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데이터 전처리
본 실험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광용적맥파 신호는 혈관에서의 팽창을 확인하기 위함으로 광용적맥파 신호의 교류 변화량을 사용하고자 하였다. 광용적맥파의
기저선 변동(Baseline drift)와 호흡 신호의 제거를 위해 0.4Hz 고역 통과(Highpass) 필터와 전원 노이즈, 동잡음 등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4Hz 저역 통과(Lowpass) 필터를 사용한 그림 19와 같은 type2 Chebyshev filter(inverse Chebyshev filters)의 0.4~4Hz 범위 정지 리플(stop ripple)값
50dB을 사용한 대역 통과(Bandpass) 필터를 사용하여 1차 가공해주었다.
그림. 19. 0.4~4Hz type2 Chebyshev 대역통과 필터의 주파수 응답
Fig. 19. Frequency response of a 0.4~4Hz type2 Chebyshev bandpass filter.
그림. 20. PPG 신호의 type2 Chebyshev 0.4~4Hz, 0.4~10Hz 대역통과 필터, Butter 0.4~10Hz 대역통과 필터의
결과 비교
Fig. 20.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the type2 Chebyshev 0.4~4Hz, 0.4~10Hz bandpass
filters, and Butter 0.4~10Hz bandpass filter for PPG signal.
그림 20과 같이 Butter worth 필터와 type2 Chebyshev 대역통과 필터의 비교시 type2 Chebyshev 대역통과 필터가 더욱 광용적맥파에
적합한 모습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Type2 Chebyshev 대역통과 필터를 사용하였다.
광용적맥파의 파형을 제일 잘 보여주는 0.4~10Hz의 type2 Chebyshev 대역통과 필터가아닌 0.4~4Hz의 type2 Chebyshev
대역통과 필터를 사용한 이유는 광용적맥파의 신호는 외부 압력에 영향을 받는데, 외부 압력이 증가 후 감소시에
그림 21에서와 같이 0.4~4Hz의 type2 Chebyshev 대역통과 필터가 전체적인 광용적맥파의 신호를 더 안정적으로 잘 보여주었다.
그림. 21. type2 Chebyshev 필터 0.4~4Hz와 0.4~10Hz 비교
Fig. 21. Comparison between the type2 Chebyshev filter at 0.4~4Hz and 0.4~10Hz.
그림 22와 같이 필터링된 PPG 신호는 외부 압력에 대한 변화를잘 표현하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그림. 22. 필터 전후 PPG와 외부압력 비교
Fig. 22. Comparison of PPG and external pressure before and after filtering.
실험의 목적은 PPG의 제대로된 신호를 보기보다는 혈관이 팽창함에 따라 전체적인 파형이 급변하는 모습을 보기 위함으로 PPG 신호에서의 피크점들을
연결하여 그래프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피크점을 연결한 포락선(envelope)을 얻기 위해서는 가공이 필요하며 가공된 포락선에서 변곡점을 구하고
난류 발생 구간과 비교하고자 한다.
4.2 신호 분석
1차 가공된 PPG 신호에 그림 23과 같이 피크점을 찾아 그래프를 그려주었다. 전체적인 파형을 보기 위하여 피크점을 연결하는 방법에 따라 변곡점의 개수와 위치가 달라진다.
그림. 23. 필터링된 PPG의 피크점과 외부압력 비교
Fig. 23. Comparison of peak points in filtered PPG and external pressure.
PPG 신호의 피크점은 PPG Sample 수보다 적기 때문에 보간법을 통하여 sample의 개수를 늘려주었다. 선형 보간의 경우에는 각이 생기기
때문에 변곡점을 찾기가 힘들어짐으로 삼차 보간(cubic interpolation)을 사용해주었다. 이후 Smoothing을 통하여 그래프의 부드러운
변화의 모습을 관찰하기 위하여 Savitzky-Golay 필터
(34)를 사용해주었다. Savitzky-Golay를 사용하는 이유는 순간적인 피크점에 취약한 moving average 평균값, 짧은 구간안의 윈도우에서
지속적으로 실행되는 다항회귀 모델보다는 효율적이며, 파형의 전체적인 trend를 잘 살려주고 미분과정에서 노이즈에 의한 변화를 제거해 주기 때문이다
(35).
그림 24는 cubic interpolation, 고역 통과, Savitzky-Golay를 단일로 사용한 것과 cubic- interpolation 이후
Savitzky–Golay 필터를 사용한 것을 비교한 것이다.
그림. 24. 스무딩 필터별 특성 비교
Fig. 24.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among different smoothing filters.
cubic interpolation이후 Savitzky–Golay 필터를 사용한 그래프가 피크점들의 연결이 제일 부드럽게 연결된 것을 확인 가능하며
변화 또한 잘 표현하기에 cubic interpolation이후 Savitzky–Golay 필터를 사용해주었다. 스무딩된 PPG 피크 그래프의 2차
미분을 통해 변곡점과 난류 발생구간 그리고 가공된 PPG의 time delay를 맞추고 노이즈를 제거를 위한 2Hz 저역 통과된 외부압력 신호의 그래프를
그림 25부터
그림 27까지 Savitzky–Golay Window에 따라 비교해 주었다.
그림. 25. Savitzky-Golay Window 크기가 100일 때 변곡점과 외부 압력 비교
Fig. 25. Comparison between inflection points and external pressure when the Savitzky-Golay
window size is 100.
그림. 26. Savitzky-Golay Window 크기가 500일 때 변곡점과 외부 압력 비교
Fig. 26. Comparison between inflection points and external pressure when the Savitzky-Golay
window size is 500.
그림. 27. Savitzky-Golay Window 크기가 1000일 때 변곡점과 외부 압력 비교
Fig. 27. Comparison between inflection points and external pressure when the Savitzky-Golay
window size is 1000.
그림 25부터
그림 27까지는 Savitzky-Golay Window가 높아질수록 2차 미분에 의한 변곡점의 개수는 줄어든다. 스무딩이 많이 들어가게 되면
그림 28의 피크의 그래프에서 피크점의 변화를 많이 줄여줌으로 난류 발생구간과 비교하여 파형이 변하는 변곡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수축기
또는 이완기 혈압의 포인트에 대응하는 변곡점의 정확도가 낮아지게 된다. 스무딩이 적게 된다면
그림 25의 피크 그래프와 같이 피크의 변화는 잘 표현하지만 변곡점이 많이 생성된 것을 확인 가능한데, 변곡점이 많기 때문에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의 대응포인트의
정확도는 높으나 정확한 포인트를 집어내기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그림. 28. 난류 발생 구간에서의 Savitzky-Golay Window 크기가 1000일 때 변곡점과 외부 압력에서의 수축기 이완기 혈압 대응점
비교
Fig. 28. Comparison of inflection points in the turbulence onset segment and corresponding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points in external pressure when the Savitzky-Golay
window size is 1000.
그림 29와 같이 첫 번째 난류 발생 구간에서의 필터링된 PPG 신호의 예시를 보면 외부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가공된 PPG와 PPG 피크 그래프의 모양은 사람들마다
다르지만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난류 발생이 끝나는 지점인 수축기 혈압의 포인트와 변곡점을 비교하였을 때 PPG 파형이 작아지는 부분(피크 그래프가가
줄어드는 부분)임을 알 수 있다.
그림. 29. 첫 번째 난류 발생 구간에서의 필터링된 PPG 신호
Fig. 29. The filtered PPG signal in the first turbulence onset segment.
그림 30는 두 번째 난류 발생 구간에서의 필터링된 PPG 신호의 예시이며 외부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가공된 PPG와 PPG 피크 그래프의 모양또한 차이가 있다.
그림. 30. 두 번째 난류 발생 구간에서의 필터링 된 PPG 신호
Fig. 30. The filtered PPG signal in the second turbulence onset segment.
난류 발생이 끝나는 지점인 이완기 혈압의 포인트와 변곡점을 비교하였을 때 PPG 파형(피크 그래프)이 증가 후 작아지는 부분 또는
그림 30의 b, c, e, f와 같은 증가 후 유지하는 부분임을 알 수 있다. 커프 혈압계의 혈압 측정 방법인 오실로메트릭 방법에서는 커프 압력을 증가 후
감소시키는 부분에서 혈관의 진동을 측정하여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측정한다. 오실로메트릭 방법과 유사하게
그림 30에서 두 번째 난류 발생구간의 PPG 파형(피크 그래프)이 증가하는 부분에서 수축기 혈압 또한 유사도가 매우 높다. 하지만
그림 31에서와 같이 외부압력의 점진적인 감소에서 PPG 피크 그래프의 변화가 거의 보이지 않거나 변화가 작거나 느린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림. 31. 변화가 작은 두 번째 난류 발생 구간에서의 필터링 된 PPG 신호
Fig. 31. The filtered PPG signal in the second turbulence onset segment with small
changes.
따라서 첫 번째 난류 발생 구간에서 수축기 혈압의 추정을 하고자 하였으며 첫 번째 난류 발생구간에서의 PPG 파형이 제대로 보이지 않을 경우에 두
번째 난류 발생구간에서 수축기 혈압의 추정 가능하다.
4.3 실험결과
실험자 20명의 데이터를 표 3과 같이 Savitzky-Golay Window 크기가 100일때와 Savitzky-Golay Window 크기가 500일때의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추정하고 커프 혈압 값과 비교하였다. 표 3에서 총변곡점은 변곡점을 구했을 때 나온 변곡점의 숫자이고 외부압력이 250mmHg 이상 50mmHg에서의 변곡점은 제거해 주었다.
커프혈압계로 측정한 혈압과 PPG로 추정한 혈압의 비교를 위하여 표 4와 같이 나타내었다. 젋은 피검자(20대 건장한 성인 남성 실험자:Y)와 고령층 피검자(고령 실험자:O) 모두를 고려한 데이터에서 Savitzky-Golay
Window 100일 경우에 수축기/이완기 혈압의 RMSE 오차는 각각 4.6812±5.73 mmHg, 2.7722± 3.59 mmHg가 된다. 20대
젊은 피검자의 경우에는 수축기/이완기 혈압의 RMSE 오차는 각각 3.6878±4.58 mmHg, 2.3664±3.32 mmHg이며, 고령 실험자의
경우는 각각 5.6745±6.88 mmHg, 3.1780±3.87 mmHg 였다. 필터의 Window 크기가 500의 경우에 모든 피검자의 수축기/이완기
혈압의 RMSE 오차는 각각
표 3. 실험 참가자 Savitzky-Golay Window 크기가 100과 500일때의 결과 비교
Table 3. Comparison of the results between participants with Savitzky-Golay Window
sizes of 100 and 500.
|
이 나 S D
름 이 Y I
S A
|
Savitzky-Golay Window(100)
|
Savitzky-Golay Window(500)
|
추 추 총 처
정 정 변 리
S D 곡 후
Y I 점 변
S A 수 곡
점
수
|
추 추 총 처
정 정 변 리
S D 곡 후
Y I 점 변
S A 수 곡
점
수
|
2
0
대
실
험
자
(Y)
|
황** 25 122 80
문** 27 121 68
이** 24 124 83
윤** 25 132 85
성** 24 130 80
이** 25 122 80
신** 24 126 89
이** 25 122 80
박** 26 135 78
박** 25 126 73
|
122 76 43 28
120 68 51 32
121 81 73 40
131 86 36 16
130 79 50 33
126 81 34 20
126 95 68 63
119 80 93 49
141 78 66 32
118 76 58 30
|
125 84 28 18
129 67 30 23
150 84 38 34
131 82 32 22
129 77 30 24
134 78 13 5
151 89 35 23
118 80 19 8
138 90 22 10
117 76 41 20
|
고
령
실
험
자
(O)
|
최** 62 163 77
김** 56 179 101
오** 67 191 72
김** 51 138 77
이** 77 107 73
은** 88 155 78
윤** 51 159 73
류** 44 191 72
장** 73 169 95
김** 75 216 79
|
165 74 40 20
176 105 29 24
180 76 69 45
142 79 43 19
107 72 46 20
152 71 66 27
154 75 72 31
180 72 48 21
170 94 28 21
212 80 13 33
|
169 74 18 15
173 102 11 8
188 80 21 20
150 69 10 6
109 70 19 15
155 68 31 17
148 73 20 11
204 74 21 17
181 92 27 22
228 73 15 10
|
10.8438±12.25 mmHg, 4.800±6.30 mmHg가 된다. 20대 젊은 피검자의 경우에는 수축기/이완기 혈압의 RMSE 오차는 각각
12.7043±16.19 mmHg, 4.1593±6.69 mmHg이며, 고령 실험자의 경우는 각각 8.9833±8.31 mmHg, 5.4406±5.91
mmHg 였다.
표 4. 실험 참가자 Window 크기가 100과 500일때의 RMSE 결과
Table 4. RMSE results for experimental participants with window 100 and 500
|
20대 실험자(Y)
|
고령 실험자(O)
|
|
100
|
500
|
100
|
500
|
|
SYS
|
DIA
|
SYS
|
DIA
|
SYS
|
DIA
|
SYS
|
DIA
|
RMSE
(Average± STD)
|
3.6878
±
4.5807
|
2.3664
±
3.3238
|
12.7043
±
16.1933
|
4.1593±6.6893
|
5.6745±6.8855
|
3.1780±3.8653
|
8.9833±8.3127
|
5.4406±5.9109
|
표 5. 실험 참가자 나이를 고려한 RMSE 결과
Table 5. RMSE results taking into account the age of experimental participants.
|
20대 실험자(Y)
|
고령 실험자
(O)
|
|
SYS
|
DIA
|
SYS
|
DIA
|
Total
RMSE
(Average± STD)
|
8.1961±
10.3870
|
3.2629±
5.00065
|
7.3289±
7.5991
|
4.3093±
4.8881
|
표 4에서 Savitzky–Golay Window 크기가 100일때와 Savitzky–Golay Window 크기가 500일때의 비교를 살펴보면, 높은
차수의 필터에 의하여 smoothing이 많이된 경우(Window length=500)에는 Window 크기가 100일때 보다 측정값과 기준값의 차이와
RMSE 오차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령 차이에 의한 측정 오차는
표 5에서 20대 실험자와 고령층 피검자를 비교하였을 때 고령층 피검자는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에서의 혈압 차이는 비슷하나 평균 혈압이 높고 추정값의
오차의 값이 큰 경우가 있어 RMSE 오차의 값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