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orea)
  2. (Dept. of IT Applied System Engineer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Ultrasonic, Temperature Estimation, Cast-resin transformer, Short Fault, Non-Destructive Testing

1. 서 론

한국전기산업진흥회의 전기산업 동향 및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전기산업 생산 동향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었으며 전기산업 생산액은 2019년 42.7 조원에서 2022년 44.2 조원으로 상승했고 특히 변압기관련 생산액은 2019년 2.7 조원에서 2022년 3.2 조원으로 증가되었다(1). 그리고 전기재해 통계를 살펴보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특고압 전기설비에서 4,027 건의 사고가 발생 되었으며, 사고 발생 부위별로 분류해보면 변압기/변성기에서 발생된 사고가 850 건으로 나타났다. 평균적으로 한 해에 약 1,342 건의 특고압 전기설비 사고가 발생되었으며 그 중에서 약 283 건인 21.1 %의 사고가 변압기 및 변성기에서 발생된 것이다. 수배전 설비에 포함되는 장치 및 기기별로 분류했을 때 케이블에 이어 변압/변성기가 2위의 사고 발생 점유율을 차지했다(2).

변압기 및 변성기는 오일을 이용해 절연을 확보하는 유입식 설비에서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절연 및 사고 안전성을 확보한 소형 경량의 몰딩형 전기설비로 교체되어 사용되고 있다. 몰딩형 전기설비의 전기적 안전성을 점검하기 위해 정전 상태에서 절연저항 및 권수비 측정, 절연내력시험 등을 실시하고 무정전 상태에서는 적외선 열화상, 자외선 코로나, 초음파 코로나, 부분방전 등을 측정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있으며 정전으로 인한 생산 지연 및 재정적 손실 등의 이유로 상시적인 안전관리가 가능한 무정전 상태 진단 기술이 선호되고 있다. 몰딩형 전기설비는 에폭시 절연물을 이용해 내부의 구성물을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시킨 구조로 되어있어 절연 성능은 확보할 수 있지만 내부에서 일어나는 이상 상태를 파악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기존의 무정전 상태 진단 기술로는 내부적 이상에 대한 초기 검출이 곤란한 실정이다(3). 몰드 변압기의 경우, 고압측 권선(코일)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로서 권선과 권선 사이의 절연이 파괴되어 고압 권선 층간의 단락 사고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고압측 권선의 내부 이상을 검출하는 기술이 요구된다(4).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 상황을 극복하고자 몰드 변압기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이상 상태 중, 층간 단락 발생에 따른 내부 도체의 초기 온도 상승을 검출하기 위해 기초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초음파를 활용해 에폭시 절연물을 투과하여 내부의 온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초음파를 이용한 가스터빈 내부의 공기 온도 측정(5), 에폭시 수지에서의 전기트리 발생에 따른 음향 초음파 측정(6) 등의 연구가 진행되기는 했으나 초음파의 전파특성을 전기설비 내부의 온도 검출에 적용한 사례는 없었으며 에폭시 절연물의 두께에 따른 초음파 전파속도 측정 및 절연물 온도 변화에 따른 초음파 반사파 분석 등을 진행하여 에폭시 절연물의 두께 및 온도 변화에 따라 일정한 전파특성을 확인하였다.

2. 본 론

운전 중인 몰드 변압기의 상태 진단을 위해 다양한 무정전 진단 기술이 활용되고 있으나 에폭시 절연물 내부의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기술은 주로 부분방전 측정에 의존하고 있다. 몰드 변압기의 경우, 고압 권선부에서 사고가 많이 발생됐으며 내부적인 단락이 주요 원인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단락 발생으로 몰드 변압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그로 인해 내부 결함에 의한 부분방전 개시 전압(PDIV, Partial Discharge Inception Voltage)이 낮아져서 부분방전 발생 위험도가 높아지게 되고 크랙 등의 위험 요소가 확대될 수 있다(7). 고압 권선부에서 층간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초기에 검출하기 위해 초음파의 투과 및 반사 특성을 이용해 권선 내부에서 발생되는 적은 온도 상승을 검출하고자 에폭시 절연물 두께 및 온도에 따른 반사파 측정 실험을 통해 초음파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했다.

2.1 초음파를 이용한 내부 온도 추정

전기설비 내부의 이상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초음파를 이용하려는 목적은 적외선과 다르게 설비 외부의 절연 물질을 투과할 수 있고 펄스-에코(8) 등의 다양한 측정 방식(9-11)이 있어 내부 도체의 온도 상승을 파악하는데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적외선 열화상 측정은 이상 과전류나 상간 불평형 등으로 인한 몰드 변압기의 온도 상승을 검출하는 기술로서 고압 권선의 3상 온도 차이를 비교하거나 절연 계급에 따른 최고 허용 온도를 기준으로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외부 에폭시 절연물의 몰딩된 두께가 있기 때문에 표면 측정 온도와 내부 도체의 온도는 서로 같지 않으며 표면에서 측정된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의 이미지는 내부 도체 부분의 온도 분포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림 1은 고압 권선을 상부에서 바라본 내부 단면도로서 에폭시 절연물의 두께 변화에 따른 온도 유동을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전기실의 대기 온도는 40 ℃로 설정하였고 중심원은 70 ℃인 알루미늄 도체(두께: 45 mm, 높이: 42 mm, 내경 366 mm)이며 외부의 에폭시 절연물 두께를 10~50 mm 로 변화시킴에 따라 에폭시 표면 온도가 약 69 ℃에서 63.4 ℃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압 권선의 금속 도체로 사용되는 알루미늄은 열전도도가 205-235 W/m·k, 구리는 약 398 W/m·k이고 절연 재료인 에폭시는 열전도도가 1-1.06 W/m·k 정도로서 권선 내부 도체의 열 전도도에 비해 외부의 에폭시 절연물의 열 전도도가 상당히 낮다. 그래서 내부 금속의 온도 상승이 에폭시 표면까지 전달되는 것은 느려지게 되고, 에폭시 표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공기의 대류 현상으로 인해 내부 금속에서 얻는 열 에너지와 외부 공기에 의해 빼앗기는 열 에너지, 그리고 주변부에서 전도되는 열 에너지 등이 평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에폭시 절연물의 온도가 결정된다. 그렇기 때문에 표면 온도 측정 방식으로는 내부 권선의 초기 단락으로 인한 적은 온도 상승을 검출하기가 곤란해진다.

그림 1 에폭시 절연물 두께에 따른 권선부 표면 온도

Fig. 1 Surface temperature of winding by epoxy insulation thickness

../../Resources/kiee/KIEE.2023.72.11.1526/fig1.png

또한,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의 측정 이미지는 설정에 따라 시각적인 정보가 다르게 표시되기 때문에 측정자가 온도 분포를 오판할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방사율, 온도 표시 범위 등의 설정 항목들이 있지만 대다수의 측정자가 기존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하거나 자동모드를 이용해서 촬영하기 때문에 주변의 열원에 따라 측정 이미지가 다르게 보인다. 다음의 그림 2는 동일한 변압기를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것으로 온도 표시 범위의 차이에 따른 이미지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2 온도 표시 범위를 달리한 표면 온도 측정 결과

Fig. 2 Measurements with different temperature display ranges

../../Resources/kiee/KIEE.2023.72.11.1526/fig2-1.png

../../Resources/kiee/KIEE.2023.72.11.1526/fig2-2.png

그림 2의 왼쪽 이미지는 적(백)색부터 청색까지의 온도 표시 범위가 94.8 ℃ - 30.5 ℃이고, 오른 쪽 이미지는 온도 표시 범위가 78.7 ℃ - 30.5 ℃이기 때문에 표시 색상 대비 온도 차이의 분해능은 왼쪽보다 오른쪽의 이미지가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왼쪽 이미지에서 몰드 변압기 S상 상부의 초록색으로 표현된 부분이 시각적으로 도드라져 보이는 반면에 오른쪽의 변압기 이미지는 고압 권선의 온도 분포가 각 상별로 큰 차이가 없어 보인다. 이처럼 측정자 입장에서는 표시 온도 범위에 따라 측정 대상의 온도 분포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초음파 온도 추정은 표면 온도가 아닌 고압 권선 내부의 도체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신한 초음파가 에폭시를 투과한 후, 금속 도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수신하여 에폭시 절연물 내부를 왕복한 초음파의 전파속도를 계산하고 온도 변화에 따른 전파속도의 변화 특성을 반영 함으로써 내부 도체의 온도를 산출하는 것이다.

2.2 에폭시 절연물 반사파 측정 실험

에폭시의 초음파 투과, 반사 특성 및 온도에 따른 전파 속도에 대한 실험을 위해 판매용 몰드 변압기와 동일한 재료 및 진공 탈포, 고온 건조 등의 동일한 제조 공정을 통해 에폭시 시료를 제작하여 활용했다. 에폭시 시료의 크기는 가로 200 mm, 세로 200 mm이며 내부 재료가 모두 에폭시로 되어있는 시료의 두께는 각각 10, 20, 30, 40, 50 mm이고, 시료의 한 쪽은 에폭시, 다른 쪽 면에 금속 (알루미늄)이 포함된 시료는 각각 15mm, 30mm, 45mm의 에폭시 두께를 가지도록 그림 34와 같이 제작했다.

그림 3 실험용 에폭시 절연물 시료 제작

Fig. 3 Preparation of experimental epoxy insulation samples

../../Resources/kiee/KIEE.2023.72.11.1526/fig3-1.png

../../Resources/kiee/KIEE.2023.72.11.1526/fig3-2.png

반사파 측정 실험을 위해 초음파 신호의 송/수신 PZT (PieZo- electric Transducer(12))로는 비파괴검사에 사용되는 technisonic의 1 MHz (Φ1″)와 2.25 MHz (Φ1″) 및 JP Probe의 고온용 1 MHz (Φ20) 탐촉자를 이용했으며 신호 발생 및 송/수신 장치인 pulser/receiver로서 XTR 2022(MKC korea)와 측정 신호 표시를 위해 TELEDYNE Lecroy 620MZi를 활용했고 에폭시 시료의 표면 온도 측정을 위해 FLUKE 62 MAX plus 적외선 온도계를 이용했다.

실험 방법은 상온에서 에폭시 두께에 따른 반사파의 변화를 보기 위해 에폭시 시료의 한쪽 면으로 초음파 신호를 보내고 전파되어 반대쪽 면에 부딪혀서 되돌아오는 반사파 신호를 측정했고 금속 및 에폭시 절연물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전파 속도 변화 추이를 확인하기 위해 에폭시의 한쪽 면을 힛팅 플레이트를 이용해 온도를 상승시키며 다른 쪽 면에서 초음파를 송신 후, 반사파를 취득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그림 4 반사파 측정 실험 구성도

Fig. 4 Experimental diagram for measuring reflected waves

../../Resources/kiee/KIEE.2023.72.11.1526/fig4.png

에폭시 두께별 반사 파형은 10 mm부터 50 mm까지의 두께를 가지는 에폭시 시료에 대해 1 MHz, 및 2.25 MHz의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트랜스듀서를 이용해 하나의 트랜스듀서로 송신기와 수신기의 역할을 동시에 처리하는 펄스-에코(pulse-echo) 방식으로 측정했고 온도 변화에 따른 파형 측정을 위해 상온에서부터 에폭시가 열적 물성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100 ℃까지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10 ℃ 간격으로 반사파를 취득했으며 고온 측정을 위해 150 ℃까지 사용이 가능한 중심 주파수가 1 MHz인 별도의 고온용 트랜스듀서를 활용했다.

2.3 에폭시 두께 및 온도별 반사파 측정 결과

에폭시 절연물의 두께별 반사파 측정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에폭시 전면에서 초음파 신호를 송신 후, 에폭시 후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와 수신되기까지의 시간 간격인 ToF(Time of Flight)는 송신파의 최대 크기인 지점과 반사파의 최대 크기인 지점 사이를 기준으로 경과된 시간을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반사파 도달 시점은 중심 주파수가 2.25 MHz인 트랜스듀서를 이용해 측정했을 때 1 MHz인 트랜스듀서 보다 반사파가 약 0.5 ㎲ 늦게 도착 했으며 에폭시 절연물의 두께가 10 mm일 때 1 MHz로 측정한 경우는 초음파 신호가 에폭시 후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데 7.27 ㎲가 소요됐고 2.25 MHz로 측정한 경우는 7.65 ㎲가 소요됐다. 10 mm 간격으로 두께가 증가됨에 따라 반사파의 도착 시간은 약 6.5 ㎲ 정도가 지연됐다.

표 1 에폭시 두께별 반사파 도착 시간

Table 1 Arrival time of reflected waves by epoxy thickness

Thickness

(mm)

Time of Flight (㎲)

1 MHz

2.25 MHz

10

7.27

7.65

20

13.89

14.25

30

20.25

20.69

40

27.02

27.33

50

33.55

34.00

반사파 측정 파형은 그림 5에 나타내었으며 그림 5의 (a), (b)는 에폭시 30 mm, 50 mm 시료에 대해 1 MHz 트랜스듀서로 측정한 것이고 (c), (d)는 동일한 두께의 시료를 2.25 MHz로 측정한 것이다.

파형 그래프 (a)를 보면 좌측의 처음 나타나는 진동은 발생 초음파가 에폭시 시료의 표면과 만나서 생기는 파형이며 에폭시를 투과하여 반대편의 에폭시 후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첫 번째 반사파(붉은 원)는 20.25 ㎲ 지점에서 최대 피크가 나타난다. 이 반사파가 트랜스듀서와 에폭시 후면 사이를 한번 더 왕복하게 되면 두 번쨰 반사파가 크기가 감쇠되어 나타나게 된다.

그림 5 에폭시 절연물 두께별 반사파 (a) 1MHz, 30mm, (b) 1MHz, 50mm, (c) 2.25MHz, 30mm (d) 2.25MHz, 50mm

Fig. 5 Reflected waves by epoxy thickness (a) 1MHz, 30mm, (b) 1MHz, 50mm, (c) 2.25MHz, 30mm (d) 2.25MHz, 50mm

../../Resources/kiee/KIEE.2023.72.11.1526/fig5-1.png

../../Resources/kiee/KIEE.2023.72.11.1526/fig5-2.png

파형 그래프 (b)를 보면 에폭시 시료의 표면에서 측정된 파형 이후에 50mm 두께를 왕복하여 첫 번째 후면 반사파가 도달하기 때문에 33.55 ㎲ 지점에서 최대 피크가 나타난다.

파형 그래프 (c)를 보면 트랜스듀서가 2.25 MHz로 바뀌어서 반사 파형의 모습도 바뀐 것을 알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진동 횟수가 줄어들고 파장이 짧아졌기 때문에 주변의 다른 신호의 간섭이 생겨도 구분하기가 용이해졌다. ToF를 보면 1 MHz인 트랜스듀서로 측정했을 때와 유사하게 20.69 ㎲ 지점에서 첫 번째 왕복 반사파의 최대 피크가 나타났고 50 mm 두께에서는 약 34 ㎲ 지점에서 첫 번째 반사파의 피크가 나타난다.

몰드 변압기 내부의 고압 권선을 모의하여 금속과 에폭시 절연물의 경계면에서 초음파 신호가 어떻게 반사되는지를 측정했으며 각 시료의 총 두께는 에폭시 두께와 금속 두께를 합한 값이지만 금속과 에폭시의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신호를 측정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에폭시의 두께를 기준으로 표 2에 측정 결과를 정리했다.

표 2 에폭시(금속) 두께별 반사파 도착 시간

Table 2 Arrival time of reflected waves by epoxy(metal) thickness

Thickness

epoxy/metal (mm)

Time of Flight (㎲)

1 MHz

2.25 MHz

15 / 10

10.04

11.01

30 / 10

19.87

20.73

45 / 5

30.31

30.57

다음의 그림 6은 에폭시 두께 30 mm, 금속 두께 10 mm 인 시료에 대해 1 MHz, 2.25 MHz로 송신 및 반사파를 측정한 것으로 첫 번째 반사파의 도달시간은 1 MHz 트랜스듀서일 때 19.87 ㎲, 2.25 MHz 일 때 20.73 ㎲로 나타났다.

그림 6 에폭시(30mm) 및 금속 두께별 반사파 (a) 1MHz, (b) 2.25MHz

Fig. 6 Reflected waves by epoxy(30mm) & metal thickness (a) 1MHz, (b) 2.25MHz

../../Resources/kiee/KIEE.2023.72.11.1526/fig6.png

에폭시로만 이루어진 30 mm 시료의 반사 파형(그림 5)과 비교해 보면 첫 번째 반사파와 두 번째 반사파 사이에 다른 파형들로 채워진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의 그림 7은 금속이 포함된 에폭시(15 mm) 시료에 대해 금속 부분의 온도를 상온에서 100 ℃까지 10 ℃의 간격으로 상승시켰을 때 측정된 초음파 반사파의 파형 중에서 40 ℃, 70 ℃, 100 ℃를 나타낸 것이다. 고온에서 반사파 측정을 위해 별도의 고온용 트랜스듀서(JP Probe, 1MHz)를 이용해 측정했으며 에폭시 두께가 30 mm, 45 mm인 경우에서도 금속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진폭이 감소되고 반사파의 도달시간이 느려지는 특성을 보였다. 가장 위쪽의 그래프는 금속의 온도가 40 ℃인 경우로 초음파 송신 후, 10.6 ㎲가 지나고 반사파가 도달했고 금속 온도가 70 ℃인 중간의 그래프를 보면 11.52 ㎲가 지나서 반사파가 도착했고 가장 아래의 그래프인 100 ℃의 경우는 송신 신호가 에폭시와 금속의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데 12 ㎲가 소요됐다.

그림 7 에폭시(30mm) 및 금속 시료의 온도에 따른 반사파

Fig. 7 Reflected waves by epoxy(30mm) & metal at each temp.

../../Resources/kiee/KIEE.2023.72.11.1526/fig7.png

금속을 포함하고 있는 에폭시 시료의 내부 온도 변화에 따른 전체적인 반사파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에폭시(금속) 두께 및 온도별 반사파 도착 시간

Table 3 Arrival time of reflected waves by epoxy(metal) thickness & temp.

Temperature

(internal, ℃)

Time of Flight (㎲)

15 mm

30 mm

45 mm

30

9.64

19.46

30.21

40

9.75

19.66

30.45

50

10.07

19.87

30.71

60

10.19

20.11

31.05

70

10.33

20.42

31.29

80

10.71

20.73

31.60

90

10.88

21.29

32.13

100

11.15

22.05

32.79

30 ℃인 경우를 보면 에폭시 두께가 15 mm에서 45 mm로 두꺼워짐에 따라 ToF는 선형적으로 증가되고 진폭은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금속의 온도가 30 ℃에서 100 ℃로 상승됨에 따라 에폭시 두께가 15 mm인 경우의 반사파 도달 시간은 10.52 ㎲ - 12 ㎲로 1.48 ㎲가 지연됐고, 30 mm인 경우는 20.3 ㎲ - 22.9 ㎲로 2.6 ㎲가 지연됐으며, 45 mm인 경우는 31.58 ㎲ - 34.22 ㎲로 2.64 ㎲가 지연됐다.

3. 실험 결과 분석

에폭시 절연물 두께에 따른 반사파 측정 결과를 보면 두께별로 2.25 MHz로 측정했을 때와 1 MHz로 측정했을 때 반사파의 도착 시간이 약 0.5 ㎲가 달라지는데, 이것은 파형의 차이에서도 나타나듯이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중심 주파수에 따라 그 내부의 압전소자, 백플래이트(댐핑조절)의 크기 및 사양이 달라지는 구조적 특성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10mm - 50 mm 두께 변화에 따른 ToF 증가폭을 비교해보면 평균적으로 두께가 10 mm 증가됐을 때 1 MHz인 경우는 6.57 ㎲, 2.25 MHz인 경우는 6.59 ㎲의 ToF 증가를 볼 수 있었다. 초음파의 전파속도는 아래의 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Dep는 에폭시의 두께, ToF는 후면 반사파에 대한 초음파 송/수신 시간차를 의미한다. 두께(거리)가 10 mm 라고 했을 때 초음파가 이동한 왕복 거리는 20 mm이고 평균 왕복 시간을 고려하면 에폭시 절연물 내부에서 초음파의 전파속도(28 ℃ 기준)는 약 3,035~3,044 m/s 로 산출할 수 있다.

(1)
$v_{ep}=\frac{2 \times D_{ep}}{ToF}$

금속이 포함된 에폭시 시료의 측정 결과인 표 3에도 위의 식을 적용해보면 2,980 m/s - 3,112 m/s의 전파속도(30 ℃ 기준)로 계산되는데 이렇게 전파속도의 변동 폭이 큰 것은 시료 제작 과정에서 목표한 두께 15 mm, 30 mm, 45 mm로 정확하게 성형되지 않은 것이 원인으로 추정되며 실측 결과 시료의 위치에 따라 두께 오차가 나타났다. (두께 평균 : 14.79 mm, 29.77 mm, 45.28 mm)

표 4 에폭시(금속) 두께 및 내부 온도에 따른 표면 온도와 평균 온도

Table 4 Surface and average temperature by epoxy(metal) thickness & temp.

Internal Temp. (℃)

15 mm (℃)

30 mm

(℃)

45 mm

(℃)

Surf.

Ave.

Surf.

Ave.

Surf.

Ave.

30

30.0

30.0

29.6

29.8

29.3

29.6

40

37.9

38.9

36.4

38.2

34.8

37.4

50

45.7

47.8

42.7

46.3

39.5

44.7

60

53.4

56.7

48.9

54.5

44.9

52.4

70

61.3

65.6

55.1

62.5

48.9

59.4

80

67.7

73.8

61.0

70.5

52.4

66.2

90

75.1

82.5

67.1

78.5

57.9

73.9

100

81.2

90.6

73.2

86.6

62.7

81.3

앞 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에폭시 절연물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금속 내부의 온도와 표면 온도의 차이가 커지게 되며 표 3에 대한 에폭시의 표면 온도와 평균 온도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표 3에 대한 초음파의 전파속도를 산출하여 에폭시 평균 온도와의 관계를 그림 8과 같이 나타내었으며 에폭시 내부의 평균 온도가 올라갈수록 전파속도가 느려지는 하향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림 8 에폭시(금속) 두께 및 온도에 따른 전파속도

Fig. 8 Velocity of ultrasonic by epoxy(metal) thickness & temp.

../../Resources/kiee/KIEE.2023.72.11.1526/fig8.png

따라서 에폭시 및 금속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전파특성 실험을 추가적으로 진행함으로써 내부 온도 상승과 전파속도의 감소 추세 데이터를 충분히 확보한다면 초음파를 이용해 몰드 변압기의 에폭시 내부 권선의 온도를 추정할 수 있다. 에폭시 두께에 따른 전파속도 및 진폭의 변화는 크지 않기 때문에 에폭시 반사파 측정을 통해 1차적으로 두께를 산출하고 온도 상승에 따른 전파속도의 감소 추세를 반영하여 에폭시 내부의 평균 온도를 계산한 후에 에폭시의 표면 온도 측정 값을 토대로 내부 금속의 온도를 역으로 산출할 수 있다.

다만, 내부의 온도 상승에 따른 전파속도의 변화가 ns 수준으로 그 차이가 미미하기 때문에 FFT를 이용한 주파수 특성 분석, 반사파의 에너지 감소량 분석 등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또한 초음파를 이용해 몰드 변압기의 내부 온도를 추정하기 위해서 레이저 초음파와 같은 비접촉 측정 방식도 실험을 병행하고 있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외부가 에폭시로 밀폐된 몰드 변압기의 내부 온도 이상을 검출하기 위해 초음파의 투과 및 반사 특성을 이용한 기초 실험을 진행했으며 에폭시 두께별 반사파 측정을 통해 몰드 변압기 제조에 사용되는 에폭시의 전파속도를 산출하고 내부에 금속이 포함된 에폭시 시료의 온도 상승에 따른 초음파 반사파 측정을 통해 내부 금속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전파속도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금속의 온도 상승에 따라 에폭시 내부의 전파속도는 느려지기 때문에 전파속도 감소 추세, 외부 에폭시 절연물의 두께, 에폭시 표면 온도 및 평균 내부 온도 등의 관련 정보를 활용하면 몰드 변압기 내부 금속의 도체 온도를 역으로 추정할 수 있다. 내부 온도 추정의 신뢰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 FFT 분석, 반사파의 에너지 감소량 등에 대한 실험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여 몰드 변압기 내부 온도를 파악하기 위한 종합적인 알고리즘을 제시할 계획이다.

향후에 원거리에서 초음파 신호 발생이 가능한 레이저 초음파 기술(13)과 접목하게 되면 현장에서도 비접촉 측정 방식으로 몰드 변압기 고압 권선의 온도 추정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외부의 에폭시 절연물로 인해 내부 이상을 검출하기 곤란했던 몰드 변압기 상태진단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s

1 
2022, KOEMA, “Electricity Industry Trends and Forecast Report for 2023,” Korea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Google Search
2 
2020-2023, KESCO, “A Statistical Analysis on the Electrical Accident,”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vol. 29-32Google Search
3 
Yasutomo Kakimoto, Masahiro Kozako, Masayuki Hikita, March 2022, Elucidation of impedanc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cast resin transformer and application to partial discharge diagnostic method, , Electronics & Communications in Japan, Vol. 105, No. 1, pp. 1-9DOI
4 
Ki-Ok Choi, 2013, Fire Analysis of for 3-Phase Molded Transformer according to Dielectric Breakdown for High-Voltage Winding Wire, 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Vol. 25, pp. 94-97Google Search
5 
Wuk Hwang, Hyun Jeong Seo, Min Chul Lee, 2019, Experimental Study on a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 Using Ultrasonic Wave for the Safe Operation of Gas Turbines,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Vol. 43, No. 2, pp. 93-98Google Search
6 
ang-Woo Lee, In-Sik Kim, Dong-In Lee, Kwang-Sik Lee, 1999, Deterioration Diagnosis of Epoxy Mold-type Transformer Using Ultrasonic Wav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13, No. 3, pp. 73-81Google Search
7 
M. Beyer, H. Borsi, L. Oelert, 1991, Investigation of damage-behavior in cast epoxy resin coils under thermal and electrical stress with the help of partial discharge (PD) measurement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Dielectric Materials, Vol. proceedings of the 3rd international conf. on 2, pp. 695-698DOI
8 
Seung-Chan Hong, Jung-Ryul Lee, Jongwoon Park, 2019, In-situ Nondestructive Evaluation for Horizontal Stabilator of T-50 Advanced Trainer using Mobile Pulse-echo Ultrasonic Propagation Imag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Vol. 39, No. 5, pp. 261-268Google Search
9 
Liudas Maˇzeika, Renaldas Raiˇsutis, Audrius Jankauskas, Regina Rekuviene, Reimondas Sliteris, Vykintas Samaitis, 2022, High sensitivity ultrasonic NDT technique for detecting creep damage at the early stage in power plant steels,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ure Vessels and PipingDOI
10 
Job Ha, Kyung-young Jhang, 2011, Wavelet Transform Based Deconvolution for Improvement of Time-Resolution of A-Scan Ultrasonic Signal,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Vol. spring conf. journal a, pp. 84-89Google Search
11 
Ik-Keun park, Un-Su Park, Hyung-Keun Ahn, Sook-in Kwun, and Jai-Won Byeon, 2000, Wavelet Analysis of Ultrasonic Echo Waveform and Application to Nondestructive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Vol. 20, No. 6, pp. 501-510Google Search
12 
Kibok Kim, 2011, Piezoelectric Ultrasonic Transducer for NDT, Jout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Vol. 31, No. 4, pp. 414-420Google Search
13 
Jisoo Choi, Junyoung Jeon, Hyeonwoo Nam, and Gyuhae Park, 2022, Damage Detection of Multi-structures based on Full-field Steady-state Ultrasonic Imaging Technique using a Dual Laser Scann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Vol. 42, No. 4, pp. 293-301DOI

저자소개

한가람 (Ga-Ram Han)
../../Resources/kiee/KIEE.2023.72.11.1526/au1.png

He received the M.Eng.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in 2011. He is currently pursuing Doctor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He is currently a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since 2012.

방준호 (Jun-Ho Bang)
../../Resources/kiee/KIEE.2023.72.11.1526/au2.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the M.S. degree and Ph.D.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1989, 1991 and 1996 respectively.

He was a research engineer with LG Semiconductor Institute of Technology from 1997 to 1998.

At present, he is working as a professor at IT Applied System Engineering and Energy Storage & Convers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IT convergence system design.

유인호 (In-Ho Ryu)
../../Resources/kiee/KIEE.2023.72.11.1526/au3.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Wonkwang University, Korea, in 1984.

He received the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nkuk University, Korea, in 1986.

He received Ph.D.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Wonkwang University, Korea, in 1999.

He is currently a professor of IT Applied System Engineering of Conversion Technology Engineering Divis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circuit system and IT convergence system.

김태형 (Tae-Hyung Kim)
../../Resources/kiee/KIEE.2023.72.11.1526/au4.png

He received the Ph.D. in electronic engineering from Wonkwang University, Korea, in 2002.

At present, he is working as a professor at IT Applied System Engineering of Conversion Technology Engineer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소병문 (Byung-Moon So)
../../Resources/kiee/KIEE.2023.72.11.1526/au5.png

He received the Ph.D.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wangwoon University, Korea, in 1998.

At present, he is working as a professor at IT Applied System Engineering of Conversion Technology Engineer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renewable energy.

송제호 (Je-Ho Song)
../../Resources/kiee/KIEE.2023.72.11.1526/au6.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the M.S. degree and Ph.D. in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from Wonkwang University, Korea, in 1991, 1995 and 2003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professor at Department of IT Applied System Engineer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since 1996.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VLSI, Informatio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DSP design.