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상훈
(Sang-Hoon Chang)
†iD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Overhead Grounding Wire, Lightning Shielding Effect, Lighting Strikes, High-Speed Railway, Catenary System
1. 서 론
고속철도 운행구간의 전차선로는 전기철도 전력공급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으로 집전장치를 통해 전기철도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설비이다. 전차선로는 자연환경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낙뢰가 많은 지역이나 교량구간에서 낙뢰로 인한 피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최근(2012년~2021년) 전기철도 운행구간에서 낙뢰로 확인, 추정되는 순간정전 총 128회 중 고속선 31회(24%), 일반선 97회(76%)로
일반선이 고속선 대비 약 3배 많이 발생하였으며, 낙뢰로 확인된 전철설비 피해 총 45건 중 일반선 14건(31%), 고속선 31건(69%)으로 고속선이
일반선 대비 약 2배 이상 발생하였다. 이 중에서 애자 섬락사고가 38건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철화 구간 중 고속선 비율은 22.8%이지만
낙뢰로 인한 전차선로 트립 비중은 69%로 높게 나타고 있다(1)-(3).
우리나라의 낙뢰 현황을 보면 2019년, 2020년은 약 40만회 내외의 낙뢰가 발생하였고, 2021년도에는 약 50만회 내외의 낙뢰가 발생하였다.
낙뢰로 인한 과전류의 크기가 계통의 BIL(Basic Impulse Insulation Level)을 초과하는 경우, 전기철도 급전계통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낙뢰는 주로 일시적인 정전을 유발하며 재폐로 동작 때문에 대부분 제거되더라도 기기의 손실을 일으키고 있으며, 낙뢰 발생 시 발생하는
과전압은 짧은 시간이지만, 그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전압 변동에 민감한 부하의 고장이 주로 발생하고 있다.
직격뢰는 기준도 및 파고치가 가장 큰 뇌로 전기철도 변전소 및 급전계통의 절연내력이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직격뢰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전차선로시스템에 대하여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가공지선 설치 등의 보호설비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4).
본 논문에서는 전기철도 급전계통을 구성하고 있는 전차선로에 낙뢰 전류가 유입되었을 때 가공지선의 설치 유무에 따른 낙뢰 차폐효과에 대하여 전력계통의
과도현상 해석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프로그램인 EMTP(Electro
-Magnetic Transient Program)-ATP(Alternative Transient Program)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5)-(8).
2. 고속철도 전차선로시스템의 낙뢰보호
고속철도 전차선로시스템에서 낙뢰로부터 선로변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낙뢰는 지리적인 위치에 의존함에 따라 고속철도 운행 지역에 대해 Keraunic
지수를 조사하여 가공지선 설치 등의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철도신호 또는 통신설비는 전차선로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됨에 따라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경우는 많지 않으나, 낙뢰가 간접적으로 시설물에 유입되어 피해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보호설비를 시설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교류 고속철도를 포함한 전기철도 운행구간은 모든 지점에서 대지와 레일, 금속구조물 상호 그리고 접지망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등전위를 구성하여
인명 및 재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통합접지망이 구성되어 있다(9).
2.1 고속철도 전차선로시스템의 피뢰구역
철도시스템에서 낙뢰는 전기철도 급전구간의 전차선로시스템, 전력기기 등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철도 선로변에 설치된 신호기계실 및 통신실 또는 관련
전기 설비가 설치된 장소에도 드물지만 낙뢰에 의한 충격의 영향을 받고 있다. 전기철도 급전구간에서는 낙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차선, 비절연보호선,
비임, 전철주, 선로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금속 구조의 통합접지망이 설치되어 보호되고 있다.
KS C IEC 62305-3에서는 구조물에 낙뢰가 침입하였을 때 발생하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피뢰구역(Lightning Protection Zone)
개념을 적용하고 있다(10).
그림 1은 전차선로 시설구간의 피뢰구역을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LPZ OA는 직격뢰의 뇌격을 받을 수 있는 구역으로 전차선로 전철주 상부가 이에 해당한다.
LPZ OB는 직격뢰의 뇌격으로부터 보호되는 구역으로 전철주와 전차선로 구조물의 물리적 높이 아래가 이에 해당한다. LPZ 1은 신호설비, 통신설비가
설치된 캐비넷이나 기구함 내부, 즉 유도전류 또는 서지전류에 의해 손상을 받을 우려가 있는 전자설비가 이에 해당한다.
2.2 고속철도 전차선로 공간구조
고속철도 AT급전방식은 전기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설비로 크게 송전선로, 변전소, 급전구분소, 병렬급전소로 나눌 수 있다.
그림 2에 고속철도 AT방식 급전계통도를 나타내었다.
그림 3은 전차선로시스템의 기하학적인 구조(장주도)를 나타낸다. 고속철도 전차선로시스템은 14개의 도체로 구성되어 있으나, 전차선과 조가선은 드로퍼로 연결되어있고
상․하행 레일과 가공보호선, 접지선이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차선로 시스템을 14개의 도체로 구성하기보다는 서로 연결된 도체군으로 구성된 시스템으로
서로 연결된 도체들을 그룹핑함으로서 하나의 도체군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림. 1. 전차선로 시설구간의 피뢰구역
Fig. 1. Lightning Protection Zone of Traction Construction
그림. 2. AT방식 급전계통도
Fig. 2. Diagram of the AT-fed Circuit
2.3 고속철도 전차선로 낙뢰 보호범위
고속철도 전차선로에 직격뢰가 침입한 경우, 가공지선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전차선로를 보호하는 원리는 유도뢰의 경우와 유사한 도체(전차선, 급전선)와의
전자 결합에 의한 것이다. 가공지선은 1차적으로 뇌격 전류를 분류하여 접지 측으로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키고, 대지전위의 상승을 저감함으로써 애자간
전압을 억제하여 접지 측에서 도체로의 역섬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공지선이 존재하지 않는 전차선로 지지물에 뇌격이 침입할 경우, 뇌격 전류는 전주의 접지 측으로 흐르기 때문에 대지전위 상승은 (I×R)이 된다.
또한 전차선로(전차선, 급전선)를 지지하고 있는 애자의 단자 간에는 -(I×R)만큼의 전압이 유기된다. 이 때, 이 전압이 절연내력을 초과하면 섬락이
발생하게 된다.(11)
그림. 3. 고속철도 전차선로의 기하학적 구조(장주도)
Fig. 3. The geometry of the catenary System
그림. 4. 전차선로시스템의 가공지선 및 비절연보호선에 의한 뇌격전류 분류효과
Fig. 4. Division Effect of Lightning current by OGW and FPW
KS C IEC 62305-3 구조물의 물리적 손상 및 인명위험)을 기준으로 전차선로의 안전을 고려하여 피뢰시스템의 레벨Ⅰ~Ⅳ에 대하여 회전구체법에
의한 보호영역 구하여 그림 5에 나타내었다.
고속철도 전차선로시스템은 전철주, 급전선과 조가선 및 전차선은 수평으로 장거리 구간 병행하기 때문에 일반 전력시스템의 송전선로와 유사하나 전차선로시스템이
차지하는 면적이 넓다.
보호영역에 대한 계산결과 피뢰시스템의 Ⅰ등급(회전구체 반지름 20m)을 적용한 경우에도 낙뢰 발생시 가공지선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현재의 전차선로
구성에서는 전차선로 시스템 공간내로 낙뢰가 유입되어 보호가 어려운 것을 분석되었다(그림 5).
다만, 전차선로시스템은 철도주변의 건물과 수목에 비해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직격뢰에 의한 피해는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나, 고속철도 운행구간은
교량구간이 비교적 많기 때문에 이 구간에 시설된 전차선로시스템은 낙뢰의 피해가 우려되므로 가공지선을 시설하면 피뢰시스템의 Ⅰ등급(회전구체 반지름 20m)을
적용한 경우에도 보호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그림 6).
그림. 5. 회전구체법에 의한 고속철도 전차선로시스템의 낙뢰 보호범위(가공지선 미설치)
Fig. 5. Lightning Protection Range of Catenary System by rolling sphere method(OHGW
not installation)
그림. 6. 회전구체법에 의한 고속철도 전차선로시스템의 낙뢰 보호범위(가공지선 설치)
Fig. 6. Lightning Protection Range of Catenary System by rolling sphere method(OHGW
installation)
3. 고속철도 전차선로시스템에서의 가공지선에 의한 낙뢰 차폐효과 시뮬레이션
3.1 낙뢰전류 모델
그림 7은 상승 및 하강 때 slope를 갖는 전류원을 모의하기 위한 서지 입력화면을 보인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낙뢰전류가 피크점까지 상승하는 시간은 1
[μs], 피크의 50 [%] 지점까지
그림. 7. 낙뢰전류 파형
Fig. 7. Waveform of Lightning Current
떨어지는 시간을 70 [μs]을 가정하였으며, 낙뢰전류의 피크값을 가변하면서 가공전선 유무에 따른 절연애자 섬락발생 여부를 모의하였다.
3.2 전차선로 모델
그림 8은 ATPDraw에서 LCC(Line/Cable Constant) 모듈의 각 노드를 원하는 위치에 매핑하기 위한 입력화면을 보인 것이다. 처음 3개
도체는 상행선, 다음 3개 도체는 하행선을 나타내며, 다음 2개 도체는 상하행선은 레일을 각각 표시하도록 노드를 구성하였다.
그림. 8. 전차선로 모델
Fig. 8. Phase number mapping per conductor of catenary (ATPDraw)
3.3 고속철도 전차선로시스템의 낙뢰 유입 해석모델
그림 9는 AT 급전시스템 낙뢰 과전압 시뮬레이션 모델을 보인 것이다. 매설접지선과 비절연보호선의 접속간격은 200 [m], 매설접지선, 보호선 및 레일의
접속간격은 1.2 [km]를 상정하였으며, 선로 중간에 낙뢰가 유입되는 경우를 상정하였다. 과도상태 전위상승은 낙뢰 유입점에서 가장 가혹할 것이므로
애자 섬락모델은 낙뢰 유입점만 고려하였고, 대지저항률은 통합접지 저항값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사암 및 암반지대의 1,000 [Ω·m]를 적용하였다.
그림. 9. AT 급전회로 낙뢰유입 해석모델 (ATPDraw)
Fig. 9. Lightning inflow simulation model of AT-fed
3.2 낙뢰유입시 전차선로 절연애자 섬락특성 해석 결과
3.2.1 가공지선이 없는 경우
아래 그림 10은 가공지선이 없고, 전차선로 절연애자의 뇌충격 내전압은 250[kV]인 조건에서 낙뢰전류를 1~30 [kA]로 가변했을 때 애자의 누설전류를 분석한
결과이다.
애자 섬락이 발생하면 전류가 흐르므로 이때 섬락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분석하였다. 비절연보호선(FPW)에서 교량구간의 접지인출선 길이를 16[m]로
하였을 경우에는 낙뢰전류 8 [kA] 초과시 섬락이 발생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림. 10. 낙뢰유입시 최소 섬락전류 계산결과
Fig. 10. Calculation result of minimum flashover current when lightning strikes in
AT-fed circuit[Insulator’s lightning impulse withstand voltage 250(kV)]
그림 11은 가공지선은 없고, 전차선로의 절연애자의 뇌충격 내전압은 380 [kV]인 조건에서 낙뢰전류를 1~30 [kA]로 가변했을 때 애자의 누설전류를
계산한 결과이다. 낙뢰전류 피크가 14 [kA] 초과시 섬락이 발생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그림. 11. 낙뢰유입시 최소 섬락전류 계산결과
Fig. 11. Calculation result of minimum flashover current when lightning strikes in
AT-fed circuit[Insulator’s lightning impulse withstand voltage 380(kV)]
3.2.2 가공지선이 설치된 경우
그림 12는 대지저항률은 1000 [Ω·m] 이며, 가공지선은 설치하고, 애자의 뇌충격 내전압은 250[kV]인 조건에서 낙뢰전류를 1~30 [kA]로 가변했을
때 애자의 누설전류를 계산한 결과이다.
애자 섬락이 발생하면 전류가 흐르므로 이때 섬락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분석하였다. 비절연보호선(FPW)에서 교량구간의 접지인출선 길이를 16[m]로
하였을 경우에는 낙뢰전류 10 [kA] 초과시 섬락이 발생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림. 12. 낙뢰유입시 최소 섬락전류 계산결과
Fig. 12. Calculation result of minimum flashover current when lightning strikes in
AT-fed circuit[Insulator’s lightning impulse withstand voltage 250(kV)]
그림 13은 동일조건에서 애자의 뇌충격 내전압은 380 [kV]인 조건에서 낙뢰전류를 1~30 [kA]로 가변했을 때 애자의 누설전류를 계산한 결과이다. 교량구간
등 접지인출선 길이가 16 [m]가 되면 낙뢰전류 피크가 17 [kA] 초과시 섬락이 발생하였다.
그림. 13. 낙뢰유입시 최소 섬락전류 계산결과
Fig. 13. Calculation result of minimum flashover current when lightning strikes in
AT-fed circuit[Insulator’s lightning impulse withstand voltage 380(kV)]
그림 14는 대지저항률이 1000 [Ω·m]인 경우, 내뢰성능이 우수한 순서, 즉 최소 섬락전류가 큰 순서로 정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애자의 뇌충격 내전압이
크고, 가공지선을 설치한 경우에 최소 섬락전류가 가장 크고 내뢰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계산되었다.
그림. 14. 낙뢰 대책별 최소 섬락전류 계산결과
Fig. 14. Minimum flashover current calculation results for each lightning strike measure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고속철도 전차선로시스템의 가공지선 설치 유무에 따른 낙뢰 차폐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기철도 AT급전방식 통합접지시스템에서의 대지저항률을
1000 [Ω·m] 로 가정하고, 가공지선의 설치 유무와 전차선로 절연애자의 뇌충격 내전압을 현재 적용되고 있는 250 [kV]와 향후 절연성능 개선을
통해 전차선로 절연애자로 고려되고 있는 뇌충격 내전압 380 [kV]인 경우에 대하여 낙뢰전류를 1~30 [kA]로 가변했을 때 섬락이 발생하여 애자에
누설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는 최소 섬락전류를 분석하였다.
낙뢰의 위험이 있는 고속철도 교량구간에 가공지선을 설치한 경우 전차선로 절연애자의 뇌충격 내전압이 250 [kV]인 경우 최소 섬락전류가 8 [kA]에서
10 [kA]로, 전차선로 절연애자의 뇌충격 내전압이 380 [kV]인 경우 최소 섬락전류가 14 [kA]에서 17 [kA]로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공지선이 고속철도 전차선로시스템의 낙뢰를 차폐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the R&D program of the Wooso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ferences
Sang-Hoon Chang, 2021, Characteristic Analysis of Transient Ground Impedance with
High Frequency Band on the AT Electric Railway Integrated Earthing System,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0, No. 10, pp. 1554-1558
Tae-Hyuk Ahn, Sang-Hoon Chang, May 2022, Analysis of Transient Characteristics when
Lighting Strikes in AC Electric Railway Catenary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25, No. 5, pp. 1-8
Young-Sig Park, 2018, A Study on the Insul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of Contaminated
area with AC 25kV Catenary System
Hyun-seok Kim, Jeong-hun Lee, Joosik Kwak, 2022,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lightning observation system in Korea and changes in lightning occurrence,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Summer Conf.Pub., pp. 2457-2458
Kyung-Tak Kim, Joo-Sik Kwak, Kyo-Sun Koo, Jung-k Woo, 2010, A Study on the Effects
of Line Constants Models for the Overvoltage Analysis in EMTP,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24, No. 10,
pp. 33-41
Seung-Hyun Sohn, Jun Han, Hun-Chul Seo, Chul-Hwan Kim, 2012, Analysis of Lightning
Overvoltage according to Grounding Resistance Magnitude of Overhead Ground Wires using
EMTP,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Summer Conf.Pub., pp. 236-237
In-A Choi, Yun-Gon Kim, Jun Han, Hun-Chul Seo, 2012, Analysis of Lightning Overvoltage
by the Type of Overhead Ground Wire using EMTP,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Summer Conf.Pub., pp. 1728-1729
Joon Han, Chul-Hwan Kim, Hun-Chul Seo, Sun-Kyu Choi, Byung-Sung Lee, 2014, Analysis
of Effect on Lightning Surge according to the Grounding Condition of Overhead Ground
Wire in Distribution System,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3, No. 3, pp. 331-337
Tae-Hyuk Ahn, Sang-Hoon Chang, May 2022, Analysis of Transient Characteristics when
Lighting Strikes in AC Electric Railway Catenary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25, No. 5, pp. 1-8
KSC IEC 62305-3, Protection against lightning - Part 3 : Physical damage to structures
and life hazard
Jeom-Sik Kim, Do-Young Kim, Yong-Beom Park, 2010, Analysis on the Induced Lightning
Shielding Effect According to the Neutral Wire Installation Structure of a 22.9㎸ Distribution
Line, Trans. KIEE, Vol. 59, No. 2, pp. 191-196
저자소개
He received the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Yonsei University
and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in 1992 and 2002, respectively.
From 1994 to 2019, he was a Chief Researcher with Korea Railroad Research In Institute,
Uiwang, Korea.
He is currently a Professor with the Department of Railroad Electrical System Engineering,
Woosong University, Daejeon, Korea.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traction power supply system design and electrical
railroad system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