 80-DOI
32 
Gioulekas, Stamatiadis, Tzikas, Gounaris, Georgiadou, Michalitsi-Psarrou, Doukas, Kontoulis, Nikoloudakis, Marin, 2022, A Cybersecurity Culture Survey Targeting Healthcare Critical Infrastructures, Healthcare, Vol. 10, No. 2, pp. 327-DOI

저자소개

왕창원 (Changwon Wang)
../../Resources/kiee/KIEE.2023.72.11.1441/au1.png

2013년 순천향대학교 의료IT공학과 졸업(공학사)

2015년 동 대학교 대학원 졸업(공학석사)

2020년 동 대학교 대학원 졸업(공학박사)

2020~2022년 한국한의학연구원 박사후연구원

2022년~현재 서울아산병원 의공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주 연구분야 : 디지털헬스케어, 디지털치료기기, 생체신호처리

신항식 (Hangsik Shin)
../../Resources/kiee/KIEE.2023.72.11.1441/au2.png

2003년 연세대학교 기계전자공학부 졸업

2005년 동 대학교 대학원 졸업(공학석사)

2010년 동 대학교 대학원 졸업(공학박사)

2010~2013년 삼성전자주식회사 책임연구원

2013~2022년 전남대학교 의공학과 조교수, 부교수

2022년~현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부교수

현재 당 학회 D부문회 학술이사, 의용시스템 연구회 회장

주 연구분야 : 생체계측 및 신호처리, 디지털헬스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